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仲尼 (485)
건빵이랑 놀자
요왈(堯曰) 제이십(第二十) 凡三章. 1. 요임금으로부터 유유히 흘러온 유학의 흐름 堯曰: “咨! 爾舜! 天之曆數在爾躬. 允執其中. 四海困窮, 天祿永終.” 此堯命舜, 而禪以帝位之辭. 咨, 嗟歎聲. 曆數, 帝王相繼之次第, 猶歲時氣節之先後也. 允, 信也. 中者, 無過ㆍ不及之名. 四海之人困窮, 則君祿亦永絶矣, 戒之也. 舜亦以命禹. 舜後遜位於禹, 亦以此辭命之. 今見於「虞書大禹謨」, 比此加詳. 曰: “予小子履, 敢用玄牡, 敢昭告于皇皇后帝: 有罪不敢赦. 帝臣不蔽, 簡在帝心. 朕躬有罪, 無以萬方; 萬方有罪, 罪在朕躬.” 此引『商書』「湯誥」之辭. 蓋湯旣放桀而告諸侯也. 與『書』文大同小異. 曰上當有湯字. 履, 蓋湯名. 用玄牡, 夏尙黑, 未變其禮也. 簡, 閱也. 言桀有罪, 己不敢赦. 而天下賢人, 皆上帝之臣, 己不敢蔽..

3. 명(命)과 예(禮)와 말을 알아야 한다 子曰: “不知命, 無以爲君子也, 程子曰: “知命者, 知有命而信之也. 人不知命, 則見害必避, 見利必趨, 何以爲君子?” 不知禮, 無以立也, 不知禮, 則耳目無所加, 手足無所措. 不知言, 無以知人也.” 言之得失, 可以知人之邪正. ○ 尹氏曰: “知斯三者, 則君子之事備矣. 弟子記此以終篇, 得無意乎? 學者少而讀之, 老而不知一言爲可用, 不幾於侮聖言者乎? 夫子之罪人也, 可不念哉?” 해석 子曰: “不知命, 無以爲君子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명(命)을 알지 못하면 군자가 될 수 없고, 程子曰: “知命者, 知有命而信之也. 정이천(程伊川)이 말했다. “명을 아는 사람은 명(命)이 있음을 알고 그것을 믿는다. 人不知命, 則見害必避, 명을 알지 못하면 해로움을 보고서 見利必趨, 何以..

2. 오미(五美)와 사악(四惡) 子張問於孔子曰: “何如斯可以從政矣?” 子曰: “尊五美, 屛四惡, 斯可以從政矣.” 子張曰: “何謂五美?” 子曰: “君子惠而不費, 勞而不怨, 欲而不貪, 泰而不驕, 威而不猛.” 費, 芳味反. 子張曰: “何謂惠而不費?” 子曰: “因民之所利而利之, 斯不亦惠而不費乎? 擇可勞而勞之, 又誰怨? 欲仁而得仁, 又焉貪? 君子無衆寡, 無小大, 無敢慢, 斯不亦泰而不驕乎? 君子正其衣冠, 尊其瞻視, 儼然人望而畏之, 斯不亦威而不猛乎?” 焉, 於虔反. 子張曰: “何謂四惡?” 子曰: “不敎而殺謂之虐; 虐, 謂殘酷不仁. 不戒視成謂之暴; 暴, 謂卒遽無漸. 慢令致期謂之賊; 致期, 刻期也. 賊者, 切害之意. 緩於前而急於後, 以誤其民, 而必刑之, 是賊害之也. 猶之與人也, 出納之吝, 謂之有司.” 出, 去聲. ○ 猶..

1. 요임금으로부터 유유히 흘러온 유학의 흐름 凡三章. 堯曰: “咨! 爾舜! 天之曆數在爾躬. 允執其中. 四海困窮, 天祿永終.” 此堯命舜, 而禪以帝位之辭. 咨, 嗟歎聲. 曆數, 帝王相繼之次第, 猶歲時氣節之先後也. 允, 信也. 中者, 無過ㆍ不及之名. 四海之人困窮, 則君祿亦永絶矣, 戒之也. 舜亦以命禹. 舜後遜位於禹, 亦以此辭命之. 今見於「虞書大禹謨」, 比此加詳. 曰: “予小子履, 敢用玄牡, 敢昭告于皇皇后帝: 有罪不敢赦. 帝臣不蔽, 簡在帝心. 朕躬有罪, 無以萬方; 萬方有罪, 罪在朕躬.” 此引『商書』「湯誥」之辭. 蓋湯旣放桀而告諸侯也. 與『書』文大同小異. 曰上當有湯字. 履, 蓋湯名. 用玄牡, 夏尙黑, 未變其禮也. 簡, 閱也. 言桀有罪, 己不敢赦. 而天下賢人, 皆上帝之臣, 己不敢蔽. 簡在帝心, 惟帝所命. 此述其初請命..
자장(子張) 제십구(第十九) 此篇皆記弟子之言, 而子夏爲多, 子貢次之. 蓋孔門自顔子以下, 穎悟莫若子貢; 自曾子以下, 篤實無若子夏. 故特記之詳焉. 凡二十五章. 1. 자장이 생각하는 선비란? 子張曰: “士見危致命, 見得思義, 祭思敬, 喪思哀, 其可已矣.” 致命, 謂委致其命, 猶言授命也. 四者立身之大節, 一有不至, 則餘無足觀. 故言士能如此, 則庶乎其可矣. ⇒해석보기 2. 존재하지 않아도 되는 사람 子張曰: “執德不弘, 信道不篤, 焉能爲有? 焉能爲亡?” 焉, 於虔反. 亡, 讀作無, 下同. ○ 有所得而守之太狹, 則德孤; 有所聞而信之不篤, 則道廢. 焉能爲有無, 猶言不足爲輕重. ⇒해석보기 3. 벗의 사귐에 대해 자장이 자하를 비판하다 子夏之門人問交於子張. 子張曰: “子夏云何?” 對曰: “子夏曰: 可者與之, ..

25. 자공이 공자보다 낫다는 진항 陳子禽謂子貢曰: “子爲恭也, 仲尼豈賢於子乎?” 爲恭, 謂爲恭敬推遜其師也. 子貢曰: “君子一言以爲知, 一言以爲不知, 言不可不愼也. 知, 去聲. ○ 責子禽不謹言. 夫子之不可及也, 猶天之不可階而升也. 階, 梯也. 大可爲也, 化不可爲也, 故曰不可階而升. 夫子之得邦家者, 所謂立之斯立, 道之斯行, 綏之斯來, 動之斯和. 其生也榮, 其死也哀, 如之何其可及也.” 道, 去聲. ○ 立之, 謂植其生也. 道, 引也, 謂敎之也. 行, 從也. 綏, 安也. 來, 歸附也. 動, 謂鼓舞之也. 和, 所謂於變時雍. 言其感應之妙, 神速如此. 榮, 謂莫不尊親. 哀, 則如喪考妣. 程子曰: “此聖人之神化, 上下與天地同流者也.” ○ 謝氏曰: “觀子貢稱聖人語, 乃知晩年進德, 蓋極於高遠也. 夫子之得邦家者, 其鼓舞群動..

24. 공손무숙이 비난한 공자를 자공이 변호하다 叔孫武叔毁仲尼. 子貢曰: “無以爲也, 仲尼不可毁也. 無以爲, 猶言無用爲此. 他人之賢者, 丘陵也, 猶可踰也; 仲尼, 日月也, 無得而踰焉. 土高曰丘, 大阜曰陵. 日月, 踰其至高. 人雖欲自絶, 其何傷於日月乎? 多見其不知量也!” 量, 去聲. ○ 自絶, 謂以謗毁自絶於孔子. 多, 與祗同, 適也. 不知量, 謂不自知其分量. 해석 叔孫武叔毁仲尼. 공손무숙이 중니를 비난했다. 子貢曰: “無以爲也, 仲尼不可毁也. 자공이 말했다. “하지 마시라. 중니는 비난할 수 없다. 無以爲, 猶言無用爲此. 무이위(無以爲)는 이것을 하는 게 쓸 데 없다는 말과 같다. 他人之賢者, 丘陵也, 猶可踰也; 仲尼, 日月也, 無得而踰焉. 다른 사람의 어진 것은 언덕 같아 오히려 넘을 수 있지만, 중니는..

23. 공자의 담장은 몇 인이나 된다 叔孫武叔語大夫於朝, 曰: “子貢賢於仲尼.” 語, 去聲. 朝, 音潮. ○武叔, 魯大夫, 名州仇. 子景伯以告子貢. 子貢曰: “譬之宮牆, 賜之牆也及肩, 窺見室家之好. 牆卑室淺. 夫子之牆數仞, 不得其門而入, 不見宗廟之美, 百官之富. 七尺曰仞. 不入其門, 則不見其中之所有, 言牆高而宮廣也. 得其門者或寡矣. 夫子之云, 不亦宜乎!” 此夫子, 指武叔. 해석 叔孫武叔語大夫於朝, 曰: “子貢賢於仲尼.” 숙손무숙이 조정에서 대부에게 “자공이 공자보다 낫습니다.”라고 말했다. 語, 去聲. 朝, 音潮. ○ 武叔, 魯大夫, 名州仇. 무숙은 노나라 대부로 이름은 주구다. 子景伯以告子貢. 子貢曰: “譬之宮牆, 賜之牆也及肩, 窺見室家之好. 자경백이 자공에게 알려줬다. 그러자 자공이 다음과 같이 말했..

22. 공손조가 공자를 비난하자, 자공이 공자를 방어하다 衛公孫朝問於子貢曰: “仲尼焉學?” 朝, 音潮. 焉, 於虔反. ○ 公孫朝, 衛大夫. 子貢曰: “文ㆍ武之道, 未墜於地, 在人. 賢者識其大者, 不賢者識其小者, 莫不有文武之道焉. 夫子焉不學? 而亦何常師之有?” 識, 音志. 下焉字, 於虔反. ○文武之道, 謂文王ㆍ武王之謨訓功烈, 與凡周之禮樂文章皆是也. 在人, 言人有能記之者. 識, 記也. 해석 衛公孫朝問於子貢曰: “仲尼焉學?” 위나라 공손조가 자공에게 “공자는 무엇을 배웠는가?”라고 물었다. 朝, 音潮. 焉, 於虔反. ○ 公孫朝, 衛大夫. 공손조가 위나라 대부다. 子貢曰: “文ㆍ武之道, 未墜於地, 在人. 賢者識其大者, 不賢者識其小者, 莫不有文武之道焉. 夫子焉不學? 而亦何常師之有?” 자공이 “문왕과 무왕의 도가 ..

21. 군자의 허물은 일식과 월식과 같다 子貢曰: “君子之過也, 如日月之食焉: 過也, 人皆見之; 更也, 人皆仰之.” 更, 平聲. ○ 日月之蝕, 非日月故爲; 君子之過, 非君子故爲. 故云如日月之蝕也. 해석 子貢曰: “君子之過也, 如日月之食焉: 過也, 人皆見之; 更也, 人皆仰之.” 자공이 “군자의 잘못은 일식과 월식과 같다. 잘못을 지으면 사람들이 모두 그것을 보고 잘못을 고치면 사람들이 모두 앙망한다.”라고 말했다. 更, 平聲. ○ 日月之蝕, 非日月故爲; 황소가 “일식과 월식은 해와 달이 잘못한 게 아니고, 君子之過, 非君子故爲. 군자의 잘못도 군자의 저지른 것이 아니다. 故云如日月之蝕也. 그렇기 때문에 ‘일식과 월식과 같다’고 말한 것이다.” ○ ‘논어’ ‘자장(子張)’의 제21장에서 자공(子貢)은 군자가..

