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문놀이터 (1138)
건빵이랑 놀자
문항번호 12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문국역연습 평가 영역 사상류 평가 내용 요소 사상류 문장을 국역하고 그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평가 목표 이이(李珥)의 『율곡집(栗谷集)』에 수록된 예시문을 통해 이이의 사상을 이해하고, 이 글의 중심 내용이 사람의 기질에는 맑고 흐린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물에 비유한 것임을 파악할 수 있다. 행동 요소 이해. 적용 문항유형 최선답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글의 중심 내용에 가장 가까운 것은 ? 不肖者氣質多濁少淸 多駁少粹 性旣汨其本然 而又無進修之功 其發也 多爲形氣所使 是人心爲主也 間有道心雜出於人心之間 而不知所以察之守之 故一任形氣之私 至於情勝欲熾 而道心亦爲人心也 譬如儲水之器 汙濁不淨 泥滓滿中 水失其本然之淸 又無澄淨之功 其動也 泥滓汨水 水失其本然之淸 又無澄淨之功 ..
문항번호 11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문국역연습 평가 영역 역사류 평가 내용 요소 역사류 문장을 국역하고 그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평가 목표 이황의 『퇴계선생언행록』에 수록된 예시문을 통해 허형이 취한 행동을 이해하고, 허형과 같은 출처관을 보여주고 있는 문장을 답지에서 찾을 수 있다. 행동 요소 이해. 적용 문항유형 최선답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인물 ㈎가 취한 행동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問(가)許魯齋出處 先生曰 丘瓊山輩 皆詆事元之非 但此時夷猶主華 天理民彝 典章文物 絶滅殆盡 天之生魯齋 似非偶然 魯齋若獨善 而果於忘世 則天理誰明 民彝誰正 天下其終爲左袵 而莫之救矣 以愚觀之 魯齋之爲世而出 似不害義 未知聖賢復生 則其論如何耳 -李滉, 『退溪先生言行錄』 ① 新沐者, 必彈冠, 新欲者, 必振衣. ② 一簞食..
문항번호 10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문학사 평가 영역 조선후기 평가 내용 요소 조선후기 한문학의 전개 과정과 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평가 목표 홍만종의 『소화시평(小華詩評)』에 수록된 예시문의 내용을 이해하고, 조선중기 산문의 전개 과정과 주요 작가의 문체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행동 요소 이해. 적용 문항유형 합답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밑줄 친 인물 ㈎에 해당하는 내용을 에서 모두 고른 것은? ⒜ 國朝近世文章 最推谿谷㈎澤堂爲作家 余嘗妄論二氏之文 以謂谿谷近於天成 澤堂深於人工 比之於古 蓋髣髴韓柳 -金昌協, 「息菴集序」 ⒝ (谿谷/澤堂)文太密塞 文字外不見有餘地 此不及(谿谷/澤堂)處 然如疏箚論事之文 精覈切深 不似(谿谷/澤堂)平泛 -金昌協, 「雜識」 ⒞ 余觀(谿谷/澤堂)文章 渾厚流鬯 如太湖漫..
문항번호 9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문학사 평가 영역 조선전기 평가 내용 요소 조선전기 한문학의 전개과정과 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평가 목표 김만중의 『서포만필』에 수록된 예시문의 내용을 파악하고, 송대(宋代)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소식과 황정견(黃廷堅)있고, 조선 전기 한시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박은(朴誾)과 권필(權韠)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행동 요소 지식. 적용 문항유형 정답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에 해당하는 작가의 성명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 本朝詩體不啻四五變 國初承勝國之緖 純學( ㈀ ) 以迄於宣靖時 容齋稱大成焉 中間叅以豫章 則( ㈁ )之才 實三百年一人 又變而反正於唐 則崔白( ㈂ )其粹然者也 夫學嵋山而失之 往往冗陳 不滿人意 江西之弊 尤拗拙可厭 崔白之於唐 五律五絶 僅窺晩季蕃籬 沾..
문항번호 8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문학개론 평가 영역 운문 및 산문 평가 내용 요소 운문과 산문의 종류를 알고 그 특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평가 목표 한유의 『창려선생집』에 수록된 예시문이 증서류에 속하는 작품이라는 사실을 파악하고, 다섯 개의 답지에서 예시문과 동일한 문체의 작품을 선별할 수 있다. 행동 요소 이해. 적용 문항유형 정답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다음은 한유의 글이다. 이 글과 같은 장르에 속하는 작품은 ? 燕趙 古稱多感慨悲歌之士 董生 舉進士 連不得志於有司 懐抱利器 欝欝適玆土 吾知其必有合也 董生勉乎哉 夫以子之不遇時 茍慕義強仁者 皆愛惜焉 矧燕趙之士 出乎其性者哉 然吾嘗聞風俗與化移易 吾烏知其今不異於吾所聞邪 聊以吾子之行 卜之也 董生勉乎哉 吾因之有感矣 爲我吊望諸君之墓 而觀於其市 復..
문항번호 7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문자학개론 평가 영역 한자의 역사 및 구성원리 평가 내용 요소 한자의 역사와 구성 원리를 이해하고 문장 독해에서 활용할 수 있다. 평가 목표 육서(六書)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정조의 『홍재전서(弘齋全書)』에 수록된 문자학 관련 지문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행동 요소 지식. 이해 문항유형 정답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다음 ㉠~㉤에서 六書에 대한 설명이 옳게 연결된 것은? 王若曰 書居六藝之一焉 自昔有周之訓國子也 敎之六書 則先王之重文字也 盖如是矣 春秋以上 言文不言字 如左傳於文 止戈爲武 論語史之闕文 中庸書同文 皆其證也 然則文與字之並稱 始於何代何書何人何說 而爾等可溯擧而歷對之否 指事之視識察見 上下是也 ( ㉠ )之以事爲名 日月是也 ( ㉡ )之畫物隨體 江河是也 ( ㉢ )..
문항번호 6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문 문법 평가 영역 품사론 평가 내용 요소 허사 및 품사의 종류와 쓰임을 알고 문장 독해에 활용할 수 있다. 평가 목표 ‘차(此)’자의 문법 지식을 활용하여, 사마광의 『자치통감』에 수록된 문장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행동 요소 지식. 이해 문항유형 정답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다음 글의 ㉠과 ㉡이 가리키는 것이 모두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勒雖不學 好使諸生讀書而聽之 時以其意論古今得失 聞者莫不悅服 嘗使人讀漢書 聞酈食其勸立六國後 驚曰 ㉠此法當失 何以遂得天下 及聞留侯諫 乃曰 賴有㉡此耳 -『資治通鑑』 「晉紀」 * 石勒 : 中國 後趙의 初代 皇帝 * 酈食其 : 人名 ㉠ ㉡ ① 意論古今得失 聞者莫不悅服 ② 聞者莫不悅服 嘗使人讀漢書 ③ 嘗使人讀漢書 酈食其勸立六..
문항번호 5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경서강독 평가 영역 개념 평가 내용 요소 경서에 나오는 개념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평가 목표 경서에 나오는 문장의 의미를 문맥에 맞추어 정확하게 이해하고, 문장에 내포된 핵심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행동 요소 이해. 적용 문항유형 최선답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밑줄 친 ㉠의 주제로 가장 적합한 것은? ㉠詖辭知其所蔽 淫辭知其所陷 邪辭知其所離 遁辭知其所窮 生於其心 害於其政 發於其政 害於其事 聖人復起 必從吾言矣 -『孟子』 「公孫丑上」 ① 言病 ② 辨是非 ③ 知言 ④ 不動心 ⑤ 難言 정 답 ③ 정답과 오답에 대한 설명 5개의 답지에서 ‘피사(詖辭)’와 ‘음사(淫辭)’, ‘사사(邪辭)’와 ‘둔사(遁辭)’의 의미와 직접 관련된 답지는 ③번이고, 나머지 4개의 답지는 ..
문항번호 3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문교육론 평가 영역 한문과 내용 및 교재 평가 내용 요소 교재의 내용과 제재에 적합한 단원 지도 계획을 설계하고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 평가 목표 예시문에 내포되어 있는 한문학사의 내용을 학생들이 단원의 학습을 통해 이해할 수 있도록, 단원의 지도 내용 및 교수·학습 계획을 수립한다. 행동 요소 이해. 적용 문항유형 정답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교사 갑은 중 밑줄 친 ①을 바탕으로 이 단원을 가르치고자 한다. 이 가리키는 상황을 본문에서 찾을 경우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新羅崔抗 字石南 有愛妾 ㉠父母禁之 不得見數月 抗暴死 經八日 夜中抗往妾家 ㉡妾不知其死也 顚喜迎接 抗首揷石枏枝 分與妾曰 父母許與汝同居 故來耳 遂與妾還到其家 抗踰牆而入 夜將曉 久無消息 ㉢家人出見之 ..
문항번호 2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문교육론 평가 영역 한문과 내용 및 교재 평가 내용 요소 한문과 내용 요소와 학습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평가 목표 교과 학습 내용과 내용 체계에 적합한 예문을 선정하고, 이를 교수·학습에 활용할 수 있다. 행동 요소 이해. 적용 문항유형 부정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다음은 제7차 중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의 일부이다. 밑줄 친 ㉠의 예문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에서 모두 고른 것은? 한문 한문 익히기 문장을 읽고 뜻 알기 문장 구조를 통해 문장 풀이하기 ㉠허자의 쓰임을 알고 활용하기 문장의 형식을 알고 활용하기 한시 익히기 시구 및 한시를 풀이하고 감상하기 한문 활용하기 격언․속담, 명언․명구를 일상생활에 활용하기 가치관 형성과 전통문화 계승, 발전..
문항번호 1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문교육론 평가 영역 한문과 내용 및 교재 평가 내용 요소 교재의 내용과 제재에 적합한 단원 지도 계획을 설계하고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 평가 목표 한문과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한문 문장의 내용을 파악하여, 문장의 내용에 맞는 적합한 단원의 지도계획을 설계하고, 이를 교수·학습에 활용할 수 있다. 행동 요소 이해 문항유형 최선답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교사 甲은 아래 단원의 지도 계획을 세우고자 한다. 밑줄 친 ㉠의 내용과 관련하여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가치관 형성하기’에 가장 적합한 학습 목표를 제시한 것은? 竹似賢 何哉 竹本固 固以樹德 君子見其本 則思善建不拔者 竹性直 直以立身 君子見其性 則思中立不倚者 ㉠竹心空 空以體道 君子見其心 則思應用虛受者 竹節..
4. 평가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방안 제시 1) 교과교육학은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및 한문과 교재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한문과 교수·학습방법이나 평가에 활용하는 문항을 출제한다. 2) 교과내용학은 특정 영역이나 학설(또는 이론)에 치우치지 않고, 해당 분야 전반에 걸쳐 고르게 출제한다. 3) 2차 시험(논술형)과 3차 시험(수업능력평가)과의 관계를 고려해 문항을 개발하되, 특정 내용이 강조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4) 발문이 지나치게 개방적이거나 추상적인 경우에는 채점의 공정성과 객관성 문제가 야기될 수 있으므로, 발문은 가급적 제한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으로 구성한다. 5) 예시문이 텍스트에 따라 원문의 내용이 다를 경우, 반드시 예시문에서 밝힌 텍스트의 원문을 사용하여 출전에 따른 문제..
3.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가 출제에 고르게 반영될 수 있는 방안 1) 선택형 문항은 총 40문항으로 문항 풀이에 걸리는 시간은 한 문항 당 1분 30초 ~ 3분 정도가 소요될 수 있도록 개발한다. 2) 선택형 문항 점수는 총 100점으로 문항의 난이도에 따라 한 문항 당 1.5점 ~ 3.5점씩 배정한다. 3) 선택형 문항은 각각 교과교육학에서 35%, 교과내용학에서 65%의 비율을 초과하거나 미달하지 않도록 개발한다. 4) 평가 영역별 출제 비율은 아래의 표를 따른다. 단, 평가 영역별로 ±1% 범위 내에서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평가 영역 출제 비율 구분 기본이수과목 평가 영역 교과교육학 한문교육론 한문과 성격 및 목표 5 한문과 내용 및 교재 18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12 소 ..
2. 1차(선택형) 평가 도구 개발의 원칙 1) 한문과 교사로서 한문 문화에 대한 지식과 수용 태도를 평가하는 문항을 개발한다. 2) 한문과 교사로서 한문과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을 평가하는 문항을 개발한다. 3) 한문과 교사로서 학습자들의 한문 학습 능력의 발달을 이해하는 태도를 갖추게 하는 문항을 개발한다. 4) 한문과 교사로서 학습자의 한문 이해를 도울 수 있는 환경과 문화를 조성하는 태도를 갖추게 하는 문항을 개발한다. 5) 한문과 교사로서 한문과 내용을 한문 교과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을 개발한다. 6) 한문과 교사로서 한문과 교재를 한문 교과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을 개발한다. 7) 한문과 교사로서 한문과 평가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을 ..
1. 1차(선택형) 평가 도구의 목적 및 방향 고도의 전문성을 갖춘 중등학교 한문교사를 선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합리적인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수준 높은 양질의 문항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한문과 임용시험은 해당년도 출제위원의 전공이나 학문 성향에 따라 출제 범위와 문항 유형이 수시로 바뀜으로써, 공정하고 객관적이며 신뢰성이 있는 전형자료를 제공하지 못해온 것이 사실이다. 이와 같이 기존의 한문과 임용시험이 수험생들에게 신뢰를 얻지 못한 것은 전국 대학에 설치된 교사양성기관(사범대학 한문교육과, 한문학과 교직과정, 교육대학원 한문교육전공 등)의 교육과정이 서로 다른 것에 근본 원인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본이수과목의 평가 영역과 평가 내용 요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각..
4. 개발된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평가 영역 평가 내용 요소 행동 영역 출제 비율 구분 기본이수과목 평가 영역 1차 시험 2차 시험 교과 교육학 한문 교육론 한문과 성격 및 목표 한문과 교육과정의 변천 양상과 시기별 특징을 알 수 있다. 지식 35 45 한문과의 성격과 특성을 이해한다. 이해 한문과의 목표와 지향점을 이해한다. 이해 한문과 내용 및 교재 한문과 내용(내용 체계 및 영역별 내용)선정 및 조직 원리를 알 수 있다. 이해 한문과 내용 요소와 학습 내용을 이해 할 수 있다. 지식 교재의 내용과 제재에 적합한 단원 지도 계획을 설계하고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 적용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한문과 성격, 목표, 내용에 적합한 교수 학습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이해, 적용 한문과 ..
