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문놀이터/한문과 교육과정 (174)
건빵이랑 놀자
한문 (1) 단어의 짜임을 알 수 있다. 단어는 문장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이다. ‘단어의 짜임’은 단어를 형성하는 의미 요소들 사이의 결합 관계를 말한다. 두 개 이상의 의미 요소가 결합하여 하나의 단어를 이룰 때에는 반드시 기능상의 관계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단어의 짜임을 문법적 기능 관계에 따라 이해하게 되면, 단어를 보다 쉽게 이해하여 어휘 학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 이를 문장의 구조를 이해하는 데에 활용할 수도 있다. 단어의 짜임은 문법적 기능에 따라 주술 관계(主述關係), 술목 관계(述目關係), 술보 관계(述補關係), 수식 관계(修飾關係), 병렬 관계(竝列關係)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주술 관계는 주어(主語)와 서술어(敍述語)의 관계로 이루어진 단어이다. 서술어는 주어에..
한문 (1) 문장의 기본 구조를 알 수 있다. ‘문장의 구조’는 문장을 구성하는 성분들 사이의 일정한 결합 방식을 말한다. 주성분들 사이의 관계를 중심으로 보면 주술 구조, 주술목 구조, 주술보 구조, 주술목보 구조 등이 있다. 주술 구조는 주어와 서술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주술목 구조는 주어, 서술어, 목적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주술보 구조는 주어, 서술어, 보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주술목보 구조는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의 관계로 이루어진 구조이다. (2) 평서문·의문문·명령문·감탄문의 특징을 알고 구별할 수 있다. 문장의 유형은 문장을 일정한 기준에 의거하여 분류한 것이다. 문장의 유형을 화자(話者)가 나타내는 어기(語氣)를 기준으로 나누면 평서문(平敍文), 의문문(..
5. 교수·학습 방법 한문 가. 교수⋅학습 계획 (1) 중학교 ‘한문’의 교육목표를 충실히 반영하여 교수·학습 계획을 수립한다. (2) ‘독해’, ‘문화’, ‘한문 지식’ 영역의 학습이 유기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계획한다. (3) 학습자, 가정, 사회 등의 요구를 수렴하여 계획한다. (4) 학습자의 일상생활에 도움이 되고, 학년 간 및 다른 교과와의 연계 학습이 가능하도록 계획한다. (5) 학습 장면이나 학습자의 특수 상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계획한다. ⑹ 목표 달성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다양하게 강구하되,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창의적인 학습 활동이 될 수 있도록 계획한다. ⑺ 다양한 매체 자료를 활용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나. 교수⋅학습 방법 (1) 학습자가 쉽고 재미있게 학..
6. 평가 한문 가. 평가 계획 (1) 학습자의 학습 성취 정도를 타당하고 신뢰성 있게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 계획을 수립한다. (2) 평가의 목적, 주체, 대상, 기준, 시기,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지필 평가와 수행 평가, 양적 평가와 질적 평가를 적절하게 활용한다. (3) 중학교 ‘한문’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목표의 달성 여부에 중점을 두어 평가하되, 평가 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다음 사항에 유의한다. ㈎ 한문과 평가 목표와 평가 내용에 적합한 평가 방법을 사용하되, ‘독해’, ‘문화’, ‘한문 지식’ 영역을 유기적으로 통합하여 평가할 수 있도록 한다. ㈏ 학습자의 지식, 이해, 적용 능력을 균형 있게 평가하되, 평가 내용이 특정 영역에 편중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 한문 학습의 결과뿐만 아니라..
한문 Ⅱ (1) 한국 한문학의 대표적인 고전 작품을 읽고, 그 가치와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다. 한국 한문학 작품 가운데, 시기별, 장르별, 작가별로 대표적인 고전 작품을 폭넓게 읽을 수 있도록 권장한다. 특히 문체와 형식, 주제와 내용을 이해하며 작품을 읽을 수 있도록 한다. 개별 한문학 작품은 당대의 문화사의 조류, 사상사의 동향, 사회적 현실 등과 관련을 맺는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통찰과 사상사적, 사회·역사적 관점은 작품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에 필요하다. 또한 작품에 나타난 구조적, 미적, 문학사적 가치와 중요성을 파악하며 읽음으로써 한문학 작품을 보다 폭넓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 한국 한문학의 대표적 고전 작품을 다양한 문학 교육 활동을 통해 감상할 수 있다. 작품의 주제와 가치를..
한문 (1) 언어생활에 사용된 한자 어휘를 이해하고 뜻에 맞게 활용할 수 있다. 언어생활의 일상 언어 속에는 개념적, 추상적 의미를 표현하거나 심오한 사상이나 문화를 배경으로 하는 한자 어휘가 많이 있다. 한자 학습을 통하여 한자 어휘의 뜻을 명확하게 알아서, 언어생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문 Ⅰ (1)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언어생활에서 바르게 활용할 수 있다. 한자 어휘 가운데는 역사 속의 특수한 사건, 인물, 이야기나 한문 전적에서 유래한 어휘가 많다. 이러한 한자 어휘는 한자의 음, 뜻과 함께 그 내력을 알아야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건, 이야기, 경전, 고문헌 등 한자 문화에서 유래한 한자 어휘의 뜻에 대한 정확한 이해는 개인적 차원의 일상 언어생활에..
- 문화 - 한문 (1)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며, 전통문화를 계승·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우리의 선인들은 수천 년 동안 생활 속의 정서, 지혜, 사상 등을 한문으로 기록해 놓았다. 한문 기록 속에 담긴 생활의 지혜와 사상을 통해 학습자가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할 수 있다. 또한 우리 민족의 풍부한 전통문화 가운데 학습자의 정서에 맞고 사회적 공감대를 얻을 수 있는 내용을 정선하여 이를 계승·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도록 한다. (2)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익혀,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하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한문은, 구어(口語)로서의 언어 구사 능력을 중시하는 여타의 외국어와 달리..
한문 (1) 문맥을 고려하여 단어, 구절, 문장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글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글 속에 사용된 단어, 구절, 문장의 의미를 먼저 파악하여야 한다. 하나의 문장으로 이루어진 짧은 글도,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글 속에 사용된 단어나 구절의 의미를 먼저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글을 읽을 때, 의미를 모르거나 잘 알지 못하는 단어, 구절, 문장을 만나면 글의 문맥을 고려하여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2) 글을 읽고 중심 내용을 파악할 수 있다. 중심 내용은 글이 나타내고자 하는 중심적인 의미, 내용 중에서도 핵심이 되는 내용, 곧 주제를 말한다. 글 가운데는 중심 내용이 표면에 그대로 드러나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대체로 교훈적인 내용이나 도리(道理)를 설파하는 글..
라. 학습내용 성취 기준 - 독해 - 한문 (1) 단어, 구절, 문장을 바르게 소리 내어 읽을 수 있다. 문장은 하나의 완결된 생각을 나타내는 최소 언어 단위이다. 구절은 문장 내에서 끊어 읽는 단위를 가리키는 말이다. 구절은 하나의 단어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대개 두 개 이상의 단어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단어는 문장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이다. 단어는 하나의 한자로 이루어지기도 하고 두 개 이상의 한자가 결합하여 이루어지기도 한다. 단어, 구절, 문장은 뜻이 있는 단위들이면서 읽을 때 소리의 변화가 일어난다. 가령, 단어를 바르게 소리 내어 읽기 위해서는 단어로 사용된 한자의 음을 정확하게 알아야 할 뿐만 아니라 해당 한자의 발음이 다른 한자의 발음과 결합할 때 일어나는 소리의 변화에도 유의..
다. 영역 성취 기준 한문 (1) 독해 글을 정확한 발음으로 의미가 드러나도록 알맞게 띄어 읽고 끊어 읽을 수 있으며, 글을 구성하는 단어, 구절, 문장의 의미를 파악하고, 글의 중심 내용과 형식적 특징 및 표현의 효과를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2) 문화 선인들의 지혜를 이해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며, 전통문화를 계승·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상호 이해와 교류 증진에 기여하려는 태도를 지닐 수 있다. 또한 한자 어휘를 이해하고, 언어생활에서 활용할 수 있다. (3) 한문 지식 한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단어의 짜임, 품사, 성어, 문장의 구조, 문장의 유형 등 기본적인 문법에 대한 지식을 익혀 한문을 바르게 풀이하고 이..
