목록어휘놀이터 (1295)
건빵이랑 놀자
95. ㄹ 랑곡(廊曲)‘행랑채’나 ‘행랑방’이라고도 하는데, 대문의 양쪽이나 문간 옆에 있는 방으로, 이른바 ‘아랫것들’이 거주하는 곳이다. 행랑에 사는 것을 ‘행랑살이’라고 일컬으며, 행랑살이하는 남자를 행랑아범, 여자를 행랑어멈이라고 부른다. 행랑 사람은 꼭 하인은 아니며, 신분이 평민인 경우도 적지 않다. 이 경우 집주인과 행랑 사람은 주종 관계는 아니며, 행랑을 빌려 사는 대가로 더러 주인집의 일을 돕거나 심부름을 해줄 따름이다. 랑관(郞官)중국 고대 왕의 시종관을 통칭했다. 그 직무를 궁정의 낭하(廊下)에서 했다고 해서 낭(廊)이라고도 한다. 춘추 때 제환공(齊桓公)과 진문공이 설치하기 시작해서 전국 때는 각 제후국들이 모두 따랐다. 진나라다 랑의 직분을 셋으로 나누었다. 황제의 여인들이 묶고 ..
94. 등 등(滕)등 나라는 전국시대(戰國時代)에 있었던 작은 나라로 곁에 큰 나라인 제(齊)와 초(楚)가 있어 이러할 수도 저러할 수도 없었던 나라이다. 등문공(滕文公)은 맹자에게 “등 나라는 작은 나라입니다. 제(齊)ㆍ초(楚)의 사이에 끼어 있으니 제 나라를 섬겨야 하겠습니까, 초 나라를 섬겨야 하겠습니까?[滕, 小國也, 間於齊楚. 事齊乎? 事楚乎?]” 하였다. 『맹자(孟子)』 「양혜왕(「앙혜왕(梁惠王)」)」 下 등가(登歌)나라의 제사를 거행하거나 대규모의 조회 때 악사가 마루에 올라가 노래를 부르는 것으로 그 악사가 연주하는 노래를 말한다. 등가(登伽)마등가녀(摩登伽女)의 준말이다. 불교에서 말하는 음녀(淫女)의 이름인데, 그의 딸 발길제(鉢吉帝)를 시켜 환술(幻術)로 석가모니의 수제자인 아난(阿難..
93. 득 득가서(得家書)두보(杜甫)가 안녹산(安祿山) 난리 때 봉상(鳳翔)에 있으면서 부주(鄜州)에 있는 식구들 소식이 궁금해 서신을 보냈으나 답신이 없어 안절부절하다가 늦게야 서찰을 받고는 「득가서(得家書)라는 제목으로 시를 읊어 기쁨을 나타내었음. 『두소릉시집(杜少陵詩集)』 卷五 득노병(得老兵)술친구를 찾아 술을 마신다는 뜻이다. 진(晉) 나라 때 사혁(謝奕)이 술 마시기를 아주 좋아하였는데, 술에 취하면 조정의 예의를 따지지 않았으므로, 그의 상관인 환온(桓溫)이 그와 함께 술을 마시다가 피해 도망쳤다. 그러자 사혁은 다시 환온의 수하에 있는 장수를 붙잡고 함께 마시면서 말하기를, “한 노병이 도망치자 또다시 한 노병을 얻었으니, 또한 무슨 괴이할 것이 있는가.” 하였다. 『진서(晉書)』 卷79 ..
92. 둔 둔곡(遯谷)운둔자가 살기에 합당한 골짜기라는 말이다. 『주역(周易)』 택풍대과괘(澤風大過卦)의 상사(象辭)에 “못의 물이 나무 위에까지 차오르는 것이 대과괘의 상이니, 군자는 이 점괘를 보고서 홀로 우뚝 서서 두려워하지 않으며 세상을 피해 살면서도 후회하지 않는다[澤滅木 大過 君子 以 獨立不懼 遯世無悶].”하였다. 둔괘삼효(遯卦三爻)둔괘(遯卦)는 날로 정의가 없어지고 부정부패가 만연되는 때에 군자가 은둔하는 것을 상징하고 있는데, 구삼효(九三爻)에는 은둔하고 싶어도 처자 권속 때문에 차마 버리고 가지 못한 채 집에서 가만히 쉬는 내용이 담겨 있다. 둔덕령(屯德嶺)충청도 서천 비인(庇仁) 동쪽에 있는 고개 이름이다. 둔세(遁世)세상을 피해 숨음. 둔암시(遯庵詩)돈암은 중종(中宗)~광해(光海) 때..
91. 두 두(斗)북방 현무(北方玄武) 7성의 하나. 『협기변방서의례오(協紀辨方書義例五)』 두가구원(竇家仇怨)후한(後漢)의 두무(竇武)가 태후(太后)의 명으로 영제(靈帝)를 받아들여 제위(帝位)에 앉힌 공로로 대장군(大將軍)이 되고 문희후(聞喜侯)에 봉해졌으며, 아들과 조카들까지도 모두 후에 봉해져 그 위세가 천하를 흔들었다. 그러나 두무는 조금도 자만하지 않고 태부(太傅) 진번(陳蕃) 등과 함께 국사에 진력하면서 당시 정권을 농락하는 고질적인 존재인 환관(宦官)들을 숙청하려다가 뜻을 못 이루고 도리어 환관 조절(曹節)ㆍ왕보(王甫) 무리들에 의해 멸족지화를 당했다. 그런데 두무가 처음 태어날 때 그의 어머니가 두무와 함께 한 마리의 뱀을 더 낳아 그를 숲 속으로 보냈는데, 당시 사람들이 그것을 보고는 장..
90. 동 동가(東柯)중국 진주(秦州) 동남쪽 50리 지점에 있다는 골짜기 이름인데, 두보(杜甫)가 약초를 캐며 노년을 보내고 싶다면서[採藥吾將老] 읊은 ‘동가는 기막히게 좋은 골짜기[東柯好崖谷]’라는 시가 있다. 『두소릉시집(杜少陵詩集)』 卷7 「진주잡시(秦州雜詩)」 동가(董賈)한(漢)의 동중서(董仲舒)와 가의(賈誼). 동가구(東家丘)동쪽 집의 공구(孔丘)라는 뜻으로, 즉 노 나라 사람으로서 공자(孔子)의 서쪽 이웃에 살던 한 어리석은 자가 공자가 성인인 줄을 모르고 “저 동쪽 집의 공구를 내가 안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공자가어(孔子家語)』 本姓解ㆍ『전습록(傳習錄)』 동가미오(董家郿塢)간사한 자가 재물을 쌓아 두고서 노년을 즐기는 장소를 말한다. 동가는 한 나라의 동탁(董卓)을 가리킨다. 동탁..
89. 돌 돌돌(咄咄)돌돌괴사(咄咄怪事)의 준말로, 뜻밖의 괴이한 일이라고 생각하여 놀라는 것을 말한다. 『진서(晉書)』 「은호전(殷浩傳)」에 “은호가 조정에서 쫓겨난 뒤 담소하고 음영(吟咏)하는 일을 끊지 않았으므로 자기 식구들도 쫓겨난 데 대한 유감의 기색을 전연 볼 수 없었는데, 온종일 허공에다 ‘돌돌괴사’라는 네 글자만 쓰고 있을 뿐이었다.” 하였다. 돌돌(咄咄)뜻밖의 일에 놀라 지르는 소리 돌돌괴사(咄咄怪事)놀랄 만한 괴이쩍은 일을 말하는데, 즉 내가 어째서 이 지경이 되었을까 후회하는 뜻이다. 동진(東晉) 때 은호(殷浩)가 모함을 받고 조정으로부터 먼 곳에 추방당하였으나 조금도 원망하는 기색이 없이 하루종일 ‘돌돌괴사(咄咄怪事’ 넉 자만 쓰고 있었다 한다. 『진서(晉書)』 卷七十七 「은호전(殷..
88. 돈 돈(暾)해가 처음 뜰 때 온화하고 밝은 모습. 돈간(敦艮)『주역(周易)』 간괘(艮卦) 상구(上九)의 효사(爻辭)인데 ‘성실한 머묾’을 말한다. 돈견(豚犬)자기 아들을 남에게 말할 때 낮추어 ‘돈견’이라 하는데, 그 유래를 보면, 오대(五代) 때에 양주(梁主) 주온(朱溫)이 진주(晋主) 이극용(李克用)의 죽음을 틈타서 진나라를 치다가 극용의 아들에게 크게 패하자, “자식을 낳거든 이아자(李亞子; 극용을 말함)처럼 낳아야 한다. 내 아들은 돼지나 개이다.” 하여, 후세에서 자기 아들을 겸사(謙辭)로 말할 때에는 ‘돈견’이라 한다. 돈돈(沌沌)물결이 잇닿아 치는 모양, 어리석고 분별이 없는 모양, 모든 사물이 확실히 구별되지 않는 모양. 빙빙 도는 모양 돈돈(惇惇)어질고 순후한 모양 돈돈(旽旽)잘못..
87. 독 독견(獨見)남들이 견득(見得)하지 못한 것을 혼자만이 견득하는 것을 이른다. 독견(獨繭)누에고치 하나의 실만으로 지은 옷을 말한다. 독곡(獨谷)조선 초기의 문신 성석린(成石璘). 독곡은 그의 호이다. 고려 때 정당문학(政堂文學)을 역임하고, 이성계(李成桂)와 함께 조선 왕조 창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였다. 뒤에 대제학을 거쳐 영상(領相)에 이르렀다. 독곡가(讀曲歌)악부(樂府)의 오성가곡(吳聲歌曲)의 이름이다. 독교낙아각(毒蛟落牙角)초(楚) 나라 검사(劍士)인 차비(佽飛)가 강을 건널 때, 두 마리의 교룡이 배를 습격하자, 그 목을 베고 물결을 잠잠하게 했다는 고사가 전한다. 『회남자(淮南子)』 「도응훈(道應訓)」 독누(篤耨)칠과(漆科) 소속의 식물(植物). 줄기에 상처를 내면 수지(樹脂)가 나..
86. 도 도가(道家)『노자(老子)』⋅『장자(莊子)』 등을 합칭하여 도가라 한다. 도가(陶家)진(晉) 나라 도간(陶侃)의 집을 가리킨다. 범규(范逵)가 그 집을 방문했을 때 대접할 것이 없자 도간의 어미가 머리칼을 잘라 주효(酒殽)를 마련해 주었던 고사가 전해 온다.『진서(晉書)』 卷66 / 소식(蘇軾)의 시에 “杯柈慣作陶家客 絃誦嘗叨孟母鄰”이라는 구절이 있다. 『소동파시집(蘇東坡詩集)』 卷28 潘推官母氏挽詞 도가도비상도(道可道非常道)말로 형상화된 도(可道)는 늘 그러한 원래의 도(常道)가 아니다. 『노자(老子)』 1장 도가명당가주(陶之茗党家酒)송(宋) 나라 학사(學士) 도곡(陶穀)이 태위(太尉)인 당진(黨進)의 집에서 가기(歌妓)를 데려왔는데, 눈을 녹인 물로 차를 끓이면서 “당 태위의 집에서도 이런 ..
85. 덕 덕기(德驥)덕을 갖춘 천리마. 『논어(論語)』 「헌문(憲問)」에 “기(驥)는 그 힘을 일컫는 것이 아니라 그 덕을 일컫는 것이다[驥不稱其力, 稱其德也].”라는 대목에서 인용된 문자다. 덕기(德機)생동감. 생의(生意). 덕무상사(德無常師)덕(德)을 닦는 데는 일정한 스승이 없다. 덕문(德門)남의 집안을 높여 부르는 말이다. / 인용: 祭鄭石癡文(박지원) 덕본재말(德本財末)사람이 살아가는 데 덕(德)이 뿌리가 되고 재물(財物)은 사소한 부분이다. 『대학(大學)』 전10장 덕불고(德不孤)덕이 있는 사람은 고립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논어(論語)』 「이인(里仁)」에 “덕이 있는 사람은 외롭지 않고 반드시 이웃이 있다.[德不孤 必有隣]” 하였다. 덕불고필유린(德不孤必有隣)덕스러운 사람은 외롭지 않다 반..
84. 대 대(玳)대모(玳瑁)를 말하니, 즉 거북의 일종이다. 등껍질은 장식품에 쓰인다. 『사기(史記)』 卷78 『춘신군열전(春申君列傳)』 대가(代加)벼슬의 자급을 올리는데 있어 부형의 벼슬이 자궁(資窮)인 통훈대부(通訓大夫)가 되어 친히 은전을 받지 못하므로 그 자제(子弟)에게 대신 주는 것을 대가(代加)라 한다. 대가(大家)임금을 가까이서 모시는 자가 임금을 일컬을 때 하는 말이다. 태후(太后) 또는 황후(皇后)를 일컫는 말이다. 대가(待價)자공이 “여기 아름다운 옥이 있사온데, 궤 속에 감춰 두리이까. 좋은 값을 얻고 팔리이까[有美玉於斯, 韞匵而藏諸? 求善賈而沽諸].” 하니, 공자(孔子)가 이르기를, “팔고 말고, 팔고 말고, 그러나 나는 값을 기다리는 자이로라[沽之哉! 沽之哉! 我待賈者也].” 하..
