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2024/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건빵이랑 놀자

2019년 뜨거웠던 한문 스터디를 마치다 - 1. 18년 스터디를 통해 한문공부의 방향을 잡다 본문

건빵/일상의 삶

2019년 뜨거웠던 한문 스터디를 마치다 - 1. 18년 스터디를 통해 한문공부의 방향을 잡다

건방진방랑자 2019. 12. 8. 22:50
728x90
반응형

1. 18년 스터디를 통해 한문공부의 방향을 잡다

 

어느 곳에 가든지 사람들을 만나고 그 사람들과 함께 무언가를 해나갈 수 있을 때, 우린 그걸 인연이라고 부른다. 이미 인연론이란 글에서 人緣으로 한정지어 생각하던 인식의 관념을 넘어서 因緣으로 회귀해야 한다. 그럴 때 우리는 점점 죽음으로 다가가는 운명론적인 인간에서 벗어나 뭇 인연들과 마주치고 공명하여 나날이 새롭게 변해가는(日新又日新) ‘인연론적인 인간이 될 수 있다.”라고 썼듯이, 사람을 만나는 것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그건 전혀 생각하지 못한 인식의 전복으로, 삶의 전환으로 이어지게 마련이다. 지금부턴 스터디를 통해 만나게 됐던 한문공부란 공통분모를 지닌 우리들의 인연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놓으려 한다.

 

 

인연과 어떻게 마주치느냐에 따라 삶의 행로가 바뀐다.   

 

 

 

7년 만에 하는 한문공부, 그리고 헤맴

 

12일에 임용고사 1차 합격자 발표가 났고 낙방이란 고배를 마셨다. 대안학교에 교사로 취직하게 되면서 7년 동안이나 손을 놨던 한문공부를 다시 하겠다고 전주로 무작정 내려왔을 땐 앞이 막막할 수밖에 없었다. 7년이란 공백은 한문을 완전히 외계어처럼 느끼게 했으며, 임용처럼 정답이 있는 문제를 접근하는 방식 또한 새까맣게 잊어버려 뭘 어떻게 공부해야하는지,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임용시험에 접근해야하는지 막막하게 느끼게 했다.

이렇게 한 달 동안을 헤매며 의자에만 그냥 앉아 있을 뿐 무엇 하나 제대로 하지 않고 시간을 보냈다. 예전에 하던 방식이 있으니 옥편을 뒤져가며 모르는 한자들을 찾고 원문을 해석하던 방식대로 공부를 하긴 했지만, 뒤돌아서면 아무 것도 생각나지 않으니 미칠 지경이었다. ‘과연 이렇게 공부를 해서 정말 임용시험을 볼 수나 있는 것일까?’하는 걱정에 한 달을 한숨 속에서 보냈던 것이다.

 

 

3월에 어떻게든 적응하려 애쓰며 사진도 붙여보고 글도 써봤지만 쉽지 않다. 공부가 가장어려워요.      

 

 

 

블로그를 한문공부장으로 활용하다

 

그러다 만난 교수님이 진행하는 스터디는 나에겐 한문공부에 대한 변곡점을 안겨줬다. 처음 참여할 때만 해도 난 아무 것도 모르는 초심자이니, 스펀지가 물을 빨아들이듯 쪽쪽 스터디의 정수를 빨아들이자라는 마음으로 참여했었다. 하지만 교수님은 내가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조금이라도 한문에 대해 잘 알 거라 생각했는지, 바로 다음 주에 하게 될 내용을 발표하도록 배정해줬다. 이건 어찌 보면 무리수일 수도 있는데, 대안학교에서 교사생활을 하며 생각지도 못한 계기들이 만들어졌을 땐 피하지 말고 용기 내어 도전해보자라는 마인드가 생겼기 때문에 나도 단번에 “OK!”를 외쳤던 것이다. 실제로 이 발표를 준비하며, 그리고 스터디 시간에 교수님이 원문을 어떻게 대하는지를 보며 한문 공부에 대한 방향을 잡게 됐으니 나에겐 아주 적절한 시기에 적절하게 부여된 과제였다고 지금은 감히 말할 수 있으리라.

