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시놀이터 (2764)
건빵이랑 놀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Fbau/btrN0nF89MU/oYCAKuFvuwKAJAs0ELBrpk/img.jpg)
길 위에서 로상(路上) 촉에서 연나라로 돌아오면서[自蜀歸燕] 이제현(李齊賢) 馬上行吟蜀道難 今朝始復入秦關 碧雲暮隔魚鳧水 紅樹秋連鳥鼠山 文字剩添千古恨 利名誰博一身閑 令人最憶安和路 竹杖芒鞋自往還 『東文選』 卷之十五 해석 馬上行吟蜀道難 마상행음촉도난 말 타고 다니며 『촉도난』을 읊조리다가 今朝始復入秦關 금조시부입진관 오늘 아침에 비로소 다시 진나라(원나라) 관문에 들어가네. 碧雲暮隔魚鳧水 벽운모격어부수 푸른 구름은 저물녁에 어부(魚鳧)【어부(魚鳧): 잠총과 어부는 촉왕(蜀王)의 시조라고 전해진다】의 물을 가리고 있고 紅樹秋連鳥鼠山 홍수추연조서산 붉은 나무는 가을이라 조서산에 연이어져 있네. 文字剩添千古恨 문자잉첨천고한 문자는 여유롭게 천고의 한을 더하고 利名誰博一身閑 리명수박일신한 이익과 명예를 누가 일신의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2efKH/btrNZGTqjAz/sYjNQwKYp1TnnVbHOAdiF0/img.jpg)
금강산 이절(金剛山二絶) 이제현(李齊賢) 보덕굴(普德窟) 陰風生巖曲 溪水深更綠 음풍생암곡 계수심갱록 倚杖望層巓 飛簷駕雲木 의장망층전 비첨가운목 마하연암(摩訶演菴) 山中日亭午 草露濕芒屨 산중일정오 초로습망구 古寺無居僧 白雲滿庭戶 고사무거승 백운만정호 『益齋亂稿』 卷第三 해석 보덕굴(普德窟) 陰風生巖曲 溪水深更綠 음산이 바람이 바위 굽은 곳에서 생기고 시냇물은 깊어 더욱 푸르네. 倚杖望層巓 飛簷駕雲木 지팡이 짚고 층층한 봉우리 바라보니 나는 듯한 처마가 구름 낀 나무 타는 구나. 마하연암(摩訶演菴) 山中日亭午 草露濕芒屨 산 속 해는 정오에 다다랐는데 풀은 젖어 짚신마저 적셨네. 古寺無居僧 白雲滿庭戶 옛 사찰엔 거처하는 스님도 없어도 흰 구름만이 정원과 사찰에 가득해라. 해설 이 시는 금강산의 보덕굴과 마하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48I8g/btrN0Eua5XD/3vXSDdg2eKXADtWeo0vV21/img.jpg)
천력 3년 5월에 강릉도 존무사의 명령을 받고 이달 30일에 개성에서 출발해 백령역에 묵으며 야밤에 비 내리니 감회가 있어서 천력삼년오월 수강릉도존무사지명 시월삼십일 발송경 숙백령역 야반우작유회(天曆三年五月 受江陵道存撫使之命 是月三十日 發松京 宿白嶺驛 夜半雨作有懷) 안축(安軸) 讀書求道竟無成 自愧明時有此行 但盡迂踈施實學 敢將崖異盜虛名 民生塗炭知難救 國病膏肓念可驚 耿耿枕前眠未穩 卧聞山雨注深更 『謹齋先生集』 卷之一 해석 讀書求道竟無成 독서구도경무성 책을 읽어 도를 구했지만 마침내 성취함이 없었으니 自愧明時有此行 자괴명시유차행 스스로 밝은 시대에 이런 행실이 부끄럽기만 하네. 但盡迂踈施實學 단진우소시실학 다만 우활하고 서투름을 다해 실학을 실시하려 하니 敢將崖異盜虛名 감장애리도허명 감히 남과 다름【애이(崖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gDm0/btrN0CC7Xsi/5VYiPE0Mxx5mu3pR8L6a70/img.jpg)
십일 임단역에 묵으면서 십일숙임단역(十日宿林丹驛) 안축(安軸) 黃昏投古館 數戶閉柴扉 황혼투고관 수호폐시비 隔岸人猶語 棲林鳥已稀 격안인유어 서림조이희 幽窓多鬱氣 暖堗挫寒威 유창다울기 난돌좌한위 年儉困供億 寧敎妻子肥 년검곤공억 녕교처자비 『謹齋先生集』 卷之一 해석 黃昏投古館 數戶閉柴扉 황혼에 옛 여관에 투숙하니 몇 집의 사립문 닫혀 있네. 隔岸人猶語 棲林鳥已稀 언덕 너머의 사람은 오히려 말하나 숲에 깃든 새는 이미 드물다네. 幽窓多鬱氣 暖堗挫寒威 깊은 창엔 울적한 기운이 많고 따뜻한 구들엔 추운 기운 꺾였네. 年儉困供億 寧敎妻子肥 흉년들어 구휼함【공억(供億): 가난한 사람들을 구휼하여 안심시킴. ‘억(億)’은 안(安)의 뜻.】이 곤궁하니 어찌 처자를 살찌게 할 수 있으리오. 『謹齋先生集』 卷之一 해설 이 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m5sr/btrNZlBWmmn/IgKjLN92WL265o33Fa6h1k/img.jpg)
삼척의 죽서루에 올라 삼척서루(三陟西樓) 안축(安軸) 죽장고사(竹藏古寺) 脩篁歲久盡成圍 手種居僧今已非 禪榻茶軒深不見 穿林翠羽獨知歸 암공청담(巖控淸潭) 流川爲陸陸爲川 有底淸潭獨不然 看取奔灘停滀處 奇巖削立重難遷 의산촌사(依山村舍) 傍山煙火占孤村 竹下紅桃臥守門 力穡田夫皆惜日 戴星服役返乘昏 와수목교(臥水木橋) 一木搖搖跨石灘 望來惟恐蹈波瀾 居民足與心曾熟 如過平途不細看 ⇒ 해석보기 우배목동(牛背牧童) 仰空吹笛快軒眉 牛背身無掩脛衣 家在山前陂隴隔 雨天行趁暮鴉歸 롱두엽부(壟頭饁婦) 婦具農飧自廢飧 曉來心在夏畦間 壟頭日午催行邁 餉了田夫信步還 림류수어(臨流數魚) 樓下淸潭窟穴空 游魚育卵粟排紅 莘莘衆尾知多少 前數無窮後亦同 격장호승(隔墻呼僧) 聳壑郡樓臨水府 隔墻禪舍倚巖叢 愛僧眞趣無人會 十里茶煙颺竹風 『謹齋先生集』 卷之一 ⇒ 해석보..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E1yCg/btrNZk35dc0/OOEXNPBtxKzuNS4JcQgNK1/img.jpg)
관목역 정자에서 쓰며 제관목역정(題灌木驛亭) 안축(安軸) 彤雲赤日火鎖空 傍岸團茅在眼中 珍重成林百年樹 坐來分我一襟風 『謹齋先生集』 卷之一 해석 彤雲赤日火鎖空 동운적일화쇄공 붉은 구름과 붉은 해과 붉게 매인 허공 傍岸團茅在眼中 방안단모재안중 언덕 곁에 둥근 초가집이 눈 안에 있네. 珍重成林百年樹 진중성림백년수 귀중하게 숲을 이룬 백년 된 나무들이 坐來分我一襟風 좌래분아일금풍 앉아 있노라면 나에게 한 옷깃의 바람을 나눠준다네. 『謹齋先生集』 卷之一 해설 이 시는 관목역에 있는 정자(亭子)에 올라 느낀 정회(情懷)를 기록한 것으로, 강렬한 색채감을 느끼게 하는 시이다. 석양(夕陽)녘이라 구름도 붉고 해도 붉어 하늘이 온통 붉다. 하늘을 보다가 언덕에 시선이 닫자, 언덕 위로 둥근 초가집이 보인다. 다시 시선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Q3h2/btrNYUkgZxU/3Vez1h1x7bSvJ5DxDLU2nK/img.jpg)
해당화 둑길을 거닐며 해당(海棠) 안축(安軸) 海棠花發白沙堤 紅艶紛紛沒馬蹄 時復行間六七里 忽聞枝上鷓鴣啼 『謹齋先生集』 卷之一 해석 海棠花發白沙堤 해당화발백사제 해당화가 모래사장 둑에서 피어 紅艶紛紛沒馬蹄 홍염분분몰마제 붉고 고운 해당화가 어지럽게 말발굽에 파묻혀 있네. 時復行間六七里 시부행간육칠리 이따금 다시 가는 사이 6~7리에 忽聞枝上鷓鴣啼 홀문지상자고제 갑작스레 가지 위에서 자고새 우는 소리 들리네. 『謹齋先生集』 卷之一 해설 이 시는 여름날 해당화가 많이 피어 있는 동해 바닷가를 말을 타고 지나면서 지은 시이다. 여름철, 붉은 해당화가 지천으로 피어 있는 백사장 둑길을 말을 타고 지나가는데, 꽃잎이 땅에 떨어져 말발굽에 묻힌다. 가다가 지치면 쉬었다가 다시 6, 7리 길을 가노라니, 그때 갑자기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03Bm7/btrN0DWjNVp/m7KQizFxmObFbmmiqUXgs0/img.jpg)
사사 정오품 벼슬인 직랑 이임종이 옛 터전으로 돌아가 은둔함을 전송하며 송이림종직랑 귀구은(送李林宗直郞 歸舊隱) 최해(崔瀣) 我欲歸歟久未歸 君胡去矣復來斯 衣冠恰似倡優戲 升斗爭敎妻子肥 却羡已收匡國策 自憐苦乏買山貲 百年後有知音在 不用題詩淚滿衣 『東文選』 卷之十五 해석 我欲歸歟久未歸 아욕귀여구미귀 나도 돌아가려 하지만 오래되어 돌아가지 못하는데 君胡去矣復來斯 군호거의부래사 그대는 어찌 떠났다가 다시 이곳에 왔는가? 衣冠恰似倡優戲 의관흡사창우희 의관은 흡사 배우 같고 升斗爭敎妻子肥 승두쟁교처자비 쌀의 홉과 말로 다투어 처자를 살찌게 하네. 却羡已收匡國策 각이이수광국책 도리어 이미 나라를 거두어 바르게 할 방책이 부끄럽기만 하고 自憐苦乏買山貲 자련고핍매산자 스스로 괴롭게 산을 살 돈【매산자(買山貲): 진(晉)나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0wJOz/btrNZorkLDH/cKPzKFDEbx2zkGRScg7Ii0/img.jpg)
기유 삼월 체직한 후에 짓다 기유삼월체관후작(己酉三月褫官後作) 최해(崔瀣) 分將踈懶掩柴關 十日無人一往還 懷古誰憐空好古 愛閑自覺不如閑 風來樹影低簷暗 雨送苔痕上砌斑 尙友前修眞枉尺 有時捬卷仰高山 『東文選』 卷之十五 해석 分將踈懶掩柴關 분장소라엄시관 분수에 장차 어설프고 게을러 시립문 닫으니 十日無人一往還 십일무인일왕환 열흘동안 오고 가는 사람 없네. 懷古誰憐空好古 회고수련공호고 옛 것을 회고하니 누가 부질없이 옛 것을 좋아한다 가련히 여길 것이고 愛閑自覺不如閑 애한자각불여한 한가함을 사랑해 스스로 한가함만 못하다는 깨달았네. 風來樹影低簷暗 풍래수영저첨암 바람 불어 나무 그림자 밑 처마는 그늘지고 雨送苔痕上砌斑 우송태흔상체반 비 내려 이끼 흔적 위 섬돌이 얼룩지네. 尙友前修眞枉尺 상우전수진왕척 거슬러 앞선 현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uQ7N4/btrNXjyiLE6/AkPMW4f8xryFBlyQ2rlilK/img.jpg)