83. 당 당(璫)귀에 거는 고리라는 말인데, 옛날에 고관들 복장의 일부였다. 당(堂)흙을 돋우고 높이 지은 집. 상징적인 건물을 말한다. 특히 관아나 사원, 집회소 등의 높고 큰 집을 일컫는 경우가 많음. (터를 높이 돋워 지은 남향의 본채를 堂이라 함) 당가롱서군(唐家隴西郡)당(唐) 나라를 세운 고조(高祖) 이연(李淵)이 농서(隴西) 성기(成紀) 출신이기 때문에 그렇게 말한 것이다. 『당서(唐書)』 卷1 당가사(黨家事)금색으로 장식한 화려한 장막 아래서 좋은 양고주(羊羔酒)를 마시며 즐기는 일. 송(宋)의 도곡(陶穀)의 첩은 원래 당진(黨進)의 집 시희(侍姬)였는데, 뒤에 도곡의 첩이 되었다. 어느 날 눈이 내리자 도곡이 그 첩을 시켜 눈 녹인 물로 차를 다리라고 하면서, 당진의 집안에도 그러한 풍류..
82. 답 답가(踏歌)발로 땅을 구르며 장단을 맞추어 노래하는 것을 말한다. 답고(踏鼓)남의 지휘를 받으며 웃음거리가 된다는 뜻이다. 삼국 시대 위(魏) 나라 조홍(曹洪)이 술자리를 크게 베푼 뒤, 여창(女唱)에게 북 위를 밟고 다니게 하자, 모두 크게 웃었다는 고사가 있다. 『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 양부전(楊阜傳) 답답(沓沓)말이 많은 모양, 완만한 모양, 빨리 가는 모양. 「이루(離婁)」에 『시경(詩經)』 대아(大雅) 「판(板)」의 ‘하늘이 막 쓰러뜨리려 하니 그렇게 설설하지 말라[天之方蹶, 無然泄泄]’라는 시를 인용하고서 “泄泄은 답답하다는 것과 같다[泄泄, 猶沓沓也].”고 풀이했다. 이에 대해 주자는 주(註)에서 ‘泄泄은 게으르고 쫓기를 즐기는 모양이다[泄泄, 怠緩悅從之貌].’라고 주석..
81. 달 달권(達權)‘권도(權道)에 능하다’는 말로, ‘임기응변을 잘 하는 것’을 말한다. 달기(妲己)은(殷) 나라 주(紂)왕 총희(寵姬)의 이름이다. 그녀는 주를 도와 포학과 음란을 자행하다가 무왕(武王)이 주를 정벌할 적에 참수(斬首)되었다. 달달(怛怛)근심하고 애씀, 슬퍼서 마음을 씀. 달도가(怛忉歌)소지왕(炤知王) 10년에 왕이 천천정(天泉亭)에서 노니는데, 어떤 노옹(老翁)이 지중(池中)에서 나와 글을 바쳤다. 그런데 그 외면(外面)에 쓰여 있기를 “뜯어보면 두 사람이 죽고, 뜯어보지 않으면 한 사람이 죽는다.”고 되어 있으므로, 왕이 말하기를 “두 사람이 죽게 하는 것보다는 뜯지 말아서 한 사람만 죽게 하는 것이 낫겠다.” 하니, 일관(日官)이 말하기를 “두 사람은 서인(庶人)이고 한 사람은..
80. 담 담국헌(澹菊軒)청 나라 오위경(吳偉卿)의 부인이자 장요손(張曜孫)의 누이로, 여류시인이다. 담담(湛湛)‘맑고도 맑다’, ‘깊고도 깊다’, ‘넘실넘실대다’, ‘이슬 내리다’의 뜻이 있다. 담담(啖啖)게걸스럽게 먹는 모양, 한꺼번에 삼키는 모양 담담(淡淡)담백한 모양, 산뜻한 모양, 안온하고 침착한 모양 담담(啿啿)풍부한 모양 담담(潭潭)깊고 넓은 모양을 말한다. / 인용: 柳居士(홍신유) 담담(曇曇)흐린 모양, 먹구름이 낀 모양 담대(澹臺)얼굴이 못생겼으나 덕행을 닦아 유명해진 담대멸명(澹臺滅明)을 말한다. 『논어(論語)』 「옹야(雍也)」에 “자유(子游)가 무성(武城)의 원이 되었는데, 공자(孔子)가 ‘사람을 얻었느냐.’고 물으니 ‘담대멸명이라는 자를 얻었는데 지름길로 다니지 않고 공사(公事)가..
79. 단 단갈(短褐)옛날에 천한 사람이 입던 무명베로 짠 짧은 옷을 말한다. 단거장은궤(端居長隱几)자기 자신도 잊어버리고 천지의 조화와 벗할 수 있는 경지에 이름을 비유한 말이다.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남곽자기(南郭子綦)가 안석에 기대어 앉아서 마치 그 자신조차도 잊어버린 것처럼 멍하니 하늘을 우러러 한숨을 짓고 있었다…….” 하였다. 단경(短綆)재주가 짧아서 깊은 도리를 배울 수 없음의 비유. “두레박줄이 짧아서는 깊은 물을 길을 수 없다.” 『장자(莊子)』 「지락(至樂)」 단계(彖繫)‘단사(彖辭)와 계사(繫辭)’의 합칭으로, 『주역(周易)』의 이치를 해설한 글이다. 단계(丹溪) ① 옛날에 허유(許由)가 영천(穎川)에 숨어 살았었다. ② 원(元) 나라 의가(醫家) 주진형(朱震亨)의 ..
ㄷ 78. 다 다가(多可)성질이 꼼꼼하지 못해 그냥 대수롭지 않게 넘기면서 봐 주기 일쑤라는 말이다. 『문선(文選)』에 나오는 진(晉) 나라 혜강(嵇康)의 「여산거원절교서(與山巨源絶交書)」에 “두루 달통하신 당신께서는 좋게 봐 주는 것은 많은 반면 괴이쩍게 여기는 경우는 드물기만 하다.[足下傍通 多可而少怪]”라는 내용이 있다. 다간요비궁(多艱要匪躬)국가에 대한 충성심에서 곤경을 허다히 겪었다는 말이다. 『주역(周易)』 건괘(蹇卦) 육이효(六二爻)에 “왕의 신하가 절뚝거리는 것은 그 신하 개인의 일 때문이 아니다.[王臣蹇蹇 匪躬之故]”라는 말이 있다. 다경(茶經)서명(書名). 당(唐) 나라 육우(陸羽)가 찬하였다. 이 책이 차(茶)에 대한 일을 기록한 서책(書冊) 중에 가장 우월하다고 한다. 다경루(多景樓..
77. 니 니구(尼丘)공자(孔子)가 살았던 곳을 말한다. 니구는 산동성(山東省) 곡부현(曲阜縣)에 있는 산 이름으로, 공자가 출생한 곳인바, 바로 공자나 유학을 가리킨다. / 인용: 梁四龍傳(이기발) 니상구(泥上龜)거북은 죽어서 점치는 데 쓰여서 귀히 되는 것보다는 살아서 꼬리를 진흙 속에 끌고 다니기를 좋아한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즉 벼슬아치가 되어 속박을 받기보다는 필부로서 편히 살기를 바라는 데에 비유한 말이다. 니성위편절(尼聖韋編絶)공자(孔子)가 만년에 『주역(周易)』 읽기를 부지런히 하여서 가죽으로 책을 꿰어 맨 것이 세 번이나 끊어졌다. 『사기(史記)』 「공자세가(孔子世家)」 니조(泥詔)천자(天子)의 조칙(詔勅)을 자이(紫泥)로 봉한다. 니충(泥蟲)남해 바다에 사는 벌레인데 뼈가 없고 물속에..
76. 능 능가경(楞伽經)불경의 하나이다. 『능가아발다라보경(楞伽阿跋多羅寶經)』·『입능가경(入楞伽經)』·『대승입능가경(大乘入楞伽經)』 등으로도 불리며, 부처가 사자국(師子國) 능가산(楞伽山)에서 설교한 내용이 실려 있다. 능견난사(能見難思)보통 이치로는 아무리 생각해도 모를 일. 잘 살펴보고도 보통의 이치로는 헤아릴 수 없는 일을 이른다. 능곡기변천(陵谷幾變遷)언덕이 변하여 골짜기가 되고 골짜기가 변하여 언덕이 됨을 말한 것으로, 즉 세상일의 변천이 격심함을 형용한 말이다. 능곡지변(陵谷之變)언덕과 골짜기의 변화, 언덕이 골짜기가 되고 골짜기가 언덕으로 변한다. 능기(能起)공자(孔子)가 복상(卜商)의 시(詩)에 능함을 칭찬하여 한 말인데 “나를 흥기시킬 자는 상(商)이로구나. 같이 시를 말할 만하구나[起..
75. 늠 늠름(凜凜)두려워 삼가는 모양이다 늠름(廩廩)위의(威儀)가 바름, 풍채가 있는 모양이다. 늠름(懍懍)위태로워하고 두려워하는 모양, 위엄있는 모양, 삼가고 조심하는 모양이다. 늠여(凜如)엄숙한 모양이다. 늠추(廩秋)차가운 가을을 이른다. 늠추편(凜秋篇)『초사(楚辭)』에 수록된 「구변(九辯)」를 말한다. 일 년 사계절 중에서도 특히 사람의 마음을 슬프게 하는 가을의 정경을 절절이 읊고 있는데, 그중에 “皇天平分四時兮, 竊獨悲此凜秋”라는 구절이 나오는 데에서 비롯된 것이다. 인용목차
74. 늑 늑(扐)『주역(周易)』 「계사전(繫辭傳)」 上에 “점칠 때 서죽(筮竹)의 수(數)가 원래 50개인데[大衍], 그 중 한 개는 제쳐놓고 49개를 양쪽 손에 나누어 가지고, 그 중 천수(天數)에서 한 개를 뽑아 무명지와 새끼손가락 사이에 끼우는 것을 괘(掛)라 하고, 왼손에 있는 서죽을 네 개씩 덜어내고, 나머지 서죽을 무명지와 새끼손가락 사이에 함께 끼우는 것을 늑(扐)이라 한다.”라 하였다. 늑성일가(勒成一家)글을 엮어 책을 만드는 것을 ‘늑위성서(勒爲成書)’ 즉 ‘늑성(勒成)’이라 하고, 특색 있는 저작을 ‘일가서(一家書)’라고 한다. / 인용: 自笑集序(박지원) 늑연연(勒燕然)동한(東漢)의 두헌(竇憲)이 흉노를 격파하고 연연산에 올라가 공적비를 세울 때 반고(班固)가 「봉연연산명(封燕然山銘..
73. 눌 눌눌(吶吶)말을 더듬는 모양이다. 눌언민행(訥言敏行)언어는 둔하여도 행동은 민첩하다는 뜻의 고사성어다. 『논어(論語)』 「이인(里仁)」편에 “군자는, 언어에는 둔하여도 실천하는 데는 민첩해야 한다[君子欲 訥於言 而敏行]”라는 구절이 있고, 『논어(論語)』 「위정(爲政)」편에 “내가 안회와 종일토록 이야기를 하여도 어기지 않음이 못난이 같다[吾與回言終日 不違如愚]”라는 구절이 있다. 눌옹(訥翁)호가 눌재(訥齋)로 충주 출신인 박상(朴祥)을 말한다. 문장으로 이름이 높아 성현(成俔), 신광한(申光漢), 황정욱(黃廷彧)과 함께 서거정(徐居正) 이후의 사가(四家)로 칭송되며, 만년에 충주 목사를 역임하기도 하였다.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인용목차
72. 눈 눈봉(嫩峯)여린 새싹이 움트는 봄 산을 이른다. 인용목차
71. 누 누(漏) 불교의 용어로 번뇌를 말한다. 누(婁) 서방 백호(西方白虎) 7성의 하나이다. 『협기변방서의례(協紀辨方書義例)』 五 누란(樓蘭) 한(漢) 나라 서역(西域)의 나라 가운데 하나인데, 오랑캐 나라의 왕을 말한다. 한 소제(漢昭帝) 때 부개자(傅介子)가 누란을 정벌하여 왕 안귀(安歸)를 죽인 뒤 울도기(尉屠耆)를 왕으로 세우고 나라 이름을 선선(鄯善)이라 고쳤다. 『한서(漢書)』 卷七十 「부개자전(傅介子傳)」 누란지세(累卵之勢) 달걀을 포개어 놓은 것과 같은 몹시 위태로운 형세를 말한다. / 유의어: 누란지위(累卵之危), 위여누란(危如累卵), 풍전등화(風前燈火), 위기일발(危機一髮), 명재경각(命在頃刻), 초미지급(焦眉之急), 위급존망지추(危急存亡之秋). 누란지위(累卵之危) ‘알을 쌓아 놓..
