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어휘놀이터 (1295)
건빵이랑 놀자
395. 후 후(堠)이수(里數)를 기록한 토대(土臺)로, 한 후는 5리를 말한다. 정자통(正字通)에 “10리는 쌍후(雙堠), 5리는 척후(隻堠)이다.” 하였다. 후경(後勁)뒤를 맡은 정병(精兵)을 말한다. 『좌전(左傳)』 선공(宣公) 22년에 “中權後勁”이 있다. 후과(侯瓜)진(秦) 나라 광릉(廣陵) 사람인 소평(召平)이 동릉후(東陵侯)에 봉해졌었는데, 진 나라가 망한 뒤에 집이 가난하여 장안(長安)의 성 동쪽에 오이를 심어 생활하였다 하여 나온 말이다. 『사기(史記)』 卷五十三 「소상국세가(蕭相國世家)」 후관(侯館)원래 관망용 소루(小樓)를 말하는데, 보통 왕래하는 관원이나 외국 사신을 접대하는 역관(驛館)을 가리킨다. 후관이양월(候管移良月)초겨울 시월달이 돌아왔다는 말이다. 옛날에 절후(節候)를 알기..
394. 효 효(詨)부르짖는다는 뜻으로 ‘규(叫)’와 같다. 효경(梟獍)효파경(梟破獍)의 준말로 악인(惡人)의 비유. 효는 올빼미인데 어미새를 잡아먹는다 하며 파경은 아비를 잡아먹는 나쁜 짐승이라 한다. 효렴선(孝廉船)진(晉) 나라 때 효렴으로 천거된 재사(才士) 장빙(張憑)이 당시의 고사(高士)이던 유담(劉惔)을 찾아가 하룻밤을 묵으면서 청담(淸談)을 나누고는, 이튿날 유담을 작별하고 배를 타고 돌아오는데, 유담이 그를 대단하게 여기어 다시 장효렴(張孝廉)의 배를 찾으라고 명하여 그를 데리고 가서 간문제(簡文帝)에게 천거하였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진서(晉書)』 卷七十五 효렴선(孝廉船)진(晉) 나라 장빙(張憑)은 효렴(孝廉)으로 선거(選擧)되어 서울로 오면서, 그 재주를 믿고 당시의 명사(名士) 유담..
393. 횡 횡거(橫渠)송(宋) 나라 장재(張載)의 호인데, 그의 마음 수양하던 대략이 그가 저술한 「서명(西銘)」ㆍ「동명(東銘)」에 나타나 있다. 장재는 57세 때 여대방(呂大防)의 천거로 지태상예원(知太常禮院)이 되었다가 유사(有司)와 뜻이 맞지 않아 벼슬을 그만두고 돌아오다가 중도에서 병으로 죽었다. 『송사(宋史)』 卷四百二十七 「장재전(張載傳)」 횡경표맥(橫經漂麥)한(漢) 나라 때 사람 고봉(高鳳)이 한 번은 아내가 밭에 가면서 보리를 마당에 널어 놓고, 그에게 닭을 보라고 부탁하였는데, 마침 비가 와서 보리 멍석이 떠내려갔으나 그는 그런 줄도 모르고 장대만 들고 글을 읽었다고 한다. 『후한서(後漢書)』 卷一百十三 횡금(橫金)금어선화대(金御仙花帶)에 어부(魚符)는 차지 않는 것을 말한다. 한편 한..
392. 획 획금(獲禽)지방관이 되어 고을을 잘 다스리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춘추시대(春秋時代) 정(鄭) 나라의 재상 자피(子皮)가 윤하(尹何)에게 어느 고을을 맡겨 다스리게 하려고 하자, 자산(子産)이 윤하의 무능함을 들어 말하기를 “비유컨대 마치 사냥하는 일과 같으니, 활쏘고 말타기에 익숙하면 금수를 잡을 수 있거니와, 만일 일찍이 수레에서 활을 쏘아보지 않았다면 우선 수레가 뒤집힐까 두려워할 것인데 어느 겨를에 짐승 잡을 생각을 하겠는가.” 한 데서 온 말이다. 『좌전(左傳)』 襄公三十一年 획리가(畫鯉歌)소식(蘇軾)의 「획어가(畫魚歌)」를 전용(轉用)한 말이다. 획어는 갈고리로 고기를 끌어올린다는 뜻으로 소식은 당시의 신법(新法)이 백성을 괴롭히는 것을 은밀히 풍자하여 지은 획어가에서 “날 춥고 ..
391. 홰&회 홰홰(翽翽)퍼덕퍼덕. 날개치는 소리 회(會) ① 30운을 1회라 한다. / 유의어: 원회운세(元會運世) ② 박자. 리듬. 회가(回軻)안회(顔回)와 맹가(孟軻)를 합칭한 말이다. 회거(回車)정신을 차려 제 길로 돌아온 것을 말한다. 옛날 음악을 금기시 했던 묵자(墨子)는 고을 이름이 조가(朝歌)라는 것을 알고 수레를 돌렸으며, 효자로 유명한 증자(曾子)는 승모(勝母)라는 이름의 고을을 만나자 수레를 돌렸다는 고사가 전한다. 『사기(史記)』 「노중연추양열전(魯仲連鄒陽列傳)」 회거질어(回車叱馭)한(漢) 나라 왕양(王陽)이 익주 자사(益州刺史)로 부임할 때 공래산(邛郲山)의 구절판(九折阪)을 넘으면서 산길이 너무 험한 것을 보고는 “어버이에게 받은 이 몸을 가지고 어찌 이 험로(險路)를 자주 왕..
390. 황 황(簧)피리 등의 악기의 얇은 떨림판, 즉 리드(reed)이다. 혀 모양으로 되어 있는데 보통 갈대로 만든다. 황각(黃閣)한대(漢代)에 승상(丞相)이 나라 일을 보던 곳을 황각이라 불렀는데, 그곳 문을 누런 색으로 칠했었기 때문이다. 당(唐) 나라 때에는 문하성(門下省)도 황각이라 불렀다. 자각(雌閣)이라고도 하는 것은 옛날엔 노란 칠을 흔히 자황(雌黃)으로써 했기 때문이다. 황각조갱(黃閣調羹)의정부(議政府)에서 국가의 정사를 처리하는 것을 말한다. 황각은 의정부의 별칭이고, 국을 끓인다는 것은 재상이 국가의 일을 다스리는 것을 비유한 말로, 『서경(書經)』 「열명(說命)」 下에, “만약 국을 끓일 경우에는 너를 소금과 매실로 삼겠다.” 하였다. 황간(黃幹)주희(朱熹)의 사위이며 고제(高弟)..
389. 활 활계회종리지서(活計會從ꝃ地鼠)두더지는 땅을 마치 쟁기질하듯 뒤지는 것이므로, 전하여 농사지어 먹고사는 데에 비유한 말이다. 활락도(豁落圖)몸을 수양하는 방법이 적혀 있는 도서(道書)를 말한다. 활연(豁然)문득, 갑자기. 활인원(活人院)전에 벼슬하던 문사(文士)로서 승문원(承文院)에 들어와 학관(學官)이 되었다가 이로 말미암아 다시 벼슬길에 오르게 된 사람이 많으므로, 사람을 다시 살리는 곳이라 하여 승문원의 별명이 된 말이다. 활활(滑滑)진흙이 미끄러운 모양 활활(活活)“활활”은 틀린 독음, 올바른 독음과 뜻은 “괄괄; 물이 기운차게 흐르는 소리, 미끄러운 것, 진창을 걷는 일”이다. 인용목차
388. 환 환(歡)사랑하는 남녀를 부르는 애칭(愛稱)임. 환(環)‘빙 둘려 끊어지지 않은 고리’를 말한다. 환각주인지(喚却主人知)주희(朱熹)가 이르기를, “서암(瑞巖)의 중(僧)은 매일 항상 스스로 자신에게 묻기를 ‘주인옹(主人翁)은 성성(惺惺)하는가?’ 하고, 또 스스로 답하기를, ‘성성하노라.’고 하였다.” 한 데서 온 말이다. 「심경(心經)」 卷一 환갑(還甲)61세. 태어난 해의 갑(甲)이 다시 돌아옴(還). / 유의어: 회갑(回甲), 화갑(華甲) 환결(環玦)옛적에 신하가 죄를 얻어 쫓겨나면 국경에서 임금의 명령을 기다린다. 임금이 환(環)을 주면 돌아오라(還)는 것이요, 틈이 벌어진 결(玦)을 주면 영영 오지 말라(訣)는 것이다. 환골(換骨)탈태환골(奪胎換骨)의 준말이다. 뼈대를 바꿔 끼고 태(..
387. 확 확(臛)‘나물이 들어가지 않은 고깃국’을 말한다. 나물이 들어간 것은 갱(羹)이라 한다. 확금자불견인(攫金者不見人)‘돈을 움켜쥔 자는 사람을 보지 못한다’는 말로, ‘명예나 이욕에 미혹된 사람은 도리를 저버리거나 눈앞의 위험도 돌보지 않음’을 이르는 말이다. 『열자(列子)』 「설부(說符)」 / 인용: 雲錦樓記(이제현) 확삭(矍鑠)‘노인이 여전히 강건하여 젊은이처럼 씩씩한 것’을 말한다. 동한의 복파장군(伏波將軍) 마원(馬援)이 62세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말에 뛰어올라 용맹을 보이자, 光武帝가 “이 노인네가 참으로 씩씩하기도 하다[矍鑠哉是翁也].”라고 찬탄했던 고사가 전한다. 『후한전(後漢書0』 卷24 「마원열전(馬援列傳)」 / 인용: 梨花庵老僧行(최성대) 확삭옹(矍鑠翁)늙은 나이에도 젊은이처..
386. 화 화각(畫角)옛날 군중(軍中)에서 사용했던 뿔피리. 화간(禾竿)정월 대보름날 풍년을 기원하는 뜻으로 수수깡으로 벼이삭 조이삭의 모양을 만들어 다는 것. 화간(花間)후촉(後蜀)의 조숭조(趙崇祚)가 편(編)한 화간집(花間集)의 준말로, 내용은 곧 당(唐) 나라 말기 여러 명가(名家)들의 사(詞)인데, 진진손(陳振孫)은 이를 전사(塡詞)의 시조(始祖)라고 하였다. 화개(華蓋)임금이나 고관이 사용하는 호화로운 일산이나 귀족이 타는 수레의 덮개를 말하는데, 흔히 ‘존귀한 사람의 행차’를 말할 때 인용된다. 화개성(華蓋星)대제성(大帝星) 위의 아홉 개의 별로 마치 천제(天帝)의 자리를 덮어 주는 형상을 하고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진서(晉書)』 「천문지(天文志)」 上 화견(禾絹)황제를 가리킨다. ..
385. 홍 홍간조오객(虹竿釣鼇客)당 나라 이백(李白)을 칭하는 말이다. 전하여 인품이 호매(豪邁)함을 비유한다. 당 나라 개원(開元) 연간에 이백이 재상(宰相)을 찾아뵙고 쪽지에다 “바다에서 자라 낚는 나그네[海上釣鼇客].”라고 써 바쳤다. 재상이 묻기를 “선생은 자라를 낚을 때 낚싯줄을 무엇으로 합니까?” 하니, 대답하기를 “무지개로 낚싯줄을 삼습니다.” 하였다. 홍개정(洪介亭)개정은 청 나라 홍점전(洪占銓)의 호이다. 홍거절(鴻擧絶)한(漢) 나라 고조(高祖)가 척부인(戚夫人)의 아들을 사랑하여 태자를 바꾸려 하였다가 상산(商山)의 사호(四皓)가 와서 태자를 보호하는 것을 보고 척부인에게 말하기를, “이제는 태자에게 우익(羽翼)이 생겼으니 움직이기 어렵다.” 하고 노래를 부르기를, “기러기가 높이 날..
384. 홀 홀[圭]고대에 제후가 조회(朝會)나 회동(會同)때 손에 갖는 도구. 모양이 윗 부분은 둥글고, 아래가 모진 길쭉한 옥[玉]. 천자가 제후를 봉할 때 주던 일종의 지휘권의 상징물. 홀(笏)수판(手版). 홀은 옛날에 왕과 고관(高官)이 손에 쥐던 작은 판. 천자는 옥으로, 제후(諸侯)는 상아(象牙)로, 대부는 대(竹)로 만들었음. 할 말을 잊지 않게 하기 위하여 홀(笏)에다 썼다. 홀과소선지주(忽過蘇仙之舟)소동파(蘇東坡)의 「전적벽부(前赤壁賦)」에, “외로운 학이 나의 배[舟]를 스치고 지나가는데 날개가 수레바퀴와 같다.” 한 구절이 있다. 홀만상(笏滿牀)당(唐) 나라 때 최림(崔琳)의 문족(門族)이 워낙 창성하여 종형제들이 한자리에 모이면 상홀(象笏)이 상탑에 가득했다는 데서 온 말로, 집안에..