관리의 수탈만 없다면 곳곳이 이상향일 텐데 도원가(桃源歌) 진화(陳澕) 丱角森森 東海之蒼煙 紫芝曄曄 南山之翠巓 等是當時避秦處 桃源最號爲神仙 溪流盡處山作口 土膏水軟多良田 紅狵吠雲白日晚 落花滿地春風顚 鄕心斗斷種桃後 世事只說焚書前 坐看草樹知寒暑 笑領童孩忘後先 漁人一見卽回棹 煙波萬古空蒼然 君不見江南村 竹作戶花作藩 淸流涓涓寒月漫 碧樹寂寂幽禽喧 所恨居民產業日零落 縣吏索米將敲門 但無外事來相逼 山村處處皆桃源 此詩有味君莫棄 寫入郡譜傳兒孫 『梅湖遺稿』 해석 丱角森森 東海之蒼煙 관각삼삼 동해지창연 쌍상투 뿔 빼곡한 동해에 푸른 아지랑이 紫芝曄曄 南山之翠巓 자지엽엽 남산지취전 푸른 지초 반짝이는 남산의 푸른 봉우리. 等是當時避秦處 등시당시피진처 이와 같이 당시에 진나라를 피할 곳은 桃源最號爲神仙 도원최호위신선 도원이 가장 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LUCv5/btrNWoNicV7/0x81h2NWtX84AuNvR0MuA1/img.png)
월계사에서 저물녁에 바라보며 월계사만조(月桂寺晚眺) 진화(陳澕) 小樓高倚碧孱顏 雨後登臨物色閑 帆帶綠煙歸遠浦 潮穿黃葦到前灣 水分天上眞身月 雲漏江邊本色出 客路幾人閑似我 曉來吟到晚鴉還 『梅湖遺稿』 해석 小樓高倚碧孱顏 소루고의벽잔안 작은 누각은 높다랗게 푸른 험한 산[孱顏]에 기대 雨後登臨物色閑 우후등림물색한 비 온 뒤에 오르니 물색이 아름답네. 帆帶綠煙歸遠浦 범대록연귀원포 돛대가 푸른 안개 띠어 먼 포구로 돌아가고 潮穿黃葦到前灣 조천황위도전만 조수가 노란 갈대 뚫고 앞의 만에 도달하네. 水分天上眞身月 수분천상진신월 물은 하늘 위의 온전한 달을 나누고 雲漏江邊本色出 운루강변본색출 구름은 강가에서 원래의 색을 발출함을 새어내네. 客路幾人閑似我 객로기인한사아 나그네 길에서 몇 사람이나 나처럼 한가할꼬? 曉來吟到晚鴉..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qYUD/btrNXtgm4zJ/QyP1XA8K71QmTiO3uyVAo0/img.jpg)
개성에서 경도(京都) 진화(陳澕) 小雨朝來捲細毛 浴江初日暈紅濤 千門撲地魚鱗錯 雙闕攙天鷙翼高 吳苑裌衣晴闘草 漢宮仙袂醉分桃 多慙每忝金閨侍 與倚淸香捧赭袍 『東文選』 卷之十四 해석 小雨朝來捲細毛 소우조래권세모 보슬비 아침에 내리다가 작은 털처럼 걷히니 浴江初日暈紅濤 욕강초일훈홍도 강에 목욕한 첫 해가 붉은 파도에 무리지네. 千門撲地魚鱗錯 천문박지어린착 일 천 집들이 땅을 치니 물고기 비닐이 어지러운 듯하고 雙闕攙天鷙翼高 쌍궐참천지익고 쌍쌍의 궁궐이 하늘을 찌르니 수리 날개가 높다란 듯하네. 吳苑裌衣晴闘草 오원겹의청투초 오원의 겹옷은 갠 날에 풀 싸움하고【투초(鬪草): 풀싸움. 풀을 뜯어다가 맞춰보며 우열을 다투는 놀이로서 음력 5월 5일 단오절에 이 놀이를 하였다.】 漢宮仙袂醉分桃 한궁선몌취분도 한궁의 신선 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AUYJP/btrNXLHMvMX/njQ0K5pKOpB1ieiKa99e3k/img.jpg)
버들개지 유(柳) 진화(陳澕) 鳳城西畔萬條金 句引春愁作瞑陰 無限光風吹不斷 惹烟和雨到秋深 『梅湖遺稿』 해석 鳳城西畔萬條金 봉성서반만조금 서울 서쪽 언덕의 뭇 가지들 句引春愁作瞑陰 구인춘수작명음 봄의 근심을 끌어들여[句引] 그늘 만들었네. 無限光風吹不斷 무한광풍취부단 무한한 빛줄기의 바람이 끊이지 않고 불어대 惹烟和雨到秋深 야연화우도추심 낀 안개와 온화한 비가 깊은 가을에 이르게 하네. 『梅湖遺稿』 해설 이 시는 버들을 노래한 영물시(詠物詩)로, 버들을 정의적(情意的) 존재로 인격화하여 노래하였다. 이제현(李齊賢)의 『역옹패설(櫟翁稗說)』에 “당(唐)나라 이상은(李商隱)의 버들시에 ‘일찍이 봄바람과 함께 춤자리를 쓸었고, 맑은 원림에 놀면서 이별하는 사람 보기도 했는데, 어쩌다가 즐겨 가을까지 왔는가, 석양..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vzUaF/btrNXkXPp2m/98XAQb9b2o5dYEHHO7WXmK/img.jpg)
쥐를 놓아주는 이유 방서(放鼠) 이규보(李奎報) 人盜天生物 爾盜人所盜 인도천생물 이도인소도 均爲口腹謀 何獨於汝討 균위구복모 하독어여토 『東國李相國全集』 卷第十六 해석 人盜天生物 爾盜人所盜 사람은 하늘이 낸 사물을 훔치는데 너는 사람이 훔친 걸 훔치네. 均爲口腹謀 何獨於汝討 고르게 입과 배의 도모함을 위함이지만 어찌 홀로 너에게만 죽이는가? 『東國李相國全集』 卷第十六 해설 이 시는 쥐를 놓아주며 지은 것이다. 이규보는 만물은 다 독자적 존재이유를 지니고 있다고 여겼다. 쥐가 인간의 양식을 훔쳐 가는데도 쥐의 존재를 부정하기보다는 쥐나 사람이나 모두 먹기 위한 행위로 간주하여, 사람은 천생의 물건을 훔치고 쥐는 사람이 훔친 것을 또 훔친다고 하였던 것이다. 원주용, 『고려시대 한시 읽기』, 이담, 2009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DhJ3S/btrNVisENG8/egOegssyLbA4K68dlXj6Ck/img.jpg)
이중민의 바지를 꿰매는 아내를 보고서 놀리며 희이군중민봉군(戱李君中敏縫裙) 이규보(李奎報) 踏破香紈雪色裙 誰家帳底弄文君 細君愼勿加針線 又向巫山染雨雲 『東國李相國全集』 卷第五 해석 踏破香紈雪色裙 답파향환설색군 향내나는 비단의 눈색 바지가 밟다 터지니 誰家帳底弄文君 수가장저롱문군 누구 집 휘장 아래서 탁문군【탁문군(卓文君): 한(漢) 나라 임공(臨邛)의 부호인 탁왕손(卓王孫)의 딸로 무척 미인이었는데, 일찍이 과부가 되어 집에 있을 때 사마상여(司馬相如)가 그 집 잔치에 가서 거문고를 타며 음률을 좋아하는 탁문군의 마음을 돋우니 문군이 거문고 소리에 반하여 밤중에 집을 빠져 나와 사마상여의 아내가 되었다 한다. 『사기(史記)』 卷117 「사마상여열전(司馬相如列傳)」】을 놀렸는가? 細君愼勿加針線 세군신물가침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9jtb8/btrNWo7b7nF/wFfYBhmIqFKbB1D71BYreK/img.jpg)
군수 몇 사람이 장물죄를 지었다는 걸 듣고서 문군수수인이장피죄(聞郡守數人以贓被罪) 이규보(李奎報) 歲儉民幾死 唯殘骨與皮 세검민기사 유잔골여피 身中餘幾肉 屠割欲無遺 신중여기육 도할욕무유 君看飮河鼴 不過滿其腹 군간음하언 부과만기복 問汝將幾口 貪喫蒼生肉 문여장기구 탐끽창생육 『東國李相國後集』 卷第十 해석 歲儉民幾死 唯殘骨與皮 흉년들어 백성이 몇 사람이나 죽었는지, 오직 남은 건 뼈와 살뿐. 身中餘幾肉 屠割欲無遺 몸 속 남은 살은 얼마던가? 베어내려 해봤자 남은 것 없는 걸. 君看飮河鼴 不過滿其腹 그대 보아라. 물가 두더지가 마시더라도 그 배를 채우는 데 지나는 않는 것을. 問汝將幾口 貪喫蒼生肉 너에게 묻노니, 장차 몇 명의 입이 백성의 육체를 탐내어 먹어대는가? 『東國李相國後集』 卷第十 해설 이 시는 군수(郡..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b42jV/btrNXsOWN1Z/L0KeInCDwJW9Z6rZSfEa91/img.jpg)
햅쌀 노래 신곡행(新穀行) 이규보(李奎報) 一粒一粒安可輕 係人生死與富貧 我敬農夫如敬佛 佛猶難活已飢人 可喜白首翁 又見今年稻穀新 雖死無所歉 東作餘膏及此身 『東國李相國後集』 卷第一 해석 一粒一粒安可輕 일립일립안가경 한 알 한 알 어찌 가벼울꼬? 係人生死與富貧 계인생사여부빈 사람의 생사와 부귀가 달려 있는 걸. 我敬農夫如敬佛 아경농부여경불 내가 농부 공경하길 부처 공경하는 것처럼 하지만 佛猶難活已飢人 불유난활이기인 부처가 오히려 이미 주린 사람을 살리긴 어렵다네. 可喜白首翁 가희백수옹 흰 머리의 농부 기뻐할 만한 것은 又見今年稻穀新 우견금년도곡신 또한 올해의 햅쌀 보아서지. 雖死無所歉 수사무소겸 비록 죽더라도 부족할 게 없는 것은 東作餘膏及此身 동작여고급차신 농사【동작(東作)“ 봄에 시작하는 일로 봄 경작(耕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xqmNb/btrNWoF2qlp/gJgs43zQfwyuEEdBpR7urK/img.jpg)
여뀌의 백로 요화백로(蓼花白鷺) 이규보(李奎報) 前灘富魚蝦 有意劈波入 전탄부어하 유의벽파입 見人忽驚起 蓼岸還飛集 견인홀경기 료안환비집 翹頸待人歸 細雨毛衣濕 교경대인귀 세우모의습 心猶在灘魚 人噵忘機立 심유재탄어 인도망기립 『東文選』 卷之四 해석 前灘富魚蝦 有意劈波入 앞 여울엔 물고기와 조개가 넉넉해 뜻이 있어 파도 쪼개고 들어가다가 見人忽驚起 蓼岸還飛集 사람을 보고 갑자기 일어나 날아서 여뀌 언덕으로 돌아와 날아 모이지. 翹頸待人歸 細雨毛衣濕 목을 들고서 사람이 돌아가길 기다리니 이슬비에 깃털 적셔지네. 心猶在灘魚 人噵忘機立 마음은 아직도 여울 물고기에 있는데 사람은 ‘기미를 잊고서 서 있구나’라고 말들 하네. 『東文選』 卷之四 해설 이 시는 각월(覺月)이라는 스님이 거처하는 방 안의 족자에 여뀌꽃이 핀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tWi4/btrNTAfSQ8p/IfG0Z4RguLgiDWECoNt0A0/img.jpg)