70. 뇌 뇌개(雷開)간신. 참첨(讒諂)을 이른다. 뇌공대택중(礨空大澤中)『장자(莊子)』 「추수(秋水)」에 “천지의 사이에 들어 있는 사해(四海)가 마치 대택(大澤) 가운데 들어 있는 누공(礨空)과 같지 않은가[計四海之在天地之間也, 不似礧空之在大澤乎]?”라는 데서 나온 말인데, 석문(釋文)에 의하면 “누공은 작은 구멍이다.”라고 하였다. 뇌괴(磊槐)‘불평 덩어리’를 이른다. 뇌구(牢九)식품(食品)의 이름이다. 『이아(爾雅)』 「석복류(釋服類)」에 “뇌구는 떡붙이이다.”라 하였다. 뇌기하처(雷起何處)송(宋) 나라 학자 소옹(邵雍)이 정이(程顥)에게 “뇌성이 어느 곳에서 일어나는가?”고 묻자, 정이는 “일어나는 데서 일어난다.”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뇌당중음귀부터(雷當衆陰貴不攄)동지(冬至)는 『주역(周易..
69. 농 농가(農家)자신이 먹을 것은 직접 농사를 지어 먹어야 한다는 사싱을 지니고 있던 전국시대 사상가인 허행(許行)이다. 『맹자(孟子)』 「등문공(滕文公)」 농가성진(弄假成眞)장난삼아 한 것이 진심으로 한 것 같이 되었다는 말이다. 농단(壟斷)깎아지른 듯 우뚝 솟아 있는 높은 언덕을 말한다. 후에 혼자 이익을 독점하는 것을 뜻하는 말이 되었다. 『맹자(孟子)』 「공손추(公孫丑)」 농락(籠絡)남을 제 마음대로 이용한다는 뜻의 고사성어다. ‘농(籠)’은 죽과 용의 결합으로 흙을 담는 삼태기였다. 하늘을 마음대로 나는 용처럼 물건을 담아 자유자재로 움직이고자 하였던 데서 만든 글자다. 후에는 조롱(鳥籠), 등롱(燈籠), 농구(籠球), 농성(籠城) 등 대나무가 아니라도 얽어서 만든 것으로 물건을 담고 가두..
68. 논 논공행상(論功行賞)‘세운 공을 논정(論定)하여 상을 준다’는 말로, ‘공적의 유무 대소를 논의하여 알맞은 상을 준다’는 뜻이다. 논독(論篤)실천은 못 하면서 언론만 독실한 것을 이른다. 공자(孔子)가 말하기를 “언론이 그를 허여한다면, 군자인 것인가, 겉모습만 장엄한 것인가[論篤是與, 君子者乎? 色莊者乎]?”라고 말했다. 『논어(論語)』 「선진(先進)」 논사(論思)‘나라 다스리는 도리를 의논하고 생각한다’는 뜻이다. 논점일탈(論點逸脫)논설의 요지를 벗어남을 말한다. 인용목차
67. 녹 녹(綠)풀 이름이다. 일명 왕추(王芻)라고도 한다. 녹거(鹿車)겨우 사슴 한 마리를 실을 만한 작은 수레. 전하여 소박한 생활을 의미한다. 녹거귀(鹿車歸)부부가 노력하며 청고(淸苦)한 생활을 하는 것을 말한다. 후한(後漢) 포선(鮑宣)이 청빈(淸貧)을 숭상하자, 갓 결혼한 그의 처가 화려한 혼수품(婚需品)을 모두 친정으로 돌려보내고, 남편과 함께 녹거(鹿車)를 끌며 향리로 돌아간 고사가 있다. 『후한서(後漢書)』 「열녀전(列女傳)」 포선처(鮑宣妻) 녹괴(綠槐)‘푸른 홰나무’란 세 그루의 홰나무[三槐]로서, 재상[三公]의 지위를 말한다. 송(宋) 나라 병부시랑(兵部侍郞) 진국공(晉國公) 왕호(王祜)가 재상의 덕망이 있었으나 직언(直言)했던 까닭에 끝내 재상이 되지 못하자, 뜰에 세 그루의 홰나무..
66. 노 노(魯)태산(太山), 또는 공자(孔子)를 가리킨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上에 “공자께서 동산(東山)에 올라서는 노나라를 적다고 여기시고 태산에 올라서는 천하를 적다고 여기셨다[孔子登東山而小魯 登太山而小天下]”라고 하였다. 노가(盧家)부유한 집을 말한다. 낙양(洛陽)의 여인 막수(莫愁)가 부자인 노씨 집에 시집갔다는 내용의 고악부(古樂府)에서 유래한 것이다. 노가(勞歌)손님을 전송하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노로정(勞勞亭)이라는 곳에서 노래를 부르며 멀리 가는 손님을 전송했다는 데서 온 말이다. 『사문유취(事文類聚)』 노가(魯家)동로가(東魯家)의 준말로, 주인 없이 텅 빈 고향집을 가리킨다. 노가소부(盧家少婦)노씨네 부인과 관련하여 양 무제(梁武帝)의 하중지수가(河中之水歌)가 전해 오는..
65. 냉 냉관(冷官)보수도 적고 지위도 낮은 보잘것없는 벼슬을 이른다. 또는, 직무가 번거롭지 않은 청한(淸閒)한 관직을 말한다. 냉금전(冷金箋)금박을 입힌 고급 종이의 하나이다. 냉난(冷煖) ① 옥기자(玉棊子)를 말한다. 『두양잡편(杜陽雜編)』에 “日本東三萬里有集眞島 島上有凝霞臺 臺上有手談池 池中生玉棊子 黑白分明 冬煖夏冷 謂之冷煖玉”이라 하였다.② 염량(炎凉)과 같은 뜻으로, 권세(權勢)의 성함과 쇠함을 이른 말이다. 냉랭(冷冷)맑고 시원한 모양, 음운이 맑은 모양, 선뜻하고 차가운 모양, 물이나 바람 소리의 맑은 모양이다. 냉소(冷笑)차가운 태도로 비웃는 웃음을 이른다. 냉어(冷語)비평과 풍자의 뜻이 내포되어 있는 말을 말한다. 냉연욕어장풍거(冷然欲御長風去)옛날에 열어구(列禦寇)라는 사람이 바람을 ..
64. 내 내가(內家)궁인(宮人)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내가(內價)조선시대 명종(明宗) 때 벼슬을 얻기 위하여 권귀(權貴)들의 아내에게 뇌물을 쓰는 것으로, 권귀 본인에게 직접 뇌물을 쓰는 ‘외가’의 대가 되는 말이다. 내가역(來家易)명(明)의 내지덕(來知德)이 집주(集註)한 『주역(周易)』이다. 『명사(明史)』 卷二百八十三 내각씨(內各氏)임금에게 아첨하는 무리를 여자에 비유해 기롱한 말이다. 부인을 각시라고 하는데, 뜻에 잘 영합하고 완곡하게 따름이 궁첩(宮妾)과 같기에 생긴 말이다. 내거(內擧)‘일가친척을 천거하여 등용함’을 말한다. 내경(內經)책 이름인데, 고대의 의서(醫書)로서 황제(黃帝)가 기백(岐伯)과 문답한 소문(素問)·영추경(靈樞經)을 합하여 내경(內經)이라 한다. 내경(內景) ① 『황..
63. 낭 낭간(琅玕) ① 옥 비슷한 아름다운 돌인데 전하여 아름다운 문장(文章)에 비유한다. ② 대[竹]를 낭간(琅玕)이라 하는데, 낭간은 구슬 나무로써 봉황(鳳凰)이 그 열매를 먹는다는 말이 옛 글에 있으므로, 봉황이 죽실(竹實; 瓊實)을 먹는다는 옛글과 연결시켜 대[竹]를 낭간이라 한 것이다. ③ 청낭간(靑琅玕)을 말한 것으로 대나무를 칭한다. 낭간은 원래 아름다운 돌로 빛이 푸른 옥(靑玉)과 같은데, 대나무는 이와 비슷하므로 청낭간 또는 낭간이라 한 것이다. 『산해경(山海經)』에 “곤륜산(崑崙山)에 낭간 나무가 있다.”라고 하였는데 이것은 바로 대나무를 가리킨 것이다. 낭간규합서(琅玕呌闔書)주옥(珠玉)과 같은 글로 임금에게 직간(直諫)하였다는 말이다. 한유(韓愈)의 시 「착착(齪齪)」에 “排雲呌閶..
62. 납 납극(蠟屐) ① 나막신에 밀을 칠하여 광택이 나게 한 것이다. 동진(東晉) 때 조약(祖約)은 재물을 좋아하고, 완부(阮孚)는 신[屐]을 좋아하여 둘 다 누(累)가 되는 일이긴 하나 누가 좋고 나쁜 일인지 알 수 없었다. 어떤 이가 조약의 집엘 가보니 조약은 마침 돈을 세고 있다가 손이 이르자 세던 돈을 농 뒤로 치우고 몸을 기울여 가리면서 매우 부자연스러운 표정이었고, 완부의 집엘 가보니 그는 마침 나막신에 밀을 칠하다가 스스로 탄식하기를 “내 일생에 이 신을 얼마나 더 신을는지 모르겠다.”라고 하며 기색이 자약하였으므로, 여기에서 비로소 승부가 판가름났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진서(晉書)』 「완부전(阮孚傳)」② 밀칠한 나막신을 이르는데, 남조 송(南朝宋) 때 사령운(謝靈運)이 산에 오를 ..
61. 남 남가(南柯)당(唐) 나라 때 순우분(淳于棼)이 자기 집 남쪽에 있는 늙은 괴나무 밑에서 술 취하여 자다가, 꿈에 대괴안국(大槐安國)에 가서 남가군 태수(南柯郡太守)가 되어 20년 동안 부귀를 누리다가 깨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전하여 잠자고 꿈꾸는 것을 비유한다. 남가몽(南柯夢) ① 남가의 꿈은 당(唐) 나라 이공좌(李公佐)가 지은 남가기(南柯記)에서 나온 말이다. 그 주요 내용은, 순우분(淳于棼)이란 사람이 꿈속에서 괴안국(槐安國)에 당도하여 공주에게 장가들고 남가군(南柯郡) 태수가 되어 부귀영화를 누린 뒤에, 군사를 거느리고 전쟁터에 나가 패배하고 공주도 죽었으며 끝내는 국왕의 미움을 받아 쫓겨나 돌아오다가 꿈을 깨고 보니, 마당 앞 회나무 밑에 있는 개미굴이 곧 괴안국이었고 남가군은 회..
60. 난 난(鸞)난새(鸞)란 곧 천자(天子)를 상징하는 말이다. 난(亂)사(詞)나 부(賦)의 끝 부분에 전체의 요지를 요약하여 서술하는 것을 말한다. 난가(爛柯)진(晉) 나라 때 왕질(王質)이 석실산(石室山)으로 나무를 하러 갔다가 동자(童子) 몇 명이 바둑을 두면서 노래하는 것을 보고는 곁에서 구경하였다. 동자가 대추씨와 같이 생긴 것을 주기에 왕질이 먹었는데, 배가 고픈 줄을 몰랐다. 얼마 있다가 동자가 “어찌하여 안 돌아가는가?”하기에 왕질이 일어나 도끼를 보니 자루가 다 썩었다. 집으로 돌아오니 함께 살던 사람들은 하나도 남아 있지 않았다. 「술이기(述異記)」 卷上 지금 중국 절강(浙江)에 난가산(爛柯山)이 있다. 난가왕질(爛柯王質)난가(爛柯)는 난가산(爛柯山)을 말한다. 진(晉) 나라 왕질(王..
59. 낙 낙가산(洛伽山)남해(南海)의 보타 낙가산(普陀洛伽山)에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이 머물고 있다 한다. 낙강(樂康)‘편안하다’는 뜻이다. 낙건(洛建)정자(程子)와 주자를 말한다. 정자는 낙양(洛陽)에서 살고 주자는 복건(福建)에서 살았으므로 한 말이다. 낙계기남(樂啓期男)공자(孔子)가 태산(泰山)에서 영계기(榮啓期)가 녹구(鹿裘)를 입고 새끼 두르고 거문고를 타며 노래하는 것을 보고 무엇이 그리 즐거우냐고 물으니 대답하기를 “하늘이 만물을 내매 사람이 가장 귀한데 내가 사람이 되었으니 한 가지 낙이고, 남자는 귀하고 여자는 천한데 내가 남자가 되었으니 두 가지 낙이고, 사람이 나서 일월을 보지 못하고 강보에서 죽는 자가 많은데 내 나이 90이니 이것이 세 가지 낙이다.”라고 하였다. 『열자(列子)..