4. 내용의 영역과 기준 가. 내용 체계 한문 영 역내 용독 해읽기소리 내어 읽기끊어 읽기이해풀이하기이해하기감상하기문 화한자 문화전통문화의 이해와 계승한자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류언어생활과 한자 문화언어생활 속의 한자 어휘 알고 활용하기한 문지 식한자한자의 특징한자의 짜임어휘단어의 짜임단어의 갈래성어의 의미문장문장의 구조문장의 유형 한문 Ⅰ 영 역내 용독 해읽기소리 내어 읽기끊어 읽기이해풀이하기이해하기감상하기문 화한자 문화전통문화의 이해와 계승한자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류언어생활과 한자 문화언어생활 속의 한자 어휘 알고 활용하기한 문지 식한자한자의 특징한자의 짜임어휘단어의 짜임단어의 갈래성어의 의미문장문장의 구조문장의 수사 한문 Ⅱ 영 역내 용독 해읽기소리 내어 읽기이해풀이하기이해하기감상하기문 화한자 문..
3. 목표 한문 한문과는 한자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었던 고전 문언문인 한문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한문 독해와 언어생활에 활용하는 데 필요한 도구 교과이며, 한문의 학습을 통하여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기 위한 교과이다. 한문과는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료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 사상과 감정을 이해하여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며, 우리 생활 전반에 면면히 이어 온 전통문화를 바르게 계승하고, 창조적으로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는 교과이다. 한문과는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익혀, 과거와 현재는 물론이고 미래에도 한자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를 증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는 교과이다. 중학교 ‘한문..
2. 중(고등)학교 교육목표 한문 중학교의 교육은 초등학교 교육의 성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학습과 일상 생활에 필요한 기본 능력을 배양하며, 다원적인 가치를 수용하고 존중하는 민주 시민의 자질 함양에 중점을 둔다. 가. 심신의 건강하고 조화로운 발달을 추구하며, 다양한 분야의 경험과 지식을 익혀 적극적으로 진로를 탐색한다. 나. 학습과 생활에 필요한 기초 능력과 문제 해결력을 바탕으로 창의적 사고력을 기른다. 다.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다양한 문화와 가치에 대한 이해를 넓힌다. 라. 다양한 소통 능력을 기르고 민주 시민으로서의 자질과 태도를 갖춘다. 한문 Ⅰ 고등학교 교육은 중학교 교육의 성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 개척 능력과 세계 시민으로서의 자질을 함양하는 ..
1. 추구하는 인간상 한문 우리나라의 교육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인격을 도야하고, 자주적 생활 능력과 민주 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하여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게 하고, 민주 국가의 발전과 인류 공영의 이상을 실현하는 데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교육 이념을 바탕으로, 이 교육과정이 추구하는 인간상은 다음과 같다. 가. 전인적 성장의 기반 위에 개성의 발달과 진로를 개척하는 사람 나. 기초 능력의 바탕 위에 새로운 발상과 도전으로 창의성을 발휘하는 사람 다. 문화적 소양과 다원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품격 있는 삶을 영위하는 사람 라. 세계와 소통하는 시민으로서 배려와 나눔의 정신으로 공동체 발전에 참여하는 사람 한문 Ⅰ 우리나라의 교육은 홍익인간의..
5. 평 가 중학교 가. 평가 계획 (1) 중학교 한문과 교육 과정에 제시한 목표의 달성 여부에 중점을 두어 평가하되, 한자, 한자어, 한문의 평가가 균형 있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평가 계획을 수립한다. (2) 한자, 한자어는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를 바르게 읽고 쓰며, 그 음과 뜻을 알고 있는지의 여부에 중점을 두어 평가하되, 특히 다음 사항에 유의한다. (가) 한자는 한자의 짜임이나 부수, 획수, 필순 등의 평가에 치우치지 않도록 한다. (나) 한자 및 한자어는 언어 생활과 문장 독해에 활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다) 고사 성어는 그 속뜻을 이해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중점을 두어 평가한다. (3) 한문은 문장을 바르게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중점을 ..
4. 방 법 중학교 가. 교수․학습 계획 (1) 중학교 한문과의 교육목표를 충실히 반영하여 교수․학습 계획을 수립하고, 특히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의 학습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계획한다. (2) 학습자, 가정, 사회 등의 요구를 수렴하여 계획한다. (3) 학습자의 일상 생활에 도움이 되고, 학년 간 및 다른 교과와의 연계 학습이 가능하도록 계획한다. (4) 학습 장면이나 학습자의 특수 상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계획한다. (5) 한자, 한자어, 한문의 학습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반복 학습이 가능하도록 계획한다. (6) 목표 달성에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다양하게 강구하되, 특히 학습자가 탐구의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계획한다. (7) 컴퓨터 및 멀티미디어 자료..
3. 내 용 중학교 가. 내용 체계 영역 내 용 한자 한자 익히기 ․한자의 음과 뜻 알기 ․한자의 짜임을 통해 형․음․의 알기 한자 활용하기 ․언어 생활에 활용하기 ․문장 독해에 활용하기 한자어 한자어 익히기 ․한자어의 음과 뜻 알기 ․한자어의 짜임을 통해 뜻 알기 ․한자어를 읽고 쓰기 ․성어의 속뜻 알기 한자어 활용하기 ․언어 생활에 활용하기 ․문장 독해에 활용하기 가치관 형성하기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가치관 형성하기 한문 한문 익히기 ․문장을 읽고 뜻 알기 ․문장 구조를 통해 문장 풀이하기 ․허자의 쓰임을 알고 활용하기 ․문장의 형식을 알고 활용하기 한시 익히기 ․시구 및 한시 풀이하고 감상하기 한문 활용하기 ․격언․속담, 명언․명구를 일상 생활에 활용하기 가치관 형성과 전통문화 계승, 발..
2. 목 표 중학교 한자, 한자어, 한문을 익혀 언어 생활에서 바르게 읽고 쓰며, 한문을 독해할 수 있는 기초적인 능력을 기르고, 한문 기록에 담긴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여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며, 전통 문화를 이해하고 계승,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닌다. 가. 중학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900자의 음과 뜻을 알고 쓸 수 있다. 나. 한자어를 바르게 읽고 쓰며 언어 생활에 활용한다. 다. 간이한 한문을 독해할 수 있는 기초적인 능력을 기른다. 라.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한다. 마. 한문 기록에 담긴 전통 문화를 이해하고 계승, 발전시키려는 태도를 지닌다. 고등학교 한자, 한자어, 한문을 익혀 언어 생활에서 바르게 읽고 쓰며, 한문을 ..
7차 교육과정 1. 성 격 중학교 한문과는 한자, 한자어, 한문을 익혀 언어 생활에 활용하며, 한문 문장을 독해할 수 있는 기본적인 능력을 기르고,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며,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함양하고, 전통 문화를 계승, 발전시키는 데 기여하는 교과이다. 또한 한자 문화권 내에서의 상호 이해와 교류를 증진시키는 데 토대가 되는 교과이다. 한문과는 국어 어휘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한자어의 학습을 통하여 언어 생활을 원활하게 하고, 다른 교과를 학습하는 데 도움을 주는 도구 교과이며, 한문의 학습을 통하여 한자로 기록된 각종 한문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을 기르기 위한 교과이다. 한문과는 각종 한문 기록과 고사성어, 격언․속담, 명언․명구 등의 학습을 통하여 선인들의 ..
2008년 한문교육 임용고시 공청회 보고서 목차 I. 서론1. 연구목적2. 필요성3. 연구 목적과 세 분야의 구체적 목적4. 연구내용 및 방법 II. 한문과 교사자격기준1. 교사자격기준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2. 교사자격기준 개발의 이론적 배경(근거)3. 개발 방법 및 절차4. 중등학교 교사(한문) 교사자격 기준5. 교사자격기준의 활용 III.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 상세화1. 평가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상세화의 필요성 및 배경2.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개발 방법 및 과정3. 평가 영역 및 내용 요소 선정의 타당성① 문자학 개론, 한문학개론, 한문학사② 한문국역연습, 한시선독, 한문소설선독, 역대산문선독4. 개발된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5. 평가 영역 및 내용 요소의 활용 IV. 1..
문항번호 4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문교육론 평가 영역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평가 내용 요소 한문과 성격, 목표, 내용에 적합한 교수⋅학습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평가 목표 예시문의 내용을 교육과정의 내용에 맞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을 선정하고, 한문과 성격, 목표, 내용에 맞는 교수·학습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행동 요소 이해. 적용 문항유형 최선답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교사 갑은 의 제재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을 세웠다. 밑줄 친 ㉠과 가장 관련이 깊은 것은? 太史公云 以權利合者 權利盡而交疏 君亦世之滔滔中一人 其有超然自拔於滔滔權利之外 不以權利視我耶 太史公之言非也 孔子曰 歲寒然後 知松柏之後凋 松柏是貫四時而不凋者 歲寒以前 一松柏也 歲寒以後 一松柏也 聖人特稱之於歲寒之後 -金正熹, 「歲寒..