20. 하류에 살아선 안 되는 이유 子貢曰: “紂之不善, 不如是之甚也. 是以君子惡居下流, 天下之惡皆歸焉.” 惡居之惡, 去聲. ○ 下流, 地形卑下之處, 衆流之所歸. 喩人身有汙賤之實, 亦惡名之所聚也. 子貢言此, 欲人常自警省, 不可一置其身於不善之地. 非謂紂本無罪, 而虛被惡名也. 해석 子貢曰: “紂之不善, 不如是之甚也. 是以君子惡居下流, 天下之惡皆歸焉.” 자공이 “주임금의 불선(不善)이 이와 같이 심하진 않았다. 이러하기에 군자는 하류에 처하는 걸 미워하는 것이니, 천하의 나쁜 것들이 모두 돌아온다.”라고 말했다. 惡居之惡, 去聲. ○ 下流, 地形卑下之處, 衆流之所歸. 하류(下流)는 지형이 낮고 아래인 곳으로 모든 흐르는 것이 돌아오는 곳이다. 喩人身有汙賤之實, 亦惡名之所聚也. 사람 몸에 더럽고 천한 실체가 있..

19. 법을 집행하는 사람이 되새겨야 할 말 孟氏使陽膚爲士師, 問於曾子. 陽膚, 曾子弟子. 曾子曰: “上失其道, 民散久矣. 如得其情, 則哀矜而勿喜.” 民散, 謂情義乖離, 不相維繫. 謝氏曰: “民之散也, 以使之無道, 敎之無素. 故其犯法也, 非迫於不得已, 則陷於不知也. 故得其情, 則哀矜而勿喜.” 해석 孟氏使陽膚爲士師, 問於曾子. 맹씨가 증자 제자인 양호에게 사사가 되게 했으니, 양호가 증자에게 형법에 대해 물었다. 陽膚, 曾子弟子. 양부는 증자 제자다. 曾子曰: “上失其道, 民散久矣. 如得其情, 則哀矜而勿喜.” 증자가 “윗사람이 도를 잃어버려 백성들이 뿔뿔이 흩어진 지 오래다. 만약 실제의 정을 터득했다면 긍휼히 여겨야지 기뻐하진 말아야 한다.”라고 말했다. 民散, 謂情義乖離, 민산(民散)은 정의가 어그러지..

18. 맹장자를 칭찬한 공자 曾子曰: “吾聞諸夫子: 孟莊子之孝也, 其他可能也; 其不改父之臣, 與父之政, 是難能也.” 孟莊子, 魯大夫, 名速. 其父獻子, 名蔑. 獻子有賢德, 而莊子能用其臣, 守其政. 故其他孝行雖有可稱, 而皆不若此事之爲難. 해석 曾子曰: “吾聞諸夫子: 孟莊子之孝也, 其他可能也; 其不改父之臣, 與父之政, 是難能也.” 증자가 “내가 부자께 들었다. ‘맹장자의 효도에서 다른 것은 할 수 있지만 아버지의 신하와 아버지의 정치를 바꾸지 않은 것, 이것이 하기 어려운 것이다.’”라고 말했다. 孟莊子, 魯大夫, 名速. 맹장자는 노나라 대부로 이름은 속이고 其父獻子, 名蔑. 아버지는 맹헌자로 이름은 멸(蔑)이다. 獻子有賢德, 맹헌자는 어진 덕이 있었으니, 而莊子能用其臣, 守其政. 맹장자가 신하를 등용했고 ..

17. 어버이 상례엔 누구나 정성을 다한다 曾子曰: “吾聞諸夫子: ‘人未有自致者也, 必也親喪乎!’” 致, 盡其極也. 蓋人之眞情所不能自已者. ○ 尹氏曰: “親喪固所自盡也, 於此不用其誠, 惡乎用其誠.” 해석 曾子曰: “吾聞諸夫子: ‘人未有自致者也, 必也親喪乎!’” 증가가 “내가 부자께 들어보니, ‘사람이 스스로 정성을 지극히 하진 않으나, 반드시 어버이 초상에서만큼은 정성을 지극히 한다’고 하였네.”라고 말씀하셨다. 致, 盡其極也. 치(致)는 지극함을 다하는 것이다. 蓋人之眞情所不能自已者. 대저 사람의 진정이 스스로 그만둘 수 없는 것이다. ○ 尹氏曰: “親喪固所自盡也, 윤순(尹淳)이 말했다. “어버이의 초상은 원래 스스로 최선을 다해야 하는 것이니, 於此不用其誠, 惡乎用其誠.” 여기에 성실함을 쓰지 않는다..

16. 자장을 폄하한 증자 曾子曰: “堂堂乎張也, 難與並爲仁矣.” 堂堂, 容貌之盛. 言其務外自高, 不可輔而爲仁, 亦不能有以輔人之仁也. ○ 范氏曰: “子張外有餘而內不足, 故門人皆不與其爲仁. 子曰: ‘剛, 毅, 木, 訥近仁.’ 寧外不足而內有餘, 庶可以爲仁矣.” 해석 曾子曰: “堂堂乎張也, 難與並爲仁矣.” 증자가 “당당하구나! 자장이여. 그렇지만 함께 인을 실천하기는 어렵다.”라고 말했다. 堂堂, 容貌之盛. 당당(堂堂)은 용모의 성대함이다. 言其務外自高, 不可輔而爲仁, 외면에 힘쓰고 스스로 높여 보필하여 인을 행할 수 없으니, 亦不能有以輔人之仁也. 또한 남의 인을 보필할 수 없음을 말한 것이다. ○ 范氏曰: “子張外有餘而內不足, 범조우(范祖禹)가 말했다. “자장은 외면은 남음이 있지만 내면은 부족하기 때문에 ..

15. 자장을 폄하한 자유 子游曰: “吾友張也, 爲難能也. 然而未仁.” 子張行過高, 而少誠實惻怛之意. 해석 子游曰: “吾友張也, 爲難能也. 然而未仁.” 자유가 “나의 벗 자장은 어려운 일을 잘 한다. 그러나 인하지는 않다.”라고 말했다. 子張行過高, 자장은 지나치게 고원한 것을 행하여 而少誠實惻怛之意. 성실하고 간곡한 뜻은 적다. ○ ‘논어’ ‘자장(子張)’의 제15장은 자유(子游)가 동료 자장(子張)을 논평한 말을 실었다. 자장은 행동이 높았지만 성실성이 부족했던 듯하다. 그렇기에 자유는 그를 두고 남이 하기 어려운 일은 잘하지만 인(仁)하지는 못하다고 평가한 것이다. 오우장야(吾友張也)의 야(也)는 어떤 화제를 거론할 때 사용하는 조사로 ‘∼로 말하면’이다. 위난능야(爲難能也)에 대해 조선시대 교정청..

14. 초상은 슬픔이 지극한 데서 그쳐야 한다 子游曰: “喪致乎哀而止.” 致極其哀, 不尙文飾也. 楊氏曰: “‘喪, 與其易也寧戚’, 不若禮不足而哀有餘之意.” 愚按: “而止”二字, 亦微有過於高遠而簡略細微之弊. 學者詳之. 해석 子游曰: “喪致乎哀而止.” 자유가 “초상에선 슬픔이 지극한 데에서 그쳐야 한다.”라고 말했다. 致極其哀, 不尙文飾也. 슬픔이 극진하고 문식함을 숭상하지 않는다. 楊氏曰: “‘喪, 與其易也寧戚’, 양시(楊時)가 말했다. “상(喪)은 형식적 절차를 추구하기보다 차라리 슬퍼해야 하니, 不若禮不足而哀有餘之意.” 예는 부족하지만 슬픔이 남음이 있는 것만 못하다는 뜻이다.” 愚按: “而止”二字, 내가 생각하기로 ‘이지(而止)’ 두 글자는 亦微有過於高遠而簡略細微之弊. 또한 은미하게 고원한 데서 지나..

13. 벼슬하다 여유로워지면 배워라 子夏曰: “仕而優則學, 學而優則仕.” 優, 有餘力也. 仕與學理同而事異, 故當其事者, 必先有以盡其事, 而後可及其餘. 然仕而學, 則所以資其仕者益深; 學而仕, 則所以驗其學者益廣. 해석 子夏曰: “仕而優則學, 學而優則仕.” 자하가 “벼슬하면서 남은 힘이 있거든 배우고 배워 남은 힘이 있거든 벼슬하라.”고 말했다. 優, 有餘力也. 우(優)는 남은 힘이 있는 것이다. 仕與學理同而事異, 벼슬하는 것과 배우는 것은 이치는 같으나 일은 다르다. 故當其事者, 그렇기 때문에 그 일을 당한 사람은 必先有以盡其事, 而後可及其餘. 반드시 먼저 그 일을 다한 후에 그 나머지를 미칠 수가 있다. 然仕而學, 則所以資其仕者益深; 그러나 벼슬하면서 배우면 그 벼슬에 도움을 주는 것이 더욱 깊고, 學而仕..

12. 작은 일에서부터 시작하여 고원한 경지에까지 이른다 子游曰: “子夏之門人小子, 當洒掃, 應對, 進退, 則可矣. 抑末也, 本之則無. 如之何?” 洒, 色賣反. 掃, 素報反. ○ 子游譏子夏弟子, 於威儀容節之間則可矣. 然此「小學」之末耳, 推其本, 如「大學」正心誠意之事, 則無有. 子夏聞之曰: “噫! 言游過矣! 君子之道, 孰先傳焉? 孰後倦焉? 譬諸草木, 區以別矣. 君子之道, 焉可誣也? 有始有卒者, 其惟聖人乎!” 別, 必列反. 焉, 於虔反. ○ 倦, 如‘誨人不倦’之倦. 區, 猶類也. 言君子之道, 非以其末爲先而傳之, 非以其本爲後而倦敎. 但學者所至, 自有淺深, 如草木之有大小, 其類固有別矣. 若不量其淺深, 不問其生熟, 而槪以高且遠者强而語之, 則是誣之而已. 君子之道, 豈可如此? 若夫始終本末一以貫之, 則惟聖人爲然, 豈可..
11. 자잘한 것에 얽매지 말라 子夏曰: “大德不踰閑, 小德出入可也.” 大德ㆍ小德, 猶言大節ㆍ小節. 閑, 闌也, 所以止物之出入. 言人能先立乎其大者, 則小節雖或未盡合理, 亦無害也. ○ 吳氏曰: “此章之言, 不能無弊. 學者詳之.” ○ 邢昺, 『論語註疏』曰: “此章論人之德有小大, 而行亦不同也. 閑猶法也. 大德之人謂上賢也, 所行皆不越法則也. 小有德者謂次賢之人, 不能不踰法, 有時踰法而出. 旋能入守其法, 不責其備, 故曰可也.” ○ 丁若鏞, 『論語古今注』曰: “大德ㆍ小德之謂大節ㆍ小節, 古無可據. 『孟子』曰: ‘大德役小德,’ 『中庸』曰: ‘大德敦化, 小德川流,’ 皆以德之大小, 分爲等級, 豈大節ㆍ小節之謂乎? 君子之積累工夫, 全在小節, 一視一聽, 一言一動, 皆有禮防. 苟以大體無惡, 許其惟意出入, 則豈有成德之日乎? 曲禮三千..