8) 한시선독 ① 평가 영역 한시선독은 한시에 대한 기본적인 감상 능력과 그와 관련된 지식을 학습하는 과목이다. 한시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시의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하며, 동시에 한시의 형식 및 한시의 역사적 발전 양상 등에 대한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한시선독의 평가 영역은 한시의 시체 및 형식, 구성 등에 대한 지식을 평가하는 ‘형식 및 구성’, 한시의 내용적 이해 정도를 평가하는 ‘이해 및 감상’ 그리고 한시의 역사적 변천에 대한 이해를 평가하는 ‘한시사’로 나누었다. ② 평가 내용 요소 ◦ 형식 및 구성 다양한 한시의 형식과 구성을 안다. ◦ 이해 및 감상 한시의 내용과 미적 특질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 한시사 한시의 역사적 변용과 그 양상을 안다. 9) 한문..
4) 문자학개론 ① 평가 영역 문자학개론의 평가영역은 ‘한자의 역사와 구성원리’이다. 문자학개론과 관련된 평가 역시 글자 하나하나의 형성과 변모 등과 같은 문자학적 지식을 평가하기보다는 여타 문자와 다른 한자의 기본적인 특징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 정도와 독해에서의 활용 능력을 주로 평가한다. 따라서 개별 글자가 아니라 한자의 전반적인 역사에 대한 이해와 구성 원리, 나아가 한자 학습 및 교육, 그리고 독해와 관련된 기본적인 한자 지식 및 활용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② 평가 내용 요소 문자학개론의 평가내용요소는 다음과 같다. ◦ 한자의 역사 및 구성 원리 한자의 역사와 구성 원리를 이해하고 문장 독해에서 활용할 수 있다. 문자학 그 자체에 대한 평가보다는 한문문화 및 한문독해의 맥락에서 문자에 대한 기본적..
3. 평가 영역 및 내용 요소 선정의 타당성 기본이수과목을 중심으로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에 대한 설정 배경 및 근거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한문교육론 ① 평가 영역 한문교육론은 중등학교에서 교과의 하나로 시행되는 한문과 교육에 대한 학문적, 총체적 이해를 필요로 하는 과목이다. 학교에서 시행되는 교과교육의 하나인 한문과 교육은, 풍부한 한문학 자료에 대한 읽기, 이해 그리고 비평적 감상에 기초한다는 점에서, 한문학을 모태로 하는 학문적 특성을 가진다. 한편, 한문과 교육은 한문학 자료를 포함하는 텍스트 요인 외에 각급 학교의 한문교사와 한문 학습자라는 인간 요인, 한문 학습이 발생되는 교실 현장 및 상황 맥락 요인, 그리고 학습자에 의해 생산된 산출물과 반응 자료들이 탐구의 또 다른 대상..
2.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개발 방법 및 과정 지금까지의 중등교사 임용시험에서 출제기준이 명확하지 않았다. 다만 암묵적으로 교사자격증을 얻는데 필요한 기본이수과목을 중심으로 시험문항이 출제되도록 유도되었을 따름이다. 하지만 기본이수과목의 어떤 영역의 어떤 내용이 중심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은 없었다. 따라서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를 보다 상세히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를 결정하는데 있어 객관성이 문제될 수 있다. 한문교육의 목표와 방향 및 내용에 대해 해당 전공자들의 의견이 일치되기 어렵기에 몇몇 사람의 의견을 바탕으로 한 주관적인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양한 의견 수렴을 통한 보다 공정하고, 객관적인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
1. 평가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상세화의 필요성 및 배경 1991년 중등교사 임용시험이 시행된 이후, 평가 영역, 평가 목표, 평가 내용 등에서 많은 논란이 있었다. 중등학교 한문교육의 목표에서부터, 중등학교 한문교사에게 필요한 자질, 중등학교 한문교사가 기본적으로 알아야만 하는 지식의 수준 및 한문지식을 현장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능력 등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논의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창기의 임용시험에서는 四書를 위주로 시험이 출제되는 경향이 있었다. 전통 한문교육에서 사서를 한문의 입문 과정으로 다루어 왔던 전통 때문이었다. 하지만 현대의 한문교육은 전통적인 한문교육과 다른 성격을 지닌다. 따라서 이러한 四書 위주의 출제 경향에 대해 반성의 목소리가 높아졌고, 그 가..
5. 교사자격기준의 활용 한문 과목 교사 자격 기준은 적격한 자격을 갖춘 한문과 교사를 선발할 때에도 활용할 수 있다. 한문 과목 교사 자격 기준은 우선 중등 한문과 교사 신규 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을 출제할 때, 평가 내용 요소를 정하는 기준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시험의 목적은 누가 중등 한문과 교사로서의 자격을 더 잘 갖추고 있는지 선별하는 것이므로, 평가 내용 요소를 추출하는 근거는 당연히 한문 과목 교사 자격 기준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한문 과목 교사 자격 기준은 사립학교에서의 교원 선발, 나아가 한문과 교사의 승진이나 한문과 관련 장학사 선발 등과 같은 곳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인용 목차
4. 중등학교교사(한문) 교사자격기준 영역 (대범주) 표시과목별 자격기준 세부자격기준 일반기준 기준과의 관련성 한문 문화 의식 [기준 1] 한문과 교사는 한문 문화에 대한 지식을 갖춘다. 1. 한문과 교사는 한문 문화와 관련된 한자·한문의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2. 한문과 교사는 한문 문화와 관련된 전통 문화의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기준 1. 1-1 기준 10. 10-1 10-1 [기준 2] 한문과 교사는 한문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 태도를 갖춘다. 1. 한문과 교사는 한문 문화에 대한 관심 있는 태도를 갖추어야 한다. 2. 한문과 교사는 한문 문화에 대한 사명감을 갖추어야 한다. 기준 1. 1-1 1-2 1-3 기준 10. 10-1 10-2 [기준 3] 한문과 교사는 한문 문화와 관련된 능동적 태..
3. 개발 방법 및 절차 교사자격 기준은 교사의 교과 지도와 직무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준거이다. 따라서 교사 자격 기준의 개발은 교사의 교과 지도와 직무 수행을 실제에 근접하게 파악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다수의 논의를 거쳐 교과 지도와 직무 분석은 자격 기준개발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교사의 직무, 또는 교사직을 보는 관점에 따라 직무 분석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3단계 과정으로 표현된다. Stonge와 Tucker(김이경 외, 2005)를 비롯하여 NBPTS, INTASC 등의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미국의 NBPTS의 교사 자격 기준 예시를 일부 참조 활용하였다. 그 예시는 다음과 같다. Ⅰ. 학생에 대한 이해 Ⅳ. 학습자 참여 Ⅴ. 학습자 환경 유지 Ⅵ. 다양..
2. 교사자격기준 개발의 이론적 배경(근거) 1) 보편성(일반성) 국가 수준에서 정한 교육과정을 고려하고, 국가 수준으로 통합된 교사 임용의 상황을 고려하여, 한문 과목 교사 자격 기준의 개발은 교육과학기술부를 중심으로 제정된 자격 기준인 “신규교사의 자질과 능력에 관한 일반 기준”을 원용함으로써 제도적, 교육적 보편성과 일반성을 반영한다. 2) 특수성(개별성) 한문 과목 교사 자격 기준의 개발은 ‘한문 과목’에 따른 한문교사의 직무 실제를 고려하고 한문의 문화적 특성과 상황을 고려함으로써 교사와 교과의 특수성과 개별성을 반영한다. 3) 현실성(실용성) 한문 과목 교사 자격 기준의 개발은 국가 임용 고사와의 형식적, 내용적 관련성을 가짐으로써 신규 한문교사 선발에 현실적, 실용적 지침이 될 수 있다. 인..
1. 교사자격기준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한문 과목 교사 자격 기준은 한문과 교사 양성 기관의 교육과정을 편성하는 기준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일정한 자질과 능력을 지닌 한문과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가르쳐야 할 내용 범주들이 필요하며, 이들 필수 내용 범주들이 도출되는 근거가 바로 한문과목 교사의 자격 기준이다. 또한 한문 과목 교사 자격 기준은 한문과 양성 기관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 한문과 교사 양성기관들은 서로 다른 교수진에 의해 서로 다른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양성기관들이 제공하는 교육의 충실성을 평가하는 기준 또한 한문 과목 교사 자격 기준이 될 수밖에 없다. 한문과 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과 능력을 제대로 길러 주지 못하는 양성 기관은 사실상 ..
4. 연구내용 및 방법 본 연구는 크게 다섯 가지 방면으로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1) 한문 과목의 교사 자격기준 개발, 2)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상세화, 3) 선택형(1차) 예시 평가 도구 개발, 4) 논술형(2차) 예시 평가 도구 개발, 5) 수업 능력 평가 방법 및 예시 평가 도구 개발이 그것이다. 이에 이 다섯 가지 연구분야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1) 한문 과목의 교사 자격기준 개발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2006년 11월 17일에 ‘신규교사의 자질과 능력에 관한 일반기준’을 설정ㆍ제시하였는데, 그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교사는 건전한 인성과 교직 사명감 및 윤리의식을 갖는다. 2.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과 복지를 위해 헌신한다. 3. 교사는 학생과 학생의 학습..
3. 연구 목적과 세 분야의 구체적 목적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수행하게 될 본 연구는 무엇보다도 자질과 전문성을 갖춘 한문교사를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선발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곧 한문교사의 자격이 무엇인가, 한문교사 선발을 위한 평가 영역을 어떻게 구체적이며, 상세하게 설정할 것인가, 또한 한문교사로서 적합한 수업능력을 지녔음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과 사례를 개발함으로써 보다 뛰어나면서도, 현장에 적합한, 나아가 한문 교육을 통해 중등학교 교육의 발전에 이바지할 한문교사를 선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본 연구의 일반적인 목적 아래, 각각 진행될 세 가지 분야 곧 1) 한문교사자격 기준 개발, 2)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2. 필요성 한문과목의 특수성 이러한 사정은 전공과목의 하나인 한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각 전공의 특성에 따라 전공 교사로서 요구되는 자질이 다르며, 그 과목의 교수방법과 교육 목표 역시 다르다. 그런데 한문의 경우는 이와 함께 특수한 성격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한문은 여러 언어 과목 중의 하나인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여타의 언어 과목과는 다른 특성이 존재한다. 물론 우리의 언어[국어]이기도 한 것이 사실이다. 전통 시대 우리가 사용한 글은 대부분 한문이기 때문이다. 이는 한글 창제 이전 뿐 아니라 한글 창제 이후도 마찬가지이다. 근대 이전의 대부분의 시기에 우리들은 우리들의 사상과 감정, 지식과 기록을 한문을 통해 생산하고, 향유하고, 전수하였기에 분명 한문은 분명 국어인 것이다. 하지만 한문은 국..
1. 연구목적 현행 임용고사의 문제점 현행 중등교사신규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이하 ‘중등교사 임용시험’) 제도는 국립 사범대학 출신자의 우선 임용에 대한 위헌 판결을 계기로 ‘순위고사’를 폐지하고, 1991년부터 시행되어왔다. 지난 10여년 동안 진행된 ‘중등교사 임용시험’은 개선을 위한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문제점을 드러내었다. 이 중 가장 두드러지는 점은 출제의 타당성과 공정성 및 채점의 객관성과 신뢰성 문제이다. 출제의 타당성과 공정성은 출제자가 누구인가, 출제자의 전공이 무엇인가 등에 따라 출제된 문제가 편향된 성격을 보이거나 시험 합격자의 출신학교가 크게 달라지는 경향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부분이며, 채점의 객관성과 신뢰성은 단 일주일 동안 그 많은 수험자의 답안을 채점하는 현상과 관..
淸江使者玄夫傳 玄夫不知何許人也 或曰 其先神人也 兄弟十五人 皆體巨絶有力焉 天帝所命扶五山海中者是已 玄中記曰 鼇 巨龜也 至子孫 形寢小 亦無以力聞者 唯以卜筮爲業 相地之利害 不常厥居 故其鄕里世系 不得詳焉 遠祖文甲 堯時隱居洛濱 帝聞其賢 聘以白璧 文甲負奇圖來獻 帝嘉之 因封洛水侯 曾祖自言上帝使者 不言其名 擔洪範九疇 授伯禹者是也 祖白若 夏后時鑄鼎於昆吾 與翁難乙致力有功 父重光 生而有文在左脅 曰月子重光 得我者 匹夫爲諸侯 諸侯爲帝王 因採其文名之 玄夫尤沈邃 其母夢 瑤光星入懷 因而有娠 始生 相者曰 背法盤丘 文成列宿 必神聖之相乎 及壯 覃研曆緯 凡天地日月陰陽寒暑風雨晦明災祥禍福之變 無不逆知 又學神仙行氣導引不死之方 性尙虎 常介而行 上聞其名 使使聘焉 玄夫傲然不顧 乃歌曰 泥塗之游 其樂無涯 巾笥之寵 寧吾所期 笑而不答 由是不能致 其後宋元王時 ..
하생기우전(何生奇遇傳) 신광한(申光漢) 麗朝有何生者, 居平原, 家世寒微, 早失怙恃, 欲娶無所售, 窮不能自資. 然而風儀瑩秀, 才思穎拔, 鄕曲多稱其賢者. 州宰聞其名, 選補大學.生將整裝上都, 臨發語婢僕曰: “吾上無父母, 下無妻子, 尙何顧汝輩刺刺? 昔終軍棄繻, 相如題柱, 弱冠皆有大志. 吾雖駑蹇, 頗慕兩子爲人, 他日衣錦歸, 爲爾輩榮, 幸守舊業無墜!”旣赴國學, 與諸生較藝, 莫能或之先者. 生以爲龍頭可捷ˎ靑雲可步, 驁然有高世之志. 時朝政旣亂, 選擧亦不以公, 荏苒四五載, 抱屈黌舍, 常悒怏不樂.一日, 語同舍生曰: “蔡澤所不知者壽, 從唐生決之. 吾聞駱駞橋傍, 有卜師, 言人壽夭禍福, 期以日月. 吾將就卜, 以決狐疑.”遂歸私第, 探篋中, 得寶藏金錢數枚, 懷之而往. 卜師曰: “富貴, 公所固有, 但今日甚不吉, 占得明夷之家人. 明夷者..