383. 혼 혼가필(婚嫁畢) 후한 때 은사(隱士) 상장(尙長)이 자녀의 혼가(婚嫁)를 다 마친 뒤에 집안 일에서 일체 손을 떼고 동지 북해(北海)의 금경(禽慶)과 함께 삼산(三山)ㆍ오악(五岳)을 두루 노닐면서 일생을 마쳤던 고사이다. 혜강(嵇康), 『고사전(高士傳)』 혼경위(混涇渭) 경수(涇水)는 흐리고 위수(渭水)는 맑으므로, 전하여 청탁과 시비의 구별이 없어짐을 비유한 말이다. 혼돈(混沌) 천지가 개벽하기 전 원기(元氣)가 나누어지지 않아 모호하게 한 덩어리로 된 상태를 말한다.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 『장자(莊子)』 「응제왕(應帝王)」 혼돈개벽(混沌開闢) 새로운 세상을 연다는 뜻으로, 당쟁(黨爭)에 시달린 영조(英祖)가 이 광좌(李光佐)를 다시 기용하면서 ‘오늘 이전의 모든 일은 일체..
382. 혹 혹도(惑道)우주의 진리와 사물의 진상을 알지 못하는 데서 일어나는 망심(妄心)이다. 혹도고주혹명차(或棹孤舟或命車)전구(全句)가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의 구절. “혹명건거(或命巾車), 혹도고주(或棹孤舟).”의 ‘건거(巾車)’는 씌우개 있는 수레이나, 농촌의 달구지로 번역한다. 혹리(酷吏)‘혹독한 아전’을 말한다. 혹세무민(惑世誣民)세상을 어지럽히고 백성을 속이다. 이단의 설로 세상 사람들을 미혹시키고 속이다. 혹약(或躍)용(龍)이 막 용사(用事)할 즈음을 말한 것으로, 『주역(周易)』 「건괘(乾卦)」 구사효(九四爻)에 “혹 뛰거나 못에 있으면 허물이 없으리라[或躍在淵 無咎].” 한 데서 온 말이다. 혹자의봉사(或自疑封事)한유(韓愈)가 좌천되어 부임하는 도중에 지은 시 가운데 ..
381. 호 호(號)본 이름이나 자(字) 이외에 따로 지어 부르는 이름이다. 호가(壺歌)진(晉) 나라 왕돈(王敦)이 대장군(大將軍)으로 큰 공을 세웠는데, 만년에 자신의 뜻대로 되지 않자 술을 마실 때마다 조조(曹操)가 지은 “늙은 천리마 구유에 누웠어도 뜻은 언제나 천 리 밖이요, 열사의 나이 비록 늙었어도 장한 그 마음 변함이 없네[老驥伏 志在千里 烈士暮年 壯心不已]”라는 노래를 부르면서 타호(唾壺)를 두드려 타호가 모두 깨지곤 하였다는 고사가 전한다. 『세설신어(世說新語)』 「호상(豪爽)」 호가(浩歌)큰 소리로 노래를 부른다는 뜻이다. 호가(胡笳) ① 호인(胡人)들이 갈대의 잎을 말아서 만든 피리를 말하는데, 그 소리가 매우 애원(哀怨)의 정을 나타낸다고 한다. 한(漢) 나라 때 장건(張騫)이 서역..
380. 혜 혜가(慧可)선종(禪宗)의 제2조(祖) 혜가(慧可). 그는 40세 때에 숭산(嵩山) 소림사(少林寺)로 후위(後魏)의 고승(高僧) 보리달마(菩提達磨)를 찾아가 눈(雪) 속에 앉아 가르침을 청하여 도를 닦고 의발(衣鉢)을 전수받아 선종(禪宗)의 법통(法統)을 이어 제이조(第二祖)가 되었다. 혜가단비(惠可斷臂)후위(後魏) 때 고승으로 중국 선종의 제2조가 되었다. 그는 달마에게 도를 받을 때 그의 왼팔을 잘라서 자기의 굳은 뜻을 보였다. 혜각(慧覺)불교 용어로, 선각자(先覺者)의 큰 지혜를 스스로 깨우쳐 아는 것을 말한다. 혜감(慧鑑)중(僧) 만항(萬恒)의 시호(諡號). 속성은 박(朴)이다. 혜강(嵇康)진(晉)의 명사(名士) 자는 숙야(叔夜).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으로 성미가 괴이하여 큰 ..
379. 형 형(兄)시인(詩人)들이 매화를 매형(梅兄)이라고 쓰는데, 이것은 황정견(黃庭堅)의 수선화(水仙花) 시(詩)에, “산번화는 아우요, 매화는 형이다[山礬是弟 梅是兄].” 한 데서 나온 것이다. 형(荊)우공구주(禹貢九州)의 하나. 지금의 호남(湖南)의 땅. 전(轉)하여 초(楚)나라의 땅. 형(衡)선기옥형(璿璣玉衡)으로서 혼천의(渾天儀)로도 불리며 천체(天體)를 관측하는 기구이다. 『서경(書經)』 虞書 「요전(舜典)」 형가(亨嘉)『역(易)』 「건괘(乾卦)」의 “형은 훌륭한 사람들의 모임이다[亨者 嘉之會也].”에서 나온 말로서 우수한 인물들이 일시에 성대하게 모이는 것을 비유한 것이다. 형가(荊軻)전국 때 제(齊) 나라 사람. 연 태자(燕太子) 단(丹)을 위하여 진시황(秦始皇)을 죽이려 하다가 뜻을 ..
378. 협 협(脅)협록(脅鹿). 우사(雨師)로서 팔족양두(八足兩頭)인 사슴의 형체를 지녔다. 협가(鋏歌)칼자루를 치면서 부르는 노래로, 재주를 가지고서도 등용되지 못하는 것을 탄식하는 노래이다. 제(齊) 사람 풍환(馮驩)이 맹상군(孟嘗君)의 문객(門客)이 되었으나 중용되지 못하였다. 이에 풍환이 세 번이나 자기의 칼자루를 두들기면서 노래를 불렀는데, 첫 번째는 “긴 칼아 돌아갈지어다. 밥상에 고기가 없구나.” 하고, 두 번째는 “긴 칼아 돌아갈지어다. 외출함에 수레가 없구나.” 하고, 세 번째는 “긴 칼아 돌아갈지어다. 살 집이 없구나.” 하였다. 『전국책(戰國策)』 「제책(齊策)」, 『사기(史記)』 卷七十五 「맹상군전(孟嘗君傳)」 협객행(俠客行)협객에 대해 지은 행(行)은 행. 시체(詩軆)의 하나다...
377. 혐 혐로(嫌老)늙은 것을 혐오한다. 혐중육(嫌重肉)한 무제(漢武帝) 때의 재상이던 공손홍은 자봉(自奉)에 검소하여 조석 때마다 고기를 한 가지 이상 놓지 못하게 하였다 한다. 『사기(史記)』 「평진후주보열전(平津侯主父列傳)」 혐체(嫌遞)벼슬아치가 상관과 선대(先代) 때의 혐의가 있음으로 해서 체직되는 일. 인용목차
376. 혈 혈(穴)삼(蔘)을 사들일 수 있도록 허가하는 문서이다. 혈구(穴口)강화(江華)의 고호이다. 혈구(絜矩)혈구지도(絜矩之道)의 준말이다. 혈구는 표준으로 잰다는 뜻으로 천하를 다스리는 법. 자기의 마음을 미루어 남의 마음을 헤아리는 도덕상의 법도를 말한다. 『대학(大學)』 전10장에 “윗사람에게 내가 싫었던 것이면 나의 마음을 미루어 아랫사람에게 베풀지 않으며, 아랫사람에게 싫었던 것이면 나의 마음을 미루어 윗사람에게 베풀지 않아야 하니 이것을 혈구의 도(道)라 한다.” 하였는데, 구(矩)란 네모꼴의 표준인바 사람의 마음에 비유한 것이다. 혈구지도(絜矩之道)나의 척도로 남을 생각하여 바른 길로 이끄는 도덕 규범을 말한다. 『대학(大學)』 전10장 혈규주중도(穴竅珠中度)공자(孔子)가 구곡보주(九曲..
375. 현 현가(絃歌)거문고를 타고 시를 읊는 것으로, 전하여 학문을 부지런히 하는 것을 말한다. 현가(絃歌)현악(絃樂)에 맞추어 노래 부른다는 뜻으로, 정사를 함에 있어서 법도가 있어 백성들이 안락하게 지내는 것을 말한다. 노(魯) 나라 때 자유(子游)가 무성(武城)의 수령으로 있으면서 예악(禮樂)으로 가르쳤으므로 고을 사람들이 모두 현가하였다고 한다. 『논어(論語)』 「양화(陽貨)」 현가락(絃歌樂)어려움 속에서도 예악(禮樂)을 견지하는 생활을 하는 것을 말한다. 『공자가어(孔子家語)』 「재액(在厄)」에 “외부와 두절된 상태에서 이레나 양식이 떨어지고 채소국도 충분히 먹지 못해 종자(從者)들이 모두 괴로워했는데도 공자(孔子)만은 더욱 강개하여 강송하며 현가(絃歌)를 끊이지 않았다[外無所通, 藜羹不充,..
374. 험 험윤(玁狁)북방의 오랑캐이다. 『시경(詩經)』 소아(小雅) 「유월(六月)」 편 주자(朱子)의 주(註)에 “성왕(成王)과 강왕(康王)이 이미 별세하자 주(周) 나라 왕실이 점점 쇠미하였다. 그리고 팔세(八世)를 지나 여왕(厲王)이 포학하자 주 나라 사람들이 그를 축출하여 체(彘) 땅에 거주하게 하니, 이에 험윤이 침략하여 경읍(京邑)에 이르렀다. 여왕이 죽고 아들 선왕(宣王)이 즉위하여 윤길보(尹吉甫)에게 명하여 군대를 거느리고 가서 토벌하게 하였다.” 하였다. 험희(險巇)질투하는 마음이 음험하다. 혁노(赫怒)『시경(詩經)』 대아(大雅) 「황의(皇矣)」의 “王赫斯怒”에서 나온 말로, 황제가 크게 한 번 성내어 오랑캐에게 위엄을 보여 준다는 말이다. 혁면(革面)허물을 고침. 『주역(周易)』 혁(..
373. 헐 헐후(歇後)헐후체(歇後體)를 말한다. 즉 어떤 성어(成語)의 뒷말을 약하고 그 윗부분만으로 전체의 뜻을 나타내는 일종의 은어(隱語). 예를 들면, 『서경(書經)』 「오자지가(五子之歌)」의, “이궐자손(貽厥子孫)”에서, 이궐만을 따서 자손을 나타내고, 동 군진(君陳) 편의 “우우형제(友于兄弟)”에서 우우만을 따서 형제를 나타내는 것과 같은 것이다. 『신당서(新唐書)』 「정경전(鄭綮傳)」에. “정경(鄭綮)이 시를 잘하여 그 말에 배해(俳諧)가 많으므로 세상이 모두 정오(鄭五)의 헐후체라 일렀다.”라고 보인다. 헐후체(歇後體)‘뒷말을 생략한 시체’를 말한다. 인용목차
372. 헌 헌가체부(獻可替否)시행해야 할 것을 적극 권장하고, 시행하면 안 될 것을 폐지하도록 강력히 진언(進言)하는 것을 말한다. 헌각(軒閣)황제헌원씨(黃帝軒轅氏)의 누각으로, 성군의 궁전을 말한다. 헌거(軒擧)높이 솟는 기상으로 의기가 당당함을 말한다. 헌공롱(獻空籠)전국(戰國) 시대 제왕(齊王)은 변사(辯士) 순우곤(淳于髡)을 시켜 초왕(楚王)에게 학(鶴)을 바치게 하였는데, 순우곤은 도중에서 학은 놓아주고 초 나라에 이르러 빈 새장만을 바치면서 “신(臣)이 제왕의 사신이 되어 학을 가져왔는데 도중에 학에게 물을 먹이다가 그만 놓쳐버렸습니다. 신은 즉시 죽어 사람들의 시비를 끊고 싶었습니다만 신이 만일 죽는다면 우리 임금에게 선비를 죽게 했다는 누명을 끼쳐 드릴까 염려되옵고, 단 딴 학을 사서 대..