10. 군자가 백성을 부리고 임금께 간쟁할 수 있으려면 子夏曰: “君子信而後勞其民, 未信則以爲厲己也; 信而後諫, 未信則以爲謗己也.” 信, 謂誠意惻怛而人信之也. 厲, 猶病也. 事上使下, 皆必誠意交孚, 而後可以有爲. 해석 子夏曰: “君子信而後勞其民, 未信則以爲厲己也; 자하가 말했다. “군자는 백성들에게 신임을 받은 후에 백성을 부리니 신임을 얻지 못하면 자기를 괴롭힌다고 여긴다. ○ ‘논어’ ‘자장(子張)’의 제10장에서 자하(子夏)는 위정자들이 주의할 점을 지적했는데 무엇보다도 백성의 신임을 얻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자에 따르면 신(信)이란 성의(誠意)가 간곡(懇曲)하여 남들이 믿어줌이다. 최근 신조어인 진정성(眞情性)이 이에 해당한다. 진정성(眞情性)이란 말은 일본어 진정성(眞正性)이란 말의 짜임에서 ..

9. 군자의 모습 子夏曰: “君子有三變: 望之儼然, 卽之也溫, 聽其言也厲.” 儼然者, 貌之莊. 溫者, 色之和. 厲者, 辭之確. ○ 程子曰: “他人儼然則不溫, 溫則不厲, 惟孔子全之.” 謝氏曰: “此非有意於變, 蓋並行而不相悖也, 如良玉溫潤而栗然.” 해석 子夏曰: “君子有三變: 望之儼然, 卽之也溫, 聽其言也厲.” 자하가 “군자는 세 가지 변함이 있다. 바라보면 위엄이 있고 다가가면 온화하며 그 말을 들어보면 냉철하다.”라고 말했다. 儼然者, 貌之莊. 엄연(儼然)은 모습이 장중한 것이다. 溫者, 色之和. 온(溫)은 안색이 온화한 것이다. 厲者, 辭之確. 려(厲)는 말이 확고한 것이다. ○ 程子曰: “他人儼然則不溫, 정이천(程伊川)이 말했다. “다른 사람은 위엄 있으면 온화하지 못하고 溫則不厲, 온화하면 냉철하지..

8. 소인은 허물에 반드시 문식한다 子夏曰: “小人之過也必文.” 文, 去聲. ○ 文, 飾之也. 小人憚於改過, 而不憚於自欺. 故必文以重其過. 해석 子夏曰: “小人之過也必文.” 자하가 “소인은 잘못을 지으면 반드시 아닌 척 꾸며댄다.”고 말했다. 文, 去聲. ○ 文, 飾之也. 문(文)은 그것을 꾸미는 것이다. 小人憚於改過, 而不憚於自欺. 소인은 허물 고치기를 꺼려하고 스스로 속이기엔 꺼리지 않는다. 故必文以重其過.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문식함으로 그 허물에 보탠다. ○ 잘못이 있는 줄 알면서도 인정하지 않고 잘못이 없다고 자기 자신을 속여서 겉으로 은폐하고 말재주로 번지르르 꾸미는 것을 문과(文過) 혹은 문과식비(文過飾非)라고 한다. ‘논어’ ‘자장(子張)’의 제8장에서 자하가 한 말에서 나왔다. 소인지과야..

7. 명장(名匠)과 군자의 공통점 子夏曰: “百工居肆以成其事, 君子學以致其道.” 肆, 謂官府造作之處. 致, 極也. 工不居肆, 則遷於異物而業不精. 君子不學, 則奪於外誘而志不篤. 尹氏曰: “學所以致其道也. 百工居肆, 必務成其事. 君子之於學, 可不知所務哉?” 愚按: 二說相須, 其義始備. 해석 子夏曰: “百工居肆以成其事, 君子學以致其道.” 자하가 “장인은 작업장에서 있으면서 그 일을 성취하고 군자는 배움의 장에서 그 도를 완성한다.”라고 말했다. 肆, 謂官府造作之處. 사(肆)는 관청의 물건을 만드는 곳이다. 致, 極也. 치(致)는 지극함이다. 工不居肆, 則遷於異物而業不精. 장인이 작업장에 있지 않으면 다른 물건에 맘이 옮겨가 업이 정밀하지 못하다. 君子不學, 則奪於外誘而志不篤. 군자가 배우지 않으면 외적인 유혹..

6. 절실히 묻고 가까이 생각하라 子夏曰: “博學而篤志, 切問而近思, 仁在其中矣.” 四者皆學問思辨之事耳, 未及乎力行而爲仁也. 然從事於此, 則心不外馳, 而所存自熟, 故曰仁在其中矣. ○ 程子曰: “博學而篤志, 切問而近思, 何以言仁在其中矣? 學者要思得之. 了此, 便是徹上徹下之道.” 又曰: “學不博則不能守約, 志不篤則不能力行. 切問近思在己者, 則仁在其中矣.” 又曰: “近思者以類而推.” 蘇氏曰: “博學而志不篤, 則大而無成; 泛問遠思, 則勞而無功.” 해석 子夏曰: “博學而篤志, 切問而近思, 仁在其中矣.” 자하가 “널리 배우고 뜻을 독실히 하며 절실히 묻고 가까이 생각하면 인이 그 가운데에 있다.”라고 말했다. 四者皆學問思辨之事耳, 네 가지는 모두 학문과 사변의 일일 뿐이니, 未及乎力行而爲仁也. 힘써 행해서 인을 하..

5. 자하가 생각하는 호학 子夏曰: “日知其所亡, 月無忘其所能, 可謂好學也已矣.” 亡, 讀作無. 好, 去聲. ○ 亡, 無也. 謂己之所未有. ○ 尹氏曰: “好學者日新而不失.” 해석 子夏曰: “日知其所亡, 月無忘其所能, 可謂好學也已矣.” 자하가 “날마다 모르는 것을 알고, 달마다 할 수 있는 것을 잊지 않으면 ‘배우길 좋아한다’라고 할 만하다.”라고 말했다. 亡, 讀作無. 好, 去聲. ○ 亡, 無也. 謂己之所未有. 망(亡)은 없는 것이니, 자기의 소유가 아님을 아는 것을 말한다. ○ 尹氏曰: “好學者日新而不失.” 윤순(尹淳)이 말했다. “호학하는 사람은 날마다 새로워 잃지 않는다.” ○ ‘논어’ ‘자장(子張)’의 제5장이다. 자하(子夏)는 공문사과(孔門四科) 가운데 문학(文學)의 범주에서 뛰어난 제자였다. ..

4. 작은 기술에 함몰되지 마라 子夏曰: “雖小道, 必有可觀者焉; 致遠恐泥, 是以君子不爲也.” 泥, 去聲. ○ 小道, 如農圃醫卜之屬. 泥, 不通也. ○ 楊氏曰: “百家衆技, 猶耳目鼻口, 皆有所明而不能相通. 非無可觀也, 致遠則泥矣, 故君子不爲也.” 해석 子夏曰: “雖小道, 必有可觀者焉; 致遠恐泥, 是以君子不爲也.” 자하가 “비록 작은 기술이라도 반드시 볼만한 게 있지만 심원한 경지에 이르는 데엔 방해가 될까 걱정된다. 그래서 군자는 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泥, 去聲. ○ 小道, 如農圃醫卜之屬. 소도(小道)는 농사, 원예, 의술, 점복의 종류와 같다. 泥, 不通也. 니(泥)는 통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 楊氏曰: “百家衆技, 猶耳目鼻口, 양시(楊時)가 말했다. “백가의 여러 기술은 이목구비가 皆有所明而..

3. 벗의 사귐에 대해 자장이 자하를 비판하다 子夏之門人問交於子張. 子張曰: “子夏云何?” 對曰: “子夏曰: 可者與之, 其不可者拒之.” 子張曰: “異乎吾所聞: 君子尊賢而容衆, 嘉善而矜不能. 我之大賢與, 於人何所不容? 我之不賢與, 人將拒我, 如之何其拒人也?” 賢與之與, 平聲. ○ 子夏之言迫狹, 子張譏之是也. 但其所言亦有過高之病. 蓋大賢雖無所不容, 然大故亦所當絶; 不賢固不可以拒人, 然損友亦所當遠. 學者不可不察. 해석 子夏之門人問交於子張. 子張曰: “子夏云何?” 對曰: “子夏曰: 可者與之, 其不可者拒之.” 자하의 문인이 사귐에 대해 자장에게 여쭈니, 자장이 “자하는 무어라 말하던가?”라고 말씀하시니, “자하께서는 괜찮은 사람을 함께하고 괜찮지 않은 사람을 거절하라고 하셨습니다.”라고 대답했다. ○ 인간의 삶은..

2. 존재하지 않아도 되는 사람 子張曰: “執德不弘, 信道不篤, 焉能爲有? 焉能爲亡?” 焉, 於虔反. 亡, 讀作無, 下同. ○ 有所得而守之太狹, 則德孤; 有所聞而信之不篤, 則道廢. 焉能爲有無, 猶言不足爲輕重. 해석 子張曰: “執德不弘, 信道不篤, 焉能爲有? 焉能爲亡?” 자장이 “덕을 집행함이 넓지 못하고 도를 신뢰함이 독실하지 못하면 어찌 있다고 하며, 어찌 없다고 하겠는가?”라고 말했다. 焉, 於虔反. 亡, 讀作無, 下同. ○ 有所得而守之太狹, 則德孤; 얻은 게 있지만 그걸 지킴이 크게 협소하면 덕이 외로워지고 有所聞而信之不篤, 則道廢. 들은 게 있지만 그것을 믿음이 독실하지 못하면 도가 없어진다. 焉能爲有無, 猶言不足爲輕重. ‘어찌 있다고 없다고 하겠는가?’라는 것은 경중을 삼을 수가 없다. ○ ‘논..

1. 자장이 생각하는 선비란? 此篇皆記弟子之言, 而子夏爲多, 子貢次之. 蓋孔門自顔子以下, 穎悟莫若子貢; 自曾子以下, 篤實無若子夏. 故特記之詳焉. 凡二十五章. 子張曰: “士見危致命, 見得思義, 祭思敬, 喪思哀, 其可已矣.” 致命, 謂委致其命, 猶言授命也. 四者立身之大節, 一有不至, 則餘無足觀. 故言士能如此, 則庶乎其可矣. 해석 此篇皆記弟子之言, 而子夏爲多, 이편은 모두 제자의 말을 기록한 것으로 자하가 가장 많고, 子貢次之. 자공이 그 다음이다. 蓋孔門自顔子以下, 穎悟莫若子貢; 대체로 공자의 문하에 안연 이하로부터는 영특하고 심오한 것이 자공만 못하다. 自曾子以下, 篤實無若子夏. 증자로부터 이하는 독실함이 자하만 못하다. 故特記之詳焉. 凡二十五章. 그러므로 특별히 기록한 것이 자세하다. 모두 25장이다. ..
미자(微子) 제십팔(第十八) 此篇多記聖賢之出處, 凡十一章. 1. 은나라 세 명의 인자(仁者) 微子去之, 箕子爲之奴, 比干諫而死. 微ㆍ箕, 二國名. 子, 爵也. 微子, 紂庶兄. 箕子ㆍ比干, 紂諸父. 微子見紂無道, 去之以存宗祀. 箕子ㆍ比干皆諫, 紂殺比干, 囚箕子以爲奴, 箕子因佯狂而受辱. 孔子曰: “殷有三仁焉.” 三人之行不同, 而同出於至誠惻怛之意, 故不咈乎愛之理, 而有以全其心之德也. 楊氏曰: “此三人者, 各得其本心, 故同謂之仁.” ⇒해석보기 2. 유하혜, 세 번 사사가 되었다가 세 번 쫓겨나다 柳下惠爲士師, 三黜. 三, 去聲. ○ 士師, 獄官. 黜, 退也. 柳下惠三黜不去, 而其辭氣雍容如此, 可謂和矣. 人曰: “子未可以去乎?” 曰: “直道而事人, 焉往而不三黜? 枉道而事人, 何必去父母之邦.” 焉, 於虔反..