지금까지 우리는 한문과목 신규교사자격기준, 평가영역 및 내용요소 상세화, 1차 예시평가 도구, 2차 예시평가 도구, 수업능력평가 도구 등을 개발하였다. 이상의 개발을 통해 앞으로 한문과 중등교사신규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이 보다 개선되기를 희망한다. 그런데 본 연구와 함께 보다 공정하고, 객관적인 ‘한문과 중등교사신규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몇 가지 개선되어야 할 점이 있다고 생각된다. 이 몇 가지 개선되어야 할 점을 언급하는 것으로 결론을 갈음하고자 한다. 1) 임용 시험이 방학 중에 실시될 필요가 있다. 임용 시험은 지금까지 12월 초에 실시되었다. 그런데 2008년도부터는 좀 더 일찍 시행될 것이라고 한다. 그런데 임용시험이 학기 중에 실시됨으로써 대학교 학사 운영에 상당한 차질을 빚..
5. 수업능력평가의 시행방안 1) 기본 방침 중등 한문과 교사 선정을 위한 수업 능력 평가는 잘 계획된 절차에 따라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앞서 평가 기준과 관련하여 언급한 바와 같이 평가 방법에서도 공정성과 객관성은 매우 중요하다. 바람직하고 적합한 평가의 진행을 위해서는 평가의 각 요소에 대한 엄밀한 정의를 제시하고 평가 절차를 상세하게 규정해야 한다. 평가와 관련한 각 요소들에 대한 포괄적 정의와 절차의 자의적인 해석 및 시행은 평가 결과에 대한 논란 야기라는 사태로 귀결될 것이다. 한문과 교사 임용 후보자를 선정하기 위한 수업 능력 평가에서 고려되어야 할 원칙은 다음과 같다. ⓛ 평가의 기준 및 시행 세칙의 개발 과정과 사후 검증에 충분하고 심도 있는 논의와 토론이 이루어져야 ..
4. 수업능력평가의 예시도구 1) 채점 기준 영역별 채점 기준은 위에서 제시한 평가 기준 요소를 토대로 구성하되 수행 기준을 두고 그에 따라 ‘탁월, 우수, 기초, 미흡’의 4등급으로 판정한다. 다음은 채점 기준표에 제시된 채점 항목들과 가중치이다. ⓛ 내용 선정 조직 및 학습 목표 설정 (가중치 2 ) ② 구조화된 수업 설계 (가중치 2) ③ 평가 계획 (가중치 1) ④ 교수 내용에 대한 지식 (가중치 2) ⑤ 학생과의 의사 소통 능력 (가중치 2) ⑥ 선행 지식 활성화 동기 유발 (가중치 2) ⑦ 다양하고 적절한 수업 전략 (가중치 3) ⑧ 교과서 및 자료의 활용 (가중치 3) ⑨ 피드백 제공 (가중치 1) ⑩ 평가 (가중치 2) ⑪ 교육관 및 인성 (가중치 5) 각 분야별 채점 항목들과 점수별 수업..
3. 수업능력평가의 평가 영역 설정 및 기준 1) 한문교사의 자격 기준 본 연구의 'Ⅱ. 한문 과목의 교사 자격 기준' 에서는 한문교사의 자격 기준을 한문 문화 의식, 교과 지식, 학습자 이해, 수업 능력, 학생 평가 능력 등 5개의 영역으로 구분하여 제시한 바 있다. 모든 영역의 자격 기준이 수업 능력과 직간접으로 관련 되어 있지만 1, 2차 시험에서 대부분 평가 가능한 것들이며, 이 중 3차 시험 한문 수업 능력 평가에서 검증이 가능한 자격 기준은 학습자 이해, 수업 능력, 학생 평가 능력 부분이다. 논의 전개를 위해 이 부분을 다시 요약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학습자 이해 영역 ◦ [기준 14] 한문과 교사는 학습자들의 한문 학습 능력 발달을 이해하는 태도를 갖춘다. ◦ [기준 15] 한문과 교..
2. 한문과 수업 능력 평가 방법 및 도구 개발의 원칙 1) 수험생의 한문교사로서 한문과 관련된 지적 능력과 함께 실제적 교수 능력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도록 평가 방법 및 도구를 개발한다. 1․2차 시험은 한문 교과 교육학과 한문 교과 내용학 등 한문과와 관련된 지적 능력 유무를 위주로 평가 문항이 구성되었다. 수업 능력 평가에서는 지적 능력의 적용으로 수업 수행 능력을 실제적으로 평가하도록 구성한다. 한편 수업 능력 평가에서도 지적 능력이 요구되기는 하지만 이는 1, 2차 시험의 지적 능력과 동일한 것은 아니다. 즉 필답고사로 측정 가능한 능력이 아니라,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수업 상황에서 발현되는 지적 능력으로 예를 들어 질문 구성 능력, 적절하고 효율적인 답변 능력 등을 가리킨다. 이와 같은 지적 ..
1. 수업 능력 평가의 배경 및 필요성 교사가 지녀야 할 능력 중에 가장 중요한 것이 수업 능력이다. 여태까지의 중등교사 신규 임용 후보자 경쟁시험에서는 수험생이 한문과 교사로서의 수업 능력을 구비하고 있는지를 측정할 수 없었다. 한문과 신규 임용 후보자 선발 개선 방안은 기존 시험의 한계를 극복하고 수험생들의 한문과 교사로서의 수업 실기 능력, 한문 교육에 관한 지식과 이해의 정도를 평가할 수 있게 하였다. 이미 각 시․도 교육청에서는 필기고사와 면접고사를 보완하기 위해 수업 실기 능력 평가를 실시해 왔다. 시․도 교육청에서도 수업 능력이 우수한 교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선발 과정에 수업 능력을 평가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잘 알고 있었던 것이다. 수업 능력 평가 시험의 도입은 한문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
문항번호 6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문소설선독 평가영역 한문소설사 평가 내용 요소 한문소설의 양식적 변모와 그 양상을 안다. 평가목표 한문 소설 중 傳奇小說의 요소와 史傳과의 장르적 특징을 대비적으로 이해하고 전기소설의 역사적 변화 양상을 구체적으로 이해하며 감상할 수 있다. 행동요소 이해/적용 문항유형 영역 통합형 논술 문항 다음은 삼국사기 열전에 실린 의 全文이다.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薛氏女 栗里民家女子也 雖寒門單族 而顔色端正 志行脩整 見者無不歆艶 而不敢犯 眞平王時 其父年老 番當防秋於正谷 女以父衰病 不忍遠別 又恨女身不得侍行 徒自愁悶 沙梁部少年嘉實 雖貧且窶 而其養志貞男子也 嘗悅美薛氏而不敢言 聞薛氏憂父老而從軍 遂請薛氏曰 僕雖一懦夫 而嘗以志氣自許 願以不肖之身 代嚴君之役 薛氏甚喜 入告於父 父引見曰 ..
문항번호 5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문학사 평가영역 조선전기 평가 내용 요소 조선전기 한문학의 전개 과정과 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평가목표 조선조 전기 한국 한문학사의 중요한 흐름인 도와 문의 관계 및 도와 문을 둘러싸고 벌어진 논쟁의 추이와 다양한 시각을 이해할 수 있다. 행동요소 지식/적용 문항유형 영역 통합형 논술 문항 다음 문장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1) 文不可變乎 可變則斯爲變矣 其變而就卑在人 變卑而還淳 亦在人耳 自典謨賡載之文作 而爲文之權輿 虞變而夏 夏變而殷 至于成周 其文大備 彬彬郁郁 言宣于口 無非文也 事載于冊 無非文也 如君臣戒訓 列國辨命 兵師誓告 祭祀祝嘏 閭巷歌謠 非文無以發 故人雖欲不文 而不得不爲文也 (중략) 以我朝之事觀之 檀 箕之世 鴻荒朴略無所考 羅季 崔孤雲入唐登第 文名大著 麗初 崔承..