봄날에 산 속 사찰을 방문하며 춘일방산사(春日訪山寺) 이규보(李奎報) 風和日暖鳥聲喧 垂柳陰中半掩門 滿地落花僧醉臥 山家猶帶太平痕 『東國李相國全集』 卷第十四 해석 風和日暖鳥聲喧 풍화일난조성훤 바람은 부드럽고 햇빛은 따스하며 새 소리는 시끄러우니 垂柳陰中半掩門 수류음중반엄문 드리운 버들개지 그늘 속에 반쯤 문이 닫혀 있네. 滿地落花僧醉臥 만지락화승취와 땅 가득한 낙화엔 스님이 취해 누워 있으니 山家猶帶太平痕 산가유대태평흔 산 사찰엔 오히려 태평의 흔적을 띠고 있구나. 『東國李相國全集』 卷第十四 해설 봄날 산속의 절을 찾은 감회를 읊고 있다. 바람이 온화하고 햇볕은 따스하며 새들이 요란하게 지저귀는 봄, 산사(山寺)를 찾아왔다. 그 산사의 정경은 버드나무 가지가 치렁치렁 늘어진 그늘 아래로 문이 반쯤 닫혀 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5u2K/btrNXsVai5h/YWBkQDQTKeVsSBfiKKVv2K/img.jpg)
정월대보름에 등롱을 켜놓고서 등롱시(燈籠詩) 이규보(李奎報) 五色雲中拜玉皇 壓頭星月動寒芒 都人不覺天文爛 遙認銀燈爍爍光 紗籠剪水分珠蚌 金殿移天掛玉蟾 炤遍鳳城渾不夜 雞人應誤漏壺籤 絳碧紗籠菡萏開 龍膏吐暈紫煙迴 憑渠好續常生焰 萬歲千年炤壽盃 金燈吐焰透紅紗 日散千暉暈曉霞 四海一家天子聖 瑞光看取百枝花 『東國李相國全集』 卷第十三 해석 五色雲中拜玉皇 오색운중배옥황 오색 구름 속에서 옥황께 배알(拜謁)하니 壓頭星月動寒芒 압두성월동한망 머리를 압도하는 별과 달이 차가운 별빛 움직이게 하네. 都人不覺天文爛 도인불각천문란 서울 사람이 하늘의 별빛이 반찍이는 건 깨닫지 못하고 遙認銀燈爍爍光 요인은등삭삭광 아득히 은빛 등만이 반짝반짝이는 빛이라 착각한다네. 紗籠剪水分珠蚌 사롱전수분주방 비단에 싼 등롱은 물을 가른 조개 속 진주 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RaEV0/btrNT6yit7G/VLQ33gyZWPMAbqES6sutA0/img.jpg)
기미(1199)년 5월 모일에 지주사 최공 댁에서 석류꽃의 온 잎사귀가 만개하여 세상에 드물게 보이는 것이라 특별히 내한 이인로와 내한 김극기와 류원 이담지와 사직 함순과 나를 불러 운을 정하여 지으라 명하였다. 기미오월일 지주사최공택 천엽류화성개 세소한견 특환이내한인로 김내한극기 이유원담지 함사간순급여 점운명부운(己未五月日 知奏事崔公宅 千葉榴花盛開 世所罕見 特喚李內翰仁老 金內翰克己 李留院湛之 咸司直淳及予 占韻命賦云) 이규보(李奎報) 玉顔初被酒 紅暈十分侵 옥안초피주 홍훈십분침 葩複鍾天巧 姿嬌挑客尋 파복종천교 자교도객심 爇香晴引蝶 散火夜驚禽 설향청인접 산화야경금 惜𧰟敎開晚 誰知造物心 석염교개만 수지조물심 (自況予晚達) 『東國李相國全集』 卷第九 해석 玉顔初被酒 紅暈十分侵 옥 같은 얼굴로 처음 술 취해 불그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wYWd/btrOULNHiXF/V2LAwoplJaMEUx7RGNFbr1/img.jpg)
동명왕 주몽의 이야기 동명왕편(東明王篇) 이규보(李奎報) 元氣判𣳎渾 天皇地皇氏 十三十一頭 體貌多奇異 其餘聖帝王 亦備載經史 女節感大星 乃生大昊摯 女樞生顓頊 亦感瑤光暐 伏羲制牲犧 燧人始鑽燧 生蓂高帝祥 雨粟神農瑞 靑天女媧補 洪水大禹理 黃帝將升天 胡髥龍自至 太古淳朴時 靈聖難備記 後世漸澆漓 風俗例汰侈 聖人間或生 神迹少所示 漢神雀三年 孟夏斗立巳 漢神雀三年四月甲寅 海東解慕漱 眞是天之子 本記云 夫余王解夫婁老無子 祭山川求嗣 所御馬至鯤淵 見大石流淚 王怪之 使人轉其石 有小兒金色蛙形 王曰 此天錫我令胤乎 乃收養之 名曰金蛙 立爲太子 其相阿蘭弗曰 日者天降我曰 將使吾子孫 立國於此 汝其避之 東海之濱有地 號迦葉原 土宜五穀 可都也 阿蘭弗勸王移都 號東夫余 於舊都 解慕漱爲天帝子來都 初從空中下 身乘五龍軌 從者百餘人 騎鵠紛襂襹 淸樂動鏘洋 彩雲浮..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yygNM/btrNThG6r2G/78YfCE1y2nkYLaqYg42SG1/img.jpg)
천마산에 더부살이하며 짓다 북산잡제(北山雜題) 이규보(李奎報) 欲試山人心 入門先醉奰 욕시산인심 입문선취비 了不見喜慍 始覺眞高士 료불견희온 시각진고사 高巓不敢上 不是憚躋攀 고전불감상 불시탄제반 恐將山中眼 乍復望人寰 공장산중안 사부망인환 山花發幽谷 欲報山中春 산화발유곡 욕보산중춘 何曾管開落 多是定中人 하증관개락 다시정중인 山人不浪出 古徑蒼苔沒 산인불랑출 고경창태몰 應恐紅塵人 欺我綠蘿月 응공홍진인 기아록라월 『東國李相國全集』 卷第十二 해석 欲試山人心 入門先醉奰 산 사람의 마음을 시험하려 문에 들어가자마자 먼저 취한 척하며 화내지만 了不見喜慍 始覺眞高士 끝내 기뻐함과 화냄을 드러내지 않으니 비로소 참된 고사임을 깨닫게 됐네. 해설 이규보는 24세 되던 해 가을에 부친상을 당한 뒤 천마산에 우거(寓居)하였는데,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uZaux/btq3gaTzzxX/AAXio1tz9oKIzFV83VAeG0/img.jpg)
들판을 거닐며야보(野步) 진화(陳澕) 小梅零落柳僛垂 閑踏靑嵐步步遅 漁店閉門人語少 一江春雨碧絲絲 『東文選』 卷之二十 해석小梅零落柳僛垂소매영락류기수작은 매화 지고 버들개지 늘어져閑踏靑嵐步步遅 한답청람보보지 한가롭게 푸른 이내를 밟으니 걸음마다 느리기만 해. 漁店閉門人語少어점폐문인어소물고기 가게 문을 닫자 사람 말소리 적어졌고一江春雨碧絲絲일강춘우벽사사한 강의 봄비는 푸른 빗줄기라네. 『東文選』 卷之二十 해설이 시는 봄날 들길을 걸으며 흥취(興趣)를 읊은 것이다. 매화는 떨어지고 버들이 어지러이 드리운 봄, 한가로이 흥취에 젖어 걷고 있다. 느릿느릿 걷다 보니 어촌 마을인데, 보슬비가 내리기 시작한다. 비를 만나 잠시 주막에 들었는데, 주막은 문이 닫힌 채 아무도 없는 듯 사람 말소리도 거의 들리지 않는다. 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JzDvj/btrNVhlM7he/9ROemleh5KcNxPtGwHXvS1/img.jpg)
강 위에 달 뜬 밤에 손님 탄 배를 바라보며 강상월야 망객주(江上月夜 望客舟) 이규보(李奎報) 官人閑捻笛橫吹 蒲蓆凌風走似飛 天上月輪天下共 自疑私載一船歸 『東國李相國後集』 卷第一 해석 官人閑捻笛橫吹 관인한념적횡취 벼슬아치들이 한가롭게 젓대 잡고 비껴 불어대니 蒲蓆凌風走似飛 포석릉풍주사비 부들자리 돛배가 바람을 타고서 나는 듯 달리네. 天上月輪天下共 천상월륜천하공 하늘 위 달이 천하를 공유하지만 自疑私載一船歸 자의사재일선귀 스스로 혼자만 한 배에 실고서 돌아간다 착각하겠지. 『東國李相國後集』 卷第一 해설 달밤에 강 위를 지나가고 있는 배를 보고 읊은 시이다. 강가에서 달 밝은 밤 지나가는 배를 보니, 벼슬아치가 할 일이 없이 한가로이 젓대불고 있다. 하늘엔 보름달이 떠 온 천하를 비추고 있건만, 벼슬아치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jeqD/btrNTzOdB6X/qjwchpOp2xafGbboMdCYF0/img.jpg)
종형에게 부치다 기종형(寄從兄) 임춘(林椿) 自從避地便忘歸 夜夢時時入試闈 要使家聲今復振 靑雲相伴鶺鴒飛 『西河先生集』 卷第三 해석 自從避地便忘歸 자종피지변망귀 피난지로 와서부터 곧 돌아가길 잊었지만 夜夢時時入試闈 야몽시시입시위 밤 꿈엔 이따금 시험장에 들어가곤 하네. 要使家聲今復振 요사가성금부진 바라기는 집의 명성을 이제 다시 떨치려 한다면 靑雲相伴鶺鴒飛 청운상반척령비 청운길에 서로 형제[鶺鴒]가 따라 날아가야 하리. 『西河先生集』 卷第三 해설 이 시는 사촌형에게 보낸 것으로, 무신난(武臣亂) 전(前) 구 귀족사회에서 별로 저항 없이 보유해 왔던 지배귀족계급다운 의식이 무신(武臣) 지배라는 막강한 저항을 만나 난파(難破)당하자, 다시 가문(家門)을 일으키고자 하는 가문의식(家門意識)이 잘 반영된 노래이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KNAh8/btrNSXovfQE/hmp4SYn0iQYBIniESGNaZ0/img.jpg)
꿈에 대해 읊조리다 영몽(詠夢) 임춘(林椿) 疏慵多是泥春天 頻到香閨玉枕前 詩榻夜凉風斷續 倡樓日晏酒拘牽 一塲曾把浮生比 千里長將別恨傳 更爲等閑拋世慮 近來還繞故山川 『東文選』 卷之十三 해석 疏慵多是泥春天 소용다시니춘천 소홀해지고 게을러져 많이들 봄날에 취해 頻到香閨玉枕前 빈도향규옥침전 향내 나는 규방의 옥색 베개 앞에 자주 당도했지. 詩榻夜凉風斷續 시탑야량풍단속 시 짓는 상에선 밤에 서늘한데다 바람마저 불었다 말았다 倡樓日晏酒拘牽 창루일안주구견 노래하는 누각에선 해 저물자 술을 끌어대었지. 一塲曾把浮生比 일장증파부생비 일장춘몽을 일찍이 뜬 삶에 잡아서 비유하고 千里長將別恨傳 천리장장별한전 천리의 장거리는 장차 이별의 한 전하네. 更爲等閑拋世慮 갱위등한포세려 다시 마음에 두지 않고【등한(等閑): 마음에 두지 않..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lrHr/btrNSNzAwIz/KGzyKNzl8dcr0KUIgSb6Tk/img.jpg)