11. 주나라의 8명의 선비 周有八士: 伯達ㆍ伯适ㆍ仲突ㆍ仲忽ㆍ叔夜ㆍ叔夏ㆍ季隨ㆍ季騧. 騧, 烏瓜反. ○或曰“成王時人”, 或曰“宣王時人”. 蓋一母四乳而生八子也, 然不可考矣. ○ 張子曰: “記善人之多也.” ○ 愚按: 此篇孔子於三仁, 逸民, 師摯, 八士, 旣皆稱贊而品列之; 於接輿, 沮ㆍ溺, 丈人, 又每有惓惓接引之意. 皆衰世之志也, 其所感者深矣. 在陳之歎, 蓋亦如此. 三仁則無間然矣, 其餘數君子者, 亦皆一世之高士. 若使得聞聖人之道, 以裁其所過而勉其所不及, 則其所立, 豈止於此而已哉? 해석 周有八士: 伯達ㆍ伯适ㆍ仲突ㆍ仲忽ㆍ叔夜ㆍ叔夏ㆍ季隨ㆍ季騧. 주나라에 여덟 선비가 있으니, 백달ㆍ백괄ㆍ중돌ㆍ중홀ㆍ숙야ㆍ숙하ㆍ계수ㆍ계와다. 騧, 烏瓜反. ○或曰“成王時人”, 或曰“宣王時人”. 혹자는 “성왕 때 사람이다.”고 하고 혹자는 “..

9. 음악 명인들이 노나라를 떠났다 大師摯適齊, 大, 音泰. ○ 大師, 魯樂官之長. 摯, 其名也. 亞飯干適楚, 三飯繚適蔡, 四飯缺適秦. 飯, 扶晩反. 繚, 音了. ○ 亞飯以下, 以樂侑食之官. 干ㆍ繚ㆍ缺, 皆名也. 鼓方叔入於河, 鼓, 擊鼓者. 方叔, 名. 河, 河內. 播鼗武入於漢, 鼗, 徒刀反. ○ 播, 搖也. 鼗, 小鼓. 兩旁有耳, 持其柄而搖之, 則旁耳還自擊. 武, 名也. 漢, 漢中. 少師陽ㆍ擊磬襄入於海. 少, 去聲. ○ 少師, 樂官之佐. 陽ㆍ襄, 二人名. 襄卽孔子所從學琴者. 海, 海島也. ○ 此記賢人之隱遯以附前章, 然未必夫子之言也. 末章放此. 張子曰: “周衰樂廢, 夫子自衛反魯, 一嘗治之. 其後伶人賤工識樂之正. 及魯益衰, 三桓僭妄, 自大師以下, 皆知散之四方, 逾河蹈海以去亂. 聖人俄頃之助, 功化如此. 如有..

8. 공자의 은둔했던 현자들에 대한 평가 逸民: 伯夷ㆍ叔齊ㆍ虞仲ㆍ夷逸ㆍ朱張ㆍ柳下惠ㆍ少連. 少, 去聲, 下同. ○ 逸, 遺逸. 民者, 無位之稱. 虞仲, 卽仲雍, 與大伯同竄荊蠻者. 夷逸ㆍ朱張, 不見經傳. 少連, 東夷人. 子曰: “不降其志, 不辱其身, 伯夷ㆍ叔齊與!” 與, 平聲. 謂: “柳下惠ㆍ少連, 降志辱身矣. 言中倫, 行中慮, 其斯而已矣.” 中, 去聲, 下同. ○ 柳下惠事見上. 倫, 義理之次第也. 慮, 思慮也. 中慮, 言有意義合人心. 少連事不可考. 然記稱其“善居喪, 三日不怠, 三月不解. 朞悲哀, 三年憂” 則行之中慮, 亦可見矣. 謂: “虞仲ㆍ夷逸, 隱居放言. 身中淸, 廢中權. 仲雍居吳, 斷髮文身, 裸以爲飾. 隱居獨善, 合乎道之淸. 放言自廢, 合乎道之權. 我則異於是, 無可無不可.” 孟子曰: “孔子可以仕則仕, ..
7. 자로가 장인(丈人)의 집에서 하루 밤 묵다 子路從而後, 遇丈人, 以杖荷蓧. 蓧, 徒弔反. ○ 丈人, 亦隱者. 蓧, 竹器 子路問曰: “子見夫子乎?” 丈人曰: “四體不勤, 五穀不分. 孰爲夫子?” 植其杖而芸. 植, 音値. ○ 分, 辨也. 五穀不分, 猶言不辨菽麥爾, 責其不事農業而從師遠遊也. 植, 立之也. 芸, 去草也. 子路拱而立. 知其隱者, 敬之也. 止子路宿, 殺雞爲黍而食之, 見其二子焉. 食, 音嗣. 見, 賢遍反. 明日, 子路行以告. 子曰: “隱者也.” 使子路反見之. 至則行矣. 孔子使子路反見之, 蓋欲告之以君臣之義. 而丈人意子路必將復來, 故先去之以滅其跡, 亦接輿之意也. 子路曰: “不仕無義. 長幼之節, 不可廢也; 君臣之義, 如之何其廢之? 欲潔其身, 而亂大倫. 君子之仕也, 行其義也. 道之不行, 已知之矣.” 長,..

5. 초나라 미치광이 접여가 노래하며 공자의 수레를 지나다 楚狂接輿歌而過孔子曰: “鳳兮! 鳳兮! 何德之衰? 往者不可諫, 來者猶可追. 已而, 已而! 今之從政者殆而!” 接輿, 楚人, 佯狂辟世. 夫子時將適楚, 故接輿歌而過其車前也. 鳳有道則見, 無道則隱, 接輿以比孔子, 而譏其不能隱爲德衰也. 來者可追, 言及今尙可隱去. 已, 止也. 而, 語助辭. 殆, 危也. 接輿蓋知尊孔子而趨不同者也. 孔子下, 欲與之言. 趨而辟之, 不得與之言. 辟, 去聲. ○ 孔子下車, 蓋欲告之以出處之意. 接輿自以爲是, 故不欲聞而避之也. 해석 楚狂接輿歌而過孔子曰: “鳳兮! 鳳兮! 何德之衰? 往者不可諫, 來者猶可追. 已而, 已而! 今之從政者殆而!” 초나라 광인인 접여가 노래하며 공자의 수레 앞을 지날 적에 “봉황새여! 봉황새여! 어찌 덕이 쇠하였는가..
4. 계환자가 여악(女樂)에 빠져들다 齊人歸女樂, 季桓子受之. 三日不朝, 孔子行. 歸, 如字, 或作饋. 朝, 音潮. ○ 季桓子, 魯大夫, 名斯. 按『史記』,“定公十四年, 孔子爲魯司寇, 攝行相事. 齊人懼, 餽女樂以沮之”. 尹氏曰: “受女樂而怠於政事如此, 其簡賢棄禮, 不足與有爲可知矣. 夫子所以行也, 所謂見幾而作, 不俟終日者與?” ○ 范氏曰: “此篇記仁賢之出處, 而折中以聖人之行, 所以明中庸之道也.” 해석 齊人歸女樂, 季桓子受之. 三日不朝, 孔子行. 제나라 사람이 미녀들과 악사들을 보내니 계환자가 그걸 받고서 3일 동안 조회하지 않아 공자께서 떠나셨다. 歸, 如字, 或作饋. 朝, 音潮. ○ 季桓子, 魯大夫, 名斯. 계환자는 노나라 대부로 이름은 사다. 按『史記』,“定公十四年, 『사기』를 살펴보면 ”정공 14년에..

3. 계씨와 맹씨의 중간 정도로는 공자를 대우하겠다 齊景公待孔子, 曰: “若季氏則吾不能, 以季ㆍ孟之閒待之.” 魯三卿, 季氏最貴, 孟氏爲下卿. 曰: “吾老矣, 不能用也.” 孔子行. 孔子去之, 事見「世家」. 然此言必非面語孔子, 蓋自以告其臣, 而孔子聞之爾. ○ 程子曰: “季氏强臣, 君待之之禮極隆, 然非所以待孔子也. 以季ㆍ孟之閒待之, 則禮亦至矣. 然復曰 ‘吾老矣不能用也’, 故孔子去之. 蓋不繫待之輕重, 特以不用而去爾.” 해석 齊景公待孔子, 曰: “若季氏則吾不能, 以季ㆍ孟之閒待之.” 제경공이 공자를 대접하며 “계씨와 같은 정도로는 못한다 해도. 계씨와 맹씨의 중간 정도로는 대우하겠다.”라고 말했다. 魯三卿, 季氏最貴, 노나라의 삼경 중에 계씨가 가장 높은 벼슬이었고, 孟氏爲下卿. 맹씨가 하경이었다. 曰: “吾老矣,..
2. 유하혜, 세 번 사사가 되었다가 세 번 쫓겨나다 柳下惠爲士師, 三黜. 三, 去聲. ○ 士師, 獄官. 黜, 退也. 柳下惠三黜不去, 而其辭氣雍容如此, 可謂和矣. 人曰: “子未可以去乎?” 曰: “直道而事人, 焉往而不三黜? 枉道而事人, 何必去父母之邦.” 焉, 於虔反. ○ 然其不能枉道之意, 則有確乎其不可拔者. 是則所謂必以其道, 而不自失焉者也. ○ 胡氏曰: “此必有孔子斷之之言而亡之矣.” 해석 柳下惠爲士師, 三黜. 유하혜는 사사가 되었다가 세 번 쫓겨났다. 三, 去聲. ○ 士師, 獄官. 黜, 退也. 사사(士師)은 옥을 담당하는 관리다. 출(黜)은 쫓겨난 것이다. 柳下惠三黜不去, 유하혜는 세 번 쫓겨났지만 떠나지 않았으니, 而其辭氣雍容如此, 可謂和矣. 그 말의 기운이 온화하고 용납함이 이와 같았기에 ‘성의 화함에..

1. 은나라 세 명의 인자(仁者) 此篇多記聖賢之出處, 凡十一章. 微子去之, 箕子爲之奴, 比干諫而死. 微ㆍ箕, 二國名. 子, 爵也. 微子, 紂庶兄. 箕子ㆍ比干, 紂諸父. 微子見紂無道, 去之以存宗祀. 箕子ㆍ比干皆諫, 紂殺比干, 囚箕子以爲奴, 箕子因佯狂而受辱. 孔子曰: “殷有三仁焉.” 三人之行不同, 而同出於至誠惻怛之意, 故不咈乎愛之理, 而有以全其心之德也. 楊氏曰: “此三人者, 各得其本心, 故同謂之仁.” 해석 此篇多記聖賢之出處, 이 편에선 성인과 현인의 출처를 많이 기록했으니, 凡十一章. 모두 11장이다. 微子去之, 箕子爲之奴, 比干諫而死. 미자는 떠났고, 기자는 노예가 되었으며, 비간은 간하다가 죽었다. 微ㆍ箕, 二國名. 子, 爵也. 미와 기는 두 나라의 이름이다. 자(子)는 벼슬의 이름이다. 微子, 紂庶兄...
양화(陽貨) 제십칠(第十七) 凡二十六章. 1. 양화를 피하려다가 길에서 딱 마주친 공자 陽貨欲見孔子, 孔子不見, 歸孔子豚. 孔子時其亡也, 而往拜之, 遇諸塗. 歸, 如字, 一作饋. ○ 陽貨, 季氏家臣, 名虎. 嘗囚季桓子而專國政. 欲令孔子來見己, 而孔子不往. 貨以禮, 大夫有賜於士, 不得受於其家, 則往拜其門. 故瞰孔子之亡而歸之豚, 欲令孔子來拜而見之也. 謂孔子曰: “來! 予與爾言.” 曰: “懷其寶而迷其邦, 可謂仁乎?” 曰: “不可.”懷寶迷邦, 謂懷藏道德, 不救國之迷亂. “好從事而亟失時, 可謂知乎?” 曰: “不可.”好, 亟, 知, 並去聲. ○ 亟, 數也. 失時, 謂不及事幾之會. “日月逝矣, 歲不我與.” 孔子曰: “諾. 吾將仕矣.” 將者, 且然而未必之辭. 貨語皆譏孔子而諷使速仕. 孔子固未嘗如此, 而亦非不欲仕..