371. 허 허(墟)‘마을’이란 뜻이다. 허격(許格)이안눌(李安訥)의 문인. 자는 춘장(春長), 호는 숭정처사(崇禎處士) 또는 창해(蒼海). 시문(詩文)에 능했다. 허공언(許功彦)공언(功彦)은 허성(許筬)의 자이다. 허곽품인(許郭品人)후한(後漢) 명사(名士) 허소(許劭)와 곽태(郭泰)가 인물을 잘 알아보기로 유명하였다. 허기(虛器)이름과 실제가 서로 부합하지 않는다는 뜻으로 쓴 말이다. 허령(虛靈)명덕(明德)을 말한다. 『대학(大學)』 경일장(經一章) 주에 “명덕은 사람이 하늘로부터 얻어 허령불매(虛靈不昧)하여 온갖 이치를 구비하고 만사를 수응하는 것이다[明德者, 人之所得乎天而虛靈不昧以具衆理而應萬事者也].” 하였다. 허령불매(虛靈不昧)마음에 찌꺼기나 가린 것이 없어 사물을 환하게 비춰보는 것. 사람의 마..
370. 향 향일화(向日花)‘해를 향하는 꽃’이란 말로, ‘해바라기’란 뜻이다. 향갑(鄕甲)면임(面任)을 말한다. 향강(香姜)와연(瓦硯)의 일종. 양산집(楊愼集)에 “조조(曹操)의 동작대(銅雀臺) 기와는 이미 얻을 수 없게 되고 송 나라 사람이 수장한 것은 바로 고환(古歡)의 피서궁(避暑宮)ㆍ빙정대(氷井臺)ㆍ향강각(香姜閣) 기와이다.”라 하였다. 향거(香車)귀인(貴人)의 타는 칠향거(七香車)이다. 향공(鄕貢)당 나라 때 선비를 선발하는 제도의 하나로, 지방 고을에서 치르는 시험에 합격한 자를 말하는데, 곧 진사를 말한다. 향니(香泥)향기나는 진흙으로 여기서는 불상이나 법당의 주위에 쓰여진 흙을 말한다. 향등(香燈)제사를 지낼 때 쓰는 등불과 규문(閨門) 안, 곧 내실(內室)의 등불이란 두 가지 뜻이 있다..
369. 행 행(行)시체(詩體)의 하나이다. 행가(行歌)‘걸어가면서 노래하다’라는 말이다. 행가고녕우(行歌叩寗牛)춘추시대(春秋時代) 제(齊) 나라의 영척이 쇠뿔을 두드리며 노래하여 세상에 쓰이기를 요구했는데, 과연 제 환공(齊桓公)이 그 노래 소리를 듣고 그를 등용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설원(說苑)』 「존현(尊賢)」 행각(行脚)‘여기 저기 돌아다니며 수행한다’는 말이다. 행단(杏壇)단(壇)의 이름이다. 공자(孔子)가 제자들을 가르치던 유지(遺址)로 산동성(山東省) 곡부현(曲阜縣)의 성묘(聖廟) 앞에 있다. 『장자(莊子)』 「어부(漁父)」에 “공자는 행단 위에 앉고 제자들은 그 곁에서 글을 읽었다[孔子休坐乎杏壇之上 弟子讀書].” 하였다. 행단사자(杏壇四子)행단(杏壇)은 살구나무가 있는 단으로 공자(..
368. 해 해(䪥) 염교(Rakkyo).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중국산이며 파처럼 재배한다. 영문명의 Rakkyo는 일본 명칭(락교)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출처네이버 지식백과) 해가(薤歌) 만가(挽歌). 상여(喪輿)가 나갈 때에 부르는 노래이다. 해(薤)는 부추 종류인데 사람의 목숨이 부추 잎에 맺힌 이슬처럼 쉽게 소멸된다는 뜻에서 나온 뜻이다. 해갑당(蟹甲鐺) 게딱지솥. 작은 솥을 시속에서는 게딱지(蟹甲)라고 한다. 해개지배량원근(海豈持盃量遠近) 큰 것을 볼 줄 모른다는 말이다. 반고(班固) 「유통부(幽通賦)」에 “표주박으로 바닷물을 헤아리고 대롱 구멍으로 하늘을 본다[旣傾蠡而酌海 遂側管而窺天].” 라고 하였다. 해객사(海客査) 해변(海邊)에 8월이 되면 어디선지 떼배가 왔다..
367. 항 항간(行間)항오(行伍)의 사이라는 뜻이니, 즉 군중(軍中)이라는 말이다. 항갈(恒碣)항(恒)은 산서성(山西省) 영구현(靈邱縣)의 남쪽에 있는 항산(恒山)을 말하고, 갈(碣)은 직례성(直隷省) 동남쪽에 있는 갈석(碣石)을 말한다. 항기궁자미(恒飢窮子美)두보(杜甫). 그의 시에, “항상 굶은 어린 자식 안색이 처량하다[恒飢稚子色凄凉].”한 것이 있다. 항남(巷南)죽림칠현(竹林七賢)인 완적(阮籍)과 그 조카 완함(阮咸)이 살던 가난한 남쪽 동네로, 숙질간의 관계를 비유할 때 흔히 쓰는 표현이다. 『세설신어(世說新語)』 「임탄(任誕)」 항두득고서(航頭得古書)동진(東晉) 때 매색(梅賾)이 큰 뱃머리(大航頭)에서 고문상서(古文尙書)를 얻었다 한다. 항룡유회(亢龍有悔)항룡(亢龍)은 하늘 끝까지 올라간 용..
366. 합 합(闔)오왕(吳王) 합려. 춘추시대(春秋時代)의 오왕의 이름이다. 월왕 구천과 싸우다가 다쳐 죽었고 ‘와신상담(臥薪嘗膽)’의 고사로 알려진 인물이다. 합경(闔境)지경 안의 전부, 구역 안의 온통을 말한다. / 인용: 四月十五日(이안눌), 詰楊吏(허격) 합고(合考)시관(試官)들이 모여 앉아, 뽑아 올린 시권(試卷)을 다시 고교(考較)하여 분류 해서 입격(入格)과 낙제를 결정하는 일을 말한다. 합관요(篕寬饒)한 선제(漢宣帝) 때 사람인데 성격은 강직하였으나 인색하고 남을 해치기를 좋아하다가 남의 원망을 얻어 옥리(獄吏)에게 잡혀가서 죽었다. 그가 일찍이 평은후(平恩侯) 허백(許伯)에게 “나에게 술을 많이 권하지 마오. 나는 술에 미쳤으니 그대는 경계하라.” 했다. 『한서(漢書)』 卷七十七 합구초..
365. 함 함계설향(含雞舌香)상서랑(尙書郞)이 되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계설향은 향명(香名)인데, 한(漢) 나라 때에 상서랑들이 계설향을 입에 머금고 임금 앞에 엎드려 일을 아뢴 데서 온 말이다 함곡관(函谷關)전국시대(戰國時代) 진(秦) 나라가 설치한 진(秦)에서 산동 육국(山東六國)으로 통하는 관문(關門)으로 현재의 하남성(河南省) 영보현(靈寶縣) 서남쪽에 있는데, 효함(崤函)이라고도 한다. 함곡서자기(函谷西紫氣)주대(周代)에 함곡관의 영(令) 윤희(尹喜)가 누(樓)에 올라 사방을 관망하다가, 남극 노인성(南極老人星; 壽星)의 자기(紫氣)가 서쪽으로 향하는 것을 보고 크게 기뻐하면서 “앞으로 성인이 이곳을 경과할 것이다.” 하였는데, 과연 노자(老子)를 만나서 『도덕경(道德經)』를 전수받았다고 한다..
364. 할 할(喝)큰 소리로 고함치는 것을 말하는데, 선종(禪宗)에서 학인을 제접(提接)할 때 쓰는 일종의 선기(禪機)이다. 할계(割雞)우도할계(牛刀割雞)의 준말로, 큰 재능이 아주 작은 데에 쓰임을 비유한 것이다. 공자의 제자 자유(子游)가 무성재(武城宰)로 있으면서 훌륭한 정사를 펴자, 공자(孔子)가 그 곳을 지나다가 자유에게 장난삼아 이르기를 “닭을 잡는 데에 어찌 소 잡는 칼을 쓰는가[割雞焉用牛刀].”하는 데서 온 말이다. 전하여 지방의 수령을 한다는 뜻이다. 『논어(論語)』 「양화(陽貨)」 할계언용우도(割鷄焉用牛刀)닭 잡는데 소 잡는 칼을 쓸 필요가 없다. 작은 일 처리에 큰 인물의 손을 빌릴 필요가 없다는 비유. 『논어(論語)』 「양화(陽貨)」 할계우도(割鷄牛刀)공자의 제자 자유(子游)가 무..
363. 한 한가(漢歌)오랑캐를 쫓았으니 한(漢) 나라 노래 부르는 소리만이 있다는 것이다. 한가용비사수활(漢家龍飛泗水闊)한 고조(漢高祖) 유방(劉邦)이 상정장(上亭長)으로 몸을 일으켰다. 한각반렴산(閑却半簾山)문을 닫고 산을 보지 않는다는 뜻이다. 한간(韓幹)당 현종(唐玄宗) 때의 이름난 화가(畫家)로서 특히 인물(人物)과 안마(鞍馬)의 그림에 뛰어났다고 한다. 처음에는 조패(曹霸)를 사사(師事)하였으나 뒤에 스스로 일가(一家)를 이루어 독보적 존재가 되었으며, 옥화총(玉花驄)ㆍ조야백(照夜白) 등의 말 그림이 특히 유명하다. 『상우록(尙友錄)』 한간마도(韓幹馬圖)한간은 당 나라 남전(藍田) 사람인데 『당서(唐書)』 「명화기(名畫記)」에는 대량(大梁) 사람으로 되어 있다. 현종(玄宗)이 큰 말을 좋아하여..
362. 학 학가(鶴駕)왕세자(王世子)를 말한다. 『열선전(列仙傳)』 「왕자교(王子喬)」에, “왕자교는 바로 주(周)나라 영왕(靈王)의 태자 진(晉)인데, 일찍이 흰 학을 타고 가 구씨산(緱氏山)에 머물렀다.” 하였다. 이를 인해서 후대에는 태자의 거가(車駕)를 학가라고 하게 되었다. 학강구(鶴降緱)주 영왕(周靈王)의 태자(太子) 진(晉)이 왕을 간하다가 쫓겨났는데, 그는 젓대를 잘 불었고, 도사(道士) 부구생(浮丘生)과 숭고산(嵩高山)에서 30년을 같이 있었다. 그 후에 환량(桓良)이란 사람을 보고 “그대가 내 집에 가서, 7월 7일에 구씨산(緱氏山) 위에서 나를 기다리라고 전해 달라.” 하였다. 그날 집안 식구가 그곳에 이르니, 진이 백학(白鶴)을 타고 나타났다 한다. 『일주서(逸周書)』 「태자진해(..
361. 하 하가찬(何家饌)진(晉) 나라 하증(何曾)이 호사(豪奢)를 좋아하여 날마다 먹는 음식에 만전(萬錢)을 쓰고도, “젓가락 댈 데가 없다.”고 하였다 한다. 「하거서(河渠書)」사마천의 『사기(史記)』의 편명으로서 천하의 강과 도랑에 대하여 그 하공(河工)과 수리(水利) 등의 일을 기록한 것임. / 인용: 梁四龍傳(이기발) 하간(河間)하간헌왕(河間獻王)의 약칭으로 한 경제(韓景帝)의 셋째 아들 유덕(劉德)인데, 민간의 선본(善本)을 많이 수집하고 학문에 뜻을 두었으므로 산동(山東)의 제유(諸儒)들이 많이 종유(從遊)했다. 하간유객성(河間有客星)어떤 사람이 떼를 타고 은하에 올라 직녀(織女)와 견우(牽牛)를 보고 여기가 어디냐고 물으니, 촉중(蜀中)의 엄군평(嚴君平)을 찾아가 물으라 하였다. 돌아와서..
360. 핍 핍박(腷膊)닭이 날개를 푸득이는 모양. 핍어(逼語)사람을 공포 속으로 몰아넣는 말이다. 진(晉) 나라 때 한현(韓玄)은 고개지(顧愷之)와 함께 은중감(殷仲堪)을 찾아가 이야기하다가 서로 가장 위험스러운 사정에 대한 것을 말했는데, 이때 은중감의 참군(參軍) 하나가 자리에 있다가 “봉사가 눈 먼 말을 타고 한 밤중에 깊은 못에 다다르는 것이다[盲人騎瞎馬 夜半臨深池].” 하자, 은중감은 한 눈을 감으면서 “이는 너무 사람을 두렵게 만든다.” 한 말에서 온 것이다. 『세설신어(世說新語)』 「배조(排調)」 핍핍(愊愊)잘못된 독음, 바른 독음은 ‘픽픽’으로 뜻은 ‘생각이 가슴에 맺힘’이다 . 인용목차
359. 픽&필 픽픽(愊愊)생각이 가슴에 맺힘 필갈양단(必竭兩端)어떤 수준의 사람이 물어오더라도 그 묻는 범위 안에서 형이하(形而下)와 형이상 두 가지를 다 따져 대답해 준다는 것이다. 『논어(論語)』 「자한(子罕)」에 “내가 아는 것이 있느냐. 아는 것이 없다. 무식한 사람이 내게 물으면 그가 아무것도 모른다 하더라도 나는 그 두 끝을 따져 빠짐없이 말해줄 뿐이다[吾有知乎哉? 無知也. 有鄙夫問於我, 空空如也, 我叩其兩端而竭焉].” 하였는데, 그 주에 “두 끝(兩端)은 두 머리란 말과 같으니 종시(終始)ㆍ본말(本末)ㆍ상하(上下)ㆍ정조(精粗)가 빠짐이 없다는 말이다.” 하였다. 필경(筆耕)최치원(崔致遠)의 저술에 계원필경(桂苑筆耕)이란 책이 있다. 필랑(畢郞)진(晉) 나라 필탁(畢卓)을 말한다. 필련성(匹..