ㄴ 58. 나 나계(羅計)나후성(羅睺星) 계도성(計都星). 성명가(星命家)가 나후는 천수성(天首星)이라 하고 계도는 천미성(天尾星)이라 하는데 서로 마주 보고 행하여 모든 별을 난절(攔截)한다 하였다. 나공원(羅公遠)당 나라 명황(明皇)이 나공원(羅公遠)이란 도사(道士)를 따라 월궁(月宮)에 갔다가 온 일이 있다 한다. 나관극청살(羅貫極靑殺)나관(羅貫)은 삼라만상을 가리키는 말이고, 청살(靑殺)은 사책(史冊)을 뜻하는 것으로 온갖 사책에 나열된 모든 것들을 두루 박람했다는 뜻이다. 나국(拿鞠)범죄혐의자를 의금부(義禁府)에 가두고 의금부의 당상관(當上官)이 회좌(會座)하여 신문하는 것을 말한다. 나처(拿處)는 나국하여 처결(處決)하는 것이다. 나군(羅裙)부녀자의 화려한 비단 치마로, 탁문군을 가리킨다. 나..
57. 김 김가기(金可紀)신라 문성왕(文聖王) 때 사람으로, 당(唐) 나라에 들어가 과거를 하였다. 신선(神仙)의 술(術)을 좋아하여 중국에서 이름이 있었다. 당 나라의 사명(使命)을 받고 신라로 돌아오는데, 당시의 문장 장효표(章孝標)는 다음과 같은 한 편의 시를 주었다. “想把文章合夷樂 幡桃花下醉人蔘.” 김경서(金景瑞)미천한 집안 출신으로 일찍이 무과에 합격하고 여러 관직을 거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에 전공을 세워 병마절도사에 올랐고, 1618년에 명 나라가 건주위의 후금을 치기 위해 조선에 원병을 요청하자 그는 평안도 병마절도사로서 부원수가 되어 원수 강홍립과 함께 출전했으나, 부차(富車)의 싸움에서 패하여 원수 강홍립이 적군에 항복함으로써 그 역시 적의 포로가 되었었다. 김광현(金光炫)자는 회여..
56. 길 길고(桔槹)물을 퍼 올리는 기구인데, 한번 부앙(俯仰)하는 것이 모두 법이 있어 속히 할 수 없으므로, 세속에 얽매여 산다는 말이다. 『장자(莊子)』 「천운(天運)」 길고이실저앙세(桔槹已失低昻勢)물을 푸는 두레박은 본디 사람이 잡아당기면 올라가고 내버려두면 내려가서 스스로의 기능이 전혀 없는 것이므로, 즉 자유가 구속되어 꼼짝하지 못함, 사람이 유유자적하지 못하고 세속에 얽매어 사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장자(莊子)』 「천운(天運)」 길광(吉光)짐승 이름, 혹은 신마(神馬) 이름이라고도 하는데 그 말을 타면 삼천 세가 되도록 장수한다고 한다. 『서응도(瑞應圖)』 길리(頡利)당 태종 때 돌궐족(突厥族)의 왕인데 강한 군사력으로 해마다 중국을 침공하여 괴롭히다가 병부 상서 이정(李靖)에게 패하여..
55. 기 기(羈)북상투로, 아무렇게나 막 끌어 올려 짠 상투를 말한다. 『예기(禮記)』 「내칙(內則)」에서 “머리털을 잘라서 타를 만드는데, 남자아이는 각(角)을 만들고 여자아이는 기(羈)를 만들며, 그렇지 않으면 남자아이는 왼쪽에 여자아이는 오른쪽에 상투를 묶는다[剪髮爲鬌 男角女覊 否則男左女右]”라고 하였는데, 그 주(註)에 “타는 머리털을 모두 깎지 않고 남겨 놓은 것이다. 협신을 각이라고 하고, 오달을 기라고 한다.〔鬌所遺髮 夾囟曰角 午達曰覊〕”라고 하였고, 엄씨(嚴氏)가 말하기를 “각(角)은 상투가 두 개이고, 기(羈)는 상투가 세 개이다.〔角雙䯻 覊三髻〕”라고 하였다. / 인용: 田間紀事(정약용) 기(夔) ① 순(舜)의 신하 이름이다. 당시 음악을 관장하던 전악관(典樂官)이었다. ② 용 같이 ..
54. 긍 긍계(肯綮)근육과 뼈가 결합된 곳으로 가장 중요한 곳. 문장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을 이른다. 『장자(莊子)』 「양생주(養生主)」에 “소의 관절 사이에는 빈틈이 있고, 나의 칼날은 두께가 없으니, 두께가 없는 그 칼을 빈틈이 있는 관절 사이에 집어넣으면, 그 공간이 넓고 넓어 칼을 놀릴 때 반드시 여유가 있게 마련이다[恢恢乎其於遊刃必有餘地矣] 따라서 근육과 뼈가 엉켜 있는 복잡한 부위[肯綮]에도 칼날이 다쳐 본 적이 없는데, 더구나 큰 뼈와 같은 것이겠는가.”라는 백정의 말이 있다. 긍긍(兢兢)두려워하여 삼가는 모양, 굳고 단단한 모양, 굳고 힘 있는 모양. 『논어(論語)』 「태백(泰伯)」, 『시경(詩經)』 소아(小雅) 「소민(小旻)」 긍선인간격선포(肯羨人間擊鮮飽)어느 친구가 육귀몽(陸龜蒙)에게..
53. 급 급개(皀蓋)한(漢) 나라 때에 2천 석(石) 관원에게 부여된 의장(儀仗)으로, 태수(太守)를 지칭한다. 급고독원(給孤獨園)중인도(中印度) 사위성에 있는 동산. 기원정사(祈園精舍)가 있는 곳으로 부처가 설법(說法)한 유적지이다. 이곳은 본디 바사닉왕의 태자 기타(祇陀)가 소유한 원림(園林)이었으나, 급고독장자(給孤獨長者)가 이 땅을 사서 석존(釋尊)에게 바쳤다. 사원(寺院)의 별칭이다. 급고원(給孤園)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의 준말로, 사원(寺院)의 별칭이다. 급공박(汲公薄)급공은 한 나라 때의 양리(良吏)였던 급암(汲黯)으로, 급암이 회양 태수(淮陽太守)에 제수되어서 가지 않으려고 했던 고사를 말한다. 급암을 회양태수에 제수함에, 급암이 인수(印綬)를 받지 않으려고 하자, 여러 차례 조서를 ..
52. 금 금간(錦肝)금심수장(錦心繡腸)과 같은 뜻으로, 시문(詩文)에 있어 가사여구(佳詞麗句)를 지어내는 뛰어난 재주를 말한다. 금강(錦江) ① 사천성(四川省)에 있는 강이다. ② 충청남도와 전라북도를 경계짓는 강으로 이 하구인 기벌포를 통해서 당나라 군대가 사비성(泗沘城)으로 진격했다. 금강강상시중성(錦江江上詩中聖)시성(詩聖)으로 일컬어지는 두보(杜甫)를 가리킨다. 금강은 민강(岷江)의 지류(支流)로 사천성(四川省)에 있는데, 두보가 이곳에서 많은 시를 지었다. 금강권(金剛拳)가장 강한 주먹으로, 무엇이든지 파괴할 수 있다는 제석천(帝釋天)의 주먹이다. 주먹의 네 가지 종류의 하나로, 엄지손가락을 손바닥 안으로 넣고 쥐는 것이다. 금강삼매신(金剛三味身)금강(金剛)과 같이 견고하여 무너뜨릴 수 없는 몸..
51. 근 근궁(芹宮)“반수(泮水)에 미나리를 캐리로다[思樂泮水, 薄采其芹].”라는 구절이 『시경(詩經)』 노송(魯頌) 「반수(泮水)」에 있는데 노희공(魯僖公)이 반궁(泮宮)을 짓는 것을 찬송한 것이다. 후세에 제후(諸侯)의 태학(太學)을 근궁(芹宮)이라 하였다. 근궁언(芹宮彦)성균관(成均館)의 유생(儒生)을 가리킨다. 옛날 제후(諸侯)의 학궁(學宮)을 반궁(泮宮)이라 하였는데, 그 반궁의 물 즉 「반수(泮水)」에 미나리(芹)를 심었기 때문에 이름한 것이다. 『시경(詩經)』 노송(魯頌) 「반수(泮水)」에 “즐겁다, 저 반수에서 잠깐 미나리를 캐노라[思樂泮水 薄采其芹].”라고 하였다. 근근(僅僅)겨우, 간신히. 근근(廑廑)겨우, 조금. 근근(菫菫)근소한 모양. 근근(斤斤)밝게 살피는 모양, 불쌍히 여기는 ..
50. 극 극(郤)‘극(隙)’과 통한다. 틈. 공간. 극(剋)‘극기(剋期)’, 날을 단단히 약속하다. 극(亟)피곤하다. 지치다. 극곡(郤縠)춘추(春秋) 시대 진(晉) 나라 사람이다. 진 문공(晉文公)이 사냥을 나가면서 삼군(三軍)을 편성하고 원수(元帥)가 될 만한 인물을 물색하자 조쇠(趙衰)가 말하기를 “극곡이 예악(禮樂)을 말할 줄 알고, 시서(詩書)에 독실하니 그가 틀림없이 군대 다스리는 방법을 알고 있을 것입니다.”라고 하여, 문공은 그를 시켜 중군(中軍)을 거느리게 하였다. 『사기(史記)』 卷三十九 극구(隙駒)달리는 말을 벽의 틈에서 내다보면 순식간에 지나가 버림과 같이 세월이 매우 빠름을 이르는 말이다. 눈 깜짝할 사이에 지나가는 허무한 인생이라는 말이다. 『장자(莊子)』 「지북유(知北遊)」에 ..
49. 귤 귤리정정(橘裏丁丁)위기(圍棋)의 즐거움을 말한다. 촉(蜀) 나라 사람이 귤원(橘園)이 있어 가을에 귤을 수확했는데 대귤(大橘)이 크기가 항아리 같은 것이 있어 그것을 쪼개 보니 그 속에서 두 노인이 바둑을 두고 있었다고 하였다. 『유괴록(幽怪錄)』 귤수(橘叟)큰 귤 속에서 나와 바둑을 두며 내기를 했다는 선인(仙人)을 말한다. 『현괴록(玄怪錄)』 卷3 귤시(橘鰣)씨와 가시가 많은 귤과 준치로, 문장에 대해서는 예로부터 좋으니 아니니 하는 시비가 많았음을 가리킨다. 방회(方回)의 「동강집잡서(桐江集雜書)」에 “道自漢魏降, 裂為文與詩. 詩工文或拙, 文高詩或卑 … 鰣橘多骨核, 乃至肆詆訾.”란 구절이 있다. / 인용: 賀燕岩作律詩(박제가) 귤주(橘州)오(吳) 나라 이위(李衛)가 무릉(武陵)의 용양(龍..
48. 균 균(鈞)1균(鈞)은 30근(斤)에 해당한다. 균(囷)둥근 곳집. 균계(菌桂)향목(香木)의 이름이다. 주자집주(朱子集註)에 “계는 나무의 이름이니 본초에서 꽃은 희고 잎사귀는 노란색이며 둥근 모양이라 대나무와 비슷하다(桂, 木名, 本草云花白葉黃, 正圓如竹).”라 하였다. 균고(菌蛄)『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에 “아침에 난 버섯은 초하루 그믐을 알 수 없고, 씽씽 매미는 봄 가을을 알 도리가 없는 것이다[朝菌不知晦朔, 蟪蛄不知春秋].”라 하였다. 균균(勻勻)가지런한 모양이다. 균복(袀服)상의와 하의가 색깔이 같은 옷으로 즉 행군복(行軍服)을 말함이다. 균비(鈞批)중국의 1품 관원(官員)의 분부. 균지(鈞旨)도 같다. 균첩(鈞牒)은 균지를 실은 공문(公文)을 말한다. 균상(筠床) 대나무로 ..