26. 마흔 살이면 성취해야 할 것 子曰: “年四十而見惡焉, 其終也已.” 惡, 去聲. ○ 四十, 成德之時. 見惡於人, 則止於此而已, 勉人及時遷善改過也. 蘇氏曰: “此亦有爲而言, 不知其爲誰也.” 해석 子曰: “年四十而見惡焉, 其終也已.” 공자께서 “나이 40살에 미움 받는다면 끝장인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惡, 去聲. ○ 四十, 成德之時. 사십(四十)은 덕을 이룬 때다. 見惡於人, 則止於此而已, 사람에게 미움을 받으면 여기서 그칠 뿐이다. 勉人及時遷善改過也. 사람이 제때에 이르러 개과천선하도록 권면한 것이다. 蘇氏曰: “此亦有爲而言, 소식이 말했다. “이것은 또한 이유가 있어 말한 것인데 不知其爲誰也.” 누구에게 한 것인지는 모른다.” ○ ‘논어’에서 가장 무서운 구절이다. 마흔이면 덕을 이루어야 할 ..

25. 사람 관계의 어려움 子曰: “唯女子與小人爲難養也, 近之則不孫, 遠之則怨.” 近, 孫, 遠, 並去聲. ○ 此小人, 亦謂僕隷下人也. 君子之於臣妾, 莊以涖之, 慈以畜之, 則無二者之患矣. 해석 子曰: “唯女子與小人爲難養也, 近之則不孫, 遠之則怨.” 공자께서 “오직 여자와 소인은 기르기가 어려우니, 가까이 하면 공손하지 않고, 멀리하면 원망한다.”라고 말씀하셨다. 近, 孫, 遠, 並去聲. ○ 此小人, 亦謂僕隷下人也. 여기서 소인(小人)이란 또한 노예와 하인을 말한다. 君子之於臣妾, 莊以涖之, 慈以畜之, 군자는 신하와 첩을 대함에 장엄함으로 대우하고 사랑으로 길러주면 則無二者之患矣. 가까이 할 때와 멀리할 때 드러나는 두 가지 근심이 없다. 인용목차 / 전문 / 편해 / 역주생애 / 공자 / 유랑도 / 제자들

24. 공자의 미워함과 자공의 미워함 子貢曰: “君子亦有惡乎?” 惡, 去聲, 下同. 惟惡者之惡如字. 子曰: “有惡: 惡稱人之惡者, 惡居下流而訕上者, 惡勇而無禮者, 惡果敢而窒者.” 訕, 所諫反. ○ 訕, 謗毁也. 窒, 不通也. 稱人惡, 則無仁厚之意. 下訕上, 則無忠敬之心. 勇無禮, 則爲亂. 果而窒, 則妄作. 故夫子惡之. 曰: “賜也亦有惡乎?”“惡徼以爲知者, 惡不孫以爲勇者, 惡訐以爲直者.” 徼, 古堯反. 知, 孫, 並去聲. 訐, 居謁反. ○ 惡徼以下, 子貢之言也. 徼, 伺察也. 訐, 謂攻發人之陰私. ○ 楊氏曰: “仁者無不愛, 則君子疑若無惡矣. 子貢之有是心也, 故問焉以質其是非.” 侯氏曰: “聖賢之所惡如此, 所謂唯仁者能惡人也.” 해석 子貢曰: “君子亦有惡乎?” 자공이 “군자는 또한 미워함이 있습니까?”라고 여쭈..

23. 젊은 자로가 공자에게 물은 것 子路曰: “君子尙勇乎?” 尙, 上之也. 子曰: “君子義以爲上. 君子有勇而無義爲亂, 小人有勇而無義爲盜.” 君子爲亂, 小人爲盜, 皆以位而言者也. 尹氏曰: “義以爲尙, 則其勇也大矣. 子路好勇, 故夫子以此救其失也.” 胡氏曰: “疑此子路初見孔子時問答也.” 해석 子路曰: “君子尙勇乎?” 자로가 “군자는 용맹을 숭상합니까?”라고 여쭈었다. 尙, 上之也. 상(尙)은 숭상하는 것이다. 子曰: “君子義以爲上. 君子有勇而無義爲亂, 小人有勇而無義爲盜.” 공자께서 “군자는 의(義)를 으뜸으로 삼는다. 군자가 용맹하기만 하고 의(義)가 없으면 난을 일으키고, 소인이 용맹하기만 하고 의(義)가 없으면 도둑이 된다.”라고 말씀하셨다. 君子爲亂, 小人爲盜, 皆以位而言者也. 군자는 난을 일으키고 소..
22. 의미 있는 시간을 보내라 子曰: “飽食終日, 無所用心, 難矣哉! 不有博弈者乎, 爲之猶賢乎已.” 博, 局戱也. 弈, 圍棋也. 已, 止也. 李氏曰: “聖人非敎人博弈也, 所以甚言無所用心之不可爾.” 해석 子曰: “飽食終日, 無所用心, 難矣哉! 不有博弈者乎, 爲之猶賢乎已.” 공자께서 “배불리 먹고 하루를 마치는데 마음 쓸 곳이 없기가 어렵다. 장기나 바둑이 있지 않은가. 이것을 하는 것이 오히려 가만히 있는 것보다 낫다.”라고 말씀하셨다. 博, 局戱也. 弈, 圍棋也. 박(博)은 판에서 노는 것이다. 혁(弈)은 바둑알을 에워싸는 것이다. 已, 止也. 이(已)는 그치는 것이다. 李氏曰: “聖人非敎人博弈也, 이욱(李郁)이 말했다. “성인이 사람에게 장기와 바둑을 하라고 가르친 건 아니고 所以甚言無所用心之不可爾...
21. 3년상과 1년상 宰我問: “三年之喪, 期已久矣. 期, 音基, 下同. ○ 期, 周年也. 君子三年不爲禮, 禮必壞; 三年不爲樂, 樂必崩. 恐居喪不習而崩壞也. 舊穀旣沒, 新穀旣升, 鑽燧改火, 期可已矣.” 鑽, 祖官反. ○ 沒, 盡也. 升, 登也. 燧, 取火之木也. 改火, 春取楡柳之火, 夏取棗杏之火, 夏季取桑柘之火, 秋取柞楢之火, 冬取槐檀之火, 亦一年而周也. 已, 止也. 言期年則天運一周, 時物皆變, 喪至此可止也. 尹氏曰: “短喪之說, 下愚且恥言之. 宰我親學聖人之門, 而以是爲問者, 有所疑於心而不敢强焉爾.” 子曰: “食夫稻, 衣夫錦, 於女安乎?” 曰: “安.” 夫, 音扶, 下同. 衣, 去聲. 女, 音汝, 下同. ○ 禮. 父母之喪: 旣殯, 食粥, 麤衰. 旣葬, 疏食, 水飮, 受以成布. 期而小祥, 始食菜果, 練冠..

20. 아프다고 하면서 거문고를 타는 이유 孺悲欲見孔子, 孔子辭以疾. 孺悲, 魯人, 嘗學士喪禮於孔子. 當是時必有以得罪者. 故辭以疾, 而又使知其非疾, 以警敎之也. 將命者出戶, 取瑟而歌. 使之聞之. 程子曰: “此孟子所謂不屑之敎誨, 所以深敎之也.” 해석 孺悲欲見孔子, 孔子辭以疾. 유비가 공자를 뵙고자 하니, 공자께서 병을 핑계 삼으셨다. 孺悲, 魯人, 嘗學士喪禮於孔子. 유비는 노나라 사람으로 일찍이 공자에게 선비로서 초상 치르는 예법을 배웠다. 當是時必有以得罪者. 이때 당시에 반드시 어떤 일로 죄를 지었을 것이다. 故辭以疾, 그렇기 때문에 병을 핑계 삼았고, 而又使知其非疾, 以警敎之也. 또한 그로 하여금 아프지 않다는 것을 알게 하여 경계함으로 가르친 것이다. 將命者出戶, 取瑟而歌. 使之聞之. 장차 심부름꾼이..
19. 공자, 말하지 않겠다고 선언하다 子曰: “予欲無言.” 學者多以言語觀聖人, 而不察其天理流行之實, 有不待言而著者. 是以徒得其言, 而不得其所以言, 故夫子發此以警之. 子貢曰: “子如不言, 則小子何述焉?” 子貢正以言語觀聖人者, 故疑而問之. 子曰: “天何言哉? 四時行焉, 百物生焉, 天何言哉?” 四時行, 百物生, 莫非天理發見流行之實, 不待言而可見. 聖人一動一靜, 莫非妙道精義之發, 亦天而已, 豈待言而顯哉? 此亦開示子貢之切, 惜乎其終不喩也. ○ 程子曰: “孔子之道, 譬如日星之明, 猶患門人未能盡曉, 故曰 ‘予欲無言’. 若顔子則便黙識, 其他則未免疑問, 故曰 ‘小子何述’.” 又曰: “‘天何言哉, 四時行焉, 百物生焉’, 則可謂至明白矣.” 愚按: 此與前篇無隱之意相發, 學者詳之. 해석 子曰: “予欲無言.” 공자께서 “나는 ..