전공 한문 임용고사 출제 범위표 1. 공통영역(17) 1三國史記 「列傳」10『荀子』 「勸學」2三國遺事11『荀子』 「解蔽」3通鑑節要 「周紀」12『莊子』 「逍遙游」4通鑑節要 「秦紀」13『莊子』 「齊物論」5史記英選14『小學』 「稽古」6論語15『小學』 「嘉言」7孟子16『小學』 「善行」8大學17古文眞寶 後集9中庸 2. 한문소설(23) 1調信12崔陟傳2金現感虎13金英哲傳3白月山兩聖成道記14雲英傳4崔致遠15布衣交集5首揷石枏16折花奇談6溫達17沈生傳7薛氏女18許生傳8都彌19兩班傳9金鰲新話20烏有蘭傳10企齋記異21丁生傳11周生傳22結芳緣二八娘子 23宋班窮途遇舊僕 3. 산문(234) 작 가작품수작 가작품수작 가작품수무명씨3문무왕1원 효1김필오1최치원2최승우1김부식1임 춘2이인로1이규보8최 해2이제현4이 곡1..
호쾌한 임형수임형수(林亨秀) 이긍익(李肯翊) 李滉每嘆公之爲人曰: “眞奇才子也. 死非其辜, 寃哉! 寃哉!” 咄咄不已.公爲人, 磊落軒昂, 氣蓋一世, 且有文武才. 嘗與李滉同入書堂, 醉輒浩歌賦詩, 呼滉字曰: “君亦知男子奇壯事乎? 我則知之.” 滉笑曰: “第言之.”“大雪滿山, 着黑貂裘, 腰帶白羽長箭, 臂掛百斤强弓, 乘鐵驄馬, 揮鞭馳, 入澗谷, 則長風生谷, 萬木震動, 忽有大豕, 驚起迷路而走, 輒發矢引滿而射殪, 下馬拔釼, 屠之. 斫老櫟焚之, 長串貫其肉, 灸之, 膏血點滴, 踞胡床. 切而啖之, 以大銀椀快飲飲, 至醺然, 仰見壑, 雲成雪, 片片如錦飄灑醉面. 此中之味, 君知之乎? 君之所能者, 只是翰墨少技耳.” 遂擊節大笑. 滉每稱公之爲人, 必誦其言如是. 『燃藜室記述』 「明宗朝故事本末」 해석李滉每嘆公之爲人曰: 이황은 매번 임형수의..
고경명高敬命 : 1533(중종 28) ~ 1592(선조 25) 본관은 장흥(長興). 자는 이순(而順), 호는 재봉(霽峰)ㆍ태헌(苔軒). 1. 조선전기 임진왜란 당시 금산전투에 참전한 의병장. 문신. 2.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서울이 함락되고 왕이 의주로 파천되자 두 아들에게 각처에서 도망온 관군을 모아 광주목사(廣州牧使)에게 인계하도록 함. 3. 전라좌도 의병대장에 추대되어 왜적과 대항해 싸우다가 아들과 함께 순절함. 차송진사유순운次宋進士惟諄韻어주도漁舟圖문학통사한시사 인용 안내도
김안국金安國: 1478(성종 9) ~ 1543(중종 38)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국경(國卿), 호는 모재(慕齋). 김정국(金正國)의 형 1. 조광조(趙光祖)ㆍ기준(奇遵) 등과 함께 김굉필(金宏弼)의 문인으로 도학에 통달하여 지치주의(至治主義) 사림파의 선도자가 됨. 2. 1519년에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조광조 일파의 소장파 명신들이 죽음을 당할 때, 겨우 화를 면하고 파직되어 경기도 이천에 내려가서 후진들을 양성함. 3. 그 후 다시 등용되어 사대부 출신 관료로 성리학적 이념에 의한 통치의 강화에 힘썼고 중국문화를 수용하는 데에 평생의 노력을 기울임. 4. 『모재집』, 『모재가훈(慕齋家訓)』, 『동몽선습(童蒙先習)』 중구일정상사重九日呈上使분성증별盆城贈別도중즉사途中卽事청노기상임춘탄금聽老妓上林春彈琴칠..
인물이야기 목차 ㄱ 賈秀才傳郭將軍傳(김석주)김종직(권벽)琴師 金聖器(조수삼)김종수(뱀과 곰방대)김구용劍女(안석경)劒僧傳(신광수)김알지(일연)김시습(권벽)강가 효녀: 江上孝女傳 / 江上女子歌김만덕: 체제공 / 정약용김홍도: 강세황 / 정범조1 / 정범조2 / 신광하 ㄴ 盧克淸傳 / 玄德秀傳낙랑공주와 호동왕자 ㄷ 대장금 ㅁ 文益漸(태조실록)文天祥傳(김시습)梅湖公小傳 맹사성-효심 / 검소 / 공당문답 / 일생 ㅂ 백결선생朴氏傳(이색)白氏傳(이색)浮休子傳(성현)北窓傳(김득신)裴烈婦傳(이숭인)白雲居士傳(이규보)백광현(정내교) ㅅ 索囊子傳(허목)索囊子傳(김려)宋氏傳(이색)守禪傳(이첨)歌者宋蟋蟀傳(김려)司宰少監朴强傳(권근)率居(이수광) ㅇ 林將軍慶業傳(송시열)猊山隱者傳(최해)六臣傳(권응인)優人孝子君萬傳(권근)儒生裴尙..
개가에 반대해 죽어야만 했던 열녀 향랑 이야기열녀향낭전(烈女香娘傳) 윤광소(尹光紹) 열녀전을 지은 이유余間嘗攷劉向所撰次『烈女傳』, 多列國之風之所不載, 太史公ㆍ班椽父子之所不記, 而其事往往志士仁人之所難者. 心竊疑戰國先秦以來文人好事者之爲, 殆非其素也. 及聞善山烈婦事, 殆信向之所傳之爲非夸也. 於乎! 死生亦大矣. 彼紛黛笄幃之人, 乃顧若是烈耶. 余蓋傷焉, 於是作「烈女傳」. 시가, 친청, 외숙에게 모두 거절당한 향랑烈女名香娘, 嶺之善山人. 自幼性行甚端潔, 不從里中兒遊, 人異之. 年十六嫁, 夫性甚悖, 無夫婦道, 詈辱日滿室. 娘隱忍數年, 終不能容. 歸于父家, 乃歲凶, 饘粥乏繼. 母朝夕叱曰: “女旣嫁, 何以累我爲?” 父曰: “女何家不可居, 乃自苦若是.” 父而諷更嫁之, 娘誓斷髮毁形, 猶未置也, 又不能容. 往依于叔. 叔初頗撫..
林烈婦薌娘傳 婦朴姓 名香娘 農家子也 幼而端㓗 不喜與男兒遊 母蚤死 父自新有後妻嚚 常疾惡娘 箠楚使之 娘愈恭謹 十七 歸于林夫名七逢 年十四 稚而驁 視婦無狀 婦不以見諸色 謂夫年幼無知識 久必不然 逢旣長 愈益甚 數笞擊婦 捽歐逐之 其舅姑無以禁 迺遣婦 母見婦歸 怒曰 女必無狀 迺得罪夫家 父度不容 送之母家 居數月 其母兄弟謂婦曰 女不幸不得於夫 無所歸 吾憐汝不能處女平生 女常人子 從意所適 何爲久自苦乎 婦泣曰 公無出此言 妾聞女不二行 妾卑微無所知 又不幸遇人之無良 然已許身矣 不可以改 其以見棄之故 而二吾行乎 死而無從 其母兄弟怒 遇之漸怠 且約人潛脅婦 婦覺之 亡走夫家 逢盛怒以待之 舅悶然憐之曰 吾兒無義 不可以敎 且與女絶 女來何爲乎 從女所之 不止女 誓而遣之 婦泣曰 大人何爲出此言 妾矢不敢二其行 大人憐之 幸賜門外隙地以居妾 妾以死留 不敢去 舅不可 ..
강가의 효녀 이야기강상효녀전(江上孝女傳) 성해응(成海應) 기구한 삶에 내몰린 어린 아이江上孝女, 不知誰氏子. 故判書鄭載禧家在銅雀江上, 冬日有一童子乞食而至, 年可十二三, 貌甚姣. 一僮從焉, 年亦差一二長而又纖好. 問其族曰: “父責逋奴南方, 與一商人歸, 商人利其裝, 戕父於路.” 兒無依至此, 載禧悲之, 어린 나이에 살인을 하다暮舍之門傍, 間壁一嫗老無睡, 聞兩兒昵昵語, 閉息潛聽, 幽鳴嗚咽, 已而一兒若潛出, 移時返曰: “跡得矣, 賊方宿僧房店第幾舍” 一兒卽大哽塞曰: “腐心者三年, 今始遇矣.” 一兒曰: “娘子但泣而已乎. 天將明矣, 少緩復失之.” 卽綷綷有結束聲, 戶開蹀蹀然, 已而無跡, 時月明如晝. 嫗爲之髮竪, 年老鈍劣, 懼不敢跡. 天旣明, 聞僧房店有人殺客商而逸, 刀凾胸不抽首. 其街嫗以告載禧, 載禧大驚, 良久太息曰: “卽..
이화암 늙은 스님에 대한 이야기이화암노승전(梨花庵老僧傳) 정범조(丁範祖) 1화: 병자호란으로 겪은 새옹지마 병자호란으로 심양에 잡혀가다僧歡州人, 世爲州掾吏 仁祖丙子, 淸胡薄京城, 進圍南漢, 縱兵四掠, 俘虜男女老弱. 僧年十七, 被虜赴瀋, 隷卒伍, 胡中, 皆虜奴遇也. 군대에서 두각을 나타내 인정받다一日胡酋下令軍中, 試角觝戱. 有三胡最勇壯, 善角觝, 莫有敵者. 僧與之戱連踣三胡, 胡酋喜賜善馬騎之. 嘗大雪, 獵醫巫閭, 有猛虎騰赴, 人莫敢近. 僧躍馬射一發而殪. 胡酋爲氣奪, 立超爲隊長, 日益親幸. 잘 살게 됐지만, 좋질 않네於是瀋中富胡嫁以女, 僧蓄貲産自豪. 日馳騁射獵寧塔ㆍ狼山間甚適居 久之. 淸順治帝入據燕京, 我人之被虜留瀋者, 咸得贖金遣還, 僧感念故國, 棄孥帑東還. 2. 조선에서 아전이 되었다가 스님이 된 사연 조선에..
3. 전을 짓게 된 이유와 스님에 대한 평가 정범조(丁範祖) 스님의 세 가지 대단함海左生曰: “僧奇男子也. 方弱齡, 束縛入强虜中, 能以勇力見使, 奮跡行間. 乘時進取, 則富貴可立致, 而顧不忍去父母國, 陷身夷狄, 脫屣東歸, 其志奇. 以格虎之氣. 而屈之鴈鶩間, 非所以處豪傑也. 俠娼酣歌, 豈眞迷戀女色. 盖欲少洩其鬱塞耳, 其氣奇, 其犯法當死, 不北逃胡南遁粤. 而歸質空門, 與木石俱晦, 其跡奇.盖三變節, 而事益奇, 是不可使䵝昧無傳也. 스님의 자취를 제대로 알고 있던 선배에게 이야기를 듣다崔先輩杜機翁, 自言‘少日游梨花庵見僧, 時年九十五. 狀貌魁梧, 兩目爍爍射人. 時轉喉高唱, 響振林木. 因就詰其事蹟顚末甚詳, 爲作「梨花庵老僧詩」, 行于世. 翁名成大. 自號杜機, 君子人也. 僧不錄其姓名, 豈詩故晦之耶? 『海左先生文集』 卷之三..
2. 조선에서 아전이 되었다가 스님이 된 사연 정범조(丁範祖) 조선에서 아전으로 인정받다 한순간에 끝나다旣至歡州産業, 親黨蕩亡畧盡, 無所寄托. 操刀筆爲吏役, 意悒悒不樂. 會州守遣僧, 領漕船, 往京師. 僧行至漢津, 挾冶女善唱者, 酒酣, 使倚瑟爲曼聲. 立散所漕米數百斛, 爲纏頭費, 自度法當死. 갑자기 스님이 되어 생을 마감하다迺跳夜抵伽倻山絶頂, 刦闍梨, 剃頭髮爲僧. 自是手甁錫, 遍遊域內名山. 登漢挐上長白, 歷妙香ㆍ頭流ㆍ金剛ㆍ俗離諸山, 倦而歸, 至梨花庵, 將托死焉. 해석 조선에서 아전으로 인정받다 한순간에 끝나다 旣至歡州, 産業親黨蕩亡畧盡, 이미 환주에 이르러 생업에 종사했지만 친척과 친구는 거의 사라져 無所寄托. 의지할 곳이 없었다. 操刀筆爲吏役, 意悒悒不樂. 문서 기록【刀筆: 문서 따위를 기록하는 일.】을 ..