47. 규 규(珪) ① 긴 형태의 옥그릇으로 둘로 나누어 천자는 흰색 부분의 절반을 간직했고. 제후들은 푸른색 부분의 절반을 간직하였다. ② 옥이나 나무로 만든 자루가 달리고 둥그런 모양의 술잔으로 제사를 지낼 때 울창주(鬱鬯酒)를 담았다. 제기(祭器)의 일종이다. 규(規)동그라미. 『태현경(太玄經)』의 “天道成規”에 대한 주에, ‘규(親)는 둥근 것이다.’ 하였다. 규각(圭角)말이나 행동이 모가 나서 남과 융합하지 않을 이른다. 규경(窺鏡)‘거울을 들여다보다’라는 뜻이다. 규경어유(窺頸於牖)창문에 목을 들이밀고 보다. 규곽경양(葵藿傾陽)규곽, 즉 해바라기처럼 임금에게 향하는 신하의 적심(赤心)을 말한다. 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 「진사왕식전(陳思王植傳)」에 “태양이 그쪽으로 방향을 돌려 비춰 주..
46. 귀 귀각지첨선(晷刻知添線)동지가 지난 뒤에 낮 시간이 점점 길어지는 것을 말한다. 『세시기(歲時記)』에 “궁중 여인들이 일을 하면서 붉은 실로 해 그림자를 재는데, 동지가 지나면 날마다 조금씩 그 길이가 늘어난다.”라고 하였다. 귀감(龜鑑)귀(龜)는 거북의 등을 위에서 본 모습이다. 옛날에 거북의 등을 불에 구워 그것이 갈라지는 균열을 보고 사람의 장래나 길흉을 점쳤다. 반면에 감(鑑)은 자신의 아름다움과 추함을 보기 위해 대야에 물을 떠놓고 자기 모습을 비추어 보는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여기에서 비롯하여 판단하는 모든 행위에 감이라는 말을 쓰기 시작했다. 흔히 쓰는 감상(鑑賞), 감별(鑑別), 감정(鑑定) 등이 그 예이다. 귀감이란 말은 사람의 길흉이나 미추를 판단해 주는 기본 도구였던 셈이다..
45. 궤 궤(蛫)거북이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몸은 흰색이고 머리는 붉은색이다. 궤(簋)안이 모나고 바깥이 둥근 것을 궤(簋)라 하는데 여기에는 서직(黍稷)을 담는다. 궤거(几遽)상고 시대 제왕(帝王) 이름이다. 궤거(几蘧)상고 시대 전설적인 제왕(帝王)의 이름이다. 궤궤(憒憒)마음이 어지러움, 어두운 모양, 확실치 않은 모양. 궤궤(几几)신을 꾸민 모양, 또는 편안하고 묵직한 모양, 함께 하는 모양. 궤송(餽送)물품을 주어 전송한다. 궤시(佹詩)내용이 기발하고 과격한 시(詩). 전국시대(戰國時代) 조(趙)의 순경(荀卿)이 지은 시이다. 궤식례(饋食禮)옛날 길례(吉禮)의 하나로 제사 때 익은 음식을 제물로 바치는 일이자 의례(儀禮)의 편명이기도 하다. 궤안리소밀(麂眼籬疎密)노루의 눈이 사방형(斜方形)이므로..
44. 궐 궐(蟨)전설상의 비견수(比肩獸)의 별칭인데, 그는 앞발은 쥐의 발 같고 뒷발은 토끼의 다리와 같아서 잘 달리지 못하므로, 항상 공공거허(邛邛岠虛)와 나란히 다니면서 공공거허에게 감초(甘草)를 먹여 주어, 혹 위기를 만나면 공공거허가 그를 등에 업고 도망친다고 한다. 궐거(蟨蚷)궐(蟨)이란 북방에 있은 쥐 같은 짐승이라 한다. 그 짐승은 거(蚷)라는 짐승과 짝이 되어야 비로소 움직일 수 있다 한다. 궐궐(橛橛)의연한 자세로 요동하지 않는 모양이다. 궐내무역(闕內貿易)조선시대에 중국으로 사행(使行)갈 때에 대궐에서 직접 역관을 불러 들여 은과 인삼을 적당히 주어 중국 물건을 사들이게 하는 것으로, 왕의 위엄에 눌려서 사신도 금지시키지 못하고 어사도 적발하지 못하였다. 궐리(闕里)공자(孔子)가 태어..
43. 권 권(券)하남성 원양현(原陽縣) 서북의 고을로 전국 때 위나라 령이다. 권개(權槩)저울의 추와 말의 평미레를 이른다. 권객(倦客)지친 나그네. 피곤한 나그네를 이른다. 권경일률(權經一律)주 무왕(周武王)이 신하로서 임금인 은나라 주(紂)를 치는 것은 군신(君臣)의 상도(常道) 경도(經道)를 떠나서 백성을 구제하기 위하여 임시로 권도(權道)를 쓴 것이다. 권경초(權景初)경초(景初)는 권욱(權旭)의 자이다. 권권(拳拳)진실한 마음으로 정성껏 지키는 모양, 부지런함, 사랑함, 자애로움, 공손한다. 권권(卷卷)친절한 모양, 충실하고 부지런한 모양, 시들어 떨어지는 모양, 영락한 모양. 권권(惓惓)‘간절하게 생각하고 생각하여 잊질 못하는 것[深切思念, 念念不忘.]’을 말한다. / 인용: 鏡浦新亭記(안축)..
42. 궁 궁괘천산(弓掛天山)변방을 평정하고 큰 공을 세워 포부를 펼치는 때를 말한다. 당(唐) 나라 설인귀(薛仁貴)가 천산(天山)에서 돌궐(突厥)을 공격할 때, 세 발의 화살을 발사하여 세 사람을 잇따라 거꾸러뜨림으로써 무난히 평정을 하게 되었다는 고사가 전한다. 『신당서(新唐書)』 卷111 「설인귀전(薛仁貴傳)」 궁구막추(窮狗莫追)쫓기던 개가 궁지에 몰리면 어떻게 돌변할지 모르니 쫓지 말라. 곤경에 빠져 있는 자를 건드리면 해를 입으니 건드리지 말라는 뜻이다. 궁국(藭麴)맥국(麥麴)은 맥아(麥芽) 즉 엿기름으로서 소화를 돕고, 산국궁(山鞠藭)은 궁궁(芎藭)으로서 풍기(風氣)를 제거하는데, 내우외환을 다스리는 처방의 비유로 『춘추좌전(春秋左傳)』 선공(宣公) 12년에 그 기사가 실려 있다. 궁궁(芎窮)..
41. 굴 굴(屈)초무왕의 아들 막오(莫敖) 하(瑕)가 굴(屈)에 봉해져 그 성을 굴(屈)로 삼았다. 굴가(屈賈)전국시대(戰國時代) 초(楚) 나라 굴원(屈原)과 한(漢) 나라 가의(賈誼)의 병칭이다. 두 사람 모두 뛰어난 자질을 지니고서도 평생토록 참소와 시기에 시달리며 조정에서 내쫓긴 채 불행한 일생을 보내었다. 이들은 모두 사부(辭賦)의 대가로 알려졌다. 굴굴(淈淈)물이 터져서 콸콸 흐르는 모양. 굴기니(淈其泥)‘진흙물을 흐리게 하다’라는 말이다. 굴원(屈原)의 「어부사(漁父辭)」에 “세상 사람들이 모두 흐리거든 어째서 진흙을 파서 흙탕물을 일으키지 않는가[世人皆濁, 何不淈其泥而揚其波]?”라는 말이 있다. 굴대부(屈大夫)초(楚)의 굴원(屈原)을 말한 것이다. 굴로(屈盧)창을 잘 만들었던 전설상의 명장..
40. 군 군계(群季)계(季)는 막내라는 뜻이다. 한자엔 백중숙계(伯仲叔季)로 순서를 표시하기도 한다. 군계일학(群鷄一鶴)많은 닭 가운데 한 마리의 학과 같이, 여러 평범한 사람 가운데 유독 뛰어난 사람을 말한다. / 유의어: 백미(白眉), 태산북두(泰山北斗), 낭중지추(囊中之錐), 철중쟁쟁(鐵中爭爭), 간세지재(間世之材), 계군일학(鷄群一鶴). 계군고학(鷄群孤鶴). 군군신신부부자자(君君臣臣父父子子)임금은 임금답고, 신하는 신하답고,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아들은 아들답다. 『논어(論語)』 「안연(顔淵)」 군궁귀(群窮鬼)당(唐) 나라 한유(韓愈)가 자신을 곤궁하게 하는 원인이 되는 다섯 가지를 귀신에 비기어 서술한 「송궁문(送窮文)」에서 온 말로, 지궁(智窮)·학궁(學窮)·문궁(文窮)·명궁(命窮)·교궁(交..
39. 국 국고(跼顧)권국고(蜷跼顧)의 준말로, 머뭇거리며 뒤돌아본다는 뜻이다. ‘蜷跼’은 보통 ‘蜷局’으로 쓴다. 굴원(屈原)의 「이소(離騷)」 말미에, 굴원이 고국인 초(楚)나라를 그리워하면서 “하늘 위 눈부시게 빛나는 세계에 올라와서, 홀연히 옛 고향을 아래로 굽어보노라니, 마부도 슬퍼하고 내 말도 생각에 잠겨, 머뭇머뭇 뒤돌아보며 앞으로 나아가지 않네.[陟升皇之赫戲兮 忽臨睨夫舊鄕 僕夫悲余馬懷兮 蜷局顧而不行]”라고 마무리한 말이 나온다. / 인용: 端川節婦詩(김만중) 국공(國公)수(隋) 나라 때부터 있었던 벼슬로 군공(郡公)의 위고 군왕(郡王)의 아래였다. 봉건 시대, 일정한 영토를 가지고 그 영내의 백성을 다스리는 사람을 이르던 말로 제후를 말한다. / 인용: 贈季雨序(박지원) 국구(國舅)‘임금의..
38. 구 구(韮)부추. 「구가(九歌)」 ① 고대의 악곡으로, 우(禹) 임금 때의 음악이라고 전한다. 또는 각종의 악곡을 범범하게 지칭하기도 한다.② 구공(九功)의 덕을 노래한 것이다. ③ 『초사(楚辭)』의 편명이다. 초(楚) 나라 굴원(屈原)이 지은 동황태(東皇太)·운중군(雲中君)·상군(湘君)·상부인(湘夫人)·대사명(大司命)·소사명(小司命)·동군(東君)·하백(河伯)·산귀(山鬼)·국상(國殤)·예혼(禮魂)을 말한다. 왕일(王逸)의 초사장구(楚辭章句)에 의하면, 굴원이 추방당해 완수(沅水)·상수(湘水) 사이의 지역에서 울분에 찬 생활을 하고 있었는데, 속인(俗人)들의 제례(祭禮)와 가무악(歌舞樂)의 사(詞)가 너무 비루(鄙陋)함을 보고 구가의 곡을 지어, 위로는 귀신 섬기는 공경을 펴고, 아래로는 자신의 맺..
37. 교 교(蛟)‘뿔 없는 용’을 이른다. 교가(膠加)뒤섞이다. 얽히다. 많은 실마리가 얽혀 있다. 교각살우(矯角殺牛)소의 뿔을 바로잡으려다 소를 죽인다는 데서, 작은 일로 인해 큰일을 그르치는 것을 말한다. 조그만 결점이나 흠을 고치려다가 수단이 지나쳐서 일을 그르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교갈(膠葛)엇갈리다. 어지럽다. 교강유이탄토(校剛柔而呑吐)『시경(詩經)』에 “강(剛)이라고 토해 내고, 부드러운 것이라고 삼키지 않는다[柔亦不茹, 剛亦不吐].”는 구절이 있다. 교거(攪車)목화씨를 빼는 데 쓰는 기구인 ‘씨아’를 말한다. 교격(膠鬲)문왕(文王) 때의 현인으로 일찍이 바다에서 소금과 고기를 팔았다[膠鬲擧於魚鹽之中]. 『맹자(孟子)』 「진심(盡心)」 교경면복(喬卿冕服)교경(喬卿)은 후한 때 곽하(郭賀..
36. 굉 굉굉(宏宏)넓고 큰 모양, 깊숙한 모양. 굉굉(汯汯)물이 빨리 흐르는 모양. 굉굉(浤浤)물이 용솟음치는 모양. 굉망(閎妄)한 무제(漢武帝) 때 태초력(太初曆)을 만들었던 낙하굉(洛下閎)과 주력사자(主曆使者) 선우망인(鮮于妄人)을 말한다. 『한서(漢書)』 「율력지(律曆志)」 第一 上 굉삼절(肱三折)의원은 세 번이나 부러뜨린 팔을 치료하여 많은 경험이 있어야 양의(良醫)가 된다는 뜻이다. 굉순(宏巡)두림의 제자인 위굉(衛宏)과 서순(徐巡)을 합칭한 말이다. 굉요(宏夭)주 문왕(周文王)과 주 무왕(周武王) 때의 명신이다. 은(殷)나라의 주왕(紂王)이 문왕을 가두었을 때 유신씨(有莘氏)의 미녀 및 여융(驪戎) 산의 문마(文馬)와 유웅씨(有熊氏)의 사마(駟馬) 아홉 조, 그리고 세상의 진기한 보물들을 ..