문항번호 4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역대산문선독 평가영역 이해 및 감삼 평가 내용 요소 한문 산문의 내용과 전개 방식에 따른 특징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평가목표 한국 산문의 성격과 특징을 잘 나타내는 麗韓九家에 해당되는 인물들의 산문적 글쓰기의 개성과 특질을 잘 이해할 수 있다. 행동요소 이해/적용 문항유형 영역 통합형 서술 문항 다음 문장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 吾邦之文 三國高麗 專學六朝文 長於騈儷 而高麗中世 金文烈公 特爲傑出 其所撰三國史 豊厚樸古 綽有西漢之風 其末世李益齋 始倡韓歐古文 尤長於記事 再修國史 韓朝所作高麗史 實皆益齋之筆也 李牧隱以益齋門生 始倡程朱之學 而其文多註疏語錄之氣 自是至吾韓二百餘年之間 有權陽村金佔筆崔簡易申象村李月沙諸家 而皆受病於牧隱 金農巖所云 我東方之文 膚率而不能切深 俚俗而不能雅麗 ..
문항번호 3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경서강독 평가영역 사상 평가 내용 요소 경서에 나오는 문장의 사상적 의미와 가치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평가목표 맹자의 핵심 사상인 ‘성’과 관련하여 그 사상적 기저를 논리적으로 이해하고, 그것을 구체적으로 잘 설명할 수 있다. 행동요소 지식/적용 문항유형 자료 제시형 논술 문항 아래의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告子曰 性 猶杞柳也 義 猶桮棬也 以人性爲仁義 猶以杞柳爲桮棬 孟子曰 子能順杞柳之性而以爲桮棬乎 將戕賊杞柳而後以爲桮棬也 如將戕賊杞柳而以爲桮棬 則亦將戕賊人以爲仁義與 率天下之人而禍仁義者 必子之言夫 告子曰 性猶湍水也 決諸東方則東流 袂諸西方則西流 人性之無分於善不善也 猶水之無分於東西也 孟子曰 水信無分於東西 無分於上下乎 人性之善也 猶水之就下也 人無有不善 水無有不下 今夫水..
문항번호 2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문교육론 평가영역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평가 내용 요소 한문과 영역별 평가 목표와 평가 내용에 적합한 평가 방법 및 도구를 개발, 활용할 수 있다. 평가목표 평가 목표와 평가 내용에 적합한 평가 방법 및 도구를 개발, 활용하기 위하여 평가 목표 이원분류표에 따라 출제 계획을 세우고, 이를 근거로 문항을 제작할 수 있다. 행동요소 이해/적용 문항유형 자료 제시형/응답 제한형 서술 문항 고등학교 교사 갑은 2학기 총괄 평가 문항을 제작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평가목표이원분류표를 작성하여 출제 계획을 세웠다. 가, 나, 다를 이용하고, 의 조건과 문항 예시를 참고하여, 문항 1, 2, 3을 제작하시오. 문항 번호 행동영역 내용영역 지식 이해 적용 정답 배점 문항 유..
문항번호 1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문교육론 평가영역 한문과 내용 및 교재 평가 내용 요소 한문과 내용 요소와 학습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평가목표 ‘한문’ 교육 과정 중 내용체계와 관련하여 ‘한문익히기’를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하여 ‘허자의 쓰임’을 통해 한문 풀이를 잘 이해할 수 있다. 행동요소 지식/ 이해 문항유형 한문 번역형/자료 제시형 서술 문항 제7차 고등학교 ‘한문’교육과정에 내용체계에 제시된 ‘한문 익히기’ 소영역 ‘허자의 쓰임을 안다’라는 내용에 의거하여 밑줄 친 부분의 ‘한문 풀이’를 지도하였다. 교사가 지도한 내용을 서술하시오.[4점] 子務 子惠出遊 見瞽者衣錦 子惠喟然歎曰 嗟乎 有諸己而莫之見也 子務曰 夫何與衣繡而夜行者 遂相與辨之於聽虗先生 先生搖手曰 吾不知吾不知 昔黃政丞自公而歸 其女迎..
5. 2차(논술형) 시험의 채점 기준의 원칙 1) 채점 방법 설정 원칙 ⓛ 채점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총괄적 채점 방법이 아닌 분석적 채점 방법으로 채점한다. ② 모범 답안을 작성하고 그에 따른 부분 점수 부여 기준을 설정한다. 특히 답안 요소의 중요성에 따라 점수가 배분되고, 부분 점수 채점 기준이 명시되어야 한다. ③ 답안지를 일차적으로 한 번 읽고 난 후에 채점 기준에 따라 실제로 채점한다. ④ 문항 간의 채점 시행 효과를 없애기 위해, 피험자별로 채점하지 않고, 문항별로 채점한다. ⑤ 두 명 이상이 채점하여 그 합을 합산하여 채점한 사람의 수로 나눈 평균을 부여한다. ⑥ 채점자간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최고 점수와 최저 점수가 만점의 10% 이상 차이가 나타날 경우에는 다시 채점을 하고, 그 후..
4. 2차(논술형) 시험 평가 도구 개발 방법 1) 출제 계획표 구성 문항 번호 대영역 세부 영역 관련 기본 이수 과목 1 교과 교육학 ‘한문’ 교육 과정 중 내용체계와 관련한 영역 한문교육론/한문문법/ 문자학개론/한문국역연습 2 교과 교육학 한문과 영역별 평가 목표와 평가 내용에 따른 평가 방법 및 도구의 개발과 활용 한문교육론/한문문법/ 역대산문선독/한시선독 3 교과 내용학 경서에 나오는 문장의 정확한 이해와 그 내용의 사상적 의미의 가치의 통합적 이해 및 적용 경서강독/한문국역연습 4 교과 내용학 한문학의 대표적 산문 작가들의 글쓰기를 통해 한문 산문의 성격 및 특질 이해와 적용 한문학개론/한문학사/ 역대산문선독 5 교과 내용학 조선조 전기 한문학의 전개 과정에서의 논쟁과 그 특징의 이해 한문학개론..
3. 2차(논술형) 시험 평가 도구 개발 원칙 1) 일반적 원칙 ⓛ 문항의 질은 교과 교육학과 교과 내용학의 각 평가 내용 요소를 신뢰도와 타당도를 갖추어 평가할 수 있는 문항 ② 채점 자료는 문항뿐만 아니라 ‘채점 기준’, ‘예시 답안(만점/부분 점수별)’을 구체적으로 제시 ③ 문항 수는 한문 번역 등 다양한 논술형과 서술형 문항 6개 이상 개발 ④ 논술 작성 시간은 4시간 ⑤ 문항 당 글자 수는 800자 내외(논술형), 600자 내외(서술형) ⑥ 문항 형태는 한문 번역형, 단독 과제형/자료 제시형, 응답 제한형/응답개방형, 영역 통합형 등 다양한 형태의 논술형과 서술형 문항을 개발한다. ⑦ 문항 출제 계획서를 작성하고 이에 따라 개발한다. 2) 세부 원칙 ⓛ 을 근거로 하여 출제하되, 가급적 다양한 ..
2. 2차(논술형) 시험의 세부 지침 1) 평가 내용 ⓛ 을 바탕으로 한문 지식의 이해 능력에 바탕한 평가 영역의 세부 요소가 최대한 골고루 반영되도록 출제한다. ② 교과 내용 지식에 대한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이해하는 능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출제한다. ③ 한문 수업의 설계ㆍ해석ㆍ평가 능력 및 학생의 학습 성취도를 평가하는 능력과 한문교사로서의 잠재적 수행 능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출제한다. ④ 한문 지식에 대한 통합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 교과 관련 현상(한문 문화 와 한문 텍스트 등)을 체계적·논리적으로 탐구하는 능력을 측정한다. ⑤ 한문 교육의 목표ㆍ내용ㆍ방법ㆍ평가 등 한문 교과 교육학의 전반적 내용을 두루 측정할 수 있도록 출제한다. ⑥ 한문 교과의 세부 영역이나 하위 과목별로 독립적인 문항과 영역..
1. 2차(논술형) 시험의 원칙 논술형(2차) 시험의 목적은 교사 후보자의 한문 지식에 대한 통합적 이해 능력은 물론 이를 기반으로 한문 교육 능력의 측정에 있다. 논술형(2차) 시험은 선택형(1차) 시험으로 선발된 최종선발인원의 2배수에 대하여 실시되는 시험이다. 선택형 시험이 기본적으로 한문에 대한 기본지식과 그에 바탕한 종합적 사고능력을 평가하였다면, 논술형(2차) 시험은 한문 지식에 대한 통합적 이해와 적용 능력ㆍ논리적 사고력ㆍ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측정한다. 그리고 교수학습 변인(교육과정, 교재, 학습자 등)을 고려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수행하는 데 필요한 한문과 교수학적 내용 지식과 활용 능력을 측정한다. 1) 한문과 교수학적 내용 지식과 활용 능력의 다면적·종합적 측정 다면적·종합적 사고의 측정..