1화: 병자호란으로 겪은 새옹지마 정범조(丁範祖) 병자호란으로 심양에 잡혀가다僧歡州人, 世爲州掾吏 仁祖丙子, 淸胡薄京城, 進圍南漢, 縱兵四掠, 俘虜男女老弱. 僧年十七, 被虜赴瀋, 隷卒伍, 胡中, 皆虜奴遇也. 군대에서 두각을 나타내 인정받다一日胡酋下令軍中, 試角觝戱. 有三胡最勇壯, 善角觝, 莫有敵者. 僧與之戱連踣三胡, 胡酋喜賜善馬騎之. 嘗大雪, 獵醫巫閭, 有猛虎騰赴, 人莫敢近. 僧躍馬射一發而殪. 胡酋爲氣奪, 立超爲隊長, 日益親幸. 잘 살게 됐지만, 좋질 않네於是瀋中富胡嫁以女, 僧蓄貲産自豪. 日馳騁射獵寧塔ㆍ狼山間甚適居 久之. 淸順治帝入據燕京, 我人之被虜留瀋者, 咸得贖金遣還, 僧感念故國, 棄孥帑東還. ▲ 포로로 잡혀가는 조선인의 모습.(영화 [최종병기 활]의 장면) 해석 병자호란으로 심양에 잡혀가다 僧歡州人,..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kL7M/btskiUeKjSu/DIaGSabrKiBnbvKVqoEND1/img.jpg)
여항문학(閭巷文學)과 서민문학(庶民文學) 임형택 1. 정의 ‘여항의 노래’로서의 시조문학(時調文學)과 ‘여항의 시’로서의 한시 문학 2. 성립 조건 직업과 관련된 문학적 교양, 태평한 기운 속에서 문학의 보급 확대, 사대부 시인의 지원 3. 성격 1. 직업: 조선에 필요한 기능적인 직업과 말단의 행정실무 담당. 2. 성격: 신분의 한계로 진출엔 문제가 있었으나 평민에 비해 풍요로웠으며 상당한 교양을 소유함. 3. 시대적 배경 1) 대동법(大同法) 실시 이후 화폐경제가 발달되고 상공업이 발전함으로 17ㆍ18세기 서울 여항 사정은 활기를 띰. 2) 여항의 자제들을 교육하는 학자 등장 3) 여항인들이 백련사ㆍ옥류동 등지에서 시회(詩會)를 자주 열었음 → 여항 문학이 발생하게 된 직접적인 배경 시대 17C~18..
조선전기 사대부(士大夫) 문학 임형택 1. 개념규정 1. 사대부의 성격 규정대부(大夫)사(士)출(出)처(處)치군택민(致君澤民)사명응제(辭命應製)한유자적(閒遊自適)음풍농월(吟風弄月)관각문학(館閣文學)처사문학(處士文學)경국(經國)의 문장으로 불후(不朽)의 성사(盛事)를 장식하는 문학일세(逸世)의 정취를 추구하고 한적한 인생을 자락(自樂)하는 문학 2. 처(處)의 분화산림(山林)관(官)처(處)도의와 심성에 편안히 즐기는 자(山林處士)현허(玄虛)와 고상을 사모하여 즐기는 자(方外人) 아유(阿諛) 문학과 시군(時君)에 영합하는 문장전호(佃戶)와 노비(奴婢)에 기생, 예악(禮樂)에 속박⇒방달불기(放達不羈) 3. 문학관: 한문학을 본령으로 삼고 우리의 감정을 담아 우리 문학으로서의 개성을 살림. 2. 문학관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swx0/btskeEReRSk/Dm1HEa2k7KikhcOuw3Ge81/img.jpg)
고려(高麗)시대 고문의식(古文意識) 김건곤 나말여초(羅末麗初): 변려문(騈驪文)과 만당풍(晩唐風) 1. 문풍(文風): 만당풍(晩唐風) ① 특징: 고사(故事)와 정치(精緻)한 대구, 성률의 해화(諧和), 극도의 수식과 인위적 표현) ② 이유: 유미주의적 선집인 『문선(文選)』의 영향, 도당(渡唐)유학생인 최치원(崔致遠)을 비롯한 인물들이 저물어가는 당에서 배워왔기에. ③ 고려초기에 만당풍이 완고해진 이유: 과거제 실시, 사학(私學) 흥기, 교육제도 완비, 예종ㆍ인종의 호문 장려 여초(麗初): 변려문(騈驪文) VS 고문(古文) 1. 재도적(載道的) 문학사상(文學思想)의 대두와 변려문(騈驪文)의 비판 ① 최승로는 ‘시무이십팔조(時務二十八條)’로, 최충(崔沖)은 사학으로 유풍 진작에 힘썼으며 예종ㆍ인종 연간에 ..
이명한李明漢: 1595(선조 28)∼1645(인조 23) 자(字) 천장(天章), 호(號) 백주(白洲). 이정구의 아들임. 1. 1610(광해군2)년에 사마시 합격, 1616년에 증광문과에 을과에 급제하여 벼슬생활 시작. 2. 인목대비(仁穆大妃) 폐모론(廢母論)이 일었을 때 정청(庭請)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해서 파직됨. 3. 인조반정 후 1623년에 다시 등용되어 요직을 맡음. 4. 1643년 이경여(李敬輿)ㆍ신익성(申翊聖) 등과 척화파로 지목되어 심양(瀋陽)에 억류됨. 중양전일일 희용리어구호重陽前一日 戱用俚語口號백마강白馬江원통야월圓通夜月수종사水鍾寺문학통사한시사 인용 안내도
임억령林億齡: 1496(연산군 2)~1568(선조 1) 자(字) 대수(大樹), 호(號) 석천(石川). 본관 선산(善山). 전라도 해남서 출생. 1. 박상(朴祥)에게 수학함. 2. 1525년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벼슬생활 시작. 3. 1545(명종 즉위년)년 을사사화(乙巳士禍) 때 동생 백령(百齡)이 소윤 윤원형(尹元衡) 일파에 가담하여 대윤의 많은 선비를 추방하자 자책을 느끼고 벼슬을 사직함. 그 뒤 동생이 원종공신(原從功臣)의 문서를 보내오자 불태우고서 해남에 은거함. 4. 그 뒤에 등용되어 여러 벼슬을 맡음. 5. 『석천집(石川集)』이 남아 있음. 송백광훈환향送白光勳還鄕시자방示子芳추촌잡제秋村雜題수함관어水檻觀魚초공섭招公燮득영자운得營字韻문학통사한시사 인용 안내도
홍양호洪良浩: 1724(경종 4)~1802(순조 2) 본관은 풍산(豐山)임. 초명은 양한(良漢). 자(字) 한사(漢師), 호(號) 이계(耳溪). 1. 1752년 정시문과에 급제하고 지평 수찬ㆍ교리를 지냄. 2. 1777년 홍국영의 세도정치가 심해지자 경흥부사로 있다가 홍국영이 실각하사 한성부우윤ㆍ대사간을 지냄. 그 후 1794년 사은사로 청나라에 다녀온 후 이조판서가 됨. 3. 중국에 다녀와선 고증학(考證學)을 보급함. 4. 『이계집(耳溪集)』ㆍ『육서경위(六書經緯)』·『군서발배(群書發排)』·『격물해(格物解)』·『칠정변(七情辨)』·『동해명장전(海東名將傳)』·『고려대사기(高麗大事記)』·『흥왕조승(興王肇乘)』·『삭방습유(朔方拾遺)』·『북새기략(北塞記略)』·『만물원시(萬物原始)』·『향약절중(鄕約折中)』 시해詩解..
郭將軍傳 郭將軍再祐者 嶺南玄風人也 字季綏 父越 當明宗朝 擢巍科著聲 官終觀察使 再祐亦能文 累捷鄕解庭試明經 然非其好也 爲人沈勇多大慮 兼通武事 平居恂恂然若無能者 時人未之識也 獨越奇之 再祐嘗從越朝帝京師 有相者見曰 子當立奇功 顯名天下 隣有富人女貌美 其父甚愛曰 嫁吾女 必爲宰相妾 再祐聞而求曰 若必欲爲宰相妾者 與我 其父奇其言遂與之 頃之越卒 再祐居喪篤禮 鄕人稱其孝 再祐因棄擧子業 結茅爲亭於岐江之上 時從釣徒以自娛 至宣祖壬辰 年已四十餘 時倭酋平秀吉大擧兵入寇 號三百萬 先陷東萊 嶺以南皆震 左右巡察節度 皆恇怯庸奴 爭棄鎭鳥獸竄 俄而賊連陷十餘郡 遂躪八路 昇平二百年 民不見干戈 無一人爲國家忼慨奮死志 東嚮而發一矢者 再祐在宜寧田間 獨憤然倡曰 方閫重職也 唯務爲偸生之計 不念國之存亡 在野者可以死矣 遂散家財 募鄕中壯士 括妻妾璣縞之飾 盡與壯士妻子 不..
林將軍慶業傳 林將軍慶業字英伯 居忠州達川 少以弓馬爲業 大丈夫三字 常不絶於口 亦好讀書 常慨然自歎曰 吾稟天地之氣 不爲物而爲人 不爲婦人而爲男子 惜乎生此偏邦 將局束以送一生也 丁卯虜變 朝廷與 媾 以却其兵 將軍時不甚知名 奮曰 朝廷與我精砲四萬 則將往殲彼虜 洗劍鴨水而歸耳 崇禎丁丑 虜以我王世子入瀋陽 又執斥和人洪掌令翼漢以去 將殺之 沿路守宰 恐懼莫敢與語 將軍時爲義州府尹 出迎執手曰 士大夫死得其所難矣 公名將與太山北斗爭高矣 供奉甚豐 又資送極厚 談笑送別 絶無嗟勞語 時虜酋聞將軍名 必欲用之 凡擊椵島及西犯 必使朝廷爲將而送之 將軍以計誑虜 虜一切墮將軍計中而不覺也 至蓋州海中 與天兵相遇 虜使其親信者數輩 同載一船 以察事情 將軍亦 隨機出奇 方其戰時 使砲兵密用土丸 天兵發矢 亦故使不及 故兩軍一無所傷 將軍忽使善水者二卒佯墮水 潛傳本國忠悃於天將之船 因通虜人..
남령전(南靈傳) 이옥(李鈺) 南靈字烟 其先有淡巴菰者 當崇禎間 以醫術聞 嘗遊九邊 治戌卒寒疾甚神 以功封南平伯 子孫遂氏焉 靈其枝葉也 爲人短小精悍 黃黑色 性甚剛烈 習兵書 善於火攻 天君御國之三十二年 夏六月 大霖雨 踰月不止 於是 靈臺賊秋心 起兵作亂 連陷鬲縣齊州等地 方塘失守 圍天君數重 困於垓心 徵諸將入援 黃卷從銀海 欲徑趨九曲河 賊熾火焚之 卷蹙於眉山 不得入 或薦靈可將 天君乃使火正黎 持節拜靈爲神火將軍平南侯 使火速赴難 靈聞命 仗節臨軍 設烽燧於金臺 從篔簹谷穴道而行 過石城 涉華池 踰咽喉關 遇賊於鬲縣 燒走之 進戰於靈臺下 與賊大鏖 火烈風猛 烟氛回塞 秋心赴火自焚死 餘黨悉降 天君大悅 使使冊靈爲西楚覇王 加九錫 其冊曰 向者 朕否德 自胎心腹之憂 賊秋心與其徒長白髮夢不成等 侵蝕郡縣 勢甚熾盛 終至劍臨防意之城 矢及神明之舍 股肱之郡 莫能相救 肺腑..
北窓姓鄭 名(車栗) 字士潔 號北牕 東方之異人也 生而天稟甚高 聰明出衆 凡書一寓目而盡誦 天文地理醫藥卜筮曆算律呂華語聖學禪學仙方 皆不學而能 鳥獸之音亦解 欲試六通之術 入山靜處 三日洞曉 山下百里間事 如目睹之 素患淸羸 必合口正坐 待日出始啓齒出氣 不嗜肉 喜耽酒 雖盡數斗不及亂 至晩年不飮一勺 於詩多信筆直寫 暢其意而已 不必要其精妙 年十四 隨親赴中國 到遼陽逢華人 輒爲華語 入中國 遇外國使 能識其國語 且遇琉球使者 使者在其國也 以易數推之 知其入中國遇異人 至中國遍訪諸外國使邸館 得見北窓 卽屈膝而拜 搜囊裏出小冊子 記某年某月某日 入中國遇異人 眎北窓曰 公非異人耶 仍大悅之 與之同處三日三夜 礱磨易數 其使亦異人 且有人聞之來見曰 願與公作詩 遂先唱曰 東國眞男子 北窓卽應曰 中華美丈夫 其人卽瞠然而退 在玉河館 記家中瑣瑣之事 及還家 以所記考準之 未有錯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iIpA/btsuQvI3v0U/oOXgADQzRszpcIRmm05tik/img.png)
둥둥 떠서 쉬는 듯 사는 이의 이야기 부휴자전(浮休子傳) 성현(成俔) 浮休子者, 靑坡居士之自號也. 居士悃愊無華, 純謹質直, 不通關節於人, 不立權勢之途, 不預罇酒迎送之會, 不營家人生産作業. 得之則豊飱美服, 不以爲有餘, 麁衣惡食, 不以爲不足, 性又多勤, 樂觀經史. 或譏其迂, 居士曰: “我其迂哉? 我則迂於世, 而不迂於學, 迂於人所見, 而不迂於身所謀, 讀于經以治其心, 讀于史以資諸事業, 如斯而已矣, 我其迂哉?” 居士嗜作詩, 或譏其拙, 居士曰: “不然. 詩可以寓性情, 該物理, 驗風俗, 知善惡. 居則觸興抽思, 消遣歲月; 出則作爲雅頌, 黼黻王度, 豈徒嘲嘯而已哉? 世之機變於利而墻面於學者, 未是不迂, 而我則不迂也.” 居士喜皷琴, 或譏其放誕, 居士曰: “我非巧其音聲也, 所以諧律呂也, 非縱淫逸也, 所以成中和之德也, 非徒詠歌也..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asejE/btstg2aptpg/li3wb8QzhfysnWvQjuTG61/img.jpg)
남송 승상인 문천상의 절개 문천상전(文天祥傳) 김시습(金時習) 宋祥興戊寅, 元將張弘範至潮陽, 丞相文天祥被執, 呑䐉子不死. 明年, 弘範至崖山, 脅天祥令以書招張世傑. 天祥曰: “我不能扞父母, 乃復敎人叛父母乎?” 弘範曰: “國已亡矣, 子欲殺身爲忠, 誰復書諸簡策乎?” 天祥曰: “商非不亡, 夷·齊不食周粟, 爲人臣者, 各盡其心, 何論書與不書?” 弘範改容. 送燕, 不食八日不死. 至燕, 丞相孛羅問曰: “汝立二王, 做得甚麽事?” 天祥曰: “立君以存宗廟, 存一日則盡臣子一日之責. 人臣事君, 如子事父母, 父母有疾, 雖甚不可爲, 豈有不下藥之理? 但死而已, 何必多言?” 繫獄月餘, 在獄, 作正氣歌, 其詞甚激烈, 後又再問, 辭愈不屈, 乃放. 及至元壬午, 元賜死, 南向跪而死. 後見其衣帶中有贊, 其詞曰: “孔曰成仁, 孟曰取義. 惟其義盡..