18. 자주색이 붉은색을 탈취함을 미워하다 子曰: “惡紫之奪朱也, 惡鄭聲之亂雅樂也, 惡利口之覆邦家者.” 惡, 去聲. 覆, 芳服反. ○ 朱, 正色. 紫, 閒色. 雅, 正也. 利口, 捷給. 覆, 傾敗也. ○ 范氏曰: “天下之理, 正而勝者常少, 不正而勝者常多, 聖人所以惡之也. 利口之人, 以是爲非, 以非爲是, 以賢爲不肖, 以不肖爲賢. 人君苟悅而信之, 則國家之覆也不難矣.” 해석 子曰: “惡紫之奪朱也, 惡鄭聲之亂雅樂也, 惡利口之覆邦家者.” 공자께서 “자주색이 붉은색을 탈취함을 미워하고, 정악이 아악을 어지럽힘을 미워하며, 말솜씨 좋음이 나라를 전복시킴을 미워한다.”라고 말씀하셨다. 惡, 去聲. 覆, 芳服反. ○ 朱, 正色. 紫, 閒色. 주(朱)는 바른색이다. 자(紫)는 사이에 있는 색이다. 雅, 正也. 利口, 捷給..
17. 교언영색(巧言令色)한 사람치고 인한 사람은 드물다 子曰: “巧言令色, 鮮矣仁.” 重出. 해석 子曰: “巧言令色, 鮮矣仁.” 공자께서 “말을 듣기 좋게 하고 얼굴색을 좋게 하는 사람치고 어진 이는 드물다.”라고 말씀하셨다. 重出. 「학이」3에서 나온 게 다시 나왔다. 인용목차 / 전문 / 편해 / 역주생애 / 공자 / 유랑도 / 제자들고사성어

16. 미친 사람과 긍지 있는 사람과 어리석은 사람 子曰: “古者民有三疾, 今也或是之亡也. 氣失其平則爲疾, 故氣稟之偏者亦謂之疾. 昔所謂疾, 今亦無之, 傷俗之益衰也. 古之狂也肆, 今之狂也蕩; 狂者, 志願太高. 肆, 謂不拘小節. 蕩則踰大閑矣. 古之矜也廉, 今之矜也忿戾; 矜者, 持守太嚴. 廉, 謂稜角陗厲. 忿戾則至於爭矣. 古之愚也直, 今之愚也詐而已矣.” 愚者, 暗昧不明. 直, 謂徑行自遂. 詐則挾私妄作矣. ○ 范氏曰: “末世滋僞. 豈惟賢者不如古哉? 民性之蔽, 亦與古人異矣.” 해석 子曰: “古者民有三疾, 今也或是之亡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옛날에 백성이 세 가지 병통이 있었는데 지금은 이것도 없구나. 氣失其平則爲疾, 기가 평온함을 잃으면 병통이 되기 때문에 故氣稟之偏者亦謂之疾. 기품이 치우친 사람을 또 병통이..

15. 비루한 인간들과는 같이 하지 않겠다 子曰: “鄙夫可與事君也與哉? 與, 平聲. ○ 鄙夫, 庸惡陋劣之稱. 其未得之也, 患得之; 旣得之, 患失之. 何氏曰: “患得之, 謂患不能得之.” 苟患失之, 無所不至矣.” 小則吮癰ㆍ舐痔, 大則弑父與君, 皆生於患失而已. ○ 胡氏曰: “許昌靳裁之有言曰: ‘士之品大槪有三: 志於道德者, 功名不足以累其心; 志於功名者, 富貴不足以累其心; 志於富貴而已者, 則亦無所不至矣.’ 志於富貴, 卽孔子所謂鄙夫也.” 해석 子曰: “鄙夫可與事君也與哉? 공자께서 “비루한 사람과 함께 임금을 섬기겠습니까?”라고 말씀하셨다. 與, 平聲. ○ 鄙夫, 庸惡陋劣之稱. 비부(鄙夫)는 용렬하고 나쁘며 비루하고 졸렬한 것을 말한다. 其未得之也, 患得之; 旣得之, 患失之. 부귀나 자리를 얻지 못해선 얻을 것만을 ..

14. 도청도설(道聽塗說) 子曰: “道聽而塗說, 德之棄也.” 雖聞善言, 不爲己有, 是自棄其德也. ○ 王氏曰: “君子多識前言往行以畜其德, 道聽塗說, 則棄之矣.” 해석 子曰: “道聽而塗說, 德之棄也.” 공자께서 “길거리에서 듣고 길거리에서 말하는 것은 덕을 버리는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雖聞善言, 不爲己有, 비록 좋은 말을 들었더라도 자기의 소유가 되지 않으면 是自棄其德也. 이것은 스스로 덕을 버린 것이다. ○ 王氏曰: “君子多識前言往行以畜其德, 왕안석(王安石)이 말했다. “군자는 앞선 사람들의 말과 행실을 많이 알아 덕을 축적하니, 道聽塗說, 則棄之矣.” 길에서 듣고 길에서 말한다면 그것을 버리는 것이다.” ○ 앞사람의 훌륭한 말씀과 행실을 그저 길에서 건성으로 듣고 길에서 건성으로 떠들어 버려 상식을..

13. 사이비 향원(鄕原) 子曰: “鄕原, 德之賊也.” 鄕者, 鄙俗之意. 原, 與愿同. 『荀子』原慤, 注讀作愿是也. 鄕原, 鄕人之愿者也. 蓋其同流合汙以媚於世, 故在鄕人之中, 獨以愿稱. 夫子以其似德非德, 而反亂乎德, 故以爲德之賊而深惡之. 詳見『孟子』末篇. 해석 子曰: “鄕原, 德之賊也.” 공자께서 “향원이야말로 덕의 적이다.”라고 말씀하셨다. 鄕者, 鄙俗之意. 原, 與愿同. 향(鄕)이라는 것은 비속하다는 뜻이다. 원(原)은 삼가다와 동일하다. 『荀子』原慤, 注讀作愿是也. 『순자』의 원각(原慤)이란 단어를 주에서 원(愿)으로 지은 게 이것이다. 鄕原, 鄕人之愿者也. 향원은 마을의 사람이 삼가는 것이다. 蓋其同流合汙以媚於世, 대개 풍속과 함께 하고 더러운 것에 영합하여 세상에 아첨하니 故在鄕人之中, 獨以愿稱...

12. 내실이 없는 사람에 대해 子曰: “色厲而內荏, 譬諸小人, 其猶穿窬之盜也與?” 荏, 而審反. 與, 平聲. ○ 厲, 威嚴也. 荏, 柔弱也. 小人, 細民也. 穿, 穿壁. 窬, 踰牆. 言其無實盜名, 而常畏人知也. 해석 子曰: “色厲而內荏, 譬諸小人, 其猶穿窬之盜也與?” 공자께서 “안색은 위엄 있는 척하지만 내면은 유약한 것을 소인에게 비유하면 벽을 뚫고 담을 넘는 도둑 같을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荏, 而審反. 與, 平聲. ○ 厲, 威嚴也. 荏, 柔弱也. 려(厲)은 위엄이다. 임(荏)은 유약한 것이다. 小人, 細民也. 穿, 穿壁. 소인(小人)은 평민이다. 천(穿)은 벽을 뚫는 것이다. 窬, 踰牆. 유(窬)는 담장을 넘는 것이다. 言其無實盜名, 而常畏人知也. 실체는 없이 이름만 도적질하여 항상 남이 알..

11. 형식화된 예악을 일갈하다 子曰: “禮云禮云, 玉帛云乎哉? 樂云樂云, 鐘鼓云乎哉?” 敬而將之以玉帛, 則爲禮; 和而發之以鐘鼓, 則爲樂. 遺其本而專事其末, 則豈禮樂之謂哉? ○ 程子曰: “禮只是一箇序, 樂只是一箇和. 只此兩字, 含蓄多少義理. 天下無一物無禮樂. 且如置此兩椅, 一不正, 便是無序. 無序便乖, 乖便不和. 又如盜賊至爲不道, 然亦有禮樂. 蓋必有總屬, 必相聽順, 乃能爲盜. 不然, 則叛亂無統, 不能一日相聚而爲盜也. 禮樂無處無之, 學者須要識得.” 해석 子曰: “禮云禮云, 玉帛云乎哉? 樂云樂云, 鐘鼓云乎哉?” 공자께서 “예이다 예이다라고 말하는 게 옥과 폐백을 말하는 것이겠는가? 악이다 악이다라고 말하는 게 종과 북을 말하는 것이겠는가?”라고 말씀하셨다. 敬而將之以玉帛, 則爲禮; 공경하며 옥과 폐백을 받들..

10. 담장을 마주하고 서 있는 것 같다 子謂伯魚曰: “女爲「周南」「召南」矣乎? 女, 音汝. ○ 爲, 猶學也. 「周南」「召南」, 『詩』首篇名. 所言皆修身齊家之事. 人而不爲「周南」「召南」, 其猶正牆面而立也與?” 與, 平聲. ○ 正牆面而立, 言卽其至近之地, 而一物無所見, 一步不可行. 해석 子謂伯魚曰: “女爲「周南」「召南」矣乎? 공자께서 아들 백어에게 말씀하셨다. “너는 「주남」과 「소남」을 배웠느냐. 女, 音汝. ○ 爲, 猶學也. 위(爲)는 배운다는 뜻이다. 「周南」「召南」, 『詩』首篇名. 「주남」과 「소남」은 『시경』의 머리편명이다. 所言皆修身齊家之事. 다 수신과 제가의 일을 말하고 있다. 人而不爲「周南」「召南」, 其猶正牆面而立也與?” 사람이 「주남」과 「소남」을 배우지 않으면 담장을 마주하고 서 있는 것..

9. 시의 효용 흥관군원(興觀群怨) 子曰: “小子! 何莫學夫詩? 夫, 音扶. ○ 小子, 弟子也. 詩, 可以興, 感發志意. 可以觀, 考見得失. 可以群, 和而不流. 可以怨. 怨而不怒. 邇之事父, 遠之事君. 人倫之道, 詩無不備, 二者擧重而言. 多識於鳥獸草木之名.” 其緖餘又足以資多識. ○ 學詩之法, 此章盡之. 讀是『經』者, 所宜盡心也. 해석 子曰: “小子! 何莫學夫詩?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소자들아! 어찌 시를 배우지 않는가? 夫, 音扶. ○ 小子, 弟子也. 소자(小子)는 제자다. 詩, 可以興, 시는 의지를 일으켜 세울 수 있고 感發志意. 의지를 감발한다. 可以觀, 정치의 득실을 볼 수 있으며 考見得失. 득실을 상고해 본다. 可以群, 무리 지을 수 있고 和而不流. 화합하되 방탕한 데로 흐르지 않는다. 可以怨...

8. 육언(六言)과 육폐(六蔽) 子曰: “由也, 女聞六言六蔽矣乎?” 對曰: “未也.” 女, 音汝, 下同. ○ 蔽, 遮掩也. “居! 吾語女. 語, 去聲. ○ 禮: 君子問更端, 則起而對. 故孔子諭子路, 使還坐而告之. 好仁不好學, 其蔽也愚; 好, 知, 並去聲. ○ 六言皆美德, 然徒好之而不學以明其理, 則各有所蔽. 愚, 若可陷ㆍ可罔之類. 好知不好學, 其蔽也蕩; 蕩, 謂窮高極廣而無所止. 好信不好學, 其蔽也賊; 賊, 謂傷害於物. 好直不好學, 其蔽也絞; 好勇不好學, 其蔽也亂; 勇者, 剛之發. 剛者, 勇之體. 好剛不好學, 其蔽也狂.” 狂, 躁率也. ○ 范氏曰: “子路勇於爲善, 其失之者, 未能好學以明之也, 故告之以此. 曰勇, 曰剛, 曰信, 曰直, 又皆所以救其偏也.” 해석 子曰: “由也, 女聞六言六蔽矣乎?” 對曰: “未也...

7. 반역에 성공한 필힐이 공자를 초빙하다 佛肹召, 子欲往. 佛, 音弼. 肹, 許密反. ○ 佛肹, 晉大夫趙氏之中牟宰也. 子路曰: “昔者由也聞諸夫子曰: 親於其身爲不善者, 君子不入也. 佛肹以中牟畔, 子之往也, 如之何!” 子路恐佛肹之浼夫子, 故問此以止夫子之行. 親, 猶自也. 不入, 不入其黨也. 子曰: “然. 有是言也. 不曰堅乎, 磨而不磷; 不曰白乎, 涅而不緇. 磷, 力刃反. 涅, 乃結反. ○ 磷, 薄也. 涅, 染皁物. 言人之不善, 不能浼己. 楊氏曰: “磨不磷, 涅不緇, 而後無可無不可. 堅白不足, 而欲自試於磨涅, 其不磷緇也者, 幾希.” 吾豈匏瓜也哉? 焉能繫而不食?” 焉, 於虔反. ○ 匏, 瓠也. 匏瓜繫於一處而不能飮食, 人則不如是也. ○ 張敬夫曰: “子路昔者之所聞, 君子守身之常法. 夫子今日之所言, 聖人體道之大權也..