병 들어 느껴지는 소회가 있어서 병중유감(病中有感) 임춘(林椿) 年年虛過試闈開 臨老猶堪矍鑠哉 科第由來求俊士 公卿誰肯薦非才 長鯨欲奮波濤竭 病鶴思飛羽翮摧 舊有江東隱居地 自憐頭白好歸來 『東文選』 卷之十三 해석 年年虛過試闈開 년년허과시위개 해마다 부질없이 과거시험 열리는 때 보내느라 臨老猶堪矍鑠哉 림로유감확삭재 늙었음에도 오히려 젊은 이 같이 왕성할 수 있겠는가? 科第由來求俊士 과제유래구준사 과거란 예로부터 준걸한 선비를 구하는 것이니 公卿誰肯薦非才 공경수긍천비재 공경 중 누가 기꺼이 재주 없는 나를 천거하랴? 長鯨欲奮波濤竭 장경욕분파도갈 큰 고래가 뛰려 해도 파도는 말랐고 病鶴思飛羽翮摧 병학사비우핵최 병든 학이 날려 생각해도 깃털이 부러졌구나. 舊有江東隱居地 구유강동은거지 예전에 강동에 은거할 땅이 있었으니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K49E2/btrNVheVzbm/CCqBXYRtLuCNGPk8XpAiCk/img.jpg)
늦봄에 꾀고리 소리를 듣고서 모춘문앵(暮春聞鶯) 임춘(林椿) 田家葚熟麥將稠 綠樹時聞黃栗留 似識洛陽花下客 殷勤百囀未能休 『東文選』 卷之十九 해석 田家葚熟麥將稠 전가심숙맥장조 시골집에 오디 익고 보리 장차 풍족히 익으니 綠樹時聞黃栗留 록수시문황률류 푸른 나무 이따금 꾀꼬리【황율류(黃栗留): 꾀꼬리를 말한다. 황리류(黃鸝留), 황리(黃鸝)라고도 한다. 『시경』 주남(周南) 「갈담(葛覃)」의 “황조우비(黃鳥于飛)”에 대해 육기(陸機)가 소(疏)에서 “황조는 ‘황리류(黃鸝留)’인데 어떤 이는 ‘황율류’라고도 한다. 황율류(黃栗留)는 오디가 익을 때에 날아와서 뽕나무 사이를 엿본다.”라고 하였다.】 소리 들려온다. 似識洛陽花下客 사식락양화하객 낙양 꽃 아래의 손님을 안다는 듯이 殷勤百囀未能休 은근백전미능휴 은근히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g0hm/btrNUGzhZgT/QHKanZ3sTv7fWelbMszfx1/img.png)
시를 쓰다 든 감회에 서회(書懷) 임춘(林椿) 詩人自古以詩窮 顧我爲詩亦未工 何事年來窮到骨 長飢却似杜陵翁 『西河先生集』 卷第二 해석 詩人自古以詩窮 시인자고이시궁 시인은 자고로 시 때문에 곤궁해진다던데 顧我爲詩亦未工 고아위시역미공 나를 돌이켜보면 시를 지음이 또한 기교 있지 못하네. 何事年來窮到骨 하사년래궁도골 어떠한 일로 해마다 곤궁함이 뼈에 이르는지, 長飢却似杜陵翁 장기각사두릉옹 기나긴 굶주림이 도리어 두보와 흡사하네. 『西河先生集』 卷第二 해설 이 시는 곤궁한 자신의 삶에 대한 마음을 서술한 것이다. 예부터 시인들은 시 때문에 곤궁(困窮)했다고 하는데, 나 자신을 돌이켜 생각해 보니 곤궁하면서도 시 또한 잘 짓지 못하고 있다. 어쩐 일로 수년간 이렇게 곤궁할까? 오래 힘든 생활을 한 두보(杜甫)와 내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34Kms/btrNT9hlySZ/4LwaKMx4ke5a4kyqqa3wdk/img.jpg)
이담지에게 먹을 빌리며 부치다 기담지걸묵(寄湛之乞墨) 임춘(林椿) 吾窮正坐詩 袖手久已縮 오궁정좌시 수수구이축 但恐身後名 同腐草與木 단공신후명 동부초여목 晚學揚子雲 草玄在天祿 만학양자운 초현재천록 隃麋不見賜 未奏三千牘 유미불견사 미주삼천독 念昔家未破 嘗寶松煙馥 념석가미파 상보송연복 正患墨磨人 豈暇歎未足 정환묵마인 기가탄미족 如今篋笥貧 牢落無餘蓄 여금협사빈 뢰락무여축 君得東坡法 油煙收幾掬 군득동파법 유연수기국 歲月儻可支 分我一寸玉 세월당가지 분아일촌옥 『西河先生集』 卷第一 해석 吾窮正坐詩 袖手久已縮 내가 곤궁히 정자세로 앉아 시를 쓸 적에 소매 속 손은 오래되어 이미 수척해졌지. 但恐身後名 同腐草與木 다만 걱정되는 건 사후에 이름이 초목과 함께 썩는 거라네. 晚學揚子雲 草玄在天祿 느지막이 양자운을 배우려는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9ABwl/btrNVlIkh75/DKkk2NOk8gFJ7txQ2fkJQK/img.webp)
연등회에서 등석(燈夕) 이인로(李仁老) 風細不敎金燼落 更長漸見玉虫生 須知一片丹心在 欲助重瞳日月明 谷寒未放金鶯囀 風峭難敎海燕來 須信帝城春色早 銀花千樹徹宵開 『東文選』 卷之二十 해석 風細不敎金燼落 풍세불교금신락 바람이 약해 금빛 불꽃으로 하여금 떨어지지 않게 하고 更長漸見玉虫生 경장점견옥충생 시간이 오래 되어 점차 녹는 촛농【옥충(玉蟲): 등화(燈花) 혹은 등화(燈火)를 뜻한다.】 보겠구나. 須知一片丹心在 수지일편단심재 필시 알겠네. 한 조각의 붉은 마음이 있어 欲助重瞳日月明 욕조중동일월명 겹눈동자인 해와 달의 밝음을 도우려 하는 구나. 谷寒未放金鶯囀 곡한미방금앵전 골짜기 차갑기에 금빛 꾀꼬리 울어댐을 방사하지 못하고 風峭難敎海燕來 풍초난교해연래 바람이 거세기에 바다의 제비로 하여금 오기 어렵게 하네. 須信..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f6tZT/btrNVlO4T9H/rbgpGmPVyOKNZXVj5MyApk/img.jpg)
네 명의 벗에게 보내다 증사우(贈四友) 이인로(李仁老) 昔在文陣間 爭名勇先購 석재문진간 쟁명용선구 吾甞避銳鋒 君亦飽毒手 오상피예봉 군역포독수 如今厭矛楯 相逢但呼酒 여금염모순 상봉단호주 宜停雙鳥鳴 須念兩虎闘 右詩友林耆之 『東文選』 卷之四 의정쌍조명 수념량호투 해석 昔在文陣間 爭名勇先購 예전에 문인 속에 있을 적에 이름과 용맹을 다투어 먼저 내걸려 했지. 吾甞避銳鋒 君亦飽毒手 나는 일찍이 날카로운 붓날을 피했지만 그대는 또한 서슬퍼런 비판 마셨지. 如今厭矛楯 相逢但呼酒 지금은 모순 따지는 게 싫어 서로 만나면 다만 술로 불러 宜停雙鳥鳴 須念兩虎闘 다만 두 마리 새의 울음소리 멎게 하고 반드시 두 호랑이의 싸움(이인로와 임춘)을 생각해보게나. 여기까지 시벗 임춘에 관한 것이다[右詩友林耆之] 『東文選』 卷之四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cRlnA/btrNSXICYYP/MMjS41P9jdb5rLeNGoASck/img.jpg)
지리산을 떠돌아다니며 유지리산(遊智異山) 이인로(李仁老) 頭流山逈暮雲低 萬壑千巖似會稽 策杖欲尋靑鶴洞 隔林空聽白猿啼 樓臺縹渺三山遠 苔蘚依俙四字題 始問仙源何處是 落花流水使人迷 『東文選』 卷之十三 해석 頭流山逈暮雲低 두류산형모운저 두류산 깊고 저녁 구름 낮은 곳 萬壑千巖似會稽 만학천암사회계 온 골짜기와 온 바위들이 회계산【회계산(會稽山): 사안(謝安)이 은거했던 곳이다】 같네. 策杖欲尋靑鶴洞 책장욕심청학동 지팡이 짚고 청학동을 찾고 싶은데 隔林空聽白猿啼 격림공청백원제 숲 너머에선 부질 없이 흰 원숭이 울음소리 들려오네. 樓臺縹渺三山遠 누대표묘삼산원 누대는 아련하고 삼산【삼산(三山): 신선이 산다는 세 산을 말함】은 멀며 苔蘚依俙四字題 태선의희사자제 이끼 낀 네 자 글귀 희미하네. 始問仙源何處是 시문선원하처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xiF9/btrNSV45yRB/WkDzfuqeiMttu5gAv7kNQ1/img.jpg)
늦봄 모춘(暮春) 이인로(李仁老) 老來心事向春慵 睡起空驚落絮風 紅雨濛濛簾捲處 靑陰漠漠鳥啼中 『東文選』 卷之二十 해석 老來心事向春慵 노래심사향춘용 늙으니 심사가 봄이 옴에도 게을러 睡起空驚落絮風 수기공경락서풍 자다 일어나 부질없이 버들개지 바람에 떨어지는 것에 놀라네. 紅雨濛濛簾捲處 홍우몽몽렴권처 주렴 걷은 곳에 붉은 비 부슬부슬 내리고 靑陰漠漠鳥啼中 청음막막조제중 새 우는 속에 푸른 구름 아득하네. 『東文選』 卷之二十 해설 어떤 인위적 조작도 없는 늦은 봄 자연 그대로의 정취(情趣0를 읊은 노래이다. 봄이 오면 모든 만물들은 생동하게 되는데, 오히려 게으름을 피우고 있다가 봄잠에 일어나 바람결에 흔들리는 버들개지를 보고 놀란다. 발을 걷으니 해질녘이라 붉은 꽃잎이 내리고 짙은 그늘 아래에선 새가 지저귀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j7fF/btrNWpDDpJf/hrWm369O0QugLBpWShFj7k/img.jpg)