도학선생(道學先生) 이광정(李光庭) 南之野, 有一夫婦勤業. 其始也, 短褐不給, 常資於人, 已致僮千人, 田帶郭千頃, 財累巨萬, 然非其夫之能, 實婦才也. 旣而婦語其夫曰: “方今人惟富貴之趨, 吾已富矣, 惟靑紫不綰於身, 人知附而不知尊, 子無意西遊京師間乎?” 夫曰: “噫! 吾自幼失學, 無自致之路, 奈何?” 婦曰: “無憂也.”於是裝爲上京, 館於用事者宰相之門外. 敎其夫洒掃堂室, 置性理諸書于案, 圖書左右其壁, 令夫晨起對卷危坐, 宵則敎之以應對揖讓進退之節, 戒曰: “有來觀者問子, 子唯曰: ‘不知也.’ 有問學者問子, 子唯曰: ‘不知也.’ 彼雖强問, 子亦曰: ‘不知也.’” 婦自買遠方奇珍玩好, 交結相君家侍女以遊, 聲於內相君, 侍女旣得好貨, 日繩其夫婦於相君夫人, 以聞於相君, 由是相君家子弟, 往往出見夫, 見夫常對性理書, 危坐謙恭,..
송반궁도우구복(宋班窮途遇舊僕) 미상(未詳) 古有官族宋氏, 久替簪纓, 宗支諸人, 幾盡淪喪, 只有孀婦孤兒, 零丁孤孑. 有一小僮莫同, 幹理家務, 以替外庭. 一日, 忽逃去, 闔門嗟惜, 莫詗其迹. 過三四十年後, 其孤兒長成, 貧窮轉甚, 不自能存, 欲往投于關東一邑倅親知者. 路出高城郡, 日暮店遠, 往尋人烟, 踰一崗, 崗下千家同井, 碧瓦欲流, 溪山艶冶, 亭榭參差. 乃就而問之, 則洞之豪者, 崔承宣也. 生踵門請謁, 有一少年秀才, 肅生而入, 舘于一舍. 坐未定, 一靑衣傳承宣言曰: “靜閴無以陶寫, 邀客位入座請款.” 生隨敎踵至, 有一老人, 豊頤廣顙, 兩眼燁燁有光, 見生致禮, 容儀端整. 剪燭談話, 將及三更, 承宣屛左右, 緊閉門, 仍免冠拜伏于生之前, 號泣請罪. 生莫知端倪, 吃了一驚曰: “令公何故作此駭怪之擧乎?” 承宣曰: “小人卽貴奴莫..
지봉전(芝峰傳) 미상(未詳) 孝廟朝人金福相, 美風度, 善談論. 上甚愛之, 使處密邇, 分饋御饌, 晝引博奕, 夜討書籍, 引見無時, 暫不離側, 甚愛寵, 雖漢文之鄧通, 孝成之董賢, 殆不過焉. 一夕, 夜分後, 承命退宿, 時正七月七夕也. 金風乍動, 玉露初零, 月墮河傾, 萬象俱寂, 而牛女兩星, 依然若相近相親也. 覽物興懷, 心語自歎曰: “我以靑年標致, 遭致聖明, 頂玉腰金, 榮寵無比, 風雲之契, 雖曰至矣, 蘭閨柳市, 芳塵久斷, 袵席之歡, 尙此闕如, 是所欠也. 贈([曾])彼牛郞, 逢著天孫, 穩度長夜, 而我是何人, 獨伴孤燈, 一枕偏倚, 半衾未煖? ‘秋夜長, 殃([夜])未央’, 信不虛語也.” 短吁長嘆, 方欲就枕. 忽有一美人, 倚明粧, 引暗燈, 隱隱而來, 微微而入, 曰: “相公近日無恙否?” 福相攝衣驚謝曰: “國禁猶嚴, 內外自別..
김영철전(金英哲傳) 홍세태(洪世泰) 金英哲 平安道永柔縣中宗里人也 其家世武科 英哲自幼好馳馬善射 爲本縣武學 戊午皇朝大發兵討建州虜 徵兵于我 我以姜弘立爲都元帥 金景瑞爲副 領二萬兵赴之 英哲與其從祖永和 隷左營將金應河爲前鋒 時英哲年十九未娶 父汝灌及英哲皆獨身無兄弟 臨行 祖永可泣而送之曰 汝不歸 則吾世絶矣 英哲曰必歸也 八月我軍會昌城 天兵會遼東 經略楊鎬以虜地早寒 南方人馬不能冬 奏請待春乃擧 己未春二月 弘立率兵渡江 與天兵會于景馬田 進踰牛毛嶺 擊破十餘堡 乘勝而進 天兵前 我左營次之 中營又次之 右營殿 虜悉精銳數萬 遣其子貴永可擊敗天兵 遂薄我左營戰 應河急呼弘立救 弘立不應 景瑞獨進戰 還謂弘立曰虜衆疲劇 抱鞍睡 往往墮馬 我以大兵夾攻 破虜必矣 弘立出囊中密旨以示景瑞 景瑞氣沮不敢言 應河戰死 弘立,景瑞降 弘立之出師也 選降倭三百以從 至是 獻虜 虜主大..
홍도(紅桃) 장지연(張志淵) 鄭生者南原人, 失其名. 少時工吹簫喜歌唱, 意氣豪宕不羈, 以俠聞. 同郡張氏有女, 名紅桃, 姿色絶美, 才德賢淑. 生爲求婚於張, 張氏許之. 及吉日將迫, 張忽辭之曰:“鄭生不學 好遊俠放蕩 不可.” 紅桃聞之, 言於父母曰: “婚姻者天所定也. 旣已定日, 而背之, 不祥. 願歸初定之人” 於是, 父感其言, 遂與鄭生婚. 居數年, 擧一男名夢錫. 後値兵火搶攘, 生以武藝被選, 爲防守軍官. 時明摠兵楊元, 守南原, 生在城中, 紅桃裝男子服隨夫供役, 軍中莫之如也. 子夢錫隨祖父, 入智異山避禍. 及城陷, 生隨摠兵得出, 而與紅桃相失. 謂其妻必隨明兵而去, 乃跟明兵, 轉入明浙江省, 行乞於市遍求紅桃, 物色之. 鄭生, 一日, 同某兵士至江上, 舟遊月下, 夜半酒闌, 乃出懷中簫, 吹思君調一闋, 隣船有人語曰: “簫聲似前日朝鮮人曲..
영영전(英英傳) 미상(未詳) 弘治中, 有成均進士 金生者, 忘其名. 爲人容貌粹美, 風度絶倫. 善屬文, 能笑語, 眞世間奇男子也. 鄕里以風流郎稱之. 年甫弱冠, 登進士弟一科, 名動京華. 公卿大家願嫁愛女, 不倫財寶也. 一日, 自泮宮還其第, 馬上遙見靑帘隱映於綠柳紅杏之間, 生不勝春興之惱, 思醉如渴. 遂典白紵單衫, 沽得眞珠紅酒, 酌以花磁盞而飮之, 醉臥酒樓之上, 花香襲衣, 竹露酒面. 俄而, 夕陽橫嶺, 飛鳥栖林, 僕夫促歸. 生起而上馬, 揮鞭登道, 則白沙平鋪乎遠近細柳垂裊乎川源. 遊人盡散, 行路漸稀. 生感興微吟, 遂成一絶 曰: 東陌看花柳, 紫騮驕不行. 何處玉人在? 桃花無恨情. 吟竟, 半擡醉眼, 則有一美人, 年纔二八. 蓮步輕移, 陌塵不起, 腰肢嫋嫋, 態度婷婷, 或行或止. 或東或西, 或拾瓦礫, 打起鶯兒, 或攀柳條, 佇立斜陽; 或..
위경천전(偉敬天傳) 권필(權韠) 大明萬曆間, 有韋生者, 金陵人, 名岳, 字敬天, 古唐賢韋應物之後也. 性質聰明, 才華羨秀, 年至十五而成文章, 詩韻效蘇州, 淸逸過之. 擅名當世, 人無依迹. 壬辰, 與張生偶共過長沙之北, 時正暮春, 景物芳華, 張生忽起彈冠曰. “踏靑佳辰三月, 吾儕今在逆旅中, 已不及蘭亭之會, 而佳麗江南, 地勝人和, 靑帘紅杏, 滿家春風, 杖頭金錢, 可買一日歡也. 況名山引興, 天假良辰, 今不可見岳州形勝乎!” 韋生曰: “知我者子也.” 郎與張生, 直抵岳陽城下, 日已昏黑矣. 是夕, 借宿於漁人之舍, 翌日早朝, 急扣江村, 艅酒俱船, 遊於洞庭南. 是日也, 風淸景明, 波文不動, 水碧天淸, 上下一色, 江邊畵屋, 遠近參差, 縹緲笙歌, 皆如鶴上仙也. 韋生岸巾登舟, 長吟兩絶, 其詩曰 “桂棹蘭槳溯碧流, 岳陽城北暫回頭 春風十..
수삽석납(首揷石枏) 박인량(朴寅亮) 新羅崔伉字石南. 有愛妾, 父母禁之, 不得見數月. 伉暴死, 經八日, 夜中伉往妾家. 妾不知其死也, 顚喜迎接, 伉首揷石枏, 枝分與妾曰: “父母許與汝同居, 故來耳.” 遂與妾還, 到其家, 伉踰垣而入, 夜將曉, 久無消息. 家人出見之, 問來由. 妾具說, 家人曰: “伉死八日, 今日欲葬, 何說怪事?” 妾曰: “良人與我, 分揷石枏枝, 可以此爲驗.” 於是, 開棺視之, 屍首揷石枏, 露濕衣裳, 履已穿矣. 妾知其死, 痛哭欲絶, 伉乃還蘇, 偕老三十年而終. 『大東韻府群玉』 卷8
종옥전(鍾玉傳) 목태림(睦台林) 愛侄別起書樓 耽讀固辭婚禮雍正間, 楊州士人有金公者, 簪纓族也. 名聲振, 字而遠, 以能詩鳴於世. 兄之子鍾玉, 年纔二八, 容貌秀麗, 才藝工敏, 以長短之製, 亦稱於鄕, 妙章佳句, 傳播人口. 公鍾愛之, 敎勸不懈, 視同己子.丙子十九年春, 公仕原州, 鍾玉從之. 公至州之明年, 課農桑, 輕徭賦, 臨下以簡, 御衆以寬, 御衆以寬, 州民旣皆悅喜. 公於堂之北爲亭焉, 以爲鍾玉講習之所, 花階蓮潭, 極爲簫酒. 奧越明年, 鍾玉家書自京師至, 吏以時告公. 公於退之暇, 召鍾玉出示曰: “汝當束髮之歲, 而家書再至, 以爲結婚於某處, 汝往可也.” 鍾玉避席再拜曰: “家書頻到, 父敎雖嚴, 小子年未及冠, 預欲成婚, 人倫之始, 雖云重矣, 夭札之崩, 亦可畏也. 佇待年壯而學就, 合巹行醮, 恐未晩也.” 公拍案大笑曰: “汝來前,..
최치원전(崔致遠傳) 崔致遠, 字孤雲, 年十二西學於唐. 乾符甲午, 學士裵瓚掌試, 一擧魁科, 調授溧水縣尉. 嘗遊縣南界招賢館, 館前岡有古塚, 號雙女墳. 古今名賢遊覽之所. 致遠題詩石門曰: 誰家二女此遺墳? 寂寂泉扃幾怨春?形影空留溪畔月, 姓名難問塚頭塵.芳情徜許通幽夢, 永夜何妨慰旅人.孤館若逢雲雨會, 與君繼賦洛川神. 題罷到館. 是時, 月白風淸, 杖藜徐步. 忽覩一女, 姿容綽約, 手操紅袋, 就前曰: “八娘子·九娘子, 傳語秀才. 朝來特勞玉趾, 兼賜瓊章, 各有酬答, 謹令奉呈.” 公回顧驚惶. 再問: “何姓娘子?” 女曰: “朝間拂石題詩處, 卽二娘所居也” 公乃悟. 見第一袋, 是八娘子奉酬秀才. 其詞曰: 幽魂離恨寄孤墳, 桃臉柳眉猶帶春. 鶴駕難尋三島路, 鳳𨥁空墮九泉塵. 當時在世長羞客, 今日含嬌未識人. 深愧詩詞知妾意, 一回延首一傷神. 次..
최생우진기(崔生遇眞記) 신광한(申光漢) 眞珠府之西, 有山曰頭陀, 山之勢, 北控金剛, 南挹太白. 其磅礴穹窿, 中豁天衢者, 界爲嶺東. 西山之高, 不知其幾仞也. 其間有洞, 洞有湫焉, 不知其深幾丈也, 湫之上, 有玄鶴巢焉, 不知其來幾年也. 或名鶴巢洞, 或名龍湫洞.世指以爲眞境, 莫有尋其源者, 臨瀛有崔生者, 倜儻外榮利, 好遊覽山水, 人笑其迂.嘗與學禪者證空, 久寓頭陀之無住菴. 生一日讀靑囊秘訣, 罷起而開葱, 則秋空晃朗, 山木彬斑, 飄然有遐擧之思, 謂證空曰: “吾生長此地, 遊此山熟, 所不討者, 獨龍湫洞. 孰能從我者, 吾與之遊?”空哂曰:“果哉! 子之迂也 子焉能遊此洞乎? 貧道入此山, 已二十一年, 嘗聞洞之靈秘, 意有眞人存焉, 頗懷往從之志. 石竇崖罅, 泉脈滲漏處, 靡不探索, 而四面巇嶔, 無線路可遵. 但洞之艮方, 兩崖微凹, 攀緣而..