35. 괵 괵(虢)주 문왕(周文王)의 동생들인 숙(叔)과 중(仲)이 각각 동괵(東虢)과 서괵(西虢)에 봉해졌다. 서괵이 후에 동천(東遷)하는 주평왕(周平王)을 따라 같이 동쪽으로 옮겨 북괵이 되고 원래 서괵의 자리에는 잔존세력이 나라를 세워 소괵(小虢)이라 했다. 괵국(虢國) ① 주 문왕(周文王)의 이모제(異母弟)인 괵중(虢仲)과 괵숙(虢叔)이 봉해진 제후국으로 모두 네 나라가 있었다. 괵중은 지금의 섬서성(陝西城) 보계시(寶鷄市) 땅에 봉해져 서괵(西虢)으로 불리웠고 괵숙은 하남성 형양시(滎陽市)의 동북에 봉해져 동괵(東虢)으로 불리워졌다. 후에 서괵은 서주가 망하고 그 잔존세력이 낙양으로 천도하여 동주시대를 열 때 같이 동쪽으로 이주하여 황하를 가운데에 두고 지금의 하남성 삼문협시(三門峽市)와 산서성..
34. 괴 괴괴(怪怪)‘몹시 이상야릇하다’는 말이다. 괴구(蒯緱)새끼줄로 칼자루를 감은 허름한 칼이라는 뜻이다. 전국시대(戰國時代) 맹상군(孟嘗君)의 문객(門客)인 풍환(馮驩)이 괴구를 치면서 대우가 형편없다고 노래를 불렀던 고사가 있다. 『전국책(戰國策)』 「제책(齊策)」, 『사기(史記)』 卷七十五 「맹상군전(孟嘗君傳)」 괴구가(蒯緱歌)매우 가난하여 노끈으로 칼자루를 장식한 검(蒯緱之劍)을 들고 맹상군(孟嘗君)을 찾아와 식객 노릇을 하던 풍환(馮驩)이 불렀던 장협가(長鋏歌)로, 자신의 불우한 처지를 한탄하는 것을 말한다. 『전국책(戰國策)』 「제책(齊策)」, 『사기(史記)』 卷七十五 「맹상군전(孟嘗君傳)」 괴구탄자가(蒯緱彈自歌)괴구는 칼 손잡이를 새끼줄로 두른 것으로, 풍환(馮驩)이 맹상군(孟嘗君)의 ..
33. 괘 괘(絓)막히다, 장애가 된다는 뜻이다. 굴욕이나 투항의 의미를 가리킨다. 괘(卦)『주역(周易)』 「계사전(繫辭傳)」 上에 “점칠 때 서죽(筮竹)의 수(數)가 원래 50개인데(大衍), 그 중 한 개는 제쳐놓고 49개를 양쪽 손에 나누어 가지고, 그 중 천수(天數)에서 한 개를 뽑아 무명지와 새끼손가락 사이에 끼우는 것을 괘(掛)라 하고, 왼손에 있는 서죽을 네 개씩 덜어내고, 나머지 서죽을 무명지와 새끼손가락 사이에 함께 끼우는 것을 늑(扐)이라 한다”라 하였다. 괘결(絓結)‘마음이 얽혀 답답하다’는 말이다. 괘관(掛冠)의관(衣冠)을 벗어서 기둥에 거는 일. 전하여 사직하고 돌아가는 것을 말한다. 『후한서(後漢書)』 「방맹전(逄萌傳)」에 “왕망(王莽)이 자기 아들 우(宇)를 죽이자 봉맹(逢萌)이..
32. 광 광(匡)광은 광정(匡鼎)이니 서한 사람이다. 그는 경학에 밝고 시를 잘 설명하니 선비들이 말하되 “시 설명을 멈추어라. 광정이 온다[無說詩匡鼎來]”라고 한 말이 있다. 『한서(漢書)』 卷八十一 광(廣)수 양제 양광(楊廣)을 말한다. 광간(狂簡)‘뜻만 크고 실행이 부족한 사람’을 이른다. 공자(孔子)가 진(陳)에서 이르기를 “돌아가야겠다. 오당(吾黨)의 소자(小子)들이 광간하여 빛나게 문채를 이루었으되 스스로 재제할 줄을 모른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 광간미성장(狂簡未成章)뜻만 크지 문리(文理)도 제대로 성취되지 못했다는 뜻이다. 광간(狂簡)은 뜻만 크고 행실이 소략함을 이르는데, 공자(孔子)가 진(陳)에 있을 때에 이르기를 “돌아가야겠다. 오당(吾黨)의..
31. 괄 괄각(括覺)『주역(周易)』 곤(鯀)괘 64효사(六四爻辭)에 “주머니를 맴이니, 허물도 없고 명예도 없으리라(六四 括囊 牙咎牙譽)”하였고 소(疏)에 “그 아는 것을 감추고 쓰지 않음이니, 그런고로 가로되 ‘주머니를 맺는다’ 함이다.”라 하였다. 또 ‘말이 없음’을 괄각(括覺)이라 하였다. 괄괄(活活)물이 기운차게 흐르는 소리, 미끄러운 것, 진창을 걷는 일. 괄낭(括囊)‘주머니를 여민다’는 뜻으로, 속에 감추어 두고서 밖으로 드러내지 않는 것을 말한다. 『주역(周易)』 「곤괘(坤卦)」 육사(六四)에 “주머니 끈을 묶듯이 하면 허물도 없고 칭찬도 없을 것이다.[括囊无咎无譽]”라는 말이 나온다. 그러므로 ‘괄낭(括囊)의 시대’란 ‘자신의 재지(才智)를 속에 감추고 침묵을 지켜야 하는 암울한 시대’를..
30. 관 관(觀)불교에서 선(禪)의 힘을 모아 어떠한 달관(達觀)의 경지에 도달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관가(官加)가집(加執) 중에서 아전이 수령을 부추겨 가집하는 것을 관가(官加)라 한다. 관가(官家)『설원(說苑)』 「지공(至公)」에 “…… 오제(五帝)는 천하를 관(官)으로 삼고, 삼왕(三王)은 천하를 가(家)로 삼았다.”라고 한 데서 온 말로, 왕(王)을 가리킨 말이다. / 인용: 詰楊吏(허격) 관각삼삼(丱角森森)진시황(秦始皇)이 삼신산(三神山)에 불로초(不老草)를 캐러 서시를 시켜서 처녀 총각 5백 명을 데리고 바다에 배를 태워 보내었더니 서시는 바다섬에서 살고 돌아오지 않았다. 관개(冠蓋)사신(使臣)이나 높은 벼슬아치가 타는 말 네 필이 끄는 수레, 또는 수레의 덮개. 높은 벼슬아치가 머리에 ..
29. 곽 곽가금혈(郭家金穴)한(漢) 광무제(光武帝)가 그의 처남 곽황(郭况)에게 금보(金寶)를 많이 내려 주었으므로 사람들이 그 집을 금혈(金穴)이라 하였다. 곽거병(霍去病)서한(西漢)때 흉노(匈奴)를 정벌하여 공적을 크게 세운 장수이다. 곽검교(郭檢校)검교가 하남왕(河南王) 이총병(李摠兵)의 명(命)을 받들고 조선 조정(朝廷)에 빙문(聘問)왔다. 곽관군(霍冠軍)한 무제(漢武帝) 때의 명장(名將) 곽거병(霍去病)의 봉호이다. 흉노(匈奴)를 공격하여 공을 여러 번 세웠다. 『사기(史記)』 卷一百十一 「위장군표기열전(衛將軍驃騎列傳)」 곽광(霍光)한 무제(漢武帝)의 두터운 신임을 받은 명신이다. 무제의 유조(遺詔)를 받고 김일제(金日磾)등과 더불어 소제(昭帝)를 보필하면서 대사마(大司馬)·대장군(大將軍)이 ..
28. 과 과갈(瓜葛)인척(姻戚) 관계. 나무를 타고 올라가는 덩굴식물처럼 서로를 의지하는 친족 관계나 사회적 인간관계를 뜻하는 말이다. 과경(過庚)복이 지나다. 삼복(三伏)은 언제나 경일(庚日)이므로 과경이라 하였다. 과공비례(過恭非禮)지나치게 공손(恭遜)한 것은 예(禮)가 아니라는 데서, 지나친 공손은 도리어 실례(失禮)가 된다는 말이다. 지나치게 공손하면 아첨이 되는 것이니 무슨 일이나 지나친 것은 좋지 않다는 말이다. 과기(瓜期)참외가 익을 시기란 뜻으로, 어떤 직무를 띠고 멀리 나가있던 벼슬아치들이 임기가 만료되어 돌아오게 되는 것, 부임하였다가 교대하는 시기를 말한다. 제 나라 양공이 연칭(連稱)과 관지부(管至父)를 규구(葵丘)로 보내어 지키게 하면서 ‘외가 익을 때 보내니 명년 외가 익을 때..
27. 공 공(空) ① 불교(佛敎)의 교리인 공허(空虛)를 가리킨 말이다. ② 공문(空門)과 같은 말로 불교를 말한다. 공(邛)사천성 서창(西昌) 지구 일대에 살던 이민족의 이름이다. 한무제(漢武帝) 때 이곳에 월수군(越雟郡)을 두었다. 공가소(孔賈疏)공가(孔賈)는 모두 당(唐) 나라 때 사람으로서 오경(五經)의 소(疏)를 저술한 공영달(孔穎達)과 『주례(周禮)』·의례(儀禮)의 소를 저술한 가공언(賈公彦)을 합칭한 것이다. 공간(公幹)건안 칠자(建安七子)의 하나로 일찍이 조조(曹操)의 속리(屬吏)로 있었던 유정(劉楨)의 자(字)인데, 새로 부임하기 직전에 병을 앓아 취임하지 못했던 일화가 있다. 『삼국지(三國志)』 卷21 魏書 「왕찬전(王粲傳)」 註 공간병(公幹病)다른 것엔 관심이 없이 오직 시문(詩文)..
26. 골 골경(骨鯁)강직(剛直)한 것. 임금의 허물을 직간(直諫)하는 신하를 말한다. 골계(滑稽)둥글게 돌아가는 모양. 풍부한 지혜로 화술이 뛰어나 우습고 재미나게 말하는 것을 말한다. 익살. 골계지웅(滑稽之雄)유창한 말솜씨로 남을 잘 설득하는 사람을 이른다. 골골(滑滑)물이 흐르는 모양, 샘이 솟는 모양. 골골(搰搰)애쓰는 모양. 진흙땅에 말발굽이 빠져 쩔쩔매는 모양. 골돌(榾柮)나무를 베고 뿌리에 남은 것을 골돌이라 하는데, 송(宋) 나라 사람의 시에 “골돌을 때면 오래도록 따뜻하여서 풀이나 집을 때는 것같이 한 번에 활활 타지는 않지만 오히려 끈기가 있어 좋다.”라고 하였다. 골돌화(榾柮火)고콜. 옛날에 방구석에 흙으로 난로(煖爐)처럼 만들어 놓고 관솔불을 피워 등불과 난방(煖房)으로 겸용하였다...
25. 곤 곤(鯀) ① 고대 황제의 예복이다. ② 남아가 큰 포부를 펴는 것을 말한다. 곤어(鯤)는 북쪽 바다에서 사는 물고기로서 크기가 몇 천 리나 되는지 알 수도 없을 정도인데, 그것이 붕새(鵬)로 화하여 남쪽 바다로 옮겨가는 데 있어서는 회오리바람을 타고 9만 리나 올라갔다가 여섯 달을 가서야 쉰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 ③ 신화전설 속의 인물로 우(禹)의 부친이다. 곤강분(崐岡焚) 곤강(崐岡)은 중국의 곤륜산(崑崙山)이다. 『서경(書經)』 윤정(胤征)에 “불이 곤강을 태우면 옥과 돌이 모두 탄다[火炎崑岡 玉石俱焚]”라 하였는데, 이는 어떤 큰 환란을 만나면 사람의 선악(善惡)을 가리지 않고 모두 피해를 당한다는 뜻이다. 곤강삭(崑岡爍) 곤강은 곤륜산(崑崙山)으로..
24. 곡 곡(斛)양을 세는 단위, 10두(斗)가 1곡(斛)이다. 곡강(曲江)연못 이름인데, 당(唐) 나라 때에는 봄에 그 해의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한 자들을 모두 곡강의 정자에 모아 놓고 잔치를 베풀었다. 『구당서(舊唐書)』 卷十三 「덕종기(德宗紀)」 곡강(曲江)낙동강(洛東江)으로 연결되는 삼귀정 남쪽의 큰 내 이름이다. 곡강등방(曲江磴榜)당(唐) 나라 때 진사(進士)에 급제한 사람들이 합격자 발표 뒤에 곡강정(曲江亭)에서 크게 잔치를 벌이곤 하였는데, 이를 곡강회(曲江會)라고 하였다. 곡강원(曲江苑)과거에 함께 급제했음을 말한다. 당(唐) 나라 때에 봄이면 그 해의 과거 급제자들에게 장안의 곡강원에서 잔치를 내렸던 데서 온 말이다. 곡강지(曲江池)섬서성(陝西省) 서안(西安)의 하수(河水)가 구불구불..