문항번호 17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역대산문선독 평가 영역 이해 및 감상 평가 내용 요소 한문 산문의 내용과 전개 방식에 따른 특징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평가 목표 한문 산문의 대표작으로 꼽히는 『장자』의 문장을 정확하게 독해하고, 이에 근거하여 사상류 산문의 철학적 내용과 학술사적 가치 등을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행동 요소 이해. 적용 문항유형 완성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다음 문장의 빈 칸에 들어갈 한자를 순서에 맞게 연결한 것은? 古之人其備乎 配神明 醇天地 育萬物 和天下 澤及百姓 眀於本数 係於末度 六通四辟 小大精粗 其運無乎不在 其眀而在数度者 舊法世傳之史 尚多有之 其在於詩書禮樂者 鄒魯之士搢紳先生多能眀之 詩以道( ㉠ ) 書以道( ㉡ ) 禮以道( ㉢ ) 樂以道 ( ㉣ ) 易以道( ㉤ ) 春..
문항번호 16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문소설선독 평가 영역 유형 및 범주 평가 내용 요소 한문 소설의 유형과 범주를 안다. 평가 목표 고려시대 전기소설을 대표하는 작품의 원문을 통하여, 형성기 전기소설의 장르적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행동 요소 이해. 적용 문항유형 부정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가)에 대한 설명으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가) 新羅俗, 每當仲春, 都人士女, 競遶興輪寺之殿塔爲福會. 有金現者 夜深獨遶不息 有一處女 念佛隨遶 相感而目送之 遶畢 引入屛處通焉 女將還 現從之 (…) 女謂曰 三兄若能遠避而自懲 我能代受其罰 (…) 女人謂郞曰 (…) 賤妾之於郞君 雖曰 非類 得陪一夕之歡 義重結褵之好 (…) 妾以明日入市爲害劇 則國人無如我何 大王必募以重爵而捉我矣 君其無㥘 追我乎城北林中 吾將待之 (…) ..
문항번호 15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문소설선독 평가 영역 이해 및 감상 평가 내용 요소 한문 소설의 내용과 주제, 서사 전개 방식과 그 특징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평가 목표 고려시대 전기소설을 대표하는 작품의 원문을 통하여, 전기 소설의 내용과 주제를 이해하고 감상할 수 있다. 행동 요소 이해. 적용 문항유형 최선답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나)는 (가)에 대한 일연의 평이다. 이곳에서 일연이 말하고자 하는 핵심적인 내용으로 가장 적당한 것은 ? (가) 新羅俗, 每當仲春, 都人士女, 競遶興輪寺之殿塔爲福會. 有金現者 夜深獨遶不息 有一處女 念佛隨遶 相感而目送之 遶畢 引入屛處通焉 女將還 現從之 (…) 女謂曰 三兄若能遠避而自懲 我能代受其罰 (…) 女人謂郞曰 (…) 賤妾之於郞君 雖曰非類 得陪一夕之歡 義重..
문항번호 14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시선독 평가 영역 이해 및 감상 평가 내용 요소 한시의 내용과 미적 특질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평가 목표 각 시대에 대표성을 지닐만한 작가의 한시를 통해, 한국 한시의 흐름과 한국 한시의 내용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다. 행동 요소 지식. 이해 문항유형 정답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 ~ ㉤에서 詩語의 의미를 바르게 풀이한 것은? (1) ㉠天翁尙未貰漁翁 ㉡故遣江湖少順風 人世嶮巇君莫笑 自家還在急流中 -金克己, 「漁翁」 (2) 生涯未卜瀼東西 十載京塵滾馬蹄 一任浮名饒齒頰 長憐豪氣貫虹霓 靑山正向重樓近 碧草新封小逕迷 從此城南爲㉢吏隱 肯㉣敎桃李更成蹊 -申欽, 「病吟」 (3) 兒旣生㉤矣當洗 盆中貯來淸水 水雖冷兮兒莫啼 百病消除堅骨理 北方苦寒又多風 耐寒耐風從今試 -洪良浩, 「..
문항번호 13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시선독 평가 영역 형식 및 구성 평가 내용 요소 다양한 한시의 형식과 구성을 안다. 평가 목표 한시에서 사용하는 시어와 전고, 용사 등을 통하여, 한국 한시를 바르게 이해하고 미적인 특질을 체득할 수 있다. 행동 요소 지식. 이해 문항유형 정답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1) ~ (3)의 한시와 관련하여 바르게 서술한 것은? (1) ㉠天翁尙未貰漁翁 ㉡故遣江湖少順風 人世嶮巇君莫笑 自家還在急流中 -金克己, 「漁翁」 (2) 生涯未卜瀼東西 十載京塵滾馬蹄 一任浮名饒齒頰 長憐豪氣貫虹霓 靑山正向重樓近 碧草新封小逕迷 從此城南爲㉢吏隱 肯㉣敎桃李更成蹊 -申欽, 「病吟」 (3) 兒旣生㉤矣當洗 盆中貯來淸水 水雖冷兮兒莫啼 百病消除堅骨理 北方苦寒又多風 耐寒耐風從今試 -洪良浩, 「兒旣生」..
문항번호 12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문국역연습 평가 영역 사상류 평가 내용 요소 사상류 문장을 국역하고 그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평가 목표 이이(李珥)의 『율곡집(栗谷集)』에 수록된 예시문을 통해 이이의 사상을 이해하고, 이 글의 중심 내용이 사람의 기질에는 맑고 흐린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물에 비유한 것임을 파악할 수 있다. 행동 요소 이해. 적용 문항유형 최선답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글의 중심 내용에 가장 가까운 것은 ? 不肖者氣質多濁少淸 多駁少粹 性旣汨其本然 而又無進修之功 其發也 多爲形氣所使 是人心爲主也 間有道心雜出於人心之間 而不知所以察之守之 故一任形氣之私 至於情勝欲熾 而道心亦爲人心也 譬如儲水之器 汙濁不淨 泥滓滿中 水失其本然之淸 又無澄淨之功 其動也 泥滓汨水 水失其本然之淸 又無澄淨之功 ..
문항번호 11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문국역연습 평가 영역 역사류 평가 내용 요소 역사류 문장을 국역하고 그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평가 목표 이황의 『퇴계선생언행록』에 수록된 예시문을 통해 허형이 취한 행동을 이해하고, 허형과 같은 출처관을 보여주고 있는 문장을 답지에서 찾을 수 있다. 행동 요소 이해. 적용 문항유형 최선답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인물 ㈎가 취한 행동으로 가장 알맞은 것은? 問(가)許魯齋出處 先生曰 丘瓊山輩 皆詆事元之非 但此時夷猶主華 天理民彝 典章文物 絶滅殆盡 天之生魯齋 似非偶然 魯齋若獨善 而果於忘世 則天理誰明 民彝誰正 天下其終爲左袵 而莫之救矣 以愚觀之 魯齋之爲世而出 似不害義 未知聖賢復生 則其論如何耳 -李滉, 『退溪先生言行錄』 ① 新沐者, 必彈冠, 新欲者, 必振衣. ② 一簞食..
문항번호 10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문학사 평가 영역 조선후기 평가 내용 요소 조선후기 한문학의 전개 과정과 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평가 목표 홍만종의 『소화시평(小華詩評)』에 수록된 예시문의 내용을 이해하고, 조선중기 산문의 전개 과정과 주요 작가의 문체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다. 행동 요소 이해. 적용 문항유형 합답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밑줄 친 인물 ㈎에 해당하는 내용을 에서 모두 고른 것은? ⒜ 國朝近世文章 最推谿谷㈎澤堂爲作家 余嘗妄論二氏之文 以謂谿谷近於天成 澤堂深於人工 比之於古 蓋髣髴韓柳 -金昌協, 「息菴集序」 ⒝ (谿谷/澤堂)文太密塞 文字外不見有餘地 此不及(谿谷/澤堂)處 然如疏箚論事之文 精覈切深 不似(谿谷/澤堂)平泛 -金昌協, 「雜識」 ⒞ 余觀(谿谷/澤堂)文章 渾厚流鬯 如太湖漫..