주생전(周生傳) 권필(權韠) 周生, 名繪, 字直卿, 號梅川. 世居錢塘, 父爲蜀州別駕, 仍家于蜀. 生少時, 聰銳能詩, 年十八爲太學生, 爲儕輩所推仰, 生亦自負不淺. 在太學數年, 連擧不第. 乃喟然嘆曰: “人生世間, 如微塵棲弱草耳. 胡乃爲名韁所係, 汨汨塵土中, 以送吾生乎?” 自是, 遂絶意科擧之業. 倒篋中有錢百千, 以其半買舟, 來往江湖, 以其半市雜貨, 取嬴以自給, 朝吳暮楚, 維意所適. 一日, 繫舟岳陽城外, 訪所善羅生. 羅生, 亦俊逸士也. 見生甚喜, 買酒相歡. 生不覺沈醉, 比及還舟, 則日已昏黑. 俄而月上, 生放舟中流, 倚棹困睡, 舟自爲風力所送, 其往如箭. 及覺, 則鍾鳴煙寺, 而月在西矣. 但見兩岸, 碧樹葱朧, 曉色蒼芒, 樹陰中時有紗籠銀燭隱映於朱欄翠箔間, 問之, 乃錢塘也. 口占一絶曰: 岳陽城外倚蘭槳, 一夜風吹入醉鄕. ..
오유란전(烏有蘭傳) 미상(未詳) 大明順和年間, 東方漢陽地, 有二宰相, 曰金曰李. 俱以簪纓之族, 地醜德齋, 世交殷密. 金相語李相: “吾兩家豚兒, 生年日時, 若合符契, 事不偶耳. 使當同學, 見其成就, 豈非吾儕晩景之樂哉?” 李相曰: “此誠余意.” 乃酒掃一間精舍, 使之同師, 連衾比床, 二生亦相與矣. 心曰: “男兒功名, 早晩必成. 周召之功, 可期於古周, 管鮑之風, 復吹於今世. 園中之花, 澗畔之松, 設有早晩之差殊, 彼此眷顧, 不相忘也.” 指金石而爲固, 若膠漆而相沕. 日去月諸, 學與年深, 擧子工程, 成已造極矣. 歲在甲子, 國有大慶. 玉冊已拌, 金榜將開, 二生携手入場, 硏片片槧周旋. 及夫唱第, 一點龍額, 一嘆山外, 山外者李, 龍額者金. 金以秀才, 履歷翰玉, 陞資進級, 除得箕伯之日, 卽邀李生, 語其偕往之意. 生曰: “君..
안빙몽유록(安憑夢遊錄) 신광한(申光漢) 有書生 姓安名憑者 累擧進士不第 就南山別業 居閑 所居之後圃 多植名花異草 日哦詩其間 嘗於暮春末 天氣淸和 生乃吟翫花卉 怡怡往來者不已 居然氣倦 坐憑老槐樹 摩挲 口自語曰 “世傳槐安之說 甚誕 吁亦怪哉” 徙倚閒 忽思假睡 初覺有彩蝶 大如伏翼 翩翩於鼻端 生怪而逐之 蝶或近或遠 若導而行 行數里許 抵一洞口 桃李爛開 其下有蹊 彷徨欲回 向來所逐蝶 倏亦不見 蹊間遇靑衣童子 年可十三四 拍手前笑曰 “安公來矣” 仍趨而去 其行若飛 生嚑認其童 初不相識 心頗怪之 遂尋蹊而入 見一屋宇 繚以粉墻 朱甍碧瓦 輝映山谷 殆非人間制度 稍進外戶 彩闥齊開 俄有一女侍出 絳唇翠袖 婥約多姿 直至生前 含笑低垂 頗若舊相識者 先叙 遠來良苦 且傳 “寡君 聞公迂道 甚喜 將欲分庭設拜 且可少住”生仍問 “寡君爲誰”不敢問宗緖 女曰 “寡君 氏陶..
수성지(愁城志) 임제(林悌) 天君卽位之初, 乃降衷之元年也, 曰仁, 曰義, 曰禮, 曰智, 各充其端, 率職惟勤. 曰喜, 曰怒, 曰哀, 曰樂, 咸總於中, 發皆中節, 曰視, 曰聽, 曰言, 曰動, 俱統於禮, 制以四勿.維時天君, 高拱靈臺, 百體從令, 鳶飛之天, 漁躍之淵, 莫非其有. 桐梧之月, 楊柳之風, 莫非其勝, 不勞舜琴, 五鉉何順, 堯階三尺, 無欲虎焉. 而可縛無忿山, 而可摧四海之內, 孰不曰其君也哉. 越二年, 有一翁, 神淸貌古, 自號主人翁, 乃上疏曰: “竊以危生於安, 亂仍於治, 故不虞之變, 無妄之災, 明君所愼也. 易曰: ‘履霜堅氷至’. 盖徵不可不防, 漸不可不社, 燭於未然者, 哲人之大觀也. 狃於已然者, 庸人之陋見也. 夫昧哲人之觀, 而守庸人之見, 豈不危哉. 今君自謂已治已平矣, 而殊不知寸萌之千尋, 濫觴之滔天. 且根本未固..
원생몽유록(元生夢遊錄) 임제(林悌) 世有元子虛者, 慷慨士也. 氣宇磊落, 不容於時, 屢抱羅隱之悲, 難堪原憲之貧. 朝出而耕, 暮歸讀古人書, 穿壁襄螢, 無所不爲, 嘗閱古史, 至歷代危亡運移勢去處, 則未嘗不掩而流涕, 若身處其時, 汲汲焉如見其垂亡而力不能扶者也. 仲秋之夕, 隧月披覽 , 夜蘭神疲 ,倚榻而睡, 身忽輕擧, 縹緲條揚, 冷然若御風而上也, 飄然若羽化而仙. 止一江岸, 則長流逶迤, 群山糾紛, 時夜將半, 萬籟俱寂, 月色如晝, 波光如練, 鴻鳴蘆葉, 露滴楓林, 悄然擧目, 如有千載不平之氣. 乃劃然長嘯, 朗吟一絶曰: 恨入長江咽不流, 荻花楓葉冷颼颼.分明認是長沙岸, 月白英靈何處遊. 徘徊顧眄之際, 忽聞跫音 自遠而近. 有頃, 蘆花深處, 閃出一介好男兒, 幅巾野服, 神淸眉秀, 有首陽之遺風. 來揖於前曰: “子虛來何遲? 吾王奉邀.” 子虛..
우상전(虞裳傳) 박지원(朴趾源) 日本關白新立 於是廣儲蓄 繕宮館 理舟檝 刮屬國諸島奇材釖客 詭技淫巧書畵文學之士 聚之都邑 練肄完具數年 然後乃敢請使於我 若待命策之爲者 朝廷極選文臣三品以下 備三价以送之 其幕佐賓客 皆宏辭博識 自天文地理算數卜筮醫相武力之士 以至吹竹彈絲謔浪戱笑歌呼飮酒博奕騎射以一藝名國者 悉從行 而最重詞章書畵 得朝鮮一字 不齎糧而適千里 其所居舘 皆翠銅甍 除嵌文石 而楹檻朱漆 帷帳飾以火齊 靺鞨瑟瑟 食皆金銀鍍侈靡 瑰麗千里 往往設爲奇巧 庖丁驛夫 據牀而坐 垂足於枇子桶 使花衫蠻章洗之 其陽浮慕尊如此 而象譯持虎豹,貂鼠,人蔘諸禁物 潛貨璣珠,寶刀 駔儈機利 殉財賄如騖 倭外謬爲恭敬 不復衣冠慕之 虞裳以漢語通官隨行 獨以文章 大鳴日本中 其名釋貴人 皆稱雲我先生 國士無雙也 大坂以東僧如妓 寺刹如傳舍 責詩文如博進 繡牋花軸 堆床塡案 而類爲難題强..
마장전(馬駔傳) 박지원(朴趾源) 馬駔舍儈 擊掌擬指 管仲,蘇秦鷄狗馬牛之血信矣 微聞別離 拋彄裂帨 回燈向壁 垂頭呑聲 信妾矣 吐肝瀝膽 握手證心 信友矣 然而界準 音嶻 隔扇 左右瞬目 駔儈之術也 動蕩危辭 餂情投忌 脅强制弱 散同合異 覇者說士 捭闔之權也 昔者有病心而使妻煎藥 多寡不適 怒而使妾 多寡恒適 甚宜其妾 穴牕窺之 多則損地 寡則添水 此其所以取適之道也 故附耳低聲 非至言也 戒囑勿洩 非深交也 訟情淺深 非盛友也 宋旭,趙闒拖,張德弘 相與論交於廣通橋上 闒拖曰 吾朝日鼓瓢行丐 入于布廛 有登樓而貿布者 擇布而舐之 暎空而視之 價則在口 讓其先呼 旣而兩相忘布 布人忽然望遠山 謠其出雲 其人負手逍遙 壁上觀畵 宋旭曰 汝得交態 而於道則未也 德弘曰 傀儡垂帷 爲引繩也 宋旭曰 汝得交面 而於道則未也 夫君子之交三 所以處之者五 而吾未能一焉 故行年三十 無一友焉 ..
김신선전(金神仙傳) 박지원(朴趾源) 金神仙名弘基 年十六娶妻 一歡而生子 遂不復近 辟糓面壁坐 坐數歲 身忽輕 遍遊國內名山 常行數百里 方視日早晏 五歲一易屨 遇險則步益捷 甞曰 褰而涉 方而越 故遲我行也 不食故人不厭其來客 冬不絮 夏不扇 遂以神仙名 余甞有幽憂之疾 盖聞神仙方技 或有奇效 益欲得之 使尹生申生陰求之 訪漢陽中 十日不得 尹生言甞聞弘基家西學洞 今非也 乃其從昆弟家 寓其妻子 問其子 言父一歲中率四三來 父友在體府洞 其人好酒而善歌 金奉事云 樓閣洞金僉知好碁 後家李萬戶好琴 三淸洞李萬戶好客 美垣洞徐哨官 毛橋張僉使 司僕川邊池丞 俱好客而喜飮 里門內趙奉事 亦父友也 家蒔名花 桂洞劉判官 有奇書古釖 父常遊居其間 君欲見 訪此數家 遂行歷問之 皆不在 暮至一家 主人琴 有二客皆靜默 頭白而不冠 於是自意得金弘基 立久之 曲終而進曰 敢問誰爲金丈人 主人捨琴..
梅湖公 洪州驪陽縣人也 姓陳 名澕 梅湖 其號也 曾祖諱寵厚 事高麗仁宗 以大將軍 討賊臣李資謙 封驪陽君 祖諱俊 參知政事 當毅明庚癸亂 扶護文臣 全活甚多 時人謂其後必昌 考諱光賢 樞密副使 公其仲子也 有儁才 善屬文 尤工歌詩 淸麗雅健 藹然有正始音 明宗嘗命群臣製瀟湘八景詩 公以童丱 亦作長篇 氣格豪壯 與李大諫仁老詩 俱爲絶唱 其文藝夙就如此 神宗戊午 從樞副公東京任所 未幾 魁司馬 庚申 登亞元第 時公未委禽 辛酉 補內侍 當時新進極選也 煕宗己巳 遷學正 康宗壬申 預靑錢選 與孫得之,李允甫諸人 俱掌絲綸 而高文大冊 多出公手 李文順奎報 以硬韻急倡自多 每倚半酣 援筆立就 疾如風檣 人莫不瞠若乎後 而公與之方駕不少讓 翰林別曲所謂李正言,陳翰林雙韻走筆者 蓋指此也 癸酉 坐言事免官 尋還入翰苑 高宗乙亥 禮部員外郞尹世儒謁崔忠獻 請試館閣諸公 賦詩四十餘韻 使翰林承旨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IBRMv/btss74adY9d/9pjZQmB4k7uoirTW8sU9b1/img.png)
게으름의 힘 용부전(傭夫傳) 성간(成侃) 慵夫, 不知何許人也. 凡諸謀爲一於慵, 故世呼爲慵夫. 官至散官直長. 家有書五千卷, 而慵不披, 頭痬體疥, 而慵不醫. 在室慵坐, 在途慵行, 茫茫然若木偶人也. 闔室患之, 謁巫而禱之, 卒不能禁也. 勤須子, 學旣成, 慨然有濟人之志, 以其學來攻. 慵夫方以慵之病, 踑踞散髮, 瞠目而坐. 勤須子曰: “自古人也, 莫不以勤而生以慵而敗, 是故, 聖人皆以勤自守. 文王日昗不暇, 禹惜寸陰勤也. 不寧猶是, 風雨也, 霜雪也, 周乎四時, 載育萬物者, 天之勤也. 天可學也, 不可違也, 違天不祥.” 慵夫莞爾而笑曰: “我則敎子, 子何敎於我? 人生百年, 心形俱勞. 晝則營營作役, 朝夕乎奔走, 無不爲也, 夜而假寐, 啽囈而達旦, 復何用哉? 至人不如是也.” 操戈而逐之. 勤須子良久而思之曰: “余知術矣.” 於是, 盛..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dRloI/btsut5qZZx8/tLoqP52b057W2h1SNDVVKk/img.png)
왜적 앞에서도 당당했던 최씨 열부최씨전(烈婦崔氏傳) 정이오(鄭以吾) 烈婦姓崔名某, 全羅道靈光郡人, 移居晉州, 蓋不知自何世也. 都染署丞仁祐之女, 晉州戶長鄭滿之妻, 生子女四人. 其一未脫襁褓中, 歲己未八月, 倭賊陷晉州, 闔境奔竄, 無敢禦者. 時滿因吏役如京, 賊攔入崔氏居里, 烈婦年方三十三, 且有姿色. 抱負携持其子女, 走避山中. 明日, 賊四出驅掠, 見烈婦, 露刃以驅, 烈婦抱木而拒之. 罵賊曰: “等死爾, 汚賊以生, 無寧死義.” 罵不絶口. 賊推刃洞貫, 遂斃於木下, 賊虜十歲女八歲子以退. 獨習年方六歲, 在死側, 小兒猶飮乳, 血淋漓入口, 亦斃焉. 其家奴散而復完, 將屍草殯, 以待滿還. 及己巳歲, 都觀察使張夏, 上其事, 旌表門閭, 免子習鄕役云. 史臣曰: “夫人心之極, 世變之不能奪, 遭世如此, 雖烈丈夫, 决死生猶難, 况一婦人乎..