반월성에 서서 반월성(半月城) 이인로(李仁老) 孤城微彎像半月 荊棘半掩猩㹳穴 鵠嶺靑松氣欝葱 雞林黃葉秋蕭瑟 自從大阿倒柄後 中原鹿死何人手 江女空傳玉樹花 春風幾拂金堤柳 『東文選』 卷之六 해석 孤城微彎像半月 고성미만상반월 외로운 성의 조금 굽은 모양새가 반달 모양새이고 荊棘半掩猩㹳穴 형극반엄성오혈 가시나무가 날다람쥐 굴을 반절 가렸네. 鵠嶺靑松氣欝葱 곡령청송기울총 송악산의 푸른 소나무의 기운이 울창하고【신라 말기(末期)에 최치원(崔致遠)이 고려 태조 왕건(王建)에게 글을 보냈는데, “곡령의 푸른 솔이요, 계림의 누른 잎이라.” 하는 문구가 있었다. 이것은 “송도(松都)는 일어나고 경주(慶州)는 망하리라.”는 뜻이다.】 雞林黃葉秋蕭瑟 계림황엽추소슬 경주의 누런 잎사귀는 가을이 쓸쓸하기만 하네. 自從大阿倒柄後 자종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UDAxr/btq3hgltcjD/4OXviMvZ8P8IOdYy8iavAK/img.jpg)
눈병에 걸려병목(病目) 오세재(吳世才) 老與病相期 窮年一布衣 로여병상기 궁년일포의 玄花多掩翳 紫石少光輝 현화다엄예 자석소광휘 怯照燈前字 羞看雪後暉 겁조등전자 수간설후휘 後看金牓罷 閉目學忘機후간금방파 폐목학망기 『櫟翁稗說 後集』 二 해석老與病相期 窮年一布衣 늙음과 병은 서로를 기다려 말년에도 한 명의 포의라네. 玄花多掩翳 紫石少光輝 눈동자【현화(玄花): 눈의 동자를 말한다.】엔 덮여진 것 많아 눈동자【자석(紫石): 눈의 동자를 말한다.】엔 빛줄기 적어져怯照燈前字 羞看雪後暉 도리어 등불 앞 글자 비추기 두렵고 눈 내린 후의 비춰보며 공부하기 부끄럽네. 後看金牓罷 閉目學忘機후에 합격자 명단 보길 그만 두고 눈 감고 기미 잊길 배우려네. 『櫟翁稗說 後集』 二 해설실로 대단한 집념이다. 노년에 이르기까지 무수히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GsZCB/btrNTAysD3n/LWMRXh0vRjeGglkw03Odnk/img.jpg)
단월역에서 술 취해 자다 깨고서 단월역(團月驛) 정지상(鄭知常) 飮闌欹枕畫屛低 夢覺前村第一雞 却憶夜深雲雨散 碧空孤月小樓西 『東文選』 卷之十九 해석 飮闌欹枕畫屛低 음란의침화병저 술자리 파하고 그림병풍 밑의 베개에 기대었다가 夢覺前村第一雞 몽각전촌제일계 앞마을 첫 닭 울음소리에 꿈에서 깼네 却憶夜深雲雨散 각억야심운우산 도리어 생각나니, 깊은 밤 구름과 비【운우(雲雨): 남녀의 교정을 말한다. 『문선(文選)』 송옥(宋玉)의 고당부서(高唐賦序)에 “옛날에 선왕이 고당(高唐)에 노닐 적에 피곤하여 낮잠이 들었는데 꿈에 한 부인이 나타나 말하기를 ‘첩(妾)은 무산(巫山)의 계집으로 고당의 나그네가 되었는데 임금께서 고당에 노닌다는 말을 듣고서 침석(枕席)을 모시려고 이렇게 왔습니다.’ 하므로 왕이 가까이했다. 이윽..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jpPFq/btrNOI6lq4N/95MbmNK1Ny4j9L1Ay0iJPk/img.jpg)
술기운에 취후(醉後) 정지상(鄭知常) 桃花紅雨鳥喃喃 繞屋靑山閒翠嵐 一頂烏紗慵不整 醉眠花塢夢江南 『東文選』 卷之十九 해석 桃花紅雨鳥喃喃 도화홍우조남남 복숭아꽃 내린 비에 새는 지저귀고 繞屋靑山閒翠嵐 요옥청산한취람 집을 에워싼 청산엔 푸른 이내 껴있네. 一頂烏紗慵不整 일정오사용부정 정수리의 오사모【오사모(烏紗帽): 관복(官服)을 입을 때 쓰던 사(紗)로 만든 벼슬아치의 모자이다.】는 게을러 정돈치 않고 醉眠花塢夢江南 취면화오몽강남 고주망태되어 꽃 언덕에서 자니 강남 꿈에 나오네. 해설 이 시는 술에 취한 시인의 취한 모습과 그 몽상적 분위기를 잘 살려 쓴 작품이다. 구성은 늦봄의 화사한 정경을 묘사한 전반부와 그러한 상황에서 취해 흥에 겨워하는 작자의 모습을 형용한 후반부로 되어 있다. 복사꽃이 떨어지는 것..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MJ43/btrNOf4mwDz/AgcpluZceGnESUpD6KnLTK/img.jpg)
새 눈 신설(新雪) 정지상(鄭知常) 昨夜紛紛瑞雪新 曉來鵷鷺賀中宸 輕風不起陰雲捲 白玉花開萬樹春 『東文選』 卷之十九 해석 昨夜紛紛瑞雪新 작야분분서설신 어젯밤 어지럽게 상서로운 눈 새로워 曉來鵷鷺賀中宸 효래원로하중신 새벽에 뭇 관리【원로(鵷鷺): 원추새와 백로. 이 새의 모습이 한아(閑雅)하다 하여, 조정에 늘어선 백관들의 질서 정연함을 이르는 말임.】들이 와서 천자【중신(中宸): 신(宸)은 하늘인데 황제를 의미한다. 중(中)은 중국이라는 뜻이니 중신(中宸)이라면 중국 황제라는 뜻이다.】께 경하드리네. 輕風不起陰雲捲 경풍불기음운권 가벼운 바람도 일지 않고 검은 구름마저 걷혀 白玉花開萬樹春 백옥화개만수춘 백옥 같은 꽃 피고 온 나무엔 봄인 듯해. 『東文選』 卷之十九 해설 이 시는 벼슬에 나아간 지 얼마 되지 않..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KYVU7/btrNRC5bXYp/HVrcd0cygkKYVH6FJCObd1/img.png)
살구꽃 행화(杏花) 최유청(崔惟淸) 平生最是戀風光 今日花前興欲狂 願借漆園胡蝶夢 遶枝攀蘂恣飛揚 『東文選』 卷之十九 해석 平生最是戀風光 평생최시련풍광 평생토록 최고인 것은 풍광을 가련히 여기는 것이라 今日花前興欲狂 금일화전흥욕광 오늘은 살구꽃 앞에서 흥이 미칠 듯이 일어나네. 願借漆園胡蝶夢 원차칠원호접몽 원컨대 칠원【장자(莊子)를 말한다. 장자(莊子)가 일찍이 몽(蒙)이란 땅에서 칠원(漆園 옻나무를 심는 밭)의 벼슬아치가 되었기 때문이다. 『사기(史記)』 「노자한비열전(老子韓非列傳)」】의 호접몽에 빙의하여 遶枝攀蘂恣飛揚 요지반예자비양 가지를 돌고 꽃술을 타오르며 멋대로 날아다니고파. 『東文選』 卷之十九 해설 이 시는 행화(杏花)를 보고 읊은 시로, 권세나 부귀에 미련이 없이 천성대로 살고 싶은 마음을 노래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eRjq/btrNSVCQIO3/KyglaYK7UtaVcE68LupU51/img.jpg)
10일에 상서 함순(咸淳)을 불러 함께 마시려 했다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느꺼워하며 십일 욕초함상서동음 문기선거유감(十日 欲招咸尙書同飮 聞其仙去有感) 정습명(鄭襲明) 十日秋香未必衰 登高意欲共傾巵 舊遊伴侶今無在 獨有黃花尙滿籬 『東文選』 卷之十九 해석 十日秋香未必衰 십일추향미필쇠 9월 10일인데도 가을향내 옅어지지 않아 登高意欲共傾巵 등고의욕공경치 높이 올라 속으로 함께 술잔 기울이려 했지. 舊遊伴侶今無在 구유반려금무재 예전에 함께 놀던 짝은 이제 없지만 獨有黃花尙滿籬 독유황화상만리 유독 누런 국화만이 아직도 울타리에 가득한 걸. 『東文選』 卷之十九 해설 이 시는 열흘날 함상서(咸淳)를 초대하여 함께 술을 마시려 하였더니, 그가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느낌이 있어 지은 시로, 지나친 상정(傷情)에 몰입하지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itvRE/btq1D0r0RmD/iwTl2S4InQjdPuZ5ry7XHK/img.jpg)
등고사【등고사(登高寺): 평안도 강서(江西)의 무학산(舞鶴山)에 있는 절 이름.】에서 짓다제등고사(題登高寺) 정지상(鄭知常) 石逕崎嶇苔錦斑 錦苔行盡入禪關地應碧落不多遠 僧與白雲相對閑日暖燕飛來別殿 月明猿嘯響空山丈夫本有四方志 吾豈匏瓜繫此閒 『東文選』 卷之十二 해석石逕崎嶇苔錦斑석경기구태금반돌길 울퉁불퉁하고 금빛 이끼 반짝이니錦苔行盡入禪關금태행진입선관금빛 이끼 다 걸어 사찰문에 들어가네.地應碧落不多遠지응벽락불다원땅은 하늘【벽락(碧落): 하늘이라는 뜻의 도가(道家) 용어이다.】과 맞닿아 많이 멀지 않고僧與白雲相對閑승여백운상대한스님은 흰 구름과 서로 한가롭게 대하네.日暖燕飛來別殿일난연비래별전해가 따뜻하니 제비가 날아서 별전으로 오고月明猿嘯響空山월명원소향공산달이 밝으니 원숭이 울어대어 빈 산에 올리네.丈夫本有四方志장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djfa/btq1DZ0UXrF/EWkL6NDOJTnk3mhNhDaGek/img.jpg)
기생에게 주며증기(贈妓) 정습명(鄭襲明) 百花叢裏淡丰容 忽被狂風减却紅獺髓未能醫玉頰 五陵公子恨無窮 『東文選』 卷之十九 해석百花叢裏淡丰容백화총리담봉용뭇 꽃떨기 속의 담박하고도 아리따운 모습이忽被狂風减却紅홀피광풍감각홍문득 미친 바람 맞아 도리어 붉은빛 옅어졌구나.獺髓未能醫玉頰달수미능의옥협수달의 골수【달수(獺髓): 수달의 뼈 속에 든 기름으로 생채기를 낫게 하는 데 쓰이는 명약(名藥)이라 한다. 『습유기(拾遺記)』 삼국(三國) 때에 오(吳) 나라 임금 손화(孫和)가 달빛 아래서 수정여의(水精如意)를 춤추다가 잘못하여 등부인(鄧夫人)의 얼굴에 상처를 내어 피가 흘렀는데, 태의(太醫)가 말하기를, “달수를 구하여 옥과 호박(琥珀) 가루를 섞어서 바르면 흉터가 생기지 않을 것입니다.” 하여 흰 수달의 골(白獺髓)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DYN4/btq1E8iKasU/ZIH0tW0Hg33yakWYEAM110/img.jpg)