문항번호 9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문학사 평가 영역 조선전기 평가 내용 요소 조선전기 한문학의 전개과정과 그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평가 목표 김만중의 『서포만필』에 수록된 예시문의 내용을 파악하고, 송대(宋代)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소식과 황정견(黃廷堅)있고, 조선 전기 한시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박은(朴誾)과 권필(權韠)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행동 요소 지식. 적용 문항유형 정답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에 해당하는 작가의 성명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 本朝詩體不啻四五變 國初承勝國之緖 純學( ㈀ ) 以迄於宣靖時 容齋稱大成焉 中間叅以豫章 則( ㈁ )之才 實三百年一人 又變而反正於唐 則崔白( ㈂ )其粹然者也 夫學嵋山而失之 往往冗陳 不滿人意 江西之弊 尤拗拙可厭 崔白之於唐 五律五絶 僅窺晩季蕃籬 沾..
문항번호 8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문학개론 평가 영역 운문 및 산문 평가 내용 요소 운문과 산문의 종류를 알고 그 특징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평가 목표 한유의 『창려선생집』에 수록된 예시문이 증서류에 속하는 작품이라는 사실을 파악하고, 다섯 개의 답지에서 예시문과 동일한 문체의 작품을 선별할 수 있다. 행동 요소 이해. 적용 문항유형 정답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다음은 한유의 글이다. 이 글과 같은 장르에 속하는 작품은 ? 燕趙 古稱多感慨悲歌之士 董生 舉進士 連不得志於有司 懐抱利器 欝欝適玆土 吾知其必有合也 董生勉乎哉 夫以子之不遇時 茍慕義強仁者 皆愛惜焉 矧燕趙之士 出乎其性者哉 然吾嘗聞風俗與化移易 吾烏知其今不異於吾所聞邪 聊以吾子之行 卜之也 董生勉乎哉 吾因之有感矣 爲我吊望諸君之墓 而觀於其市 復..
문항번호 7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문자학개론 평가 영역 한자의 역사 및 구성원리 평가 내용 요소 한자의 역사와 구성 원리를 이해하고 문장 독해에서 활용할 수 있다. 평가 목표 육서(六書)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정조의 『홍재전서(弘齋全書)』에 수록된 문자학 관련 지문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행동 요소 지식. 이해 문항유형 정답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다음 ㉠~㉤에서 六書에 대한 설명이 옳게 연결된 것은? 王若曰 書居六藝之一焉 自昔有周之訓國子也 敎之六書 則先王之重文字也 盖如是矣 春秋以上 言文不言字 如左傳於文 止戈爲武 論語史之闕文 中庸書同文 皆其證也 然則文與字之並稱 始於何代何書何人何說 而爾等可溯擧而歷對之否 指事之視識察見 上下是也 ( ㉠ )之以事爲名 日月是也 ( ㉡ )之畫物隨體 江河是也 ( ㉢ )..
문항번호 6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문 문법 평가 영역 품사론 평가 내용 요소 허사 및 품사의 종류와 쓰임을 알고 문장 독해에 활용할 수 있다. 평가 목표 ‘차(此)’자의 문법 지식을 활용하여, 사마광의 『자치통감』에 수록된 문장의 의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행동 요소 지식. 이해 문항유형 정답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다음 글의 ㉠과 ㉡이 가리키는 것이 모두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勒雖不學 好使諸生讀書而聽之 時以其意論古今得失 聞者莫不悅服 嘗使人讀漢書 聞酈食其勸立六國後 驚曰 ㉠此法當失 何以遂得天下 及聞留侯諫 乃曰 賴有㉡此耳 -『資治通鑑』 「晉紀」 * 石勒 : 中國 後趙의 初代 皇帝 * 酈食其 : 人名 ㉠ ㉡ ① 意論古今得失 聞者莫不悅服 ② 聞者莫不悅服 嘗使人讀漢書 ③ 嘗使人讀漢書 酈食其勸立六..
문항번호 5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경서강독 평가 영역 개념 평가 내용 요소 경서에 나오는 개념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다 평가 목표 경서에 나오는 문장의 의미를 문맥에 맞추어 정확하게 이해하고, 문장에 내포된 핵심 주제를 파악할 수 있다. 행동 요소 이해. 적용 문항유형 최선답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밑줄 친 ㉠의 주제로 가장 적합한 것은? ㉠詖辭知其所蔽 淫辭知其所陷 邪辭知其所離 遁辭知其所窮 生於其心 害於其政 發於其政 害於其事 聖人復起 必從吾言矣 -『孟子』 「公孫丑上」 ① 言病 ② 辨是非 ③ 知言 ④ 不動心 ⑤ 難言 정 답 ③ 정답과 오답에 대한 설명 5개의 답지에서 ‘피사(詖辭)’와 ‘음사(淫辭)’, ‘사사(邪辭)’와 ‘둔사(遁辭)’의 의미와 직접 관련된 답지는 ③번이고, 나머지 4개의 답지는 ..
문항번호 3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문교육론 평가 영역 한문과 내용 및 교재 평가 내용 요소 교재의 내용과 제재에 적합한 단원 지도 계획을 설계하고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 평가 목표 예시문에 내포되어 있는 한문학사의 내용을 학생들이 단원의 학습을 통해 이해할 수 있도록, 단원의 지도 내용 및 교수·학습 계획을 수립한다. 행동 요소 이해. 적용 문항유형 정답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교사 갑은 중 밑줄 친 ①을 바탕으로 이 단원을 가르치고자 한다. 이 가리키는 상황을 본문에서 찾을 경우 내용으로 알맞은 것은? 新羅崔抗 字石南 有愛妾 ㉠父母禁之 不得見數月 抗暴死 經八日 夜中抗往妾家 ㉡妾不知其死也 顚喜迎接 抗首揷石枏枝 分與妾曰 父母許與汝同居 故來耳 遂與妾還到其家 抗踰牆而入 夜將曉 久無消息 ㉢家人出見之 ..
문항번호 2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문교육론 평가 영역 한문과 내용 및 교재 평가 내용 요소 한문과 내용 요소와 학습 내용을 이해할 수 있다. 평가 목표 교과 학습 내용과 내용 체계에 적합한 예문을 선정하고, 이를 교수·학습에 활용할 수 있다. 행동 요소 이해. 적용 문항유형 부정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다음은 제7차 중학교 한문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의 일부이다. 밑줄 친 ㉠의 예문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을 에서 모두 고른 것은? 한문 한문 익히기 문장을 읽고 뜻 알기 문장 구조를 통해 문장 풀이하기 ㉠허자의 쓰임을 알고 활용하기 문장의 형식을 알고 활용하기 한시 익히기 시구 및 한시를 풀이하고 감상하기 한문 활용하기 격언․속담, 명언․명구를 일상생활에 활용하기 가치관 형성과 전통문화 계승, 발전..
문항번호 1 기본이수과목 및 분야 한문교육론 평가 영역 한문과 내용 및 교재 평가 내용 요소 교재의 내용과 제재에 적합한 단원 지도 계획을 설계하고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 평가 목표 한문과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한문 문장의 내용을 파악하여, 문장의 내용에 맞는 적합한 단원의 지도계획을 설계하고, 이를 교수·학습에 활용할 수 있다. 행동 요소 이해 문항유형 최선답형 정답률 상, 중, 하 문 항 교사 甲은 아래 단원의 지도 계획을 세우고자 한다. 밑줄 친 ㉠의 내용과 관련하여 ‘선인들의 삶과 지혜를 이해하고, 가치관 형성하기’에 가장 적합한 학습 목표를 제시한 것은? 竹似賢 何哉 竹本固 固以樹德 君子見其本 則思善建不拔者 竹性直 直以立身 君子見其性 則思中立不倚者 ㉠竹心空 空以體道 君子見其心 則思應用虛受者 竹節..
4. 평가의 공정성 확보를 위한 방안 제시 1) 교과교육학은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및 한문과 교재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한문과 교수·학습방법이나 평가에 활용하는 문항을 출제한다. 2) 교과내용학은 특정 영역이나 학설(또는 이론)에 치우치지 않고, 해당 분야 전반에 걸쳐 고르게 출제한다. 3) 2차 시험(논술형)과 3차 시험(수업능력평가)과의 관계를 고려해 문항을 개발하되, 특정 내용이 강조되지 않도록 유의한다. 4) 발문이 지나치게 개방적이거나 추상적인 경우에는 채점의 공정성과 객관성 문제가 야기될 수 있으므로, 발문은 가급적 제한적이고 구체적인 내용으로 구성한다. 5) 예시문이 텍스트에 따라 원문의 내용이 다를 경우, 반드시 예시문에서 밝힌 텍스트의 원문을 사용하여 출전에 따른 문제..