耽羅之境 初未甞有人 其山奇秀曰漢拏 宛在雲海渺茫之上 降其神靈和氣 化生神人于山之北毛興穴 三者同時湧出 曰高乙那,良乙那,夫乙那 而高乙那 卽高氏鼻祖也 俱漁獵以爲食 譜云 日本國主生女七人 遣四女于丹狄國 丹狄卽所謂赤狄之種也 命其女三曰 西南海有山 孕秀生神人三昆季 將建國 無媲偶 若輩可往事之 後世子孫 必繁衍盛多矣 乘之以全木船 兼備五穀牛馬之種 且使神人衛而送之 至耽羅東海之濱 神子三人 出獵遇之 其衛護神人 乃紅鞓紫衫者也 凌空而去 三子分娶之 卜毛興窟近地以居 數年間 産業俱就 其後漸大 至高乙那十五世孫 高厚與其弟高淸 將朝見新羅 有客星先現 觀臺報云 異邦神人來朝之徵也 旣而高厚兄弟渡海 初泊耽津 遂至新羅 王喜待之 以客星先現之 故賜高厚爵星主 且令高淸 出王之胯下 愛如己子 爲王子 賜邑號曰耽羅 蓋自耽津至新羅故也 羅史載之甚詳 及前朝太祖統三之初 星主高自堅..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mDN8/btsut21BYY9/dkoeU1M6YcvC1LZh6shus0/img.jpg)
불교에서 유교로 귀의한 수선 수선전(守禪傳) 이첨(李詹) 釋有守禪其名者, 玄風縣人, 代居其邑, 至父堅, 族徙于海平而禪生焉. 禪始年十二三時, 從弘福寺僧學文, 性魯鈍, 師講訓則應誦而已, 師止, 嘿不下口. 佗日▦則堅使誦其所學, 但記一兩句, ▦皆忘之, 所記者亦不甚分朗. 堅怒曰: “汝上二兄, 俱已無能起我家者, 吾惟汝之望, 汝如是耶?” 遂杖之, 仍居其僧剃之, 行弟子禮. 禪年二十, 禪學佛書如前書, 於是冠服旣具. 起浮雲遐想, 涉洛水, 出太伯山下, 登楓岳以望回浸, 繇關東, 踰嶺, 歷訪東方名山. 所覽愈奇而識益闇, 凡寓寺院也, 例以不勤職見詆. 頎然至四佛山大乘寺, 與十三僧結夏, 面壁三月. 而觀所謂: ‘我性者, 謂之作用是性乎.’ 氣也非性也. ‘含靈皆有乎.’ 我與物有不同也. 求之而未之得, 得之而未之見而卒無功也. 又恐所與處者心或妄..
生姓楮 名白 字無玷 會稽人也 漢中常侍尙方令蔡倫之後 生之生也 欲蘭湯 弄白璋 藉白茅 故濯濯也 其同母弟凡十九人 皆與之親睦造次不失其序 性本精潔 不喜武人 樂與文士游 中山毛學士 其契友也 每狎之 雖點汚其面 不拭也 學而通天地陰陽之理 達聖賢性命之源 以至諸子百家之書 異端寂滅之敎 無不記識 徵之班班可見 漢策士以方正應科 遂上言曰 古今書契 多編竹簡 兼用繒帛 幷不便 臣雖不腆 請以心胸代之 如其不效 請墨之 和帝使驗 果能強記 百無一失 方策可不用也 於是褒拜楮國公 皆荊刺史 統萬宇軍 遂以封邑爲氏 樹膚麻頭魚綱桑根四人亦同奏 率以不克如奏免 旣而學長生之術 不衝風雨 不食壁魚 每於存 七日吸陽精祛塵埃 熏其衣而靜勝焉 晉▦大沖作成都賦 生一見記誦人競傳寫 雖雅相知 罕得接見 後受王右軍墨蹟 而其稭法妙天下 仕梁臣太子統同撰右文選 以傳于世 承詔與魏收同修國史 以收好惡不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KA61x/btsuCGw1wnd/ZLACdf6cdX92QKVzoHZl30/img.jpg)
선비 배상겸의 이야기 유생배상겸전(儒生裴尙謙傳) 권근(權近) 裵爲興海郡籍, 有名晉者始登第, 受田世食之. 晉生永寬, 永寬生得儒, 卽尙謙之父也. 得儒爲兒, 甚驕俠, 持杖懷石, 邀人於路, 必擊辱之, 里巷人爲之避, 聞其來, 不敢近. 年未弱冠, 父永寬遊燕不返而死, 得儒聞之奔往, 收其骨歸葬于開城. 及壯, 始筮仕中軍, 初不識字, 旣仕, 日問於友, 夜歸以指書于腹上, 頗能知之, 以吏材聞. 辛丑之役, 克復京城, 與有功, 累遷至監察糾正. 乙巳, 出刺沃州, 政績以著. 及代, 退居于鄕, 抗直敢言, 面折不能容人之過, 又不惑於異端, 力闢其非, 一鄕敬而憚之, 不敢爲惡. 人有所爲非是, 卽相戒曰: “裵沃州聞矣.” 其得人畏服如此. 尙謙稍知書, 避倭喪父, 家產始盡, 田又革制歸于公, 甚窮寒. 庚午春, 予之謫來也, 得儒歿已十年矣, 郡中耆舊稱導..
君萬者 晉之伶優君子之子也 洪武己巳冬 君子夜被虎搏 君萬呼天待朝 挾弓矢入山 虎食之盡 負嵎視君萬 哮吼而前 吐所食支節 君萬一箭殪之 遂拔劍割其腹 盡收遺骸 焚而葬之 時隣郡固城 又有一老有子七人者得疾 巫言有崇當避 七子信然 舁出屋後露宿 七子環侍而臥 夜半 虎獲其父而去 七子睡熟皆不知 及覺 以爲還屋 入而問之則無有也 七子遑遑莫知所歸 朝有人來言夜過某藪 有人聲甚哀 於是往而求之 虎食未盡 遺其半體而遁 七子皆惴慄 無能追者 竟不得其虎 但以半體歸葬 嗚呼 君萬能以獨力 直犯耽耽之威 以快其讎 彼以七子之多而不能 何其死喪急難之際 哀慟迫切之情 施於至親者 有不同若是歟 可勝痛哉 史論曰 七子非孝之罪 非特不能如君萬而巳也 居致其安 病致其憂 人子事親之常節也 親老且病 偃臥于床 不謹嘗藥之禮 不奉燠室之安 反信巫覡妖妄之說 以其老羸疲瘵之軀 置之風霜寒凜之地 其罪一也 凡侍..
朴強 寧海府人也 世爲本府吏 寧海卽古德源都護府 東女眞入寇城陷 降爲知官 以所管甫城 歸于福州 擧邑恥之 莫得申理 時強之曾祖成節適爲上計吏 如京遂訴于都堂 聞于內 陞爲禮州牧 復還甫城 鑄州牧印以賜 至今所用卽其印也 州之人士仕于朝者及居鄕者 皆歸功于成節 聽其免役 成節曰 吾今老矣 雖免吾役 不復能爲士矣 請免吾子孫 衆皆曰然 署牌以給 故其子學如及其孫天富皆不役于鄕 天富卽強之父也 玄陵潛邸在燕都 天富實從之 天富有力 能以一臂擔玄陵周麾而呼 玄陵樂而愛之 及明陵薨 帝命玄陵爲王 車駕將啓行 本國官者龍鳳有寵 白于帝 替立忠定 其從玄陵者皆附新君 獨天富入見 玄陵悵然曰 惟爾尙獨在耶 雖孤豈無歸國之日 爾留當與我偕行 孤若得返 不敢忘 孤今欲往上都 爾能從我耶 天富跪曰 臣惟命矣 遂奉以往 或時背負而行 後未及繼統之日 先自燕浮海而來 舡敗而死 至正辛丑 紅賊陷京城 玄陵幸安東..
鄭沈 羅州人也 仕州爲戶長 善騎射 不事家人生產 洪武四年春 以全羅道按廉使命 奉濟州山川祝幣 航海而去 與倭賊相遇 衆寡不敵 舟中皆懼 議將迎降 沈獨以爲不可 決意與戰 射賊應弦而斃 賊不能逼 及矢竭 沈知事不濟 具袍笏正坐 賊驚謂曰 官人也 相戒莫敢害 沈自投水以死 而舟中人皆降賊 死者唯沈而巳 其鄕人皆惜其死之不幸 而愚其果於自死也 鄭先生聞而悲之 爲之作傳 且曰 嗟乎 死生固大矣 然人往往有視死如歸者 爲義與名也 彼自重之士 當其義之可以死也 雖湯鑊在前 刀鋸在後 矢石注於上 白刃交於下 觸之而不辭 蹈之而不避 豈非義爲重死爲輕歟 果有能言之士述之於後 著在簡編 其英聲義烈 照耀人耳目 聳動人心志 其人雖死 有不死者存焉 故好名之士 甘心一死而不以爲悔 今夫沈之死也 國家不得知 又無能言之士爲之記述以垂於後 則沈之忠義 與水波而俱逝矣 吁可悲也 且以子路之賢 結纓之事 人以爲難..
立冬日昧爽 息影庵在菴中 倚墻睡 聞外有庭拜問訊聲云 新到丁侍者參 恠而出眎之 有人焉 形纖而長 色默而光 赤角高撑 若觝闘 玄睛挺露 若𧷒𥅄 彳亍而入 孑孑而立 息影菴始而瞿然 頃而呼曰 子來前 姑有問於子 且子何名爲丁 何自而來 來何爲乎 抑吾素不識子面 子而稱侍者何以 豈有說乎 言未旣 丁遂雀躍以進 徐其辭而謹對曰 古初有聖人 其首牛者曰包犧 吾考也 其身蛇者曰女媧 吾妣也 生吾林中 棄而不育 霜雹暴之 則若悴而死 而風雨恩之 則若榮而生 而歷寒暑千百而后 長而成人材 緜代迄于晉俗而爲范氏家臣 始學漆身之術 降于唐僧 而爲趙老門人 又加鐵觜之號 于后遊定陶 遇丁三郞於塗 熟瞪而謂曰 見子形 上橫下竪 宜以吾姓累汝姓 吾固當因而不革焉 凡吾職在扶侍人 人使吾 吾賤且勞矣 然非其人 莫敢使 故吾所扶侍盖寡 惟其不遇 失所歸附 流寓海宇 爲土偶所笑 今而久矣 昨天哀吾奇 命之曰 命汝爲..
烈婦姓裵氏 名某 京山人 父前進士中善 旣笄 歸士族李東郊 善治內事 歲庚申秋七月 倭賊逼京山 闔境擾攘 無敢禦者 時東郊赴合浦帥幕未還 賊騎突入烈婦所居里 烈婦抱乳兒走 賊追之及江 江水方漲 烈婦度不能脫 置乳兒岸上 走入江 賊持滿注矢擬之曰 而來兌而死 烈婦顧見賊罵曰 何不速殺我 我豈汚賊者邪 賊發矢中肩 再發再中 遂歿於江中 賊退 家人求得其屍葬之 體覆使趙公浚上其事 旌表里門云 陶隱子曰 人有恒言曰 爲臣盡臣道 爲子盡子道 爲婦盡婦道 至於臨大難 鮮克踐之 裵一婦人 而其視死如歸 罵賊之言 雖古忠烈士 蔑以加焉 余嘗南遊 過所耶江 迺烈婦死節之地 灘水悲鳴 林木蕭瑟 令人毛髮竪起 嗚呼烈哉 僕之文辭 固不足觀 然烈婦一死 大開名敎 不可使無聞焉 他日中原之士知東方有此烈婦 當自景淵始 幸識之 景淵姓杜 名浩 河南開封人 邂逅於萊州之公舘 臨別 錄烈婦傳而去 予題其錄本之後如上云..
草屋子 雞林之士族也 少孤力學 年十九 中進士科 學日益進 歲辛亥 牧隱先生知貢擧 褒然興於鄕 及會試 擢高第 入藝文春秋爲屬官 同僚服其才 不十年 敭歷華要 爲部使者於西海 名聲藉甚 自門下舍人 陞右司議 將大建白 適有他除不果 士論頗惜之 草屋爲人 慷慨不群 善吟詩 樂與士君子游 其最厚者 京山李陶隱也 壬寅秋 陶隱自京山至金海 金海 首露王之墟也 低徊留 久之渡黃山江 遂之雞林 於是草屋携陶隱周覽半月城 想像新羅氏之所以歷一千年之久 相與賦詩以弔之 上佛國寺之東峯 望扶桑 游感應寺 窺龍穴 登利見臺 舟至大王嵒 亦東海之奇觀也 草屋嘗曰 吾世儒素 所居欲以庇吾一身耳 何侈麗爲哉 構草屋以居 人亦高其志 而稱之曰草屋子 草屋姓金氏 名震陽 字子靜 陶隱贊曰 陶唐氏,大禹氏 天下之大聖也 一則茅茨不翦 一則卑宮室 所以昭其儉也 雖學者 猶知欽慕焉 草屋其聞陶唐大禹之遺風而興起者歟 不..
鄭氏 西原大姓也 譜所載者曰別將諱克卿 別將生贈中郞將孝聞 中郞將生朝議大夫神虎衛大將軍顗 初名俊儒 大將軍娶金吾衛散員赤城白利臣之女 生監察御史贈尙書右僕射儇 僕射娶綏陵直平州韓暉之女 生都僉議贊成事諡章敬公曰瑎 章敬娶平章事扶寧金公諱坵之女 生淸河君曰㥽,判典校寺事曰怡 繼室以中贊致仕諡匡定洪公諱奎之女 生二女 適代言慶斯萬 宗簿令崔廣 淸河娶判三司事上洛君金公諱珣之女 都僉議中贊陽川許文敬諱珙之外孫 生雪軒先生曰䫨,雪谷先生曰誧 典校娶某官某之女 生一女 適判事郭琛慶氏 生今侍中公名復興 崔氏生判開城名孟孫 雪軒娶某官某之女 生賝 正尹 次旋軫 今爲兩街大師曹溪宗演福寺住持 次賱 丁酉及第今判典校 女適萬戶順興君王昇,三司右尹權鑄,前糾正柳廷顯 雪谷娶僉議參理春軒崔先生諱文度之女 生衎 安陵直 早亡 次衍 改樞 字公權 今以字行 簽書密直司事 辭位家居 女適政堂文學元松壽,政堂文..