이 과정을 통해 한문공부에 대해 두 가지 방향을 잡게 됐다. 첫째 블로그를 공부장으로 활용하게 됐다는 점이다. 단재학교에 있으면서도 블로그를 활동기록장이나 사진 자료실로 사용했던 전력이 있었다. 단재학교는 교사가 활동을 한 후 남기는 기록이야말로 좋은 수업의 표본이다라는 특성이 있었고 나도 오래전부터 일기를 써오던 습관이 있었기 때문에 학교의 특성과 나의 습관이 시너지 효과를 내면서 블로그를 전면적으로 활용하는 법을 익힐 수 있었다. 바로 그렇게 익히게 된 내용을 한문공부에도 그대로 적용할 수 있게 된 것인데, 이렇게 할 수 있었던 이유는 발표를 준비하면서 발표자료를 만드는 과정 과정을 면밀히 담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때부터 四書는 물론이고 한문 산문, 한시, 한문 소설 등 공부했던 내용들을 블로그에 담아내기 시작했다. 이런 공부방식의 효과는 뭐니 뭐니 해도 좀 더 체계적으로 정리하며 공부하게 됐다는 것이고, 뒤돌아서면 까맣게 잊혀지는 내용들을 언제든 볼 수 있게 됐다는 것이다.

 

 

블로그를 활용하게 되면서 검색을 쉽게 하기 위해 블로그 네비게이션을 만들었다.   

 

 

 

꼬리에 꼬리를 물며 공부를 하니 한문이 재밌어지던 걸

 

둘째는 꼬리에 꼬리를 무는 공부를 하게 됐다는 점이다. 예전에 임용시험을 준비했을 땐 봐야 하는 것과 보지 않아야 할 것을 명확하게 구분하려 했었다. 그도 그럴 듯이 봐야 할 문장은 많고 시험을 준비해야 할 시간은 제한되어 있으니 그 시간 내에 최대한 효과를 내기 위해선 임용에 주로 나올 만한 문장, 범위표에 명시된 문장들 위주로 봐야 한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하지만 교수님과 스터디를 하면서 보니 두 가지 부분이 눈에 띠었다. 하나는 본문에 명시된 다른 작품이 나오면 최대한 보려 하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소화시평 상권 42에서 말이 매우 전아하고 고와 당나라 사람들의 일찍 조회한다早朝大明宮呈兩省僚友 / 奉和賈至舍人早朝大明宮라는 작품들과 버금갈 만하다. 詞極典麗, 可爲唐人早朝之亞.’라는 문장이 나오면 당연히 홍만종은 그렇게 생각했구나라고 받아들이고 그냥 넘어갈 텐데, 교수님은 당나라 사람들이 지은 일찍 조회하며早朝에 관련된 두 시를 가져오시며 보게 하고 과연 어떤 부분이 버금간다고 평할 만한지 생각해보게 하니 말이다. , 한문공부란 무작정 양으로 치댈 게 아니라 하나를 공부하더라도 제대로 공부하려는 마음이 필요하다는 걸 이런 과정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다른 하나는 소화시평 상권 47에서처럼 嗚呼島시에 대한 이숭인과 정도전의 일화가 나오고 이숭인 시만 인용된 경우엔, 정도전이 지은 嗚呼島吊田橫를 제시하여 함께 보게 하는 것이다. 꼬리에 꼬리를 문다는 건 이처럼 한 작품을 보는 중에 그와 관련된 이야기가 나오면, 바로 그 이야기로 점핑하여 그걸 공부하는 방식을 말한다. 그래서 이때부터는 나도 빨래터 아낙을 느꺼워하며 지은 시 → 『十八史略을 통해 한신의 이야기 알아보기 유방과 한신이 어떻게 맞붙었으며, 그의 책사들은 어떻게 활동했는지 알아보기 이 시에 나온 爪牙之臣을 알기 위해 范增論보기와 같이 꼬리에 꼬리를 무는 공부를 하게 됐다. 바로 이런 공부 방식의 효과는 한 번 볼 내용을 종횡으로 누비며 보다 보니 스키마가 단단하게 만들어져 공부의 기초가 제대로 쌓여간다는 점이다.

이런 과정을 통해 공부의 방향을 잡을 수 있었고 작년 임용시험은 오랜만에 도전하는 것임에도 신나게 풀 수 있었고 그만큼 좋은 결과도 얻을 수 있었다.

 

 

꼬리에 꼬리를 물며 하이퍼링크를 다는 횟수들가 늘어났다.   

 

인용

목차

지도

임용 Life

 

 

728x90
반응형
그리드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