358. 피 피교(彼狡)은 나라 주를 가리킨다. 기자(箕子)의 「맥수가(麥穗歌)」에 “저 교활한 아이가 나와 좋지 않도다[彼狡童兮 不與我好兮].” 한 데서 온 말이다. 피도(皮島)철산(鐵山) 앞바다에 있는 가도(椵島)이다. 피륙(皮陸)당(唐) 나라의 시인으로 우정이 매우 돈독했던 피일휴(皮日休)와 육귀몽(陸龜蒙)을 아울러 일컫는 말이다. 피리(被離)많은 모양 피리리양추(皮裏裏陽秋)진(晋) 나라 저부(褚裒), 자는 계야(季野)다. 그가 입으로 남의 잘잘못을 말하지 않으나 맘속으로는 시비(是非)가 분명했다. 환이(桓彝)가 그를 보고 평하여, “계야(季野)는 입으로는 말하지 않으나, 가죽속에 양추(陽秋)가 있군.” 하였다. 양추는 곧 봄과 가을로 봄에는 상을 주고 가을에는 벌을 주니 시비를 판단하는 기준이 있..
357. 풍 풍각(風角)고대의 기후를 점치는 법인데 궁ㆍ상ㆍ각ㆍ치ㆍ우 오음(五音)으로써 바람을 점쳐 길흉을 정하는 것이다. 당 나라 유효공(劉孝恭)이 풍각(風角) 10권을 저술하였다. 풍각타(風脚駝)우전(于闐)에 조그만 사슴이 있으니, 뿔이 가늘고 길다. 낙타와 교접하여 낳은 새끼를 풍각타라 이르는데, 하루에 7백 리를 가고 그 빠름이 바람과 같다.” 『흡문기(洽聞記)』 풍간(豊干)당(唐) 나라 때 중의 이른다. 봉간(封干)이라고도 하는데 아미타불(阿彌陀佛)의 화신이라고 전한다. 풍간요설(豐干饒舌)한산(寒山)과 습득(拾得) 두 중이 미친 것처럼 행세를 하여 절에서 천대를 받았는데, 풍간(豐干)이란 중이 말하기를, “한산은 문수보살(文殊菩薩)이요, 습득은 보현보살(普賢菩薩)이다.” 하였다. 그 말을 들은 ..
356. 품 품계(品階)직품(職品)과 관계(官階) 품서(品庶)‘백성’을 말한다. / 인용: 薌娘謠(이광정) 품자매(品字梅)매화의 일종으로 꽃 하나에 열매 셋이 품(品)자와 같이 서로 붙어 있기 때문에 생긴 이름이다. 『군방보(群芳譜)』 梅 품종(品從)국가에 공역(公役)이 있을 때에, 품계의 높낮음에 따라 차등하게 복종(僕從)을 내어 돕는 것을 말한다. 품휘(品彙)『당시품휘(唐詩品彙)』를 말한다. 『당시품휘(唐詩品彙)』는 명(明) 나라 고병(高棅)이 편집한 것으로 90권에 습유(拾遺) 10권으로 되어 있으며 모두 6백 20가(家)의 작품 5천 7백 69수를 수록하였다. 인용목차
355. 표 표각(豹脚)다리에 꽃무늬가 있는 모기를 가리킨다. 표각청로(杓刻靑鸕)술그릇 이름으로 노자작(鸕鶿杓)이라는 것이 있다. 표거(杓車)두표(斗杓)와 일거(日車)를 이른다. 표거(飆車)어풍(御風)의 수레. 회오리 바람을 타고 올라가는 신거(神車)로, 서왕모(西王母)가 사는 궁궐에는 표거우륜(飆車羽輪)이 아니면 이르지 못한다는 이야기가 환린(桓驎)의 서왕모전(西王母傳)에 있다. 이백(李白)의 고풍시(古風詩)에 “羽駕滅去影 飆車絶回輪”의 글귀가 있다. 표견도(豹犬韜)병서(兵書)를 말한다. 육도(六韜)의 문도(文韜) 중에 표도(豹韜)ㆍ견도(犬韜)가 있다. 표경(漂梗)『전국책(戰國策)』 「제책(齊策)」의 우언(寓言)에, 복숭아나무를 조각하여 인형을 만들어 두었는데 빗물에 휩쓸려 치수(淄水)로 떠내려가 그 ..
354. 폭 폭건반대(幅巾鞶帶)의관(衣冠)을 갖춘 단정한 옷차림을 말한다. 두보(杜甫)의 시에 “복건도 반대도 몸에 걸치지 못했나니, 꾀죄죄한 머리와 발 씻은 적이 있으리까[幅巾鞶帶不掛身 頭脂足垢何曾洗].”라는 표현이 있다. 『두소릉시집(杜少陵詩集)』 卷14 狂歌行贈四兄 폭건한탁(幅巾澣濯)복건은 은사(隱士) 등이 쓰는 두건(頭巾)인데, 삼국(三國) 시대 오(吳) 나라 장소(張昭)가 임종시에 폭건소관(幅巾素棺)으로 염(斂)을 하라고 유명(遺命)을 내린 고사에서 온 말이다. 폭소(爆笑)폭발하듯 갑자기 터져 나오는 웃음 폭원(幅員)국토의 면적을 이른다. 폭원만리만촉국(幅員萬里蠻觸國)만승지국(萬乘之國)이라고 자부하는 위(魏) 나라도 달팽이 뿔 오른쪽의 만국(蠻國)과 왼쪽의 촉국(觸國)이 서로 영토 쟁탈전을 벌이..
353. 포 포(圃)습지(濕地)를 말한다. 포객(逋客)도망간 은자(隱者)를 뜻한 말로, 남제(南齊) 때의 은사 주옹(周顒)이 처음 북산(北山)에 은거하다가 뒤에 벼슬길에 나가자, 그의 친구인 공치규(孔稚圭)가 그 변절(變節)을 풍자한 「북산이문(北山移文)」에서 “청컨대 속사의 수레를 돌리어라, 신령을 위하여 포객을 사절하노라[請廻俗士駕 爲君謝逋客].” 한 데서 온 말이다. 포견(袍繭)제복(祭服)의 일종. 『송사(宋史)』 「여복지(輿服志)」 포계(匏繫)한 곳에 매달린 뒤웅박이라는 말로, 벼슬을 구할 수 없는 상황에서 시골에 내려가 한가하게 지내는 것을 말한다. 『논어(論語)』 「양화(陽貨)」에 “내가 어찌 뒤웅박처럼 한 곳에 매달린 채 먹기를 구하지 않을 수가 있겠는가[吾豈匏瓜也哉 焉能繫而不食].”라고 탄..
352. 폐 폐고(吠高)도척(盜跖)의 개가 요 임금을 보고 짖는다는 뜻으로 오랑캐가 예의국가를 침략하는 데 비유한 말이다. 요(堯) 자를 휘하여 고(高) 자로 썼다. 폐고(廢錮)일생동안 벼슬을 못하도록 막는 것을 말한다. / 인용: 與皇甫若水書(임춘) 폐관(閉關)관문(關門)을 막는다는 뜻으로, 엎드려 있는 것을 말한다. 『주역(周易)』 「복괘(復卦)」 단사(彖辭)에, “우레가 땅 속에 있는 것이 복괘이니, 선왕이 이를 보고 동짓날에 관문을 닫아 행상하는 사람들이 다니지 못하게 하며 후왕은 지방을 순찰하지 않는다[雷在地中 復 先王以至日閉關 商旅不行 后不省方].”하였다. 폐구(弊裘)전국(戰國)시대에 소진(蘇秦)이 처음에 집을 떠난 지 수 년에 출세를 못하여 입고 나갔던 갖옷이 해어졌었다. 폐구계자(弊裘季子)..
351. 폄 & 평 폄체(貶遞)벼슬아치가 고과(考課)에서 하등이 된 이유로 해서 체직되는 일. 평강화월(平康花月)평강은 당 나라 때 장안 단봉가(丹鳳街)에 있던 마을 이름으로, 기생들이 모여 살았다 하여 기생들이 있는 곳을 뜻하며, 꽃과 달은 아름다운 여인을 가리킨다. 평구역(平丘驛)양주(楊州)의 속역(屬驛)이다. 평금(苹芩)쑥과 덩굴진 풀. 다정한 사이에 서로 마음으로 찾는 것을 뜻한 것. “사슴이 울어대며 들에 쑥을 뜯네[呦呦鹿鳴食野之苹].” 또는 “울어대는 사슴이여 들에 덩굴풀을 뜯고 있네[呦呦鹿鳴食野之芩].”하여, 마음에 맞는 손님을 지성으로 대하고 즐거운 잔치를 베푸는 데 비유한 뜻으로 쓰였음. 『시경(詩經)』 소아(小雅) 「녹명(鹿鳴)」 평대(平臺)한(漢) 나라 양효왕(梁孝王)이 추양(鄒陽),..
350. 편 편갈성교(編葛成橋)임진왜란(壬辰倭亂) 때 문충공(文忠公) 유성룡(柳成龍)은 제독(提督)이여송(李如松)의 명령에 의하여 중국 군대가 건널 다리를 놓기 위해 칡덩굴을 엮어 다리를 놓았었다고 한다. 편고(偏枯)한편이 시들어 말랐다 한다. 반신불수된 사람을 말한다. 편극(片隙)짧은 틈. 편면(便面)얼굴을 가리는 물건이라는 뜻으로, 부채의 별칭이다. 『한서(漢書)』 「장창전(張敞傳)」에 “自以便面拊馬”라 했고, 그 주에 안사고(顔師古)는 “편면은 낯을 가리는 것인데 대개 부채의 유이다. 사람을 보고자 아니할 때 이로써 얼굴을 가리면 편리하므로 편면이라 한다.” 하였다. 편미(鞭弭)말채찍과 꾸미지 아니한 활. 왕의 행차 때 쓰던 도구들이다. 편방(偏旁)편(偏)은 한자의 왼쪽, 방(旁)은 오른쪽. 편번(..
349. 팽 팽갱(彭鏗) ① 팽조(彭祖)로 음식의 조미를 잘했다고 하며, 요임금의 신하로서 은나라 말년까지 팔백세 살았다고 한다. 轉하여 사람의 장수를 말한다. ② 신선(神仙)의 이름이다. 팽담(彭聃)옛날에 오래 살았다는 팽조(彭祖)와 노담(老聃)을 지칭한다. 노담은 곧 노자(老子)이다. 팽두이숙(烹頭耳熟)‘머리를 삶으면 귀까지 삶아진다’는 말로, ‘중요한 것만 해결하면 나머지는 따라서 해결된다’는 뜻이다. 팽려(彭蠡)호수 이름이다. 강서성(江西省)에 있는 파양호(鄱陽湖). 『서경(書經)』 「우공(禹貢)」 팽상(彭殤)팽조(彭祖)와 상(殤)을 말한다. 팽조는 상고 시대에 8백 세를 살았다는 전설적인 인물이며, 상이란 미성년으로 죽은 것을 말하는데, 19~16세에 죽으면 장상(長殤), 15~12세에 죽으면 ..
348. 패 패(伯)힘으로 사람을 굴복시키는 것이라 말하였는데, 유교에서는 덕으로 사람을 감화시켜야 한다고 하여 힘으로 굴복시키는 패(伯)를 천시(賤視)한다[以力假仁者霸, 霸必有大國, 以德行仁者王]. 『맹자(孟子)』 「공손추(公孫丑)」 패가대(覇家臺)일본 구주(九州)의 동북쪽에 있는 지명으로 현재는 하까다[博多]라는 땅인데, 그것이 패가대와 음이 근사하고 또 그 땅에는 그 시대에 그 땅의 총독이 있던 곳이므로 우리 나라 사람들이 그렇게 불렀던 것이다. 패가망신(敗家亡身)‘가산을 탕진(蕩盡)하고 몸을 망침’이란 뜻이다. 패강(浿江)대동강(大同江)의 옛 이름이다. 패결인(佩玦人)결옥(玦玉)은 한쪽이 터진 옥고리인데, 쫓겨난 신하가 도성 밖에서 명을 기다리다가 왕이 환옥(環玉)을 내리면 돌아가고 결옥을 내리면..