안방 새색시의 원망규원(閨怨) 왕창령(王昌齡) 閨中少婦不知愁 春日凝妝上翠樓忽見陌頭楊柳色 悔敎夫壻覓封侯 해석閨中少婦不知愁규중소부부지수깊은 안방의 어린 색시는 근심을 몰라春日凝妝上翠樓춘일응장상취루봄날에 화장하고서 작은 누각에 올랐지만忽見陌頭楊柳色홀견맥두양류색갑자기 길 어귀의 수양버들 빛을 보고서悔敎夫壻覓封侯회교부서멱봉후남편에게 벼슬자리 찾으러 보낸 것 후회한다네. 인용동인시화 권상 62寄遠(고조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RJoEZ/btq0TuNjzxT/pLY7vGPxxdQFN6UKsiC1wK/img.jpg)
추강 남효온의 고상한 한시와 애석함 南秋江「寒食」詩曰: “天陰籬外夕陽生, 寒食東風野水明. 無限滿船商客語, 柳花時節故鄕情.” 「夢子挺」詩曰: “邯鄲一夢暮山前, 魂與魂逢是偶然. 細雨半庭春寂寞, 杏花無數落紅錢.” 「上巳城南」詩曰: “城南城北杏花紅, 日在花西花影東. 匹馬病翁驚節侯, 斜風吹淚女墻中.” 數詩不減唐人. 「鬼神論」一篇, 學問儘高, 有才不施, 惜哉! 해석南秋江「寒食」詩曰: “天陰籬外夕陽生, 寒食東風野水明. 無限滿船商客語, 柳花時節故鄕情.” 추강 남효온의 「한식날에[寒食]」이란 시는 다음과 같다. 天陰籬外夕陽生하늘 흐려지자 울타리 밖에 석양빛 어리고寒食東風野水明 한식에 봄바람 불며 들판의 강물은 밝구나. 無限滿船商客語 무한한 만선엔 상인들이 시끄럽게 하니柳花時節故鄕情버드나무꽃 핀 시절에 고향 그리는 정일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ZPWe/btq0Nv6nrc7/OiEveOwsxDe24PEd5cYegk/img.jpg)
2 黑雲遮地面 白雨映山腰 검은 구름이 지면을 가리니 우박이 산 허리를 어둡게 하네. 簷燕自相語 池魚時復跳 처마의 제비는 절로 서로 지저귀고 연못의 물고기는 이따금 다시 뛰어오르네. 薜荔巧穿壁 葡萄低滿簷 벽려 넝쿨이 재주좋게 벽을 뚫었고 포도는 낮게 처마에 가득하네. 矮䆫風細細 孤榻月纖纖 작은 창에 바람이 잔잔히 불고 외론 걸상엔 달이 희미하게 비추네. 揷籬防隴芋 引水灌園花 울타리 꽂아 밭두둑의 토란 막았고 물을 끌어 동사의 꽃에 대네. 地僻少輪鞅 隔墻三兩家 땅이 궁벽해 수레와 소가 적으니 담장 너머엔 2~집 뿐. 『四佳詩集』 卷之二 인용 작가 이력 및 작품 전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s6pL/btq0HbfAVnk/CFTQQtRhrHzJ7niZBANPFk/img.jpg)
소악부(小樂府) 이제현(李齊賢) 그물에 걸린 참새 새끼가 가엾어라拘拘有雀爾奚爲 觸着網羅黃口兒眼孔元來在何許 可憐觸網雀兒癡 님 오실 날이 되니 정신이 번쩍鵲兒籬際噪花枝 喜子床頭引網絲余美歸來應未遠 精神早已報人知⇒해석보기 수양버들 드리운 개울가에서浣紗溪上傍垂楊 執手論心白馬郎縱有連詹三月雨 指頭何忍洗餘香 애써 지은 수확을 먹어치우는 참새黃雀何方來去飛 一年農事不曾知鰥翁獨自耕耘了 耗盡田中禾黍爲⇒해석보기 죽마고우와 채마밭에 들어가서脫却春衣掛一肩 呼朋去入菜花田東馳西走追蝴蝶 昨日嬉遊尙宛然 옛 처용 노인네를 그리며新羅昔日處容翁 見說來從碧海中貝齒赬唇歌夜月 鳶肩紫袖舞春風⇒해석보기 조각한 닭에 어머니는 방긋木頭雕作小唐鷄 筯子拈來壁上棲此鳥膠膠報時節 慈顏始似日平西 우리의 이별에도 나는 일편단심縱然巖石落珠璣 纓縷固應無斷時與郞千載相離別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yZoQe/btq0EDi8Tvg/Zgt71ERovlm010Fq29tzf1/img.jpg)
소악부(小樂府)④ 이제현(李齊賢) 조각한 닭에 어머니는 방긋木頭雕作小唐鷄 筯子拈來壁上棲此鳥膠膠報時節 慈顏始似日平西 우리의 이별에도 나는 일편단심縱然巖石落珠璣 纓縷固應無斷時與郞千載相離別 一點丹心何改移 그대 그리는 내 마음憶君無日不霑衣 政似春山蜀子規爲是爲非人莫問 只應殘月曉星知 『益齋亂稿』 卷第四 해석 조각한 닭에 어머니는 방긋 木頭雕作小唐鷄목두조작소당계나무 머리에 작고 당돌한 닭을 조각하여筯子拈來壁上棲저자념래벽상서젓가락으로 집어 와서 벽 위에 데려다 놨네. 此鳥膠膠報時節차조교교보시절이 새가 울어대며 시절을 알리니慈顏始似日平西자안시사일평서어머님【자안(慈顔): ① 자비로운 얼굴 ② 어머니의 용모 ③ 웃어른의 얼굴】이 비로소 해가 질 적 같구나. 우리의 이별에도 나는 일편단심 縱然巖石落珠璣종연암석락주기가령 바위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tc57/btq0zZgSKMF/Uo5WmelJ3KLDICOxRuAnaK/img.jpg)
소악부(小樂府)③ 이제현(李齊賢) 죽마고우와 채마밭에 들어가서脫却春衣掛一肩 呼朋去入菜花田東馳西走追蝴蝶 昨日嬉遊尙宛然 옛 처용 노인네를 그리며新羅昔日處容翁 見說來從碧海中貝齒赬唇歌夜月 鳶肩紫袖舞春風 해석 죽마고우와 채마밭에 들어가서 脫却春衣掛一肩탈각춘의괘일견봄옷을 벗어 한쪽 어깨에 걸치고呼朋去入菜花田호붕거입채화전친구 불러 채마밭으로 들어가니東馳西走追蝴蝶동치서주추호접동분서주하며 호랑나비 쫓던 일이昨日嬉遊尙宛然작일희유상완연어제 즐기며 놀던 것 같이 아직도 생생하구나. 옛 처용 노인네를 그리며 新羅昔日處容翁신라석일처용옹옛날 신라의 처용【처용(處容): 신라 헌강왕(憲康王)이 학성(鶴城)에 유람하고 개운포(開雲浦)에 이르렀을 때, 갑자기 한 사람이 기이한 형상과 괴상한 의복 차림으로 임금 앞에 나아가 노래 부르고 춤..
소악부(小樂府)② 이제현(李齊賢) 수양버들 드리운 개울가에서浣紗溪上傍垂楊 執手論心白馬郎縱有連詹三月雨 指頭何忍洗餘香 애써 지은 수확을 먹어치우는 참새黃雀何方來去飛 一年農事不曾知鰥翁獨自耕耘了 耗盡田中禾黍爲 해석 수양버들 드리운 개울가에서 浣紗溪上傍垂楊완사계상방수양수양버들 드리운 개울가에서執手論心白馬郎집수논심백마랑손잡고 마음 얘기한 백마 탄 낭군.縱有連詹三月雨종유연첨삼월우만약 섣달 동안 처마에 떨어지는 빗물로도指頭何忍洗餘香지두하인세여향손끝에 남은 향기를 어찌 씻으랴. 애써 지은 수확을 먹어치우는 참새 黃雀何方來去飛황작하방래거비누런 참새야 어느 방향에서 오가며 날아다니기에一年農事不曾知일년농사부증지일 년의 농사일 일찍이 알지 못한 채鰥翁獨自耕耘了환옹독자경운료홀아비 홀로 스스로 밭 갈고 김매며 마쳤는데耗盡田中禾黍爲..
소악부(小樂府)① 이제현(李齊賢) 그물에 걸린 참새 새끼가 가엾어라 拘拘有雀爾奚爲 觸着網羅黃口兒 眼孔元來在何許 可憐觸網雀兒癡 님 오실 날이 되니 정신이 번쩍 鵲兒籬際噪花枝 喜子床頭引網絲 余美歸來應未遠 精神早已報人知 해석 그물에 걸린 참새 새끼가 가엾어라 拘拘有雀爾奚爲 구구유작이해위 사물에 얽매인 참새야 너는 어째서 觸着網羅黃口兒 촉착망라황구아 그물에 걸린 참새 새끼【황구아(黃口兒): 참새의 새끼를 말한다.】가 되었는가? 眼孔元來在何許 안공원래재하허 눈동자는 원래 무엇에 허용함에 있는 것이니, 可憐觸網雀兒癡 가련촉망작아치 가련쿠나! 그물에 걸려든 참새 새끼의 어리석음이여. 님 오실 날이 되니 정신이 번쩍 鵲兒籬際噪花枝 작아리제조화지 까치는 울타리 곁에서 꽃가지를 시끄럽게 하고 喜子床頭引網絲 희자상두인망사 ..
해월루기(海月樓記) 이언적(李彦迪) 邑之有樓觀 若無關於爲政 而其所以暢神氣淸襟懷 以爲施政之本者 亦必於是而得之 蓋氣煩則慮亂 視壅則志滯 君子必有遊覽之所高明之具 以養其弘遠淸虛之德 而政由是出 其所關顧不大哉 淸之爲縣 僻在海隅 客館之東 古有小樓 陿隘低微 隱在雉堞中 四顧無眼界 無以宣暢湮鬱 導迎淸曠 至使浩渺無涯之壯觀 礙於咫尺而莫收 所見者半畝方塘 數叢梅竹而已 嘉靖戊子冬 縣宰金侯自淵 始欲改構 增其舊制 峻而寬之 滄溟浩汗 擧眼斯得 人之登斯樓者 不知樓之高 而怳然如天開地闢而敞豁也 遂名爲臨溟閣 第以匠不得良 築址不牢 營構失宜 不數年而傾側 厥後柳茂繽繼之 支撑起正 未久旋頹 賓客之至縣者 雖當夏月 困於炎蒸 而徘徊却立 不敢登者殆將十年矣 歲丁酉秋 鐵城李侯股 以親老出紐縣章 游刃之餘 慨然有志於重修 尙慮邑殘力薄 重勞疲氓 乃搜吏民之欠科納者 隨其多少而稱..
198. 대규파금(戴逵破琴) (150) 晉書 戴逵字安道 譙國人. 少博學善屬文 能鼓琴 工書畵. 其餘巧藝 靡不畢綜. 武陵王晞聞其善鼓琴 使人召之. 逵對使者 破琴曰 戴安道不爲王門伶人. 晞怒引其兄述. 述欣然擁琴而往. 後累召不起.
197. 고개단청(顧愷丹靑) (149) 晉顧愷之字長康 晉陵無錫人. 博學有才氣. 好諧謔. 人多愛狎之. 每食甘蔗 常自尾至本. 人或怪之. 云 漸入佳境. 尤善丹靑 圖寫特妙. 嘗以一廚畵糊題其前 寄桓玄. 皆其所珍惜者. 玄發其廚後 竊其畵而緘閉如舊還之 紿云未開. 愷之見封題如初 直云 妙畵通靈 變化而去 亦猶人之登仙. 了無怪色. 其矜伐過實. 少年因相稱譽 以爲戱弄. 初在桓溫府 嘗云 愷之體中癡黠各半. 合而論之 正得平耳. 故俗傳愷之有三絶. 才絶‧畵絶‧癡絶. 終散騎侍郞.
공물로 바치기 위해 목숨 거는 백성들의 노래 석이(石耳) 이헌경(李獻慶) 산문. 공물로 바치라 하기에 백성이 걸고 따는 구나 ○ 石耳, 玄色細皺, 品味淸淡, 蔬菜之良者也. 生於石崖嶄絶之上, 山民採者, 以長繩繫兜子, 乘之以上下如繘井然, 綆絶落崖而死者亦往往有之云. 噉之非如芻豢之味, 貨之不過錐刀之利, 而長吏責其供, 貧民要其直, 以危其性命, 悲夫! ⇒해석보기 작은 이익에 눈이 멀어 목숨도 아끼지 않는구나 石氣本淸冷 溜雨亦生耳 不類白碧苔 頗似黲玄綺 採摘供盤實 淡味還軟美 峩峩千仞壁 鼯猱亦窮技 斲人出奇巧 脩綆繫兜子 倒垂入玄牝 黃泉在尺咫 牽挽上高頂 靑天可憑倚 剝剝復啄啄 辛苦巖崖裏 終朝不盈籃 落日悲歌起 性命若秋毫 十往有一死 牛腰載之去 揚揚適城市 收得一囊錢 歸來渾室喜 乘危却忘愁 獲利翻自侈 何如農圃翁 安坐以卒齒 哀哉世間人 ..