6. 다섯 가지[恭寬信敏惠]를 실천하면 인이 된다 子張問仁於孔子. 孔子曰: “能行五者於天下, 爲仁矣.” 請問之. 曰: “恭ㆍ寬ㆍ信ㆍ敏ㆍ惠. 恭則不侮, 寬則得衆, 信則人任焉, 敏則有功, 惠則足以使人.” 行是五者, 則心存而理得矣. 於天下, 言無適而不然, 猶所謂雖之夷狄不可棄者. 五者之目, 蓋因子張所不足而言耳. 任, 倚仗也, 又言其效如此. ○ 張敬夫曰: “能行此五者於天下, 則其心公平而周遍可知矣, 然恭其本與?” 李氏曰: “此章與六言ㆍ六蔽ㆍ五美ㆍ四惡之類, 皆與前後文體大不相似.” 해석 子張問仁於孔子. 孔子曰: “能行五者於天下, 爲仁矣.” 자장이 공자께 인에 대해 여쭈니, 공자께서 “천하에 다섯 가지를 실천하면 인이 된다.”라고 말씀하셨다. 請問之. 曰: “恭ㆍ寬ㆍ信ㆍ敏ㆍ惠. 恭則不侮, 寬則得衆, 信則人任焉, 敏則有功..

5. 등용이 된다면 동쪽의 주나라로 만들 수 있을 텐데 公山弗擾以費畔, 召, 子欲往. 弗擾, 季氏宰. 與陽貨共執桓子, 據邑以叛. 子路不說, 曰: “末之也已, 何必公山氏之之也.” 說, 音悅. ○ 末, 無也. 言道旣不行, 無所往矣, 何必公山氏之往乎? 子曰: “夫召我者而豈徒哉? 如有用我者, 吾其爲東周乎.” 夫, 音扶. ○ 豈徒哉, 言必用我也. 爲東周, 言興周道於東方. ○ 程子曰: “聖人以天下無不可有爲之人, 亦無不可改過之人, 故欲往. 然而終不往者, 知其必不能改故也.” 해석 公山弗擾以費畔, 召, 子欲往. 공산불요가 비읍을 점거하여 배반하고서 부르니, 공자께서 가시려 했다. 弗擾, 季氏宰. 불요는 계씨의 재상이다. 與陽貨共執桓子, 據邑以叛. 양화와 함께 환자를 끄집어 내리고, 비읍을 점거하여 배반했다. 子路不說, ..

3. 상지(上知)자와 하우(下愚)자는 변하질 않는다 子曰: “唯上知與下愚不移.” 知, 去聲. ○ 此承上章而言. 人之氣質相近之中, 又有美惡一定, 而非習之所能移者. ○ 程子曰: “人性本善, 有不可移者何也? 語其性則皆善也, 語其才則有下愚之不移. 所謂下愚有二焉: 自暴自棄也. 人苟以善自治, 則無不可移, 雖昏愚之至, 皆可漸磨而進也. 惟自暴者拒之以不信, 自棄者絶之以不爲, 雖聖人與居, 不能化而入也, 仲尼之所謂下愚也. 然其質非必昏且愚也, 往往强戾而才力有過人者, 商辛是也. 聖人以其自絶於善, 謂之下愚, 然考其歸則誠愚也.” 或曰: “此與上章當合爲一, 子曰二字, 蓋衍文耳.” 해석 子曰: “唯上知與下愚不移.” 공자께서 “오직 상지자와 하우자는 변하지 않는다.”라고 말씀하셨다. 知, 去聲. ○ 此承上章而言. 이 장에선 윗장을 이어..

2. 본성은 같았지만 습관에 따라 멀어졌다 子曰: “性相近也, 習相遠也.” 此所謂性, 兼氣質而言者也. 氣質之性, 固有美惡之不同矣. 然以其初而言, 則皆不甚相遠也. 但習於善則善, 習於惡則惡, 於是始相遠耳. ○ 程子曰: “此言氣質之性. 非言性之本也. 若言其本, 則性卽是理, 理無不善, 孟子之言性善是也. 何相近之有哉?” 해석 子曰: “性相近也, 習相遠也.” 공자께서 “본성은 서로 가까우나, 습관에 따라 서로 멀어진다.”라고 말씀하셨다. 此所謂性, 兼氣質而言者也. 여기서 말하는 성(性)이라는 것은 기질을 겸하여 말한 것이다. 氣質之性, 固有美惡之不同矣. 기질의 성품은 본래 아름답고 미움이 같지 않다. 然以其初而言, 則皆不甚相遠也. 그러나 처음 상태로 말한다면, 다 매우 서로의 거리가 멀지 않다. 但習於善則善, 다만..

1. 양화를 피하려다가 길에서 딱 마주친 공자 凡二十六章. 陽貨欲見孔子, 孔子不見, 歸孔子豚. 孔子時其亡也, 而往拜之, 遇諸塗. 歸, 如字, 一作饋. ○ 陽貨, 季氏家臣, 名虎. 嘗囚季桓子而專國政. 欲令孔子來見己, 而孔子不往. 貨以禮, 大夫有賜於士, 不得受於其家, 則往拜其門. 故瞰孔子之亡而歸之豚, 欲令孔子來拜而見之也. 謂孔子曰: “來! 予與爾言.” 曰: “懷其寶而迷其邦, 可謂仁乎?” 曰: “不可.” 懷寶迷邦, 謂懷藏道德, 不救國之迷亂. “好從事而亟失時, 可謂知乎?” 曰: “不可.” 好, 亟, 知, 並去聲. ○ 亟, 數也. 失時, 謂不及事幾之會. “日月逝矣, 歲不我與.” 孔子曰: “諾. 吾將仕矣.” 將者, 且然而未必之辭. 貨語皆譏孔子而諷使速仕. 孔子固未嘗如此, 而亦非不欲仕也, 但不仕於貨耳. 故直據理答之, ..
계씨(季氏) 제십육(第十六) “此篇或以爲齊論.” 凡十四章. 1. 국가를 가진 이는 백성이 적은 것과 재물이 부족한 것을 근심하지 않는다 季氏將伐顓臾. 顓, 音專. 臾, 音兪. ○ 顓臾, 國名. 魯附庸也. 冉有ㆍ季路見於孔子曰: “季氏將有事於顓臾.” 見, 賢遍反. ○ 按『左傳』『史記』, 二子仕季氏不同時. 此云爾者, 疑子路嘗從孔子自衛反魯, 再仕季氏, 不久而復之衛也. 孔子曰: “求! 無乃爾是過與? 與, 平聲. ○ 冉求爲季氏聚斂, 尤用事. 故夫子獨責之. 夫顓臾, 昔者先王以爲東蒙主, 且在邦域之中矣, 是社稷之臣也. 何以伐爲?” 夫, 音扶. ○ 東蒙, 山名. 先王封顓臾於此山之下, 使主其祭. 在魯地七百里之中. 社稷, 猶云公家. 是時四分魯國, 季氏取其二, 孟孫ㆍ叔孫各有其一. 獨附庸之國尙爲公臣, 季氏又欲取以自益. 故..

14. 임금의 부인을 부르는 명칭에 대한 기록 邦君之妻, 君稱之曰夫人, 夫人自稱曰小童; 邦人稱之曰君夫人, 稱諸異邦曰寡小君; 異邦人稱之亦曰君夫人. 寡, 寡德, 謙辭. ○ 吳氏曰: “凡『語』中所載如此類者, 不知何謂. 或古有之, 或夫子嘗言之, 不可考也.” 해석 邦君之妻, 君稱之曰夫人, 夫人自稱曰小童; 邦人稱之曰君夫人, 稱諸異邦曰寡小君; 異邦人稱之亦曰君夫人. 나라 임금의 아내를 임금이 그녀를 ‘부인’이라 부르고 부인은 스스로를 ‘소동’이라 하며 나라사람들이 그녀를 ‘군부인’이라 말하고 다른 나라에겐 ‘과소군’이라 말하며 다른 나라 사람들이 그녀를 ‘군부인’이라 말한다. 寡, 寡德, 謙辭. ○ 吳氏曰: “凡『語』中所載如此類者, 오역(吳棫)이 말했다. “대체로 『논어』에 실린 것 중에 이와 같은 종류의 것들은 不知..

13. 공자가 그 자식인 백어를 멀리하다 陳亢問於伯魚曰: “子亦有異聞乎?” 亢, 音剛. ○ 亢以私意窺聖人, 疑必陰厚其子. 對曰: “未也. 嘗獨立, 鯉趨而過庭. 曰: ‘學詩乎?’ 對曰: ‘未也.’ ‘不學詩, 無以言.’ 鯉退而學詩. 事理通達, 而心氣和平, 故能言. 他日又獨立, 鯉趨而過庭. 曰: ‘學禮乎?’ 對曰: ‘未也.’ ‘不學禮, 無以立.’ 鯉退而學禮. 品節詳明, 而德性堅定, 故能立. 聞斯二者.” 當獨立之時, 所聞不過如此, 其無異聞可知. 陳亢退而喜曰: “問一得三, 聞詩, 聞禮, 又聞君子之遠其子也.” 遠, 去聲. ○ 尹氏曰: “孔子之敎其子, 無異於門人, 故陳亢以爲遠其子.” 해석 陳亢問於伯魚曰: “子亦有異聞乎?” 진항이 백어에게 “자네는 또한 아버지께 다른 것을 들은 것이 있는가?”라고 물었다. 亢, 音剛...

12. 길이 칭송되는 사람으로 살아라 齊景公有馬千駟, 死之日, 民無德而稱焉. 伯夷叔齊餓於首陽之下, 民到于今稱之. 駟, 四馬也. 首陽, 山名. 其斯之謂與? 與, 平聲. ○ 胡氏曰: “程子以爲第十二篇錯簡 ‘誠不以富, 亦祗以異’, 當在此章之首. 今詳文勢, 似當在此句之上. 言人之所稱, 不在於富, 而在於異也.” 愚謂此說近是, 而章首當有‘孔子曰’字, 蓋闕文耳. 大抵此書後十篇多闕誤. 해석 齊景公有馬千駟, 死之日, 民無德而稱焉. 伯夷叔齊餓於首陽之下, 民到于今稱之. 제경공은 말 4000필을 소유했지만 죽는 날에 백성들이 덕을 칭송함이 없었고 백이와 숙제는 수양산 아래에서 굶어죽었지만 백성들이 지금에 이르도록 칭송한다. 駟, 四馬也. 首陽, 山名. 사(駟)은 네 필의 말이다. 수양은 산 이름이다. 其斯之謂與? 이것을 말함..

11. 공자가 규정 지은 두 가지 인간의 경지 孔子曰: “見善如不及, 見不善如探湯. 吾見其人矣, 吾聞其語矣. 探, 吐南反. ○ 眞知善惡而誠好惡之, 顔ㆍ曾ㆍ閔ㆍ冉之徒, 蓋能之矣. 語, 蓋古語也. 隱居以求其志, 行義以達其道. 吾聞其語矣, 未見其人也.” 求其志, 守其所達之道也. 達其道, 行其所求之志也. 蓋惟伊尹ㆍ太公之流, 可以當之. 當時若顔子, 亦庶乎此. 然隱而未見, 又不幸而蚤死, 故夫子云然. 해석 孔子曰: “見善如不及, 見不善如探湯. 吾見其人矣, 吾聞其語矣.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선을 볼 때에는 미치지 못한 듯이 하고 불선(不善)을 볼 때에는 뜨거운 것이 닿은 듯이 하는 사람, 나는 그 사람을 보았고 나는 그 옛말을 들었다. 探, 吐南反. ○ 眞知善惡而誠好惡之, 참으로 선악을 알고 진실로 그것을 좋아하고 ..