347. 팔 팔가(八家) 당송팔가(唐宋八家)를 말한다. 팔개(八凱) 개(凱)는 화(和)의 뜻으로, 고양씨(高陽氏)의 여덟 재자인 창서(蒼舒)ㆍ퇴애(隤敱)ㆍ도인(檮戭)ㆍ대림(大臨)ㆍ방강(尨降)ㆍ정견(庭堅)ㆍ중용(仲容)ㆍ숙달(叔達)을 말한다. 팔결문(八結文) 세금을 걷을 적에 팔결(八結)을 단위로 한 사람씩 정하여 세금 수납을 맡기는 데, 이 사람이 결내(結內)의 사람들의 문서를 모아놓은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즉 문의(文義)가 없는 글이라는 뜻이다. 팔계(八溪) 초계(草溪)의 고호이다. 팔고(八苦) 중생(衆生)들이 받는 8종의 고통. 생고(生苦)ㆍ노고(老苦)ㆍ병고(病苦)ㆍ애별리고(愛別離苦)ㆍ원증회고(怨憎會苦)ㆍ구부득고(求不得苦)ㆍ오음성고(五陰盛苦). 팔공(八公) 왕일(王逸)의 「초은사서(招隱士序)」에, “..
346. 판 판동(板桐)신선이 사는 산 이름이다. 판별방(辦別房)조선시대 때 각 지방의 토산물인 공물(貢物)은 호조 관하의 각사(各司) 장무관(掌務官)이 수납하여 관리하고 호조의 낭관(郞官)이 다만 가끔 창고를 돌며 문부(文簿)와 수량을 대조하여 재물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관례였으나, 이괄의 난을 거친 후 제도가 문란해져서 호조에서 각사의 장무관을 무시하고 낭관들을 파견하여 공물을 직접 받아들이게 하였는 바, 당시에 이 임무를 맡은 낭관을 ‘판별방’이라 칭하였다. 판부(判付)심리를 끝내고 품신한 사안(事案)에 대하여 임금이 재결(裁決)하여 내리는 분부. 판여(板輿)노인의 보행을 대신하는 들것과 같은 부들 방석을 깐 노인용 기구인데, 부모를 맞이하여 봉양하는 것을 말한다. 주로 지방관이 모시고 있는 늙은..
ㅍ 345. 파 파강(播降)후손을 전파시키다. 곧 왕통을 이음. 파강미(播糠眯)『장자(莊子)』 「천운(天運)」에 “공자(孔子)가 노자(老子)를 보고 인의(仁義)를 말하자, 노자는 ‘겨를 뿌려 눈에 들어가면 천지와 사방이 뒤바뀐다.’ 했다.” 한 말이 있다. 파개(爬疥)한유(韓愈)의 시에, “번거로움을 덞이 종기를 째는 것 같아라. 옴 오른 데를 긁듯이 정말 기분이 시원하다네[祛煩類決癰 愜興劇爬疥].”하였다. 파경(破鏡)깨진 거울이란 뜻으로 부부의 이별 또는 이혼을 비유한 고사성어다. / 인용: 설씨녀(薛氏女), 이생규장전(李生窺牆傳) 파경(葩經)『시경(詩經)』은 내용이 꽃봉오리처럼 아름답다 한다. 한유(韓愈)의 「진학해(進學解)」에 “『시경(詩經)』은 바르고 꽃봉오리와 같다[詩正而葦]” 하였다. 이때문에..
344. 특 특달규장(特達圭璋)덕성(德性)을 갖춘 인물이라는 말이다. 『예기(禮記)』 「빙의(聘義)」에 “규장 한 가지만으로 예를 이루고 다른 폐백을 쓰지 않는 것은 그 덕을 인함이다[圭璋特達 德也].”라고 하였다. 특립독항인(特立獨行人)뜻을 고결하게 지니고 시류(時流)에 휩쓸리지 않는 사람을 말한다. 『예기(禮記)』 「유행(儒行)」, 『고문진보(古文眞寶)』 후집(後集) 「백이송(伯夷頌)」 인용목차
343. 투 투간동해(投竿東海)‘온 세상에 경륜(經綸)을 크게 펴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옛날 임(任) 나라 공자(孔子)가 큰 낚싯대와 굵은 낚싯줄을 만들어 50마리의 황소를 미끼로 꿰어서 회계산(會稽山)에 걸터앉아 동해에 낚싯대를 드리우고 낚시질을 한 결과 1년이 넘은 뒤에야 이루 형용할 수도 없는 큰 고기를 낚아냈는데, 그는 이 고기를 말려 포(脯)로 만들어서 백성들에게 나누어주었더니, 절강(浙江) 동쪽으로부터 창오(蒼梧)의 북쪽에 사는 사람들까지 모두가 이 고기를 실컷 먹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장자(莊子)』 「외물(外物)」 투간육오분(投竿六鰲奔)발해(渤海)의 동쪽에 깊은 골짜기가 있는데, 그 안에 대여(岱輿), 원교(圓嶠), 방호(方壺), 영주(瀛洲), 봉래(蓬萊)의 다섯 선산이 있다. 이..
342. 퇴 퇴계(魋髻)만이(蠻夷)의 수식(首飾)인 북상투를 말한다. / 인용: 梨花庵老僧行(최성대) 퇴고(推敲)시문(詩文)을 지을 때 자구(字句)를 여러 번 생각하여 고치는 일. 당(唐)나라의 시인 가도(賈島)가 나귀를 타고 가다 시 한 수가 떠올랐다. 그것은 “새는 연못 가 나무에 자고 중은 달 아래 문을 민다.(鳥宿池邊樹僧推月下門)”라는 것이었는데, 달 아래 문을 민다보다는 두드린다(敲)고 하는 것이 어떨까 하고 골똘히 생각하다 그만 경조윤(京兆尹) 한유(韓愈)의 행차 길을 침범하였다. 한유 앞으로 끌려간 그가 사실대로 이야기하자 한유는 노여운 기색도 없이 한참 생각하더니 “역시 민다는 퇴(推)보다는 두드린다는 고(敲)가 좋겠군” 하며 가도와 행차를 나란히 하였다는 고사(故事)에서 생겨난 말로 이때..
341. 톤&통 톤톤(啍啍)동작이 느린 모양, 어리석은 모양, 말이 많은 모양 통(筒)물을 막아 적당한 시기에 사용하기 위해 쌓은 제언(堤堰)을 말한다. 즉 한 제언의 수도(水道) 안에 들어 있는 경작지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통가(通家)세의(世誼)가 있는 집안이나 인척(姻戚) 사이를 말한다. 조상 때부터 대대로 사귀어 친히 지내는 집을 말한다. 『후한서(後漢書)』 「공융전(孔融傳)」에 공융(孔融)이 이응(李膺)에게 말하기를 “나는 이군과 통가(通家)의 자제입니다.” 하자 이응이 무슨 말이냐고 물으니, 대답하기를 “그대의 조상 공자(孔子)와 우리 조상 노자(老子)가 서로 사우(師友)간이었으니, 나와 그대는 누세(累世)의 통가입니다.” 한 데서 온 말이다. 통고(通考)『문헌통고(文獻通考)』의 약칭이다. ..
340. 토 토각(兎角)『육조단경(六祖壇經)』에 “세상을 떠나서 보살을 찾는 것이 토끼의 뿔[兎角]을 구하는 것과 같다.” 하였다. 토간(兎肝)생명을 구하는 좋은 약을 말한다. 「별주부전(鼈主簿傳)」에 “용왕이 별주부에게 ‘과인의 병에는 어떠한 좋은 약도 다 소용없고, 오직 토끼의 생간이 신효하다.’ 하였다.” 한다. 토공(土貢)고려 때 진사(進士)를 일컫던 말이다. 토구(菟裘)지금의 산동성사수현(泗水縣) 북쪽인 노(魯) 나라 고을 이름인데, 춘추시대(春秋時代) 노은공(魯隱公)이 말하기를, “도구에 별장(別莊)을 경영하라. 내 장차 거기에 가서 늙으리.” 하였으므로 은퇴해 살 곳을 말한다. 『좌전(左傳)』 / 인용: 和歸去來辭(이인로) 토굴삼(兎窟三)토끼가 뜻밖의 환난을 피하기 위하여 세 개의 탈출구를 ..
339. 터 터홍(攄虹)‘무지개를 펴다’라는 뜻이다. 인용목차
338. 탱 탱리(撑犁)몽고(蒙古) 말로서 하늘을 말한다. 탱장문자(撑腸文字)소식(蘇軾)의 시원전다시(試院煎茶詩)에 “창자와 배를 채울 만한 문자 오천권은 필요없고 항상 충분히 자고 해 높이 올랐을 때 차 한잔만을 바라노라[不用撑腸拄腹文字五千卷 但願一甌常及睡足日高時].”고 한 데서 온 말이다. 탱주빈방대(撑舟頻訪戴)대(戴)는 진(晋) 나라 대규(戴逵). 자(字)는 안도(安道). 인용목차
337. 택 택(澤)고택조(婟澤鳥)로, 수호(水鴞)와 비슷하게 생겼으며 검푸른 색깔을 띠고 있다. 항상 연못 가운데서 사는데 사람을 보면 울면서 떠나지 않는다. 『이아(爾雅)』 / 유의어: 玄翁說(신흠) 택거인(澤車人)진흙탕도 돌아다닐 수 있는 달구지, 즉 하택거(下澤車)를 타고 향리에서 작은 벼슬이나 하며 마음 편히 살아가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마원(馬援)의 종제(從弟)인 소유(少游)가 한 말 속에 나온다.『후한서(後漢書)』 卷24 「마원전(馬援傳)」 마원이 남방의 교지(交趾)를 정벌할 때 무더운 날씨에 장독(瘴毒)을 견디다 못해 소리개마저 물 위로 툭툭 떨어지는 것을 보고는, 옛날 향리에서 달구지나 타고 편히 지내는 것이 최고라고 말했던 종제(從弟) 소유(少游)의 말을 떠올리면서 “내가 지금 누워서 ..
336. 태 태(胎)도가(道家)의 용어(用語)로서 신기(神氣)의 수양이 극에 이르렀을 때 복중(腹中)에 결성(結成)되는 원기(元氣)의 근간인 신념(信念)을 말한다. 태감생(太憨生)귀여우면서도 어리석은 태도를 표현한 말이다. 태강즉절(太剛則折)‘너무 강하면 부러지기 쉽다’는 말이다. 태갱현주(太羹玄酒)태갱(太羹)은 고대(古代)에 제사에 쓰던 조미(調味)하지 않은 육즙(肉汁)이고, 현주(玄酒)는 청수(淸水)이다. 상고(上古)에는 술이 없었으므로 제사에 청수를 술로 사용하였다. 그 빛깔이 검기 때문에 ‘현주(玄酒)’라 한 것이다. 곧 법규에는 맞지 않는다 하더라도 큰 솜씨에서 나온 것이니, 규격에 맞는 시시한 시보다는 낫다는 뜻이다. 태계(台階)별 이름이다. 곧 삼태성(三台星)을 가리키는데, 전하여 삼공(三公..
335. 탕 탕곡(湯谷)‘해가 떠오르는 곳’을 말한다. / 유의어: 양곡(暘谷). 탕년한(湯年旱)탕년(湯年)은 은(殷) 나라 탕(湯) 임금이 다스리던 때로 이때 9년 동안이나 가뭄이 들어서 상림(桑林)에서 기우(祈雨)하였다. 탕라삼면개(湯羅三面開)관대한 처사를 비유하는 말이다. 탕(湯)이 들에 나가 사면으로 그물을 치고 기축(祈祝)하는 사람을 보고서, 그것이 너무 잔인하다 하여 삼면을 터놓게 한 다음 재차 기축을 하게 하였다는 고사이다. 본래의 문자는 탕망(湯網). 『여씨춘추(呂氏春秋)』 卷10 「맹동기(孟冬紀)」 異用 탕망해(湯網解)은(殷) 나라 탕왕(湯王)이 그물을 치고 사냥을 할 때 3면(面)의 짐승은 모두 놓아주고 1면의 짐승만 잡았던 고사에서 유래한 것으로, 형정(刑政)을 관대하게 하여 죄를 용..