23. 고 고(刳)도려내다. 깎아내다. 고가(袴歌)지방관의 선정(善政)을 비유한 말이다. 후한(後漢) 때 염범(廉范)이 촉군태수(蜀郡太守)가 되어 선정을 베풀자, 백성들이 좋아하여 노래하기를 “염숙도가 어찌 그리 늦게 왔는고 …… 평생에 속옷도 없었는데 지금은 바지가 다섯 벌이라네[廉叔度 來何暮 …… 平生無襦 今五袴]”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고각(鼓角)군중(軍中)에서 쓰는 북과 뿔피리를 말한다. 고각광가(叩角狂歌)춘추시대(春秋時代) 제(齊) 나라 영척(寗戚)이 쇠뿔을 두드리며 노래하는 소리를 듣고 환공(桓公)이 그를 등용한 고사이다. 『사기(史記)』 八十三 「노중련추양열전(魯仲連鄒陽列傳)」 고각상환공(叩角相桓公)춘추시대(春秋時代)에 역척(寗戚)이 곤궁하여 남의 소를 먹이면서 소의 뿔을 두드리며, 노래..
22. 계 계(禊)음력 3월 3일, 불상(不祥)을 제거하기 위하여 불제(祓祭)를 지내고 목욕하는 것을 말한다. 계(啓)하(夏)나라 우(禹)임금의 아들인데, 우가 죽은 뒤에 백성이 계(啓)의 덕을 구가(謳歌)하고 따랐다. 예종(睿宗)을 우(禹)에, 세자(世子)를 계(啓)에 비유하였다. 계가모불(笄加髦拂)옛날에는 여자가 15세가 되면 요즘의 성인식처럼 계례(笄禮)를 치렀다. 이때 비녀를 꽂고 다비를 꾸미는데, 태어난 지 3개월 만에 배 안의 머리를 잘라 만든 다비를 계례 후에 수식으로 삼아 생육해주신 부모의 은혜를 잊지 않는 신표로 삼는다. 『예기(禮記)』 「내칙(內則)」 계각(鷄角)닭 머리에 뿔이 난 것이니, 국가가 망하려면 반드시 요얼(妖孼)이 나타난다는 뜻으로, 흉조(凶兆)를 말한다. 구당서(舊唐書) ..
21. 경 경(磬)‘돌로 만든 악기’로, 경쇠로 불린다. 경(經)육경(六經)을 말한다. 경(頃)일경(一頃)은 백 무(畝)에 해당하고 춘추전국 시대 때 한 무(畝)는 55평(약 180a)이다. 즉 일경은 5,500평이므로 2경의 단위는 지금의 평수로 계산하면 만 평 정도를 말한다. 경(卿)자네. 그대. 당신. 친구 사이에 친밀하게 부르는 호칭이다. 경(擎)책을 손에 들다. 경각화(頃刻花)도술로 갑자기 피게 한 꽃을 말한다. 당(唐) 나라 때의 대문장가 한퇴지(韓退之)의 조카로 한상(韓湘)이란 사람이 있었다. 하루는 퇴지가 상에게 시를 지으라고 했더니, 그는 “준순주를 빚을 줄 알고, 경각화를 피울 수 있다[解造逡巡酒 能開頃刻花].”라 하고 이어 흙을 모아서 분(盆)으로 덮어 둔 지 얼마 안 되어 다시 그 ..
20. 겸 겸가의옥(蒹葭倚玉) 『세설신어(世說新語)』 「용지(容止)」의 “위 명제(魏明帝)가 왕후의 동생 모증(毛曾)에게 하후현(夏侯玄)과 함께 앉게 하였는데, 당시 사람들이 갈대가 옥나무에 기대어 있다고 말하였다.”라고 한데서 나온 것으로 못난 사람이 뛰어난 사람과 어울리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겸개(鶼魪) 겸은 비익조(比翼鳥), 개는 비목어(比目魚). 곧 둘이 서로 의지하여 공생함을 말한다. 겸겸(慊慊) 불만스러운 모습, 마음에 덜 차게 여기는 모습이다. 겸겸군자(謙謙君子) 『주역(周易)』 겸괘(謙卦) 초륙(初六) 상(象)의 “겸손하고 사양하는 군자는 겸손한 덕행으로 자신을 다스린다[謙謙君子 卑以自牧].”라고 한데에서 나온 것이다. 겸광(謙光) 겸손하면 할수록 더 빛이 난다는 뜻이다. 『주례(周易)』..
19. 결 결(玦)① ‘반달고리’를 말한다. 신하가 죄를 졌을 때 임금이 고리[環]를 주면 돌아오라는 것이고 반달고리[玦]를 주면 떠나가라는 뜻이다. ② 깍지. 활 쏠 때 오른 쪽 엄지손가락에 끼는 기구이다. / 유의어: 결습(決拾). 결계(結界)당탑(堂塔)과 가람(伽藍)을 세우거나 도량(道場)·계단(戒壇) 따위를 마련할 때에 악마를 막기 위해서 신주(神呪)를 외면서 일정한 구역 경계를 정하는 것이다. 결기각(結綺閣)금옥으로 장식된 화려한 누각 이름이다. 진 후주(陳後主)가 지어 장 귀비(張貴妃)로 하여금 그곳에 기거(起居)케 하였다 한다. 『남사(南史)』 「장귀비전(張貴妃傳)」 결담교이약수(結澹交以若水)“소인의 교분은 단술과 같이 달고 군자의 교분은 물과 같이 담담(淡)하다.”는 옛글이 있는데 그것은 ..
18. 견 견(甄) 지금의 산동성 견성현(甄城縣) 동북으로 전국 때 제나라 땅이다. 견간(筧竿) 샘물을 멀리서 끌어오는 긴 대나무 홈통을 말한다. 견강부회(牽强附會) 이치(理致)에 닿지 않는 말을 억지로 끌어다 붙여 자기의 주장에 맞도록 한다. 즉, 가당치도 않는 말을 자기에게 유리하도록 억지로 끌어다 붙이다. / 유의어: 자기합리화(自己合理化). 아전인수(我田引水). / 인용: 農巖雜志 견거(牽裾) 임금의 부당한 처사에 대하여 옷소매를 끌어당기며 직간(直諫)하는 것을 의미한다. 견거(遣車) 생체(牲體)를 싣는 수레이다. 견광(獧狂) 견(獧)은 지조가 매우 굳세어 융통성이 없는 것을 말하고, 광(狂)은 뜻만 너무 커서 행실이 뜻에 미치지 못하는 것을 이른다. 공자(孔子)가 이르기를 “중도(中道)를 지닌 ..
17. 격 격(檄)‘벼슬을 하라고 부르는 문서’를 말한다. 격격(格格)새울음 소리의 형용, 물건을 들어 올리는 모양, 청대에 일부 귀족의 여자를 이르던 말이다. 격경양(擊磬襄)춘추(春秋) 시대 노(魯)의 악관(樂官)이었던 사양자(師襄子). 『논어(論語)』 「미자(微子)」에 “경쇠 치던 양은 바다로 들어갔다[擊磬襄入於海].”라 하였다. 「격고장(擊鼓章)」위(衛) 나라 주우(州吁)가 환공(桓公)을 시해하고 자립하여 송(宋)ㆍ위(衛)ㆍ진(陳)ㆍ채(蔡)가 연합하여 정(鄭) 나라를 칠 때에, 여기에 종군하던 위나라 사람이 주우를 원망하던 시에서 읊은 내용이다. / 인용: 櫟翁稗說後(이제현) 격기(格氣)해의 위 또는 아래에 가로놓인 듯이 나타나는 푸르고 붉은 운기(雲氣)를 이른다. 격대정(擊大丁)은(殷) 나라 임금..
16. 게 게(偈) 가타(伽陀). 부처의 공덕을 찬미하거나 그 교리를 밝히는 일정한 형태의 노래. 4구로 되어 경의 끝에 붙는다. 송(頌), 구송(句頌)이라고도 한다. 사자(四字) 사구(四句)로 하는 것이 원칙이나, 여러 가지 자유로운 형태가 있다. 게게(揭揭) 높이 오르는 모양. 게려천심(揭厲淺深) 시경에 “깊으면 옷 벗고 건너고, 얕으면 옷을 걷고 건너네[深則厲, 淺則揭].”라 하였다. 『시경(詩經)』 邶風(패풍) 「포유고엽(匏有苦葉)」 게송(偈頌) 불서(佛書)에서 외기 쉽게 구(句)로 지어 부처의 공덕을 찬양한 노래이다. 게일(愒日) 구차히 자리만 차지하고 세월을 보내는 것을 말한다. 『좌전(左傳)』 소공 원년에 “조맹(趙孟)은 장차 죽을 것이다. 백성의 윗사람이 되어 세월만 보낸다.”라 하였다. ..
15. 겁 겁(劫)불교의 용어로, 한없이 멀고 긴 시간을 말한다. 사방 40리 되는 큰 돌 위에 백 년에 한 번씩 천인(天人)의 옷자락이 스쳐가면서 모두 닳아 없어질 때까지의 시간을 1겁이라고 한다. 겁겁(劫劫)부지런히 힘쓰는 모양, 거듭된 세대, 성미가 급하여 참을성이 적음을 의미한다. 겁구아(怯仇兒)몽고의 풍속으로, 머리 꼭대기에서 이마까지 방형(方形)으로 깎고 한가운데의 머리를 남겨 두는 것이다. 겁련구(怯憐口)원(元) 나라 말로 사속인(私屬人)을 말한다. 충렬왕(忠烈王)의 비(妃) 제국공주(齊國公主)가 올 때 많은 사속인을 데리고 왔는데, 고려에서 성명(姓名)을 하사받고 귀하게 된 자가 많았다. 겁부비의기제업(劫父非義起帝業)당 태종이 지력(智力)을 가지고 천하를 위협하여 차지한 데 대해서, 정명도..
14. 검 검각(劍閣) 사천(四川) 검각현(劍閣縣) 동북쪽 대검산(大劍山)과 소검산(小劍山) 사이에 있는 잔도(棧道)의 이름이다. 사천과 섬서(陝西)사이의 주요 통로로서 군사적인 요충지이다. 중국 장안(長安)에서 서촉(西蜀)으로 들어가는 통로로, 예로부터 험준한 요해지로서 유명하였다. 검각지서(劍閣之西) 당명황은 마침내 나라에 난이 나서 촉중(蜀中)의 검각산(劒閣山) 서쪽으로 도망하였다. 검구매(劍久埋) 진(晉) 나라 때 장화(張華)가 두성(斗星)과 우성(牛星) 사이에 자기(紫氣)가 뻗친 것을 보고 천문가(天文家)인 뇌환(雷煥)에게 물은 결과, 풍성현(豐城縣)의 옛 옥(獄) 터에 묻힌 보검(寶劍)의 정기(精氣)임을 알고는, 사람을 시켜 그곳을 파서 용천(龍泉)·태아(太阿) 두 명검(名劍)을 찾아냈던 고사..
13. 걸 걸감호(乞鑑湖)감호(鑑湖)는 일명 경호(鏡湖)라고도 하는 호수 이름인데, 당 현종(唐玄宗) 때에 비서감(祕書監) 하지장(賀知章)이 은퇴할 적에 주궁호(周宮湖) 수경(數頃)을 자신의 방생지(放生池)로 삼게 해 주기를 요구하여 현종의 특명에 의해 감호 한 굽이(一曲)를 하사받았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당서(唐書)』 卷一百九十六 걸걸(桀桀)잡초가 무성한 모양이다. 걸걸(揭揭)빨리 달리는 모양, 박힌 물건이 막 뽑힐 것 같은 모양이다. 걸견폐요(桀犬吠堯)폭군 걸왕(桀王)의 개도 성왕(聖王) 요(堯)임금을 보면 짓는다. 자기 상관에게 충성을 다하는 것을 이른다. 개는 그 주인만을 알고 그 이외의 사람에게는 사정을 두지 않는다. 걸골(乞骨)신하로서 죽을 때까지 국가에 봉사하여야 하는 것이 원칙인데, ..