白氏名璘 西林人 予少友也 先稼亭公知丁亥貢擧 白氏擢乙科 是同門也 西林與吾韓山地犬牙相入 兩家密邇 總角交游 讀書崇政寺中 是同學也 今天台懶殘子喜與縫掖游 又能讀東坡詩 縫掖群進而聽其說 日滿座 其中豪傑者 結契以示信 白氏實紀綱之 是同志也 不可言不知白氏矣 知其人而不使其傳 非仁人之心也 考諱咸正 從宦內侍 群居必蹈禮 諸院長少有違法 或以褻語相嬈 必怫然却立曰 吾父名吾曰咸正 而可少有偏倚乎 諸院長久而歎服 官至通禮門舍人 妣金氏 尙州人 庫使諱仁通之女也 白氏一弟曰玿 由都評議司使知印 歷都官正郞 今爲某官 以能稱 白氏娶某官奇諱輈之女 生一女 適某官某 再娶某官鄭某之女 無子 白氏聰明強記 蓋近世無比焉 予與白氏 同在見州僧舍 一日 相約背誦所讀書 白氏未午而畢 僕至昏乃成誦 旣踰年 同在西林僧舍 夜臥無燈 以口下象棋 明日覆之 白氏不錯一路 僕兩處疊下 如此之類頗多 ..
辛巳十韻科崔霖 父諱成固 郞將 母蔣氏 某官某之女 霖嗜酒吟詩 好游僧房 非沽酒者去之 有寒溪釋甚相得 淋漓相從 禮法之士頗短之 猶以才高故 稍貌敬焉 癸巳秋鄕試 僕幸獲與崔氏聯中 及會試中書堂 崔氏眼疾作 艱於書字 乃歎曰 吾所得 僥倖者也 今才高於予者二人焉 屈二人而必得之 非吾所望也 眼之如此 必天也 吾將寄擧焉 乃不赴試 旣還國 遷至兵部員外郞 歲丙申 奉表賀明年正于京師 旣訖事 還至遼河遇賊 使副三節人吏皆被害 嗚呼悲哉 蘄州秦中吉 吾先君少相善也 博學能文 從之受業者 多高科顯仕 而秦公老矣 猶欲出游場屋 先君知丁亥貢擧 秦公曰 吾與稼亭束髮同學 雖幸而獲中 人必謂稼亭私我也 由我而得是名 是我累吾稼亭也 可乎哉 乃不赴 歷官五品 立于班心矣 退而與諸生講論經史無少倦 崔氏 其外甥也 其文章又非秦氏所可及 而宦不達 不幸而亡 嗚呼 崔氏之禍歟 秦氏之禍歟 秦氏壽而崔氏夭 若..
草溪有隱君子鄭上舍者 我先人稼亭公同年進士也 有子曰習仁 字顯叔 穡之識其面久矣 而未嘗接殷勤之歡 不知其爲上舍子 顯叔亦不以爲言 顯叔有志氣 有才華 使酒敢言 同列憚之 乙未春 益山李侍中,竹溪安政堂典貢擧 顯叔對策高中 掌敎成均 用其勞入參官 不詭隨 不苟合 搢紳皆願內交 而顯叔視之蔑如也 被選出知榮州 將視事 吏以故事請詣消災圖焚香 顯叔曰 人臣不蹈非彝 災也從何而生 若其無妄 君子順受之而已矣 疾病之未作也 吾調燮焉而已矣 旣作也 吾藥餌焉而已矣 將死也 臟腑必有先受者 而不可救矣 消災圖於我何哉 敕吏撤去 或曰 以之爲褥坐臥之 傳者之過也 州有塔 顯叔訊其名 吏以無信告 顯叔曰 信乎 吏曰 敢無稽 顯叔詢諸士大夫老 而家居者皆曰然 顯叔曰 異哉 惡木不息也 盜泉不飮也 夫何故惡其名也 烏有巍然其形 爲一邑所瞻視 而以無信表之者乎 去粟 人無以自生也 去兵 人無以自衛也 然且去..
快軒金文正公以文章道德 相忠烈忠宣忠肅 決國疑如蓍龜 贊邦敎爲柱石 而家政益嚴 諸子登科 伯氏早亡 仲氏鈍軒 叔氏松堂 皆位宰相世其家 壻安氏朴氏 安氏政堂文學 朴氏密直代言 皆以文科顯 爲士者則安氏之孫三子登科 朴氏子亦三子登科 而曰少陽字仲剛者 朴氏子也 於次爲三 雖中成均試 屢擧不第 予悲之 故傳其事 仲剛性高潔 不喜章句之學 平居不讀書 不習擧業 然視已得者 蔑如也 故科興 必入場屋 携紙筆燈燭 不挾尺書 談笑成章 不問巧拙 投之而出 卒無成 嘗自念大丈夫鬱鬱荒陬 無乃井底蛙乎 去而西游京師 縱覩山川人物宮闕城邑 其博達之觀 疏蕩之氣已非前日 而愜所望矣 西夏幹克莊治書公一見愛之 館之于其家 厚遇之 時敎以詩書 仲剛亦不留意 久而能北音 出與塗人語 途人不知仲剛之爲東人也 頗自喜 有志仕宦 無先之者 會姻親有爲山南廉訪司知事者 仲剛從之遊 山南補其司奏差 嘗持捷書 一至京師 是..
大學生吳仝 長身微傴 善書能文 庚辰進士也 一日 途遇座主金政堂 政堂面叱曰 爾不讀書而馳走如此 何歟 仝以手叩懷中書冊 默然而去 時年十五六歲也 稍長 補成均生 能以禮自檢 人人皆自以爲莫能及 前輩老儒延譽稍廣 不幸短命死矣 悲夫 仝讀書三角山僧舍 人有薦亡齋呈疏於香卓 會僧中無識字者 衆髡汗出 莫知所爲 仝曰 是不難 吾爲汝讀之 乃被僧衣 髻其髮於頂 蒙之以其冠 群立於衆髡 佯爲施主曰 吾病頭風不可出 然飽施主飯而不與法席 吾罪大矣 衣冠之異於衆 其罪小 請施主無怪 旣梵唄 施主捧香爐長跪不敢動 仝起於群中 若將去其冠者 施主遽曰 請比丘無去冠 仝佯應曰 諾 會旣罷 施主去矣 群髡大噱 聲震山谷 至今傳爲山中故事 今天台判事懶菴元公愛與縫掖游 仝亦在其中 未久病歿 縫掖之結契者出錢以賻之 有曰李穎者 仝之外兄弟也 亦能書 安常軒先生以女妻之 且敎之 擢第拜正言 遷禮部員外郞 其後隱..
宋氏出家名性聰 然不居僧房 居旻天東傘橋南 近水樓二間 貯書邀客 日嘯詠其中 得錢卽沽酒市殽膳不少吝 又能畫山水人物 亦不甚俗 性坦率 事或牴牾 必變色 言脫于口 駟不及 其爲詩章 不拘聲律 耳得卽吐出 或驚人 或滿座大笑 不以爲喜怒 乃曰 偶耳得好句 非吾有意於好也 偶爾得拙語 非吾有意於拙也 吾之心適然而然耳 居家生產亦類此 終身不謀利 口不談市價 手不知執算板 蓋於古人 亦未見其匹也 喜讀孟子書 至不孝無後爲大 若有所感 乃去其敎而冠其顚 嘗一赴場屋 文字不蹈繩墨 雖有奇趣 不可羈束 然不類他作 是以 有司不取 宋氏亦自知也 故不怨有司 其後予游燕數年而歸則宋氏亡矣 嗚呼悲哉 予年十四 未學詩 時時從宋氏游 宋氏敎予吟詠 每曰可 是歲松亭金先生試士成均 宋氏勸予擧 先君在燕都 大夫人又少予 聞吾欲赴試 曰 汝必妄也 汝之學必不合赴試 汝必妄也 不然則人必誑汝爾 不給紙札 宋氏自市..
夫人姓竹 名憑 渭濱人篔之女也 系出於蒼筤氏 其先識音律 黃帝采擢而典樂焉 虞之簫亦其後也 蒼筤自昆侖之陰徙震方 伏羲時 與韋氏主文籍 大有功 子孫皆守業爲史官 秦之虐也 用李斯計 焚書坑儒 蒼筤之後寢微 至漢蔡倫家客楮生者頗學文 載筆時與竹氏游 然其人輕薄 且好浸潤之譖 疾竹氏剛直 陰蠹而毀之 遂奪其任 周有竿亦竹氏後 與太公望釣渭濱 太公作鉤 竿曰 吾聞大釣無鉤 釣之大小在曲直 直者可以釣國 曲者不過得魚也 太公從之 後果爲文王師 封於齊 擧竿賢 以渭濱爲食邑 此竹氏渭濱之所起也 今子孫尙多 若箖箊䇹筳是已 徙楊州者稱篠簜 入胡中者稱蓬 竹氏大槪有文武幹 世爲籩簋笙竽禮樂之用 以至射漁之微 載在典籍 班班可見 唯䇞性至鈍 心塞不學而終 至篔 隱而不仕 有一弟曰簹 與兄齊名 虛中直己 善王子猷 子猷曰 一日不可無此君 因號此君 夫子猷 端人也 取友必端 則其人可知 娶益母女 生一女 ..
節婦曺氏 遂寧縣人也 至元庚午五月廿六日 忠敬王自江華復都松京 時將軍洪文系等 誅權臣誤國者 用復政于王 六月初一日 權臣家兵神衛等軍 擁承化侯將圖不軌 乃驅臣僚軍士未及渡江者 航海而南 軸轤相接 曺生六歲 隨其父隊尉子丕在行中 賊至半塗 僞置官僚 自宰執至于將校 以誘其脅從 以丕有智謀膂力 超授別將 丕以計得脫還京 後賊敗 至婦女小兒死鋒鏑溺海水殆盡 餘爲天兵所虜去 惟丕同舟人 老幼皆全活 丕卽還 又隷官軍 攻賊至耽羅 辛未冬 死之 曺十三 適隊尉韓甫 生一女 其舅壽寧宮錄事光秀 東征日本 辛巳夏 死軍中 辛卯夏 甫又死哈舟兵 曺旣寡從姊 及其女子適人 乃從女 女生一男一女而又早死 則從孫女 居至今 曺未三十 夫父舅連歿戰陣間 寡居五十年 日夜勤女工 衣食女若孫 使不失所 而賓婚喪祭之用是給 年已七十七 猶康強無恙 性又聰慧 說在賊中時及近世治亂衣冠族姓事 歷歷無遺失 余所居卽曺氏舊..
한문소설 목차 가전소설(假傳小說) 湯婆傳(고용후)麴醇傳孔方傳丁侍者傳麴先生傳楮生傳淸江使者玄夫傳麴先生傳竹夫人傳淸江使者玄夫傳 삼국사기&삼국유사 調信傳金現感虎延烏郞細烏女志鬼說話南白月二聖 努肹不得 怛怛朴朴 溫達都彌薛氏女 천군소설(天君小說) 花史花王誡義勝記愁城誌南靈傳 몽유록(夢遊錄) 安憑夢遊錄(신광한)元生夢遊錄何生奇遇傳雲英傳 / 壽城宮夢遊錄 금오신화(金鰲新話) 萬福寺摴蒲記南炎浮洲志龍宮赴宴錄李生窺牆傳醉遊浮碧亭記 연암소설(燕巖小說) 放璚閣外傳 自序穢德先生傳許生傳閔翁傳兩班傳虎叱廣文子傳馬駔傳金神仙傳烈女咸陽朴氏傳虞裳傳 이옥 沈生傳柳光億傳 권필 周生傳偉敬天傳 기타 崔陟傳(조위한)紅桃(유몽인 / 逸士遺事)星主高氏家傳崔生遇眞記(신광한)崔致遠傳首揷石枏英英傳芝峰傳宋班窮途遇舊僕劍女道學先生金英哲傳(홍세태)鍾玉傳(목태림)烏有蘭傳提督裸程出..
자신만의 예술세계를 구축한 최북 칠칠의 이야기최칠칠전(崔七七傳) 남공철(南公轍) 최칠칠에 대한 기본 정보崔北七七者, 世不知其族系貫縣. 破名爲字, 行于時. 工畵眇一目, 嘗帶靉靆半, 臨帖摹本. 술을 좋아한 최북의 일화들嗜酒喜出遊. 入九龍淵, 樂之甚, 飮劇醉, 或哭或笑. 已又叫號曰: “天下名人崔北, 當死於天下名山.” 遂翻身躍至淵, 旁有救者, 得不墮. 舁至山下盤石, 氣喘喘臥, 忽起劃然長嘯, 響動林木間, 棲鶻皆磔磔飛去. 七七飮酒, 常一日五六升. 市中諸沽兒携壺至, 七七輒傾其家書卷紙幣, 盡與取之. 貲益窘, 遂客遊西京ㆍ萊府賣畵, 二府人持綾綃, 踵門者相續. 최북의 예술관人有求爲山水, 畵山不畵水. 人怪詰之, 七七擲筆起曰: “唉, 紙以外皆水也.” 畵得意而得錢少, 則七七輒怒罵, 裂其幅不留; 或不得意而過輸其直, 則呵呵笑, 拳其..
소리꾼 송실솔과 공자 표의 음악친구 이야기가자송실솔전(歌者宋蟋蟀傳) 김려(金鑢) 송실솔의 어릴 적 고군분투宋蟋蟀, 漢城歌者也. 善歌, 尤善蟋蟀曲, 以是名蟋蟀. 蟋蟀自少學爲歌, 旣得其聲, 往急瀑洪春砯薄之所, 日唱歌, 歲餘惟有歌聲, 不聞瀑流聲. 又往于北岳顚, 倚縹緲惝惚而歌, 始璺析不可壹, 歲餘飄風不能散其聲. 실솔의 통달한 노래실력自是蟋蟀歌于房, 聲在梁; 歌于軒, 聲在門; 歌于航, 聲在檣; 歌于溪山, 聲在雲間. 桓如鼓鉦, 皦如珠瓔, 嫋如烟輕, 逗如雲橫, 璅如時鶯, 振如龍鳴. 宜於琴, 宜於笙, 宜於簫, 宜於箏, 極其妙而盡之. 乃斂衣整冠, 歌于衆人之席, 聽者, 皆側耳向空, 不知歌者之爲誰也. 실솔과 마음이 잘 맞던 공자 표時西平君公子標, 富而俠, 性好音樂. 聞蟋蟀而悅之, 日與游. 每蟋蟀歌, 公子必援琴自和之, 公子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