334. 탐 탐관오리(貪官汚吏)탐욕이 많고 마음이 깨끗하지 못한 관리. 탐낭(探囊)주머니를 더듬는 도둑을 말한다. 『장자(莊子)』 「거협(胠篋)」 탐득려룡(探得驪龍)검은 용의 턱밑을 더듬어서 구슬을 획득한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탐시사(耽詩謝)남조(南朝) 송(宋) 나라의 사영운(謝靈運)을 말한다. 사현(謝玄)의 손자로 강락공(康樂公)에 봉해졌는데 많은 서적을 두루 읽고 서화에 능하였으며, 특히 시를 잘 지어 그 명성이 도연명(陶淵明)과 어깨를 나란히 하였다. 소제(少帝) 때에는 영가태수(永嘉太守)로 있으면서 직무는 아랑곳하지 않고 경내의 산천을 돌아다니며 보고 느끼는 대로 시를 지어 산수시인(山水詩人)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송서(宋書)』 卷六十七 「사령운전(謝靈運傳)」 탐위(貪餧)먹을 것을 찾다. 탐..
333. 탈 탈가(稅駕)‘수레를 끌던 말을 수레에서 푼다’는 말로, 휴식하거나 머무름을 이른다. 『사기(史記)』 권87 「이사열전(李斯列傳)」에 “사물이 극에 달하면 쇠하니 내 어디에서 멍에를 내려두어야 할지 모르겠다.〔物極則衰 吾未知所稅駕也〕”라고 하였다. / 인용: 題自庵詩帖(윤근수) 탈계두육(奪鷄頭肉)당 나라 현종(玄宗) 때에 범양 절도사(范陽節度使) 안녹산(安祿山)이 반란을 일으켜 중원(中原)에 쳐들어갔는데, 안녹산이 처음에 양귀비의 수양아들이라 하고 궁중에 마음대로 출입하여 양귀비와 간통하였으며, 현종과 안녹산이 함께 앉아 양귀비의 젖(乳房)을 두고 희롱하면서 현종이 먼저 시 한 구절을 부르기를, “부드럽고 붉은 것은 새로 나온 닭의 벼슬이로다[軟紅新剝鷄頭肉].” 하니, 안녹산이 답하기를, “미..
332. 탄 탄강(誕降)태어나다. 탄검(彈劍)전국시대(戰國時代) 때 제(齊) 나라 재상 맹상군(孟嘗君)의 식객 풍훤(馮諼)이 처음 찾아왔을 때 주위 사람들이 그를 천하게 보고 푸성귀로 대접하자 기둥에 기대어 칼자루를 치며 노래하기를 “긴 칼 차고 돌아왔는데 밥상에 고기가 없네.” 하고, 또 얼마후에 노래하기를 “긴 칼 차고 돌아왔는데 문을 나서도 수레가 없네.”라고 하자, 맹상군이 그 요구를 다 들어줬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전국책(戰國策)』 「제책(齊策)」 4, 『사기(史記)』 卷七十五 「맹상군열전(孟嘗君列傳)」 탄검청장영(彈劍請長纓)국가를 위하여 충성을 분발하는 사람을 비유한 말이다. 한(漢) 나라 때 종군(終軍)이 긴 노끈을 받아가지고 가서 남월왕(南越王)을 잡아다가 궐하(闕下)에 바치기를 원한다..
331. 탁 탁경뢰(籜驚雷)죽순을 일명 탁룡(籜龍)이라 하므로 용이 천둥에 놀란다는 형용어를 쓴 것이다. 탁관(籜冠)죽순 껍질로 만든 관을 말한다. 탁관은 한 고조(漢高祖)가 정장(亭長)으로 있던 빈천한 시절에 만들어 썼다는 죽피관(竹皮冠)이다. 『한서(漢書)』 「고제기(高帝紀)」 上 탁군(涿郡)중국 하북성(河北省)에 있는 지명. 촉한(蜀漢)의 소열황제(昭烈皇帝) 유비(劉備)가 탄생한 곳이다. 탁녀금(卓女琴)탁문군(卓文君)은 한(漢) 나라 촉군(蜀郡) 임공(臨邛)의 부자 탁왕손(卓王孫)의 딸. 과부로 있을 때 사마상여(司馬相如)의 거문고 소리에 반해서 그의 아내가 되었는데 후에 사마상여가 무릉(茂陵)의 여자를 첩으로 삼자 백두음(白頭吟)을 지어 자기의 신세를 슬퍼한 것을 말한다. 『사기(史記)』 卷117..
ㅌ 330. 타 타갈(駝褐)낙타 털로 짜서 만든 너절한 옷. 타감적(駝堪吊)오래된 석물(石物)이 잡초 속에 묻혀 있음을 말한다. 진(晉) 나라 색정(索靖)이 천하가 장차 어지러워질 것을 알고, 낙양(洛陽)의 궁문(宮門) 앞에 세워진 구리로 만든 낙타(銅駝)를 가리키며 탄식하여 말하기를 “네가 형극(荊棘) 속에 묻히는 것을 곧 보겠구나.”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타계제장(墮髻啼粧)여인의 아양 떠는 모양. 양기(梁冀)의 처 손수(孫壽)가 부린 요태(妖態) 중의 한 가지. 『후한서(後漢書)』 「양익전(梁冀傳)」 타고(鼉鼓)악어 가죽으로 만든 북. 타괴중리소옹시(打乖中理邵翁詩)타괴는 세상과 어그러지는 일을 한다는 뜻이고, 소옹(邵翁)은 송(宋) 나라 소옹(邵雍)을 가리키는데, 자세한 것은 소옹의 안락와중호타괴..
ㅋ 329. 쾌 쾌도난마(快刀亂麻)잘 드는 칼로, 어지럽게 헝클어진 삼 가닥을 자른다는 뜻으로 어지럽게 뒤얽힌 사물을 명쾌하게 처리함에 비유. 쾌등오(噲等伍)한(漢) 나라 한신(韓信)이 초왕(楚王)으로 봉했다가 무고(誣告)에 의하여 낙양(洛陽)으로 잡혀 와서 회음후(淮陰侯)로 강봉(降封)되었는데, 한 번은 번쾌(樊噲)의 집에 갔다가 문에 나와서, “내가 번쾌의 무리와 동급(同素)이 된단 말인가[生乃與噲等爲伍].” 하였다. 『사기(史記)』 「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 쾌빈루(快賓樓)경상북도 고령현(高靈縣)의 객관 남쪽에 있던 정자이다. 쾌설(快雪)왕희지가 쓴 『쾌설시청첩(快雪時晴帖)』을 말한다. 쾌설시(快雪時)왕희지의 『쾌설시청첩(快雪時晴帖)』을 말한다. 쾌종위오(噲終爲伍)한신(韓信)이 공을 이루어 초왕(楚..
328. 칭 칭(稱)① 무게를 다는 저울. ② 일의(一衣)를 가리키는 말이다. 칭성인명(稱聖人名)성인의 이름을 함부로 쓰거나 부르는 것. 인용목차
327. 칩 칩배(蟄坏)벌레들이 칩거(蟄居)하기 좋게 흙을 가지고 구멍을 막는다는 ‘칩충배호(蟄蟲坏戶)’의 준말로, 두문불출(杜門不出)하며 숨어 지내는 것을 말한다. 『예기(禮記)』 「월령(月令)」 칩연(蟄燕)겨울에 꼼짝 않고 암혈(岩穴) 속에 숨어 지내는 제비를 말한다. 칩충배호(蟄蟲坏戶)벌레들이 칩거(蟄居)하기 좋게 흙을 가지고 구멍을 막는다는 뜻으로, 두문불출(杜門不出)하며 숨어 지내는 것을 말한다. 『예기(禮記)』 「월령(月令)」 인용목차
326. 침 침가비(沈家脾)심씨(沈氏)는 곧 당(唐) 나라 심전사(沈傳師)를 가리키는데, 그는 밥을 잘 먹기로 유명했기 때문에 이른 말이다. 침개(針芥)자석(磁石)에 붙는 바늘과 호박(琥珀)에 붙는 개자. 자석은 능히 바늘을 끌어오고 호박(琥珀)은 능히 개자(芥子)를 줍는다는 옛말이 있으므로 사람의 정과 성(性)이 계합(契合)하는 것에 인용한다. 침계평안불사시(寢戒平安不似屍)시체처럼 눕지는 말라는 뜻이다. 『논어(論語)』 「향당(鄕黨)」에 “공자(孔子)는 누울 적에 시체처럼 하지 않았다[寢不尸].” 하였는데, 집주(集註)에 “이것은 시체와 같은 것을 미워해서 뿐만 아니라 게으른 기색을 보이지 않기 위해서이다[非惡其類於死也. 惰慢之氣不設於身體].” 하였다. 침고(沈橭)주(周)시대에 수충(水蟲)제거를 맡았던..
325. 칠 칠가(漆痂) ‘옻이 오른 것’을 말한다. 칠거(七擧)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丹楹縹壁 紫柱虹梁 桶榱朱綠 藻稅玄黃……” 칠거지악(七去之惡) 아내를 내쫓을 7가지 조건으로 ‘① 부모님께 순종하지 않는 것(不順父母). ② 자식을 낳지 못하는 것(無子), ③ 질투하는 것(嫉妬), ④ 간음하는 것(不貞), ⑤ 몹쓸 병에 걸리는 것(惡疾), ⑥ 수다(多言), ⑦ 도둑질하는 것(竊盜)’을 말한다. 칠격(七激) 현종(顯宗)이 현사(顯士)를 예우하지 않는 과실을 풍간(諷諫)한 것을 말한다. 칠견(七蠲)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寒門丘子 有疾玄野 子謂之曰 藍沼淸池 素波朱瀾 金鉤芳餌 纖繳梁緡 沈魚浮薦……” 칠계(七啓) 조식의 칠계서(七啓序)에, “매승(枚乘)ㆍ부의(傅毅) 등이 지은 칠발(七發)ㆍ칠격(七..
324. 친 친근사구정불비(親近沙鷗靜不飛)바닷가에 사는 사람이 어떤 노인이 매일같이 갈매기와 어울려 놀았는데, 하루는 그의 어린 딸이 한 마리 잡아오라고 해서, 그 다음 날 바닷가에 나갔더니 갈매기들이 다시는 다가오지 않았다 한다. 아무 욕심이 없는 은둔 생활을 말한다. 『열자(列子)』 「황제(黃帝)」 친년희가구(親年喜可懼)『논어(論語)』 「이인(里仁)」에 “부모의 나이는 알지 않을 수 없다. 한편으로는 기쁘고 한편으로는 두렵다[父母之年, 不可不知也. 一則以喜, 一則以懼].”고 한 말에서 인용하였다. 친라올군(親羅兀軍)국경 지대의 농사꾼을 보호하던 군인. 조선 초기부터, 야인(野人)과 접경을 하고 있는 함경도ㆍ평안도 양도의 변경에는 여름철에 농사꾼이 농사를 짓다가 적에게 포로되어 가는 사고가 매우 빈번하..
323. 치 치각관(豸角冠)해치(獬豸)라는 동물이 부정(不正)한 사람을 보면 뿔로 떠받는다고 하므로 어사(御史)가 치각관(豸角冠)을 쓴다. 치각다재(癡却多才)일찍이 호두 장군(虎頭將軍)을 역임한 진(晉) 나라의 고개지(顧愷之)를 세상에서 재(才), 서(書), 치(癡)의 삼절(三絶)로 일컬어졌다. 『진서(晉書)』 卷92 치격(絺綌)고운 갈포(葛布)와 굵은 갈포를 뜻하는데, 『시경(詩經)』 패풍(邶風) 「녹의(綠衣)」에 “고운 갈포며 굵은 갈포여, 바람이 싸늘하게 불어오도다. 내가 옛사람을 생각하노니, 정말 내 마음을 알아주도다.[絺兮綌兮 凄其以風 我思古人 實獲我心]”라는 말이 나온다. / 인용: 餓婦行(성간) 치경(雉經)‘목을 매어 죽다’는 말로, 액사(縊死)한다는 뜻이다. 치(雉)는 노, 경(經)은 숨쉬..
322. 층 층성(層城)선녀 서왕모(西王母)가 산다는 곤륜산(崑崙山)의 가장 높은 곳. 층층(層層)여러 겹으로 쌓여 있는 모양, 낱낱의 층 층층련약구(層層連若姤)산의 모습이 구괘(姤卦) ‘䷫’처럼 아래만이 끊겨 있고 위가 모두 연하여져 있음을 말한 것이다. 인용목차
321. 측 측금(側金)풀 이름인 추규(秋葵)의 별칭이다. 측리(側理)중국에 나는 종이의 일종인데, 결이 종횡으로 비스듬하게 나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측은지심(惻隱之心)남을 가엾게 여겨 동정하는 마음을 이르는 말로, 이것이 인(仁)ㆍ의(義)ㆍ예(禮)ㆍ지(智) 사단(四端) 가운데 인(仁)의 단서가 된다. 『맹자(孟子)』 「공손추(公孫丑)」 측은지심인지단야(惻隱之心仁之端也)불쌍히 여기는 마음은 인(仁)의 근본이다. 『맹자(孟子)』 「공손추(公孫丑)」 측조(側調)변성(邊聲)이라고도 하는 금조(琴調)의 소리로, 청성(淸聲)의 상대가 된다. 측천(則天)측천무후(則天武后)로 이름은 조(曌). 처음에 태종(太宗)의 재인(才人)으로 있다가 뒤에 고종(高宗)의 후(后)가 되었으며, 고종이 죽자 아들인 중종..