3.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가 출제에 고르게 반영될 수 있는 방안 1) 선택형 문항은 총 40문항으로 문항 풀이에 걸리는 시간은 한 문항 당 1분 30초 ~ 3분 정도가 소요될 수 있도록 개발한다. 2) 선택형 문항 점수는 총 100점으로 문항의 난이도에 따라 한 문항 당 1.5점 ~ 3.5점씩 배정한다. 3) 선택형 문항은 각각 교과교육학에서 35%, 교과내용학에서 65%의 비율을 초과하거나 미달하지 않도록 개발한다. 4) 평가 영역별 출제 비율은 아래의 표를 따른다. 단, 평가 영역별로 ±1% 범위 내에서 비율을 조정할 수 있다. 평가 영역 출제 비율 구분 기본이수과목 평가 영역 교과교육학 한문교육론 한문과 성격 및 목표 5 한문과 내용 및 교재 18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12 소 ..
2. 1차(선택형) 평가 도구 개발의 원칙 1) 한문과 교사로서 한문 문화에 대한 지식과 수용 태도를 평가하는 문항을 개발한다. 2) 한문과 교사로서 한문과 교육과정에 대한 지식을 평가하는 문항을 개발한다. 3) 한문과 교사로서 학습자들의 한문 학습 능력의 발달을 이해하는 태도를 갖추게 하는 문항을 개발한다. 4) 한문과 교사로서 학습자의 한문 이해를 도울 수 있는 환경과 문화를 조성하는 태도를 갖추게 하는 문항을 개발한다. 5) 한문과 교사로서 한문과 내용을 한문 교과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을 개발한다. 6) 한문과 교사로서 한문과 교재를 한문 교과 지도에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을 개발한다. 7) 한문과 교사로서 한문과 평가를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평가하는 문항을 ..
1. 1차(선택형) 평가 도구의 목적 및 방향 고도의 전문성을 갖춘 중등학교 한문교사를 선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합리적인 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수준 높은 양질의 문항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한문과 임용시험은 해당년도 출제위원의 전공이나 학문 성향에 따라 출제 범위와 문항 유형이 수시로 바뀜으로써, 공정하고 객관적이며 신뢰성이 있는 전형자료를 제공하지 못해온 것이 사실이다. 이와 같이 기존의 한문과 임용시험이 수험생들에게 신뢰를 얻지 못한 것은 전국 대학에 설치된 교사양성기관(사범대학 한문교육과, 한문학과 교직과정, 교육대학원 한문교육전공 등)의 교육과정이 서로 다른 것에 근본 원인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본이수과목의 평가 영역과 평가 내용 요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각..
4. 개발된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평가 영역 평가 내용 요소 행동 영역 출제 비율 구분 기본이수과목 평가 영역 1차 시험 2차 시험 교과 교육학 한문 교육론 한문과 성격 및 목표 한문과 교육과정의 변천 양상과 시기별 특징을 알 수 있다. 지식 35 45 한문과의 성격과 특성을 이해한다. 이해 한문과의 목표와 지향점을 이해한다. 이해 한문과 내용 및 교재 한문과 내용(내용 체계 및 영역별 내용)선정 및 조직 원리를 알 수 있다. 이해 한문과 내용 요소와 학습 내용을 이해 할 수 있다. 지식 교재의 내용과 제재에 적합한 단원 지도 계획을 설계하고 수업에 활용할 수 있다. 적용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한문과 성격, 목표, 내용에 적합한 교수 학습 계획을 수립할 수 있다. 이해, 적용 한문과 ..
8) 한시선독 ① 평가 영역 한시선독은 한시에 대한 기본적인 감상 능력과 그와 관련된 지식을 학습하는 과목이다. 한시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시의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어야 하며, 동시에 한시의 형식 및 한시의 역사적 발전 양상 등에 대한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따라서 한시선독의 평가 영역은 한시의 시체 및 형식, 구성 등에 대한 지식을 평가하는 ‘형식 및 구성’, 한시의 내용적 이해 정도를 평가하는 ‘이해 및 감상’ 그리고 한시의 역사적 변천에 대한 이해를 평가하는 ‘한시사’로 나누었다. ② 평가 내용 요소 ◦ 형식 및 구성 다양한 한시의 형식과 구성을 안다. ◦ 이해 및 감상 한시의 내용과 미적 특질을 이해하고 감상한다. ◦ 한시사 한시의 역사적 변용과 그 양상을 안다. 9) 한문..
4) 문자학개론 ① 평가 영역 문자학개론의 평가영역은 ‘한자의 역사와 구성원리’이다. 문자학개론과 관련된 평가 역시 글자 하나하나의 형성과 변모 등과 같은 문자학적 지식을 평가하기보다는 여타 문자와 다른 한자의 기본적인 특징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 정도와 독해에서의 활용 능력을 주로 평가한다. 따라서 개별 글자가 아니라 한자의 전반적인 역사에 대한 이해와 구성 원리, 나아가 한자 학습 및 교육, 그리고 독해와 관련된 기본적인 한자 지식 및 활용을 평가하도록 하였다. ② 평가 내용 요소 문자학개론의 평가내용요소는 다음과 같다. ◦ 한자의 역사 및 구성 원리 한자의 역사와 구성 원리를 이해하고 문장 독해에서 활용할 수 있다. 문자학 그 자체에 대한 평가보다는 한문문화 및 한문독해의 맥락에서 문자에 대한 기본적..
3. 평가 영역 및 내용 요소 선정의 타당성 기본이수과목을 중심으로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에 대한 설정 배경 및 근거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1) 한문교육론 ① 평가 영역 한문교육론은 중등학교에서 교과의 하나로 시행되는 한문과 교육에 대한 학문적, 총체적 이해를 필요로 하는 과목이다. 학교에서 시행되는 교과교육의 하나인 한문과 교육은, 풍부한 한문학 자료에 대한 읽기, 이해 그리고 비평적 감상에 기초한다는 점에서, 한문학을 모태로 하는 학문적 특성을 가진다. 한편, 한문과 교육은 한문학 자료를 포함하는 텍스트 요인 외에 각급 학교의 한문교사와 한문 학습자라는 인간 요인, 한문 학습이 발생되는 교실 현장 및 상황 맥락 요인, 그리고 학습자에 의해 생산된 산출물과 반응 자료들이 탐구의 또 다른 대상..
2.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개발 방법 및 과정 지금까지의 중등교사 임용시험에서 출제기준이 명확하지 않았다. 다만 암묵적으로 교사자격증을 얻는데 필요한 기본이수과목을 중심으로 시험문항이 출제되도록 유도되었을 따름이다. 하지만 기본이수과목의 어떤 영역의 어떤 내용이 중심이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기준은 없었다. 따라서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를 보다 상세히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를 결정하는데 있어 객관성이 문제될 수 있다. 한문교육의 목표와 방향 및 내용에 대해 해당 전공자들의 의견이 일치되기 어렵기에 몇몇 사람의 의견을 바탕으로 한 주관적인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다양한 의견 수렴을 통한 보다 공정하고, 객관적인 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
1. 평가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상세화의 필요성 및 배경 1991년 중등교사 임용시험이 시행된 이후, 평가 영역, 평가 목표, 평가 내용 등에서 많은 논란이 있었다. 중등학교 한문교육의 목표에서부터, 중등학교 한문교사에게 필요한 자질, 중등학교 한문교사가 기본적으로 알아야만 하는 지식의 수준 및 한문지식을 현장에 적합하게 적용할 수 있는 능력 등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한 논의가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창기의 임용시험에서는 四書를 위주로 시험이 출제되는 경향이 있었다. 전통 한문교육에서 사서를 한문의 입문 과정으로 다루어 왔던 전통 때문이었다. 하지만 현대의 한문교육은 전통적인 한문교육과 다른 성격을 지닌다. 따라서 이러한 四書 위주의 출제 경향에 대해 반성의 목소리가 높아졌고, 그 가..