작은 이익에 눈이 멀어 목숨도 아끼지 않는구나 石氣本淸冷 溜雨亦生耳 바위의 기운은 본래 맑고도 찬데 떨어지는 비에 또한 버섯이 나지. 不類白碧苔 頗似黲玄綺 희고 푸른 이끼와 같진 않지만 매우 검푸른 비단과는 유사하네. 採摘供盤實 淡味還軟美 캐어 소반에 담으니 담백한 맛이 도리어 연하고도 훌륭하지. 峩峩千仞壁 鼯猱亦窮技 깎아지른 천 길이의 절벽이라 날다람쥐와 원숭이도 재주를 다해야만 하네. 斲人出奇巧 脩綆繫兜子 나무꾼이 기이한 계교 내어 긴 끈으로 의자를 묶어 倒垂入玄牝 黃泉在尺咫 뒤집어져서 골짜기로 들어가면 황천이 지척에 있고. 牽挽上高頂 靑天可憑倚 줄을 끌어당겨 정상에 오르면 푸른 하늘 기댈 만하네. 剝剝復啄啄 辛苦巖崖裏 긁어내고 쪼아내니 벼랑 속에서 죽을 고생을 한다네. 終朝不盈籃 落日悲歌起 아침이 ..
산문. 공물로 바치라 하기에 백성이 걸고 따는 구나 ○ 石耳, 玄色細皺, 品味淸淡, 蔬菜之良者也. 生於石崖嶄絶之上, 山民採者, 以長繩繫兜子, 乘之以上下如繘井然, 綆絶落崖而死者亦往往有之云. 噉之非如芻豢之味, 貨之不過錐刀之利, 而長吏責其供, 貧民要其直, 以危其性命, 悲夫! 해석 ○ 石耳, 玄色細皺, 석이는 검은색에 가는 주름이 있고 品味淸淡, 蔬菜之良者也. 풍미는 맑고 담백하니 채소 중 좋은 것이다. 生於石崖嶄絶之上, 山民採者, 바위 벼랑과 가파른 절벽 위에서 자라 산촌 백성으로 캐려는 사람은 以長繩繫兜子, 乘之以上下如繘井然, 긴 끈으로 두레박을 묶어 그걸 타고 오르내리니 우물의 두레박 같아 綆絶落崖而死者亦往往有之云. 줄이 끊어져 벼랑에 떨어져 죽은 사람이 또한 이따금 있다고 한다. 噉之非如芻豢之味, 貨之不..
병사 차출에 가슴 미어지지만 지휘관이 그들을 잘 건사할 테니 걱정마시라신안리(新安吏) 두보(杜甫) 客行新安道 喧呼聞點兵 객행신안도 훤호문점병 借問新安吏 縣小更無丁 차문신안리 현소갱무정 府帖昨夜下 次選中男行 부첩작야하 차선중남행 中男絶短小 何以守王城 중남절단소 하이수왕성 肥男有母送 瘦男獨伶俜 비남유모송 수남독령빙 白水暮東流 靑山猶哭聲 백수모동류 청산유곡성 莫自使眼枯 收汝淚縱橫 막자사안고 수여루종횡 眼枯却見骨 天地終無情 안고각견골 천지종무정 我軍收相州 日夕望其平 아군수상주 일석망기평 豈意賊難料 歸軍星散營 기의적난료 귀군성산영 就糧近故壘 練卒依舊京 취량근고루 연졸의구경 掘壕不到水 牧馬役亦輕 굴호부도수 목마역역경 況乃王師順 撫養甚分明 황내왕사순 무양심분명 送行勿泣血 僕射如父兄 송행물읍혈 복사여부형 해석客行新安道..
관문 방어의 지휘관이여 잘 지켜 오랑캐 걱정없게 해주오동관리(潼關吏) 두보(杜甫) 士卒何草草 築城潼關道 사졸하초초 축성동관도 大城鐵不如 小城萬丈餘 대성철불여 소성만장여 借問潼關吏 修關還備胡 차문동관리 수관환비호 要我下馬行 爲我指山隅 요아하마행 위아지산우 連雲列戰格 飛鳥不能踰 연운열전격 비조불능유 胡來但自守 豈復憂西部 호래단자수 기부우서부 丈人視要處 窄狹容單車 장인시요처 착협용단거 艱難奮長戟 千古用一夫 간난분장극 천고용일부 哀哉桃林戰 百萬化爲魚 애재도림전 백만화위어 請囑防關將 愼勿學哥舒 청촉방관장 신물학가서 해석士卒何草草 築城潼關道 병사들 얼마나 바쁜지【초초(草草): 부사-간략하게. 대강대강. 허둥지둥. 적당히. / 형용사-걱정하는 모양. 불안한 모양. 바쁜 모양. / 명사-편지 끝에 붙여 겸양을 나타내는..
달천장군을 돕던 물고기들 지금도 있구나 연평행(延平行) 이건창(李建昌) 1. 달천장군을 돕던 물고기도 아직도 있네 睡鴨山南龍媒西 大小延平高復低 海天萬里靑一色 便風直踔無燕齊 達川將軍眞勇者 手持一劍睨天下 謀疎事敗脫身亡 猶能使船如使馬 陽侯海若感其義 特出嘉魚爲相饋 將軍一去二百年 此魚至今留此地 鱗光出水金的爍 箇箇首中俱有石 鱻不可論薧更美 鮸鯔雖大珍難敵 ⇒해석보기 2. 만선(滿船)의 행복 五兩高帆舸峩艑 張網勢若雲垂天 有物驅魚魚不覺 凄風驟急輕雷闐 擧網百夫聲呼耶 拾魚如芥積如沙 舟重人歡畫皷發 皷聲漸高客還家 家中少婦春夢驚 手挽雲髻出門迎 海風黧面腥逆鼻 抱郞但道郞更媚 ⇒해석보기 인용 목차 작가 이력 및 작품 해설
[1~2]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一環者, 某尙書家豪奴也. 藉尙書威勢, 某年間率無賴人, 乘夜突入某州良民家, 奪取其女而去. 其女之父母兄弟, 不能跡其後, 其事大泄, 女家遂告于某州, 逮捕其黨, 將置之重律矣. 某尙書乃敎一環援引其女家比隣人, 諉以首謀, 事遂大解. 其人卞白百端, 官皆掩置其事, 以此乃減死定配. 及配, 某尙書乃一環姪成福, 易名而代之. 數年後尙書家呈一環物故狀於某州, 州命該리及同配人ㅡ 檢屍于配所之地, 及其檢屍還州, 吏又以易名者死爲報. 太守爲之嗟歎良久曰: “㉠此若先彼而死, 可除檢屍之弊.” 置之而不報. 痛矣哉! 太守乃尙書一家人也. 吁! 此實由法網解弛而然耶? 抑聖代深仁厚澤之所及而然耶? 吾不可知也. 或曰: “上古亦或有之, 而史氏不書乎.” 或者之言, ㉡大不然, 其有激於憤世而發乎哉. 遂書顚末, 以示後人云爾. -..
남녀의 애정담을 담은 민요를 한시로 표현하다 황주염곡(黃州艶曲) 허균(許筠) 1 上有正方山 下有簇錦溪 寧作倡家婦 莫作商人妻 2 商人江上去 八月以爲期 重陽今已過 酒熟爾何遲 3 花娥耽晝睡 鶴娥耽夜行 相逢連晝夜 何處見儂情 4 儂愛雙頭蓮 郞愛相思子 不如去浣紗 行人在溪水 ⇒해석보기 5 夜登太虛樓 潛邀好門子 却有上尊來 誰人敎至此 許穎陽使本國 改廣遠樓 名曰太虛樓也 上尊 卽戶長吏名也 6 璀璨成都錦 花間蛺蝶飛 與儂償一宿 裁作舞時衣 7 節使年年返 逢郞意更長 若無平壤妓 紈素可盈箱 8 半夜踰窓入 黃紬濃宿香 勸君莫打鴨 打鴨驚鴛鴦 -「惺所覆瓿稿」 卷之一 ⇒해석보기 인용 목차 작가 이력 및 작품 해설
운암에서 왜적을 격파한 양대박의 그림에 쓴 시 운암파왜도가(雲巖破倭圖歌) 유득공(柳得恭) 시를 짓게 된 연유 梁靑溪大樸 萬曆壬辰 以義兵將破倭於雲巖之野 後孫參議周翊作圖請歌 ⇒해석보기 1000명도 안 되는 의병으로 운암에서 왜놈을 격파한 양대박 장군 雲巖樹色蓊若雲 石棧縈紆路微分 谷口長川流渙渙 亂石疑是鳧雁羣 倭燐爍爍飛艸末 倭鬼咿嚘山日曛 破倭者誰梁將軍 將軍帶方之烈士 寶刀千金馬千里 灑泣艸檄風雨生 破家養士熊虎似 倭子午爨幽箐間 支鐺滌甌聚沙灣 三郞五郞左衛門 箇箇衣錦棊子斑 有閃鏡者蝶舞翾 有搖扇者鳥語𠴨 怪哉或著銅假面 如鬼如媼醜且姦 將軍望見不勝怒 大呼而馳大刀舞 金鼓齊鳴伏盡發 試看山背戢戢㫌旗竪 我矢蔽天如飛蝗 倭將翻身飮白羽 倭兵躡屩踉蹌奔 拋槍拖劒如崩堵 艸薙禽獮蕩無垠 雲巖之野至今但烟莾 試問古來征倭之將誰最賢 中朝戚少保 狼筅蠻牌鍊十..
새로운 사또여 농민들 삶 돌보소서전가(田家) 유종원(柳宗元) 籬落隔烟火 農談四鄰夕 리낙격연화 농담사린석 庭際秋蛩鳴 疎麻方寂歷 정제추공명 소마방적력 蠶絲盡輸稅 機杼空倚壁 잠사진수세 기저공의벽 里胥夜經過 雞黍事筵席 리서야경과 계서사연석 各言官長峻 文字多督責 각언관장준 문자다독책 東鄕後租期 東轂陷泥澤 동향후조기 동곡함니택 公門少推恕 鞭扑恣狼藉 공문소추서 편복자낭자 努力愼經營 肌膚眞可惜 노력신경영 기부진가석 迎新在此歲 惟恐踵前跡 영신재차세 유공종전적 해석籬落隔烟火 農談四鄰夕 울타리 사이로 밥 짓는 연기, 농사 이야기에 사방이 저물어오네.庭際秋蛩鳴 疎麻方寂歷 뜰가엔 가을 귀뚤이 울고 성긴 삼이 시방 적막해졌네. 蠶絲盡輸稅 機杼空倚壁 명주실 다 세금으로 내버려 베틀과 북은 공연히 벽에 기대놨지. 里胥夜經過 雞黍事筵..