320. 취 취가오물(醉歌傲物)두보(杜甫)의 시 중에는 「취시가(醉時歌)」ㆍ「취가행(醉歌行)」 등 취가시(醉歌詩)가 많은데, 이 시들은 특히 세상을 오시(傲視)하는 맛이 풍긴다 하여 이른 말이다. 취가옥관회(吹葭玉管灰)『한서(漢書)』 「율력지(律曆志)」에 절후(節候)를 살피는 법이 수록되어 있는데, 갈대 속의 얇은 막을 태워 재로 만든 뒤 그것을 각각 율려(律呂)에 해당되는 여섯 개의 옥관(玉琯) 내단(內端)에다 넣어 두면 그 절후에 맞춰 재가 날아가는 바, 동지에는 황종(黃鍾) 율관(律管)의 재가 난다고 한다. 취가행(醉歌行)술에 취해 노래한 시를 말하는데, 행(行)은 시체(詩體)의 하나이다. 취각(吹角)뿔피리를 불다. 취개홍장(翠蓋紅粧)푸른 연잎과 붉은 연꽃. 취거(觜距)날카로운 부리와 발톱으로, 각..
319. 췌 췌췌(惴惴)두려워서 벌벌 떠는 모양 인용목차
318. 충 충거(衝車)병거(兵車)의 이른다. 『회남자(淮南子)』 「남명훈(覽冥訓)」의 주에, “충거는 큰 철판(鐵板)으로 원(轅)의 끝을 입혀서 무기를 나열하고, 말도 갑옷을 입혀서 적의 진을 마구 충돌하는 것을 이름이다.” 하였다. 충곡(蟲鵠)자신은 벌레로, 사신은 고니로 비유해서 말한 것이다. 충국논병(充國論兵)한(漢) 나라 조충국(趙充國)이 70이 넘은 나이로 병사(兵事)를 직접 처리하면서 뛰어난 계책을 올렸던 고사에서 유래한다. 『한서(漢書)』 卷69 충국둔종(充國屯種)한(漢) 나라 선제(宣帝) 때 서강(西羌)이 반란을 일으키자 조충국이 70세의 늙은 나이로 나가 싸워서 이를 평정한 다음 그곳에 머물면서 둔전(屯田)을 설치하였다. 『한서(漢書)』 卷69 「조충국전(趙充國傳)」 충굴(充倔)‘옷이 ..
317. 출 출가(出家)속가(俗家)를 떠나 중이 되는 일. 출견인도녀 내차분대괄(出見闉闍女 柰此粉黛聒)조강지처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한 말이다. 『시경(詩經)』 정풍(鄭風) 「출기동문(出其東門)」에 “성밖을 나가 보니 고운 여인이 띠꽃같이 귀엽네 아무리 귀여우면 무엇하나 내 마음엔 생각이 없는 걸 흰옷 입은 남자와 물들인 옷 입은 여자여 함께 즐길 만하도다(出其闉闍 有女如荼 雖則如荼 匪我思且 縞衣茹蘆 聊可與娛)”하였다. 출경입필(出警入蹕)천자(天子)가 나갈 때에는 경(警)이라 외치고, 들어올 때에는 필(蹕)이라고 외쳐서 길을 맑히고 행인(行人)을 금(禁)한다. 출계군(出鷄群)뭇 닭 중에 한마리 학(鶴)이 뛰어났다는 말이 있는데, 여기서는 높이 출세하는 것을 비유하였다. 출곡(出谷)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
316. 춘 춘(椿)매우 오래 사는 나무로,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에 “상고(上古)에 대춘(大椿)이라는 나무가 있었는데, 8천 세를 봄으로 삼고 8천 세를 가을로 삼는 영목(靈木)이다.” 하였다. 장수를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춘각(春脚)봄의 다리(春脚)는 ‘다리 달린 봄날(有脚陽春)’의 준말로서 어진 정치를 하는 지방수령을 말한다. 『개원천보유사(開元天寶遺事)』에 “송경(宋璟)이 태수가 되어 백성을 사랑하니 당시 사람들이 모두 다리 달린 봄날이라 했다.” 하였다. 춘경(春鏡)봄단장하는 거울, 즉 춘장경(春妝鏡)의 준말이다. 맹호연(孟浩然)의 춘정(春情) 시에 “청루의 주렴에 아침 햇살 비치니, 분 연지 봄단장에 거울을 재촉하네[靑樓曉日珠簾映 紅粉春妝寶鏡催].” 하였다. 춘경(春卿)이규보(李..
315. 축 축(祝)남자무당을 가리킨다. 축(筑)거문고 비슷한 현악기의 이름이다. 축가탄(祝家彈)축씨(祝氏)가 만든 거문고의 곡조를 연주하는 법인데, 그의 이름과 시대는 자세하지 않다. 『악부시집(樂府詩集)』 琴曲歌辭 胡笳十八拍 축객령(逐客令)진시황(秦始皇) 때에 내린 명으로, 다른 나라에서 진나라로 들어와서 관직에 있거나 유세(遊說)하는 자들을 나라 밖으로 내쫓게 한 명령인데, 이사(李斯)가 상소를 올려서 반대하자 명령을 철폐하였다. 『사기(史記)』 卷六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축객혼(逐客魂)초(楚) 나라 때 비방을 당해 유배되어 떠돌다가 상수(湘水) 가에서 죽은 굴원(屈原)을 가리키는데, 일반적으로 고향을 떠난 나그네를 가리킨다. 축건(竺乾)천축(天竺)으로 곧 석가를 말한다. 축건경(竺乾經)불경...
314. 추 추(墜)땅 이름이다. 공공이 전욱과 임금자리를 다투다가 노하여 부주산에 부딪히니, 하늘기둥이 꺼꺼이고 땅이 끊어져서 하늘이 서북으로 기울고 땅이 동남에 차지 않으매 물길이 동남으로 기울어졌다는 전설. 추(篘)용수. 술을 거르는 도구를 가리킨다. 추(諏)자문(咨問). 바로 왕명을 받은 사신(使臣)이 미진함이 없도록 자신의 직분을 다하기 위해 여기저기서 자문을 하여 직무 수행에 힘씀을 이른 말이다. 추(鄒)추는 맹자의 나라로서 맹자를 가리킨다. 『맹자(孟子)』 「진심(盡心)」 上에 “바다를 구경한 사람과는 강물을 가지고 이야기하기 어렵다[觀於海者 難爲水].” 하였다. 추강일필련(秋江一匹練)이백(李白)의 시에 “누가 이 강물 넓다고 말하는가, 비좁기가 마치도 한 필 비단 같은걸[誰道此水廣 狹如一匹..
313. 최 최가사훈(崔家司勳)당(唐) 나라 때의 시인(詩人)으로 사훈원외랑(司勳員外郞)을 지냈던 최호(崔顥)를 가리킨다. 최갈고(催羯鼓)당명황(唐明皇)이 갈고(羯鼓) 치기를 좋아하였는데 봄에 궁중에서 갈고를 두드리니 봉오리만 맺혔던 꽃이 활짝 피었다. 최고운(崔孤雲)신라(新羅) 말엽의 유학자인 최치원(崔致遠)을 말한다. 고운은 그의 호이다. 최관국수(崔瓘之麵)광해조에 이충이란 자는 잡채로써, 최관이란 자는 국수로써 광해군에게 때마다 진상하여 아부함으로써 높은 벼슬을 얻게되자 당시 사람들이 기롱하여 부른 말이다. 최귀(催歸)자규(子規)의 일명(一名). 울음소리가 마치 불여귀(不如歸)라는 말처럼 들린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최귀를 글자로 풀이하면 돌아가기를 재촉한다는 뜻이 되므로 이렇게 인용한 것이다. ..
312. 총 총감의(摠堪疑)온통 의심스럽다. 총계(叢桂)산림에 숨은 은사(隱士) 또는 은사가 있는 곳을 비유하는 말이다. 총계는 떨기로 난 계수나무를 말한다. 회남(淮南)의 소산(小山)에는 은사(隱士)가 많이 살았으며, 여기에는 또한 계수나무가 많았다.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의 「초은사(招隱士)」에 “계수나무가 떨기로 났네 산의 깊은 곳에, 휘어지고 얽히었네 가지가 서로서로[桂樹叢生兮山之幽 偃蹇連蜷兮枝相繚].” 하였다. / 인용: 題梁學官金剛山錄後(정유길) 총계소산사(叢桂小山詞)한(漢) 나라 때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에게 초빙된 인사들 가운데 소산(小山)이라고 일컫던 이들이 굴원(屈原)의 고사에 감동된 나머지 「초은사(招隱士)」라는 시부(詩賦)를 지었는데, 그 첫 행에 “桂樹叢生兮山之幽 偃蹇連..
311. 촌 촌관생화재독보(寸管生花才獨步)걸출한 문재(文才)를 뜻하는 표현이다. 이태백(李太白)이 어렸을 때 붓끝에서 꽃이 피어나는 꿈을 꾸었다고 한다. 『개원천보유사(開元天寶遺事)』 「몽필두생화(夢筆頭生花)」 촌교구탁류(寸膠救濁流)촌교(寸膠)는 아주 소량의 갖풀을 말하는데, 갖풀은 본디 흐린 물을 맑게 하는 것이기는 하나, 아주 소량의 갖풀로는 황하의 탁류를 맑게 할 수 없다는 데서 온 말로, 즉 작은 힘을 가지고 큰 일을 이루기 어려움에 비유한 말이다. 『포박자(抱朴子)』 「가둔(嘉遯)」 촌교징하(寸膠澄河)자신의 힘만으로는 대세를 돌릴 수 없음을 말한다. 『포박자(抱朴子)』 「가둔(嘉遯)」에 “보잘것없는 재주를 가지고서 부화뇌동하는 자들을 바로잡고 자신이 옳은 것만 믿고서 다수의 잘못됨을 성토하려 한..
310. 촉 촉각(燭刻)과시를 급하게 서둘러 보이던 일. 과거는 통상적으로 사방에 알려서 많은 선비들을 모이게 하는 것인데, 그렇지 않고 오직 표전(表箋) 두어 가지만을 가지고 시일(時日)을 한정, 실시하는 것을 촉각이라 한다. 이 제도는 특히 조선조 연산군, 중종 때에 성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촉견폐일(蜀犬吠日)촉(蜀)나라의 개는 해를 흔히 볼 수 없기 때문에 해만 보면 짖는다. ‘식견이 좁은 사람이 선하고 어진 사람을 오히려 비난하고 의심한다’는 뜻으로 쓰인다. 촉군민가고(蜀郡民歌袴)지방 수령(守令)이 선정(善政)을 하는 데 비유한 말이다. 후한(後漢) 때 염범(廉范)이 촉군 태수(蜀郡太守)로 부임하여 선정을 베풀자, 백성들이 “염숙도(廉叔度)여, 왜 이제야 왔소. 전에는 저고리 하나도 없다가 이제는..
309. 초 초(軺)말이 끄는 작은 수레인데, 특히 사신의 수레를 성초(星軺)라 하였다. 초(初)사람의 처음에 타고난 착한 본성이란 뜻이다. 공자가 그의 제자 칠조개(漆雕開)에게, “너는 왜 벼슬하지 아니하느냐.” 하니, 그는 대답하기를, “저는 자신이 없습니다.” 하였다. 초(譙)성문 위에 있는 망루(望樓)를 말한다. 초가난(樵柯爛)옛날에 왕질(王質)이 산에 나무하러 가서 신선들이 바둑두는 것을 구경하다가 신선이 주는 음식을 얻어먹고 배고픈 줄을 모르고 신선들이 바둑을 다 둔 뒤에 돌아보니 그 동안에 세월이 얼마나 오래 되었는지 옆에 놓아두었던 도끼 자루가 벌써 썩어 있었다 한다. 초가삼간(草家三間)세 칸으로 된 규모가 작은 초가. 초가총상수(焦家塚上樹)후한(後漢) 때 초중경(焦仲卿)의 처(妻) 유씨(..