5. 교사자격기준의 활용 한문 과목 교사 자격 기준은 적격한 자격을 갖춘 한문과 교사를 선발할 때에도 활용할 수 있다. 한문 과목 교사 자격 기준은 우선 중등 한문과 교사 신규 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을 출제할 때, 평가 내용 요소를 정하는 기준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시험의 목적은 누가 중등 한문과 교사로서의 자격을 더 잘 갖추고 있는지 선별하는 것이므로, 평가 내용 요소를 추출하는 근거는 당연히 한문 과목 교사 자격 기준이 되어야 한다. 그리고 한문 과목 교사 자격 기준은 사립학교에서의 교원 선발, 나아가 한문과 교사의 승진이나 한문과 관련 장학사 선발 등과 같은 곳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인용 목차
4. 중등학교교사(한문) 교사자격기준 영역 (대범주) 표시과목별 자격기준 세부자격기준 일반기준 기준과의 관련성 한문 문화 의식 [기준 1] 한문과 교사는 한문 문화에 대한 지식을 갖춘다. 1. 한문과 교사는 한문 문화와 관련된 한자·한문의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2. 한문과 교사는 한문 문화와 관련된 전통 문화의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기준 1. 1-1 기준 10. 10-1 10-1 [기준 2] 한문과 교사는 한문 문화에 대한 올바른 인식 태도를 갖춘다. 1. 한문과 교사는 한문 문화에 대한 관심 있는 태도를 갖추어야 한다. 2. 한문과 교사는 한문 문화에 대한 사명감을 갖추어야 한다. 기준 1. 1-1 1-2 1-3 기준 10. 10-1 10-2 [기준 3] 한문과 교사는 한문 문화와 관련된 능동적 태..
3. 개발 방법 및 절차 교사자격 기준은 교사의 교과 지도와 직무 수행 능력을 평가하는 준거이다. 따라서 교사 자격 기준의 개발은 교사의 교과 지도와 직무 수행을 실제에 근접하게 파악하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다수의 논의를 거쳐 교과 지도와 직무 분석은 자격 기준개발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교사의 직무, 또는 교사직을 보는 관점에 따라 직무 분석을 중심으로 하여 대략 3단계 과정으로 표현된다. Stonge와 Tucker(김이경 외, 2005)를 비롯하여 NBPTS, INTASC 등의 사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미국의 NBPTS의 교사 자격 기준 예시를 일부 참조 활용하였다. 그 예시는 다음과 같다. Ⅰ. 학생에 대한 이해 Ⅳ. 학습자 참여 Ⅴ. 학습자 환경 유지 Ⅵ. 다양..
2. 교사자격기준 개발의 이론적 배경(근거) 1) 보편성(일반성) 국가 수준에서 정한 교육과정을 고려하고, 국가 수준으로 통합된 교사 임용의 상황을 고려하여, 한문 과목 교사 자격 기준의 개발은 교육과학기술부를 중심으로 제정된 자격 기준인 “신규교사의 자질과 능력에 관한 일반 기준”을 원용함으로써 제도적, 교육적 보편성과 일반성을 반영한다. 2) 특수성(개별성) 한문 과목 교사 자격 기준의 개발은 ‘한문 과목’에 따른 한문교사의 직무 실제를 고려하고 한문의 문화적 특성과 상황을 고려함으로써 교사와 교과의 특수성과 개별성을 반영한다. 3) 현실성(실용성) 한문 과목 교사 자격 기준의 개발은 국가 임용 고사와의 형식적, 내용적 관련성을 가짐으로써 신규 한문교사 선발에 현실적, 실용적 지침이 될 수 있다. 인..
1. 교사자격기준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 한문 과목 교사 자격 기준은 한문과 교사 양성 기관의 교육과정을 편성하는 기준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일정한 자질과 능력을 지닌 한문과 교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가르쳐야 할 내용 범주들이 필요하며, 이들 필수 내용 범주들이 도출되는 근거가 바로 한문과목 교사의 자격 기준이다. 또한 한문 과목 교사 자격 기준은 한문과 양성 기관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현실적으로 한문과 교사 양성기관들은 서로 다른 교수진에 의해 서로 다른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양성기관들이 제공하는 교육의 충실성을 평가하는 기준 또한 한문 과목 교사 자격 기준이 될 수밖에 없다. 한문과 교사가 갖추어야 할 자질과 능력을 제대로 길러 주지 못하는 양성 기관은 사실상 ..
4. 연구내용 및 방법 본 연구는 크게 다섯 가지 방면으로 연구가 진행될 것이다. 1) 한문 과목의 교사 자격기준 개발, 2)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상세화, 3) 선택형(1차) 예시 평가 도구 개발, 4) 논술형(2차) 예시 평가 도구 개발, 5) 수업 능력 평가 방법 및 예시 평가 도구 개발이 그것이다. 이에 이 다섯 가지 연구분야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내용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1) 한문 과목의 교사 자격기준 개발 교육인적자원부에서는 2006년 11월 17일에 ‘신규교사의 자질과 능력에 관한 일반기준’을 설정ㆍ제시하였는데, 그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교사는 건전한 인성과 교직 사명감 및 윤리의식을 갖는다. 2. 교사는 학생들의 학습과 복지를 위해 헌신한다. 3. 교사는 학생과 학생의 학습..
3. 연구 목적과 세 분야의 구체적 목적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수행하게 될 본 연구는 무엇보다도 자질과 전문성을 갖춘 한문교사를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선발하는 데 도움을 주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곧 한문교사의 자격이 무엇인가, 한문교사 선발을 위한 평가 영역을 어떻게 구체적이며, 상세하게 설정할 것인가, 또한 한문교사로서 적합한 수업능력을 지녔음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등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과 사례를 개발함으로써 보다 뛰어나면서도, 현장에 적합한, 나아가 한문 교육을 통해 중등학교 교육의 발전에 이바지할 한문교사를 선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와 같은 본 연구의 일반적인 목적 아래, 각각 진행될 세 가지 분야 곧 1) 한문교사자격 기준 개발, 2) 평가 영역 및 평가 내용 요소..
2. 필요성 한문과목의 특수성 이러한 사정은 전공과목의 하나인 한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각 전공의 특성에 따라 전공 교사로서 요구되는 자질이 다르며, 그 과목의 교수방법과 교육 목표 역시 다르다. 그런데 한문의 경우는 이와 함께 특수한 성격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한문은 여러 언어 과목 중의 하나인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여타의 언어 과목과는 다른 특성이 존재한다. 물론 우리의 언어[국어]이기도 한 것이 사실이다. 전통 시대 우리가 사용한 글은 대부분 한문이기 때문이다. 이는 한글 창제 이전 뿐 아니라 한글 창제 이후도 마찬가지이다. 근대 이전의 대부분의 시기에 우리들은 우리들의 사상과 감정, 지식과 기록을 한문을 통해 생산하고, 향유하고, 전수하였기에 분명 한문은 분명 국어인 것이다. 하지만 한문은 국..
1. 연구목적 현행 임용고사의 문제점 현행 중등교사신규임용후보자선정경쟁시험(이하 ‘중등교사 임용시험’) 제도는 국립 사범대학 출신자의 우선 임용에 대한 위헌 판결을 계기로 ‘순위고사’를 폐지하고, 1991년부터 시행되어왔다. 지난 10여년 동안 진행된 ‘중등교사 임용시험’은 개선을 위한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문제점을 드러내었다. 이 중 가장 두드러지는 점은 출제의 타당성과 공정성 및 채점의 객관성과 신뢰성 문제이다. 출제의 타당성과 공정성은 출제자가 누구인가, 출제자의 전공이 무엇인가 등에 따라 출제된 문제가 편향된 성격을 보이거나 시험 합격자의 출신학교가 크게 달라지는 경향에서 문제가 되고 있는 부분이며, 채점의 객관성과 신뢰성은 단 일주일 동안 그 많은 수험자의 답안을 채점하는 현상과 관..
전공 한문 임용고사 출제 범위표 1. 공통영역(17) 1三國史記 「列傳」10『荀子』 「勸學」2三國遺事11『荀子』 「解蔽」3通鑑節要 「周紀」12『莊子』 「逍遙游」4通鑑節要 「秦紀」13『莊子』 「齊物論」5史記英選14『小學』 「稽古」6論語15『小學』 「嘉言」7孟子16『小學』 「善行」8大學17古文眞寶 後集9中庸 2. 한문소설(23) 1調信12崔陟傳2金現感虎13金英哲傳3白月山兩聖成道記14雲英傳4崔致遠15布衣交集5首揷石枏16折花奇談6溫達17沈生傳7薛氏女18許生傳8都彌19兩班傳9金鰲新話20烏有蘭傳10企齋記異21丁生傳11周生傳22結芳緣二八娘子 23宋班窮途遇舊僕 3. 산문(234) 작 가작품수작 가작품수작 가작품수무명씨3문무왕1원 효1김필오1최치원2최승우1김부식1임 춘2이인로1이규보8최 해2이제현4이 곡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