뱃전을 스쳐 날던 학이 꿈속에 나타나다후적벽부(後赤壁賦) 소식(蘇軾) 손님이 가져온 농어와 아내가 간직하던 술是歲十月之望, 步自雪堂, 將歸于臨皐, 二客從予. 過黃泥之坂, 霜露旣降, 木葉盡脫. 人影在地, 仰見明月. 顧而樂之, 行歌相答, 已而歎曰: “有客無酒, 有酒無肴. 月白風淸, 如此良夜何?” 客曰: “今者薄暮, 擧網得魚, 巨口細鱗, 狀如松江之鱸. 顧安所得酒乎?” 歸而謀諸婦, 婦曰: “我有斗酒, 藏之久矣. 以待子不時之需. 쓸쓸한 적벽강에서 유람於是携酒與魚, 復遊於赤壁之下, 江流有聲, 斷岸千尺. 山高月小, 水落石出, 曾日月之幾何, 而江山不可復識矣. 予乃攝衣而上, 履巉巖披蒙茸, 踞虎豹, 登虯龍, 攀棲鶻之危巢, 俯馮夷之幽宮, 蓋二客之不能從焉. 劃然長嘯, 草木震動, 山鳴谷應, 風起水涌. 予亦悄然而悲, 肅然而恐, ..
평시문(評詩文) 1. 常愛崔國輔長信草 時侵珠履迹 不使玉階行之句 今見庾肩吾有全由履迹少 倂欲上階生之語 始知國輔詩全出於肩吾 但後出者愈巧耳 記庾肩吾詩 ⇒해석보기 2. 淵明之詩 平淡出於自然 其初不倚擬模倣明矣 而鍾嶸以爲出於應璩 陋哉嶸也 淵明未嘗欲以詩自名 而况追拾古人之餘乎 此非特不知淵明詩也 亦並淵明爲人而不知耳 書陶淵明詩 ⇒해석보기 3. 池塘生春草 園柳變鳴禽 此靈運絶唱也 當時謂以此句得罪 權德輿遂傅會曰 池塘者泉洲瀦漑之地 今曰生春草 是三澤渴也 豳詩所記一蟲鳴則一候變 今曰變鳴禽者 候將變也 此爲當時所惡 此德輿之妄誕也 若然則靈運此詩不工甚矣 何以能名後也 且靈運所坐 在於韓亡子房奮之句 非坐此也 辨謝靈運詩傅會之誤 ⇒해석보기 4. 梁吳均有鴈足印黃沙之句 沈約謂語太險 古人爲詩之不欲險異如此 此自常語耳 而猶以爲險 况其他乎 古人之不欲險於詩 ⇒해석..
64. 元吳澂送趙子昂序曰 爲文而使一世之人皆好 吾悲其文 爲文而使一世之人不好 吾悲其人 讀此 擊節三歎 記元吳澂文
63. 平生讀歐,蘇文 極厭飫 近看陳師道,張耒輩文字 却好看 盖爲其言僅足 無有餘之病耳 東坡嘗讀范淳夫奏疏曰 吾文不如公文之皆可施行也 盖淳夫文字 語文稱停 不如蘇之過實 此東坡所以見推也 讀陳后山,張宛丘文
62. 東坡於古文人 每取樂天 盖其不獨文章相近 行藏頗有與類者 樂天則曰 有鄧魴者見僕詩而喜 亡何而死 有唐衢者見僕詩而泣 未幾而死 其餘則足下 又十年來困躓若此 其曰足下者 卽元微之也 東坡則曰 此子有致窮之具 而旣與不肖爲親 又欲往求魯直 其窮未易量也 樂天則曰 始得名於文章 終得罪於文章 亦其宜也 東坡則曰 平生以言語文字見知於世 亦以此取疾於人 得失相補 不如不作之安也 此亦足見兩公之相類矣 樂天,東坡相同處
61. 東坡文多滑稽 於小文最甚 近見其一硯銘曰 或謂東坡居士曰 吾爲公往端溪購硯 居士曰 吾有兩手 其一解寫而有三硯 何以多爲 曰 以備損壞 居士曰 吾手或先硯壞 或曰 眞手不壞 居士曰 眞硯不損 此銘亦滑稽者 文爲甚妙 而惜不載本集中 意此者詩文尙多散佚 偶檢明人所集文字會寶 見而錄之 記蘇東坡硯銘
60. 王元之待漏院記 專蹈襲唐李華政事堂記 但後出者巧耳 王元之蹈襲古人
59. 杜牧阿房宮賦鼎鐺玉石 金塊珠礫 釋之者多失本旨 以一字各爲一物 甚無意義也 余嘗釋之曰 鐺視鼎 石視玉 塊視金 礫視珠 盖言其衆多而賤之也 聽者疑其爲穿鑿而不之信也 今觀鮑宣傳 有漿酒霍肉之云 盖言▣酒如漿視肉如霍也 乃知杜牧之賦本出於此 而余言爲不妄也 釋杜牧阿房宮賦
58. 白樂天曰 凡人爲文 私於自是 不忍於割截 或失於繁多 其間姸媸 益又自惑 必能交友有公鑑無姑息者 討論而削奪之 然後繁簡當否 得其中矣 此論甚好 凡文人之病 在於自私自惑 若能先去此病 而討論者不以姑息終之 何患於不到古人地位耶 記白樂天語
57. 世知杜子美之能詩 而不知其文亦自好 如公孫大娘劒舞行序 已極頓挫 而又其進三大禮賦表 極工鍊有法度 如曰與麋鹿同羣而處 浪迹於陛下豐草長林 又曰 臣之愚頑 靜無所取 以此知分 沉埋盛時 不敢依違 不敢激訴 以漁樵之樂自適而已 其文視諸子 覺自別耳 杜子美能文
56. 東坡極賞皮日休白牡丹詩多情有恨無人見 月白風淸欲墮時 以爲不問而可知爲白牡丹詩也 余亦謂江文通海外之雲 處處而秋色 河中之鴈 一一而學飛 不問而可知其爲橫吹賦也 記江文通橫吹賦
55. 余嘗見淵明桃花源記 喜其頗類史遷 惜其不多見 近於諸選中 得見其所爲孟嘉傳 文極緻密溫雅有法度 絶不類魏晉間文字 可奇也 嘉任情自然 淵明之爲此傳 正以其爲意中人耳 不獨其爲外祖故也 陶淵明能文
54. 右軍蘭亭序 時人方之石季倫金谷序 右軍甚有欣色 以今觀之 蘭亭序之勝金谷序遠矣 然右軍猶以並稱爲幸 今世後生粗解把筆 直欲陵駕古人 何哉 書王右軍蘭亭
53. 巷居子鄭來僑學詩文於余 嘗有帆前芳草二陵來之語 大爲時人所賞 然特窮甚 有一大宰憫其窮而語僕曰 世俗皆言鄭生之窮 乃爲君所誤 信乎 僕對曰 固信然 若非僕 公又何由得知鄭生而憫其窮耶 記鄭來僑詩
52. 滄浪洪世泰少日爲唐 晩乃學杜 其格頗變 論者以爲學杜者不如學唐 而洪未之服也 有一詩人就問於農巖者 農巖笑答曰 吾從衆 得失之論遂定 滄浪詩學先後之異
51. 余有放舟詩曰 有時遇勝處 屢過方愜意 險處亦難忘 事過猶神傷 當時乘興亂書 後見 頗覺近韓 記吾詩
50. 余嘗在湖舍 效放翁爲詩曰 葛巾淥酒烏藤杖 木几蒲團白竹扉 僧因汲水晨猶往 客爲看花暮不歸 飮弱尙能誇量大 詩荒也道賞音稀 頗知我輩疎狂甚 莫遣傍人惹是非 詩翁滄浪子以爲陸家還魂 記吾詩
49. 余嘗在湖舍 有泛湖詩曰 歸來卧虗樓 夢境皆波濤 直翰苑時 有立春詩曰 柳從今日盡輕條 今見退之遊湘西寺詩 云猶疑在波濤 怵惕夢成魘 張文潛首春詩 亦云柳欲向人輕 意思之偶合如此 不覺自喜 然余此兩句 爲余得意詩 而兩公句語 未必爲其得意 則此爲可愧也 記吾詩與古人偶合處
48. 余有詩友 曰金君山 有獨絶才 嘗曰 詩之於人 正如貌之不能廢眉 其論如此 嘗有時危百慮聽江聲之句 詩老洪世泰聞而方食失箸 其爲人所推服亦如此 然其蒼老太早 且過於悲傷而和平者絶少 愛君山才者 兼以爲憂 今果入鬼錄 悲夫 記金君山詩
47. 乙未元月六日夜夢 李煕卿罷官在東湖寄詩曰 山澤漁樵初見放 江湖歲月若相招 余不覺極賞 夢記李煕卿詩
45. 李伯溫,洪夏瑞時有驚人語 李有詩曰 蒼栢久應看客過 黃鸝且莫使人愁 洪詩曰 高僧食葉無塵色 老石聞經有道情 皆非俗間語 試求吾詩中可以敵此者而未得 記李洪詩
44. 有人誦三淵子遊西關作曰 雪嶽冥棲客 關河又薄遊 隨身有淸月 卜夜在高樓 劒舞魚龍靜 杯行星漢流 雞鳴相顧起 留興木蘭舟 僕評此詩曰 起語凡 頷聯僊 頸聯豪 結語鬼 一篇中有此四品 評三淵詩
43. 深潭老鱖常難見 香餌前頭冉冉來 此農巖先生釣魚作也 晩年 上必欲召致先生 至令其伯相公勸起 或有問於余曰 先生當出乎 余爲誦此作曰未必然 先生已見志矣 已而果然 記農巖釣魚作
42. 並立雖不言 飮人以和淸 此農巖先生詠梅詩也 此句出而古今詠梅詩盡廢 記農巖詠梅詩
41. 農巖先生嘗有夢遊泰山作曰 漢代白雲生古牒 秦時明月掛長松 古人作詩 不能無醒醉之辨 而夢中之語精到至此 盖是神明不亂故也 記農巖夢作
40. 農巖先生少時有夢作曰 文章寂寞囊中草 身世飄零水上萍 又詠榴曰 紫顆含朱實 崇朝露氣漙 無因獻君所 目斷五雲寒 其後出處 一如夢作所云者 豈有前定而然耶 記農巖夢作
39. 僕嘗謂農巖先生詩曰 其難學處 在於用事處 先生曰 吾平生於詩不善用事 亦罕用事 子言云何 僕遂擧其嵩陽書院作夜雨靑山有蕨生之句曰 此用事之善者也 先生點頭許之 盖先生以圃隱之節况夷齊 而只曰有蕨生而已 足此不可不知也 農巖善用事
38. 農巖之所取於吾東者唯三家 翠軒訥齋蘇齋而已 餘無取焉 農巖所取詩三家
37. 翠軒之詩 出於蘇,黃而其高過之 其神僊俊逸 天以與之 非區區學唐者所可企及 而世猶未之深識 獨農巖先生盛稱爲我東三百年一人 於是世之爲詩者嗜之 如飢者之遇八珍焉 書挹翠軒詩
36. 古人云梅聖兪日課一詩 寒暑不易 聖兪詩名滿世 賴有此耳 東坡亦於答人書曰 聞日作一詩甚善 此事雖有才者 非習難工也 以兩公而猶如此 况才不及兩公者乎 我東朴訥齋每直玉堂 臨卧必作一詩 誦離騷經然後就寢 先輩之用功於詩如此 記先輩之用功於詩
35. 僕於明人 最愛唐順之 如獨樹春深初着蘂 空山行遍不逢僧 居並野僧方結夏 身隨枯葉又經秋 其高妙殆非明人語也 記唐順之詩
34. 近看放翁集序 乃中州近歲人所爲也 有胸中李杜紙上李杜之語 可謂善論詩者 近世學杜者 多用悲愁困窮之語 殆亦無病而呻吟者 僕亦少時不免此病爾 記放翁集序語
33. 平生鄰曲意 移棹避漁罾 此陸務觀江居作也 居士曰 古今詩人 唯子美,務觀兩人而已 何也 詩本忠厚也 記陸放翁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