308. 체 체관(遞官)거관(去官)과 같은 뜻이다. 임기가 차서 벼슬을 떠나 다른 관직으로 옮기던 일. 『세종실록(世宗實錄)』 제1권을 보면, “시속(時俗)에서 직질(職秩)의 임기가 차서 갈리는 것을 거관(去官)이라 한다[俗以秩滿遞官者爲去官].”라 하였음. / 인용: 題深院(조신) 체대(遞代)관직이 교체되는 것. 체동(螮蝀)무지개인바, 음양의 기운이 어울리지 않아야 할 데서 어울려 생기는 것으로, 천지의 음기(淫氣)를 표상한다. 『시경(詩經)』 용풍(鄘風) 「체동(蝃蝀)」에, “무지개가 동쪽에 있으니, 감히 이를 가리킬 수 없네[蝃蝀在東 莫之敢指].”하였다. 체두(杕杜)『시경(詩經)』 소아(小雅)의 편명으로, 「체두(杕杜)」은 병역(兵役)에 갔다가 돌아온 사람을 위로하는 시이다. 체두시(杕杜詩)『시경(詩..
307. 청 청간ㅁ(靑簡)서책(書冊)을 말한 것으로, 전하여 역사(歷史)를 집필하는 사람을 가리킨 말이다. 청간문장(靑簡文章)죽간(竹簡)에 저술한 평생의 글을 말한다. 청간위수편(靑簡爲誰編)두보(杜甫)의 시에 “운대에선 하루 종일 공신(功臣) 그림 그리는데, 청사는 누굴 위해 엮어질는지[雲臺終日畫 靑簡爲誰編].”라는 구절이 있다. 『두소릉시집(杜少陵詩集)』 卷19 「추일기부영회봉기정감심이빈객지방일백운(秋日夔府詠懷奉寄鄭監審李賓客之芳一百韻)」 청강(淸江)이제신(李濟臣)의 호이다. 이석기는 바로 그의 손자이다. 청강(淸江)큰 강물을 맑게 하다. 청강공(淸江公)신흠(申欽)의 처부(妻父)로서 호가 청강인 절도사 이제신(李濟臣)을 말한다. 청강해중룡(聽講海中龍)『법화경(法華經)』에 나오는 말로, 용왕(龍王)의 딸이..
306. 첩 첩개(貼个)화살을 넣는 활통의 방언(方言)이다. 첩경(捷徑)지름길이나 어떠한 일에 이르기 쉬운 방법을 말한다. 정조(正祖)의 『홍재전서(弘齋全書)』에 “만에 하나 올바른 문체를 버리고 그릇된 것을 따르며 문명으로 오랑캐를 변화시킨다면서 지름길만 찾아 좁게 걸으려 하고 새를 구경하느라 사람을 막 대한다면, 이것은 文德을 펴는 데에 해가 되어 너희 선조를 더럽히는 것이다[萬有一舍宋而適越, 用夏而變夷, 捷徑窘步, 貪鳥錯人, 則其爲賊于敷文, 忝厥先武].”라고 했다. 첩경군보(捷徑窘步)‘정도(正道)로 가지 않고 허둥지둥 나쁜 방향으로 진행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굴원(屈原)의 「이소경(離騷經)」에 “저 요 임금과 순 임금은 광명하고 광대하게 정도를 따라 바른 길을 얻었는데, 어찌하여 걸 임금과 ..
305. 첨 첨간(簽竿)바구니를 장대에 달아 놓은 것인데, 시험지를 여기에다 넣어야 채점관 앞으로 갈 수가 있다. 그래서 세도가 자제들이 무뢰배를 동원하여 자기 것만 넣고 다른 사람은 못 넣게 몽둥이질을 했다고 한다. 과거가 빚어낸 일종의 퇴폐적인 현상이다 / 인용: 五學論(정약용) 첨개(沾丐)후세에 끼쳐 준 은덕. 『당서(唐書)』 두보전(杜甫傳) 찬(贊)에, “다른 사람은 부족하나 보(甫)는 남아서 그 잔고(殘膏)와 잉복(剩馥)이 뒷사람에게 점개(沾丐)한 것이 많았다.” 하였다. 첨노(尖奴)붓을 말한다. 북위(北魏)의 고필(古弼)이 총명하여서 태종(太宗)에게 사랑을 받아 필(筆)이라는 이름을 하사받았는데, 곧으면서 유용하다는 의미로 이런 이름을 하사한 것이다. 고필은 머리 끝이 뾰족하였으므로 세조(世祖..
304. 철 철간(鐵簡)철제(鐵製)로 된 무기의 한 가지이다. 철견(鐵犬)쇠로 만든 개의 상(像)을 말한다. 철경(輟耕)농사짓는 일을 그만두다. 철경록(輟耕錄)명 나라 도종의(陶宗儀)가 원대(元代)의 법제 및 훈고(訓詁)ㆍ서화(書畫) 등에 관해 편찬한 고증 자료. 『사고제요(四庫提要)』子ㆍ『소설가류(小說家類)』 철경록(輟耕錄)명(明) 나라 도종의(陶宗儀)가 찬술한 서명(書名). 총 30권으로 되었다. 내용은 대개 원대(元代)의 법령제도(法令制度) 및 원 나라 지정(至正) 말엽에 있었던 병란(兵亂) 사실, 항간에서 일어난 저속한 일, 희학잡담(戱謔雜談), 보고 들은 잡설 등을 수록하였다. 구성(九成)은 도종의의 자(字)이다. 철고비(掇皐比)자기보다 나은 사람에게 과감히 양보하는 것을 말한다. 고비(皐比)는..
303. 천 천가(天家)제왕을 가리키는 말로, 보통 조정을 말한다. 천가수(天假手)하늘이 어느 죄 많은 나라를 패망시키기 위해서는 어느 누구에게 손을 빌어서[假手] 한다는 옛말이 있다. 천개지열(天開地裂)한(漢) 나라 경방(京房)의 역점(易占) 가운데 “하늘이 뚫려도 양기는 아직 부족하고, 땅이 찢어져도 음기는 아직 남음이 있으니, 모두 병란이 일어나는 조짐이요, 아랫사람이 위를 해치는 상이다[天開陽不足 地裂陰有餘 皆兵起下害上之象].”라는 말이 있고, 두보(杜甫)의 시에 “천지가 열리고 찢어진 장안의 거리, 겨울 가고 봄이 오는 낙양의 전각[天開地裂長安陌 寒盡春生洛陽殿].”이라는 구절이 있다. 천객주(泉客珠)천객(泉客)은 연객(淵客), 즉 교인(鮫人)을 말한다. 남해 바다 속에서 베를 짜면서 울 때마다 ..
302. 척 척강조석망(陟岡朝夕望)형(兄)을 그리는 마음을 말한다. 『시경(詩經)』 위풍(魏風) 「척호(陟岵)」에 “저 언덕에 올라서 형을 바라본다[陟彼岡兮 瞻望兄兮].” 한 데서 온 말이다. 척강좌우(陟降左右)주 문왕(周文王)이 죽은 뒤 그 영혼이 오르락내리락하며 상제(上帝)의 좌우에 있다는 말이 『시경(詩經)』 대아(大雅) 「문왕(文王)」에 나온다. 척계광(戚繼光)명 나라 산동(山東) 봉래(蓬萊) 사람으로, 병법에 조예가 깊어 기효신서(紀效新書)ㆍ연병기실(練兵紀實) 등 저명한 병서를 저술하였으며, 절강(浙江)의 참장(參將)으로 있으면서 왜구(倭寇)를 무찌르는 데에 힘을 쏟아 변방이 태평하였다 한다. 척공사륙(伬仜伵𠆾)요사(遼史) 「악지(樂志)」에 의하면, 대악성(大樂聲)이 있어 각조(各調) 가운데 협..
301. 처 처간(處干)고려 때의 소작민을 일컫던 말이다. 처당차연작(處堂嗟燕雀)집에 불이 나서 온통 타들어오는데 당 위에 집을 짓고 있는 제비는 알지 못하고 어리석게 지저귄다 하여 불쌍하다는 것이니, 이것은 반역자가 곧 그 제비의 신세가 될 것이나 알지 못하고 여전이 뽐낸다는 뜻이다. 처량부복(凄涼賦鵩)한(漢) 나라 때 가의(賈誼)가 장사(長沙)로 폄척된 뒤 복조(鵩鳥)가 집에 날아와 앉자, 불길한 조짐이라 여겨 이를 비관하여 복조부를 짓고 과연 그곳에서 죽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사기(史記)』 「굴원가생열전(屈原賈生列傳)」 처비일조(萋斐日組)참소하는 소인(小人)이 남의 조그만 허물을 가지고 꾸며서 큰 죄를 만들거나, 분명하지 않은 일을 자꾸 부각시켜 사실로 만들어 해치는 것을 말한다. 『시경(詩經..
300. 책 책객(冊客)벼슬아치들의 자제(子弟)나 친빈(親賓)을 말한다. 책궁시(責躬詩)‘자신의 잘못을 스스로 꾸짖는 시문’이라는 뜻으로, 조식의 글 가운데 「상책궁응조시표(上責躬應詔詩表)」가 있다. 책기지심(責己之心)스스로 제 허물을 꾸짖는 마음. 책난(責難)하기 어려운 선한 일을 임금에게 꼭 하도록 권면하는 것을 말한다. 맹자(孟子)가 이르기를 “임금에게 어려운 일을 책임지우는 것을 공(恭)이라 이르고, 선한 일을 진언하고 부정한 일을 막아버리는 것을 경(敬)이라 한다[責難於君謂之恭, 陳善閉邪謂之敬].” 하였다. 『맹자(孟子)』 「이루(離婁)」 上 책명(策名)신하된 자를 기록한 간책(簡策)에다 이름을 기입한다는 말로 벼슬살이하는 것을 말하는데, 『좌전(左傳)』 희공(僖公) 2년 ‘책명(策名), 위질(..
299. 채 채각관(豸角冠)해채(獬豸)라는 동물이 부정(不正)한 사람을 보면 뿔로 떠받는다고 하므로 어사(御史)가 채각관(豸角冠)을 쓴다. 채갈(采葛)『시경(詩經)』 왕풍(王風 「채갈(采葛)」에, “칡을 캐노라, 하룻동안 보지 못하니 몇 달이나 된 것 같도다[彼采葛兮. 一日不見, 如三月兮].” 하였다. 채공화(蔡公禾)한(漢) 나라 채무(蔡茂)가 꿈에 태극전(太極殿) 위에 세 이삭의 벼가 나 있는 것을 보고 뛰어 올라 벼를 잡았다. 그리고서 주부(主簿) 곽하(郭賀)에게 그 꿈의 길흉을 물으니, 곽하가 자리에서 일어나 축하하면서 “대궐 대들보에 벼가 있는 것은 신하로서 상록(上祿)을 받을 징조입니다[極而有禾 人臣之上祿也]”하더니, 그 후 과연 순월(旬月) 만에 사도(司徒)가 되었다. 『후한서(後漢書)』 「채..
298. 창 창간사(槍間射)행궁(行宮)의 내진(內陣)에서 창(槍)을 든 군사와 궁시(弓矢)를 찬 군사가 사이사이 기어 둘러서서 숙위(宿衛)하는 것. ’간(間)’을 ‘간(干)’으로 쓴 곳도 있다. 창공(倉公)한(漢) 나라 때의 명의(名醫)인 순우의(淳于意)를 이른다. 그가 일찍이 태창장(太倉長)을 지냈으므로 창공이라 한다. 창공이 한번은 꿈에 봉래산(蓬萊山)에서 노닐다가 금빛이 찬란한 높은 궁실(宮室)을 만났는데, 갑자기 한 동자(童子)가 일배수(一杯水)를 갖다 주므로 창공이 그것을 다 마시고 나니 오장(五臟)이 서늘하였다. 인하여 그 궁전을 쳐다보니 ‘상지선관(上池仙館)’이라 쓰여 있으므로, 그제야 자기가 상지수를 마셨음을 알게 되었는데, 그로부터 그가 진맥(診脈)에 신통력을 얻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297. 참 참(驂)세 필의 말이다. 참간(慚幹)아들이 아버지의 일을 계승하여 처리함을 말한다. 『주역(周易)』 「고괘(蠱卦)」 初六爻 참곡궤(斬曲几)당나라 유종원(柳宗元)이 굽은 궤를 베는 글[斬曲几文]을 지었는데, “악(惡)에는 굽은 것이 첫째이므로 나는 굽은 궤를 벤다.” 하였다. 참군(參軍) ① 고려 때 개성부(開城府)의 정7품 벼슬. ② 입대하다, 종군하다. 명청시대에 출납문서를 맡은 관직. 한말 군사막료. 당대(唐代)에 유행된 참군희(參軍戱) 연극의 배우, 현재의 정각(凈角)에 해당한다. ③ 평사(評事)의 별칭이다. 참덕(慚德)덕이 미치지 못함을 부끄럽게 여긴다는 뜻이다. 탕(湯)은 걸(桀)의 신하이면서 백성이 도탄(塗炭)에 빠진 것을 차마 볼 수 없어서 걸을 내쫓고 자기가 나라를 빼앗고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