12. 건 건강(乾綱)군주의 권한을 가리킨다. 건거(巾車)휘장을 친 작은 수레로,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에 “혹은 건거를 준비하라 명하고, 혹은 외로운 배를 노질한다[或命巾車, 或棹孤舟].”라 하였다. 건건(件件)‘가지가지’라는 뜻이다. 건건(謇謇)곧은 말을 하는 모양. 고생이 심한 모양. 충성되고 곧은 모양. 건건(乾乾)놀지 않고 부지런한 모양, 멈추지 않고 계속 나아가는 모양. 건건(乾乾)두려워하고 수성(修省)하는 뜻이다. 『주역(周易)』 「건괘(乾卦)」에 “군자는 종일 건건한다[君子終日乾乾].”라 하였다. 건계(建溪)중국 복건성(福建省)에 있는 차의 명산지로 뒤에 차의 이명(異名)으로 불렸다. 건곤감리(乾坤坎离)보통 도사(道士)들은 건·곤·감·리를 사람의 몸 안에 있는 수화(水火)..
11. 거 거(麮)‘보리죽’을 말한다. 거개로훈(車蓋鑪薰)단박에 깨달아 최고의 경지를 구현하려는 남종의 초월적 성격과, 하나하나 단계를 밟아가 완성태를 이루려는 북종의 점진적 속성을 절묘하게 비유하여 표현한 것이다[南雲如車蓋 北雲如鑪薰]. 거거(去去)갈 것을 재촉하는 말로서, 떠나거라, 가거라, 세월이 머물지 않고 흘러감을 이른다. 거거(居居)나쁜 마음을 품고 서로 친하지 않는 모양, 안정된 모양이다. 거거(車渠)보석. 서역(西域)에서 나는 칠보(七寶) 가운데 하나. 두보(杜甫)의 시에 “價重百車渠”라고 한 것에서 취한 것이다. 거거(渠渠)부지런히 힘씀, 성한 모양, 깊고 넓은 모양, 너그럽지 못한 모양이다. 거거(椐椐)순종하는 모양, 따르는 모양이다. 거경(巨卿)후한(後漢) 범식(范式)의 자이다. 여남..
10. 갱 갱가(賡歌)노래를 서로 이어 부른다는 뜻으로, 순(舜) 임금과 고요(皐陶)가 서로 노래를 창화(唱和)한 데서 온 말이다. 『서경(書經)』에 “순(舜)이 신하들과 서로 노래를 지어 하답하였다.”라 하였는데, 갱(賡)은 화답하는 것이다. 한 무제(漢武帝)가 장안(長安)에 백량대(柏梁臺)를 세우고 신하들과 연회를 베풀 적에, 칠언시(七言詩)로 화답하는 노래[賡歌]를 잘 짓는 신하만 누대 위에 올라가도록 허락한 고사가 전한다. 『삼보황도(三輔黃圖)』 卷5 「영사(臺榭)」 갱연사슬인(鏗然舍瑟人)천지자연의 도와 합치하여 호연(浩然)한 기상이 흘러넘치는 사람을 말한다. 공자의 제자들이 각자 하고 싶은 일을 말할 때, 증점(曾點)이 비파를 타다가 쟁그렁 소리가 나게 놓고는 일어나서[鏗爾舍瑟而作] 욕기풍우(浴..
9. 객 객객(喀喀) ‘토하는 소리’이다. 객래문자혹휴존(客來問字或携尊) 한(漢) 나라 양웅(揚雄)이 집안이 가난해서 좋아하는 술도 제대로 마시지를 못했는데, 간혹 글자를 물으러 오는 손님들이 주효(酒肴)를 마련해 와서 술을 즐기곤 하였다는 고사가 전한다. 『한서(漢書)』 卷87 「양웅전(揚雄傳)」 객마천원규(客馬踐園葵) 컴컴한 방 안에서 나랏일을 걱정하는 가난한 여인을 보고, 그것은 나랏님네나 걱정할 일이 아니냐고 이웃 사람이 묻자, 그 여인은 “전에 남의 나라의 나그네가 우리 집에 들렀을 때 그가 타고 온 말이 아욱 밭을 망쳐 놓아 나는 일 년 내내 아욱을 먹지 못했오.”라고 했다 한다. 나라가 잘못되면 다같이 피해를 입는다는 뜻이다. 객몽호거경(客夢呼巨卿) 매우 친근한 벗이 죽었다는 것이다. 거경(..
8. 개 개갈로(介葛盧) 춘추시대(春秋時代) 개국(介國)의 임금을 이른다. 그가 노 희공(魯僖公) 29년에 노(魯) 나라에 입조(入朝)했었는데, 그는 우어(牛語)에 통했었다고 한다. 『좌전(左傳)』 僖公 二十九年 개개(介介) 마음이 결백하여 세속에 어울리지 못하는 모양, 해로운 모양이다. 개개(湝湝) 물이 가득히 흐르는 모양, 차가운 모양이다. 개개(喈喈) 봉황새의 울음 소리, 새의 부드러운 울음 소리, 피리, 종, 북, 방울 등의 소리, 백성의 마음이 누그러져 열복하는 모양. 개개(暟暟) ‘아름다운 덕’을 말한다. 개개(塏塏) 언덕 같은 것이 높은 모양. 개개(個個) 하나하나, 낱낱. 개개(嚌嚌) 여럿의 소리. 개공청정(蓋公淸淨) 한(漢) 나라 조참(曹參)이 제국(齊國)에 상(相)이 되어 가서 여러 학..
7. 강 강간(江干) ‘강가[江邊]’를 말한다. / 인용: 薌娘謠(이광정) 강강(彊彊) 암수가 서로 따르는 모양, 다투고 미워하는 모양. 강개(忼慨) ‘실속없이 큰 소리 치는 것’을 말한다. 강개(慷慨) ‘실속없이 큰소리치는 것’을 말한다. 강거(康居) 고대의 나라 이름인데, 대월지(大月氏)와 동족이며, 지금의 신강(新疆) 북쪽 경계로부터 아령(俄領)·중아(中亞)의 지역까지 영유하였다. 강거국(康居國) 아랄해 동쪽 시르강 하류의 키르기스 초원에 있었던 터키계(系) 유목 민족의 작은 나라이다. 강경순(姜景醇) 경순(景醇)은 강희맹(姜希孟)의 자(字)이다. 강경우(姜景愚) 경우는 강희안(姜希顔)의 자(字)이다. 강계(江鷄) ‘강가 마을의 닭’을 말한다. 강계(薑桂) 생강과 계피는 오래 둘수록 매워지므로, 늙..
6. 갑 갑검초소사두광(匣劍初銷射斗光) 간장(干將)과 막야(莫邪)의 두 명검(名劍)이 땅속에 묻혀서 하늘 위의 두우(斗牛) 사이에 자기(紫氣)를 내뿜고 있다가 발굴되어 세상에 나왔다는 고사가 전한다. 『진서(晉書)』 卷36 「장화열전(張華列傳)」 갑골문자(甲骨文字) 거북이 껍질(배와 등껍질 모두 사용)이나 소 어깨뼈 등에 새겨 넣은 문자들을 말한다. 기원전 14세기 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하는데 원시 국가에서 앞날을 점을 치는 내용과 그 결과를 기록한 내용이 많다. 그래서 갑골문을 복사(卜辭)라고도 한다. 날카로운 송곳이나 돌 같은 것으로 딱딱한 곳에 새기다 보니 자획 형태가 한정될 수밖에 없었다. 갑과(甲科) 과거에서 성적을 차례로 나눈 등급의 하나. 첫째의 장원(壯元), 둘째의 방안(榜眼), 셋째의..
5. 감 감(囝) 사내아이를 부르는 소리. 자전에는 ‘건’·‘월’로 발음된다. 감가(坎坷) 행로(行路)가 평탄하지 못한 것을 이른다. 전하여 때를 만나지 못한 것을 말한다. 『소학(小學)』 「가언(嘉言)」 감감(坎坎) 나무 베는 소리, 북 치는 소리, 불안한 모양, 기쁜 모양, 힘을 들이는 소리, 속이 비어있는 모양, 편안하지 못한 모양이다. / 인용: 櫟翁稗說後 / 伐檀 / 伐木 감감(欿欿) 물건 소리의 형용한 것이다. 감개무량(感慨無量) 감개(感慨)가 한(限)이 없음. 사물에 대한 회포의 느낌이 한이 없음을 이른다. 감결(甘結) 상사(上司)가 속사(屬司) 등에 공문을 보내어 지시하고 그 일에 대하여 어기거나 거짓이 있으면 중한 처벌을 감수하겠다는 뜻으로 서약의 글을 쓰고 착서(着署)하여 내게 하는 것..
4. 갈 갈(羯) 중국 서북방에 있는 소수 민족이었는데, 호(胡)와 같은 족속으로 취급된다. 갈갈(暍暍) 병든 사람이 열이 심한 모양이다. 갈갈(揭揭) 긴 모양, 높은 모양이다. 갈건(葛巾) 칡넝쿨로 만든 관이다. 도연명(陶淵明)은 술이 익으면 갈건을 가지고 술을 거르고 다시 닦아서 머리에 썼다 한다. 『송서(宋書)』 「도잠전(陶潛傳)」 / 유의어: 갈건통음(葛巾痛飮) 갈건한대북창면(葛巾閑對北窓眠) 갈건 쓰고 한가로이 북창 아래 잠들다. 도연명(陶淵明)의 여자엄등소(與子儼等疏)에 “五六月中 北窓下臥 遇涼風暫至 自謂是羲皇上人”이라 하였다. 갈고(羯鼓) ① 『갈고록(羯鼓錄)』에 “갈고는 모양이 칠통(漆桶)과 비슷하며 그 밑에는 아상(牙床)을 받쳐 놓고 두 개의 막대기로 치는데, 높은 누각(樓閣)과 새벽 경치..
3. 간 간가례(看家禮) 주객이 함께 음식을 먹던 자리에서 객이 소마보러 나갔다가 돌아와 ‘남아서 집을 지킨 벌’이라는 뜻으로 객이 음식을 권하고 주인이 먹는 것을 간가례라 하고, 이때 드는 술잔을 간가배라 한다. 간간(侃侃) 강직한 모양, 화락한 모양. 『논어(論語)』 「선진(先進)」, 「향당(鄕黨)」 간간(懇懇) 매우 간절한 모양, 매우 지성스러운 모양. / 인용: 鍾北小選 自序, 北學議自序 간간(旰旰) 빛이 성한 모양. 간간대소(衎衎大笑) 크게 소리 내어 자지러지게 웃다. 간고(諫鼓) 대궐의 뜰에 북을 놓아두고 백성이 간언(諫言)을 드리고자 할 때 두드리게 한 것을 이른다. 『회남자(淮南子)』 「주술훈(主術訓)」에 “요(堯)는 감간(敢諫)의 북을 두었다[故堯置敢諫之鼓].”라 하였다. 간고(幹蠱) 간..
2. 각 각(角) 각은 동방 청룡(東方靑龍) 7성의 하나. 『협기변방서의례(協紀辨方書義例)』 五 각각(各各) 따로따로, 제각기. 각각(埆埆) 토지가 메마른 모양. 각감(閣監) 규장각의 제학(提學). 각신(閣臣)이라고도 한다. 각건(角巾) 처사(處士)나 은자(隱者)가 쓰는 두건. 옛날 은사(隱士)나 관직에서 은퇴한 이들이 쓰던 방건(方巾)이다. 각고면려(刻苦勉勵) 몹시 애쓰고 힘쓴다. 심신의 고생을 이겨내면서 오직 한 가지 일에만 노력을 기울임을 이르는 말이다. 각곡(刻鵠) 따오기는 새기다가 제대로 안 되더라도 비슷한 집오리 정도는 된다는 뜻으로, 용백고(龍伯高)는 사람됨이 중후하고 빈틈이 없고, 두계량(杜季良)은 호협한 의기 남아였는데, 한(漢)의 마원(馬援)이 자기 조카들을 경계하면서 이르기를 “용백고..
ㄱ 1. 가 가가(呵呵) 껄껄 웃는 모양이다. 가가(架架) 새가 우는 소리이다. 가가(佳佳) 썩 좋음. 가가(家家) 집집마다, 천자나 태자가 적모를 지칭하는 말이다. 가가(哥哥) 형을 부르는 경어, 남을 부르는 경어, 아들에 대한 아버지의 자칭이다. 가가대소(呵呵大笑)껄껄거리며(呵呵) 큰(大) 소리로 웃다. 가가문전(家家門前) 집집마다의 문 앞. 가가호호(家家戶戶) 각 집과 각 호(戶). 곧, 집집마다. 가감승제(加減乘除) 사칙으로 더하기, 빼기, 곱하기, 나누기를 말한다. 가개화(可開花) 꽃을 피울 만하다. 가거식육(駕車食肉) 수레 타고 고기 먹는다는 뜻으로, 부귀(富貴)를 비유한 말이다. 가거정묘(家居丁卯) 진(晉) 나라 원부(元裒)가 수운(水運)을 위해 다리 놓기를 청한 결과, 정묘일(丁卯日)에 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