10. 군자의 아홉 가지 생각 孔子曰: “君子有九思: 視思明, 聽思聰, 視無所蔽, 則明無不見. 聽無所壅, 則聰無不聞. 色思溫, 貌思恭, 色, 見於面者. 貌, 擧身而言. 言思忠, 事思敬, 疑思問, 忿思難, 見得思義.” 難, 去聲. ○ 思問, 則疑不蓄. 思難, 則忿必懲. 思義, 則得不苟. ○ 程子曰: “九思各專其一.” 謝氏曰: “未至於從容中道, 無時而不自省察也. 雖有不存焉者寡矣, 此之謂思誠.” 해석 孔子曰: “君子有九思: 視思明, 聽思聰,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에겐 아홉 가지 생각이 있다. 볼 때에는 밝음을 생각하고 들을 때에는 귀밝음을 생각하며, 視無所蔽, 則明無不見. 볼 때 가려지는 게 없으면 밝게 보이지 않음이 없다. 聽無所壅, 則聰無不聞. 들을 때 막힌 게 없으면 귀 밝아 들리지 않는 게 없다...

9. 사람의 네 가지 등급 孔子曰: “生而知之者, 上也; 學而知之者, 次也; 困而學之, 又其次也; 困, 謂有所不通. 困而不學, 民斯爲下矣.” 言人之氣質不同, 大約有此四等. ○ 楊氏曰: “生知ㆍ學知以至困學, 雖其質不同, 然及其知之一也. 故君子惟學之爲貴. 困而不學, 然後爲下.” 해석 孔子曰: “生而知之者, 上也; 學而知之者, 次也; 困而學之, 又其次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나면서 아는 사람은 상등급이 되고 배워 아는 사람은 그 다음 등급이 되며, 곤궁함에 닥쳐 배우는 사람은 또한 그 다음 등급이 된다. 困, 謂有所不通. 곤(困)은 통하지 않는 것이 있다는 말이다. 困而不學, 民斯爲下矣.” 그러나 곤궁함에 닥쳐서도 배우지 않는 사람은 백성 중에 최하등급이 되는 것이다.” 言人之氣質不同, 大約有此四等. 사람의..

8. 군자와 소인의 차이 孔子曰: “君子有三畏: 畏者, 嚴憚之意也. 畏天命, 畏大人, 畏聖人之言. 天命者, 天所賦之正理也. 知其可畏, 則其戒謹恐懼, 自有不能已者. 而付畀之重, 可以不失矣. 大人聖言, 皆天命所當畏. 知畏天命, 則不得不畏之矣. 小人不知天命而不畏也, 狎大人, 侮聖人之言.” 侮, 戱玩也. 不知天命, 故不識義理, 而無所忌憚如此. ○ 尹氏曰: “三畏者, 修己之誠當然也. 小人不務修身誠己, 則何畏之有?” 해석 孔子曰: “君子有三畏: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에게 세 가지 두려워하는 게 있으니, 畏者, 嚴憚之意也. 외(畏)라는 것은 엄하게 여겨 두려워한다는 뜻이다. 畏天命, 畏大人, 畏聖人之言. 천명(天命)을 두려워하며 대인(大人)을 두려워하며, 성인의 말씀을 두려워한다. 天命者, 天所賦之正理也. 천명..
7. 군자가 경계해야 할 세 가지 孔子曰: “君子有三戒: 少之時, 血氣未定, 戒之在色; 血氣, 形之所待以生者, 血陰而氣陽也. 及其壯也, 血氣方剛, 戒之在鬪; 及其老也, 血氣旣衰, 戒之在得.” 得, 貪得也. 隨時知戒, 以理勝之, 則不爲血氣所使也. ○ 范氏曰: “聖人同於人者血氣也, 異於人者志氣也. 血氣有時而衰, 志氣則無時而衰也. 少未定, 壯而剛, 老而衰者, 血氣也. 戒於色, 戒於鬪, 戒於得者, 志氣也. 君子養其志氣, 故不爲血氣所動, 是以年彌高而德彌邵也.” 해석 孔子曰: “君子有三戒: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군자는 세 가지 경계할 게 있다. 少之時, 血氣未定, 戒之在色; 어렸을 때엔 혈기가 정해지지 않았으니 경계함이 여색에 있고, 血氣, 形之所待以生者, 血陰而氣陽也. 혈기(血氣)는 형체가 의지하며 사는 것이니..
6. 말을 제때에 하지 못하는 허물에 대해 孔子曰: “侍於君子有三愆: 君子, 有德位之通稱. 愆, 過也. 言未及之而言謂之躁, 言及之而不言謂之隱, 未見顔色而言謂之瞽.” 瞽, 無目, 不能察言觀色. ○ 尹氏曰: “時然後言, 則無三者之過矣.” 해석 孔子曰: “侍於君子有三愆: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어른을 모시는 데엔 세 가지 허물이 있다. 君子, 有德位之通稱. 군자(君子)는 덕이 있는 지위의 통칭이다. 愆, 過也. 건(愆)은 허물이다. 言未及之而言謂之躁, 言及之而不言謂之隱, 未見顔色而言謂之瞽.” 말이 미치질 않았는데 말하는 것을 조급하다 말하고, 말이 미쳤는데 말하지 않는 것을 음흉하다 말하며, 안색을 보지 않고 말하는 것을 눈멀었다 말한다.” 瞽, 無目, 不能察言觀色. 고(瞽)는 눈이 없어 말을 살피고 안색을 ..

5. 도움 되는 즐거움과 손해 되는 즐거움 세 가지 孔子曰: “益者三樂, 損者三樂. 樂節禮樂, 樂道人之善, 樂多賢友, 益矣. 樂, 五敎反. 禮樂之樂, 音岳. ○ 節, 謂辨其制度聲容之節. 樂驕樂, 樂佚遊, 樂宴樂, 損矣.” 驕樂宴樂之樂, 音洛. ○ 驕樂, 則侈肆而不知節. 佚遊, 則惰慢而惡聞善. 宴樂, 則淫溺而狎小人. 三者損益, 亦相反也. ○ 尹氏曰: “君子之於好樂, 可不謹哉?” 해석 孔子曰: “益者三樂, 損者三樂. 공자께서 “도움이 되는 세 가지 즐거움과 손해가 되는 세 가지 즐거움이 있다. 樂節禮樂, 樂道人之善, 樂多賢友, 益矣. 예악을 절도에 맞추는 것을 즐기고 남의 선함을 말하길 즐기며 어진 벗을 많이 둔 것을 즐기는 것이 도움이 되는 것이다. 樂, 五敎反. 禮樂之樂, 音岳. ○ 節, 謂辨其制度聲容之..

4. 세 종류의 좋은 벗과 나쁜 벗 孔子曰: “益者三友, 損者三友. 友直, 友諒, 友多聞, 益矣. 友直, 則聞其過. 友諒, 則進於誠. 友多聞, 則進於明. 友便辟, 友善柔, 友便佞, 損矣.” 便, 平聲. 辟, 婢亦反. ○ 便, 習熟也. 便辟, 謂習於威儀而不直. 善柔, 謂工於媚悅而不諒. 便佞, 謂習於口語, 而無聞見之實. 三者損益, 正相反也. ○ 尹氏曰: “自天子至於庶人, 未有不須友以成者. 而其損益有如是者, 可不謹哉?” 해석 孔子曰: “益者三友, 損者三友.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도움이 되는 세 가지 유형의 벗이 있고, 손해가 되는 세 가지 유형의 벗이 있다. 友直, 友諒, 友多聞, 益矣. 벗이 정직하고, 벗이 성실하며, 벗이 견문이 많은 것이 도움이 되는 벗이다. 友直, 則聞其過. 벗이 정직하다면 (나의 잘..

3. 삼환의 자손들이 약해지고 있다 孔子曰: “祿之去公室, 五世矣; 政逮於大夫, 四世矣; 魯自文公薨, 公子遂殺子赤, 立宣公, 而君失其政, 歷成ㆍ襄ㆍ昭ㆍ定, 凡五公. 逮, 及也. 自季武子始專國政, 歷悼ㆍ平ㆍ桓子, 凡四世, 而爲家臣陽虎所執. 故夫三桓之子孫, 微矣.” 夫, 音扶. ○ 三桓, 三家, 皆桓公之後. 此以前章之說推之, 而知其當然也. ○ 此章專論魯事, 疑與前章皆定公時語. 蘇氏曰: “禮樂征伐自諸侯出, 宜諸侯之强也, 而魯以失政. 政逮於大夫, 宜大夫之强也, 而三桓以微. 何也? 强生於安, 安生於上下之分定. 今諸侯大夫皆陵其上, 則無以令其下矣. 故皆不久而失之也.” 해석 孔子曰: “祿之去公室, 五世矣; 政逮於大夫, 四世矣;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녹이 공실을 떠난 지 5세대가 되었고 정치가 대부에 미친 지 4세대가..

2. 예악(禮樂)과 정벌(征伐)은 천자만이 할 수 있다 孔子曰: “天下有道, 則禮樂征伐自天子出; 天下無道, 則禮樂征伐自諸侯出. 先王之制, 諸侯不得變禮樂, 專征伐. 自諸侯出, 蓋十世希不失矣; 自大夫出, 五世希不失矣; 陪臣執國命, 三世希不失矣. 陪臣, 家臣也. 逆理愈甚, 則其失之愈速. 大約世數, 不過如此. 天下有道, 則政不在大夫, 言不得專政. 天下有道, 則庶人不議.” 上無失政, 則下無私議. 非箝其口使不敢言也. ○ 此章通論天下之勢. 해석 孔子曰: “天下有道, 則禮樂征伐自天子出; 天下無道, 則禮樂征伐自諸侯出.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천하에 도(道)가 있으면 예악(禮樂)과 정벌(征伐)이 천자로부터 나오고 천하에 도가 없으면 예악과 정벌이 제후로부터 나온다. 先王之制, 諸侯不得變禮樂, 선왕의 제도에 제후가 예악(禮..

1. 국가를 가진 이는 백성이 적은 것과 재물이 부족한 것을 근심하지 않는다 “此篇或以爲齊論.” 凡十四章. 季氏將伐顓臾. 顓, 音專. 臾, 音兪. ○ 顓臾, 國名. 魯附庸也. 冉有ㆍ季路見於孔子曰: “季氏將有事於顓臾.” 見, 賢遍反. ○ 按『左傳』『史記』, 二子仕季氏不同時. 此云爾者, 疑子路嘗從孔子自衛反魯, 再仕季氏, 不久而復之衛也. 孔子曰: “求! 無乃爾是過與? 與, 平聲. ○ 冉求爲季氏聚斂, 尤用事. 故夫子獨責之. 夫顓臾, 昔者先王以爲東蒙主, 且在邦域之中矣, 是社稷之臣也. 何以伐爲?” 夫, 音扶. ○ 東蒙, 山名. 先王封顓臾於此山之下, 使主其祭. 在魯地七百里之中. 社稷, 猶云公家. 是時四分魯國, 季氏取其二, 孟孫ㆍ叔孫各有其一. 獨附庸之國尙爲公臣, 季氏又欲取以自益. 故孔子言顓臾乃先王封國, 則不可伐; 在邦..
위령공(衛靈公) 제십오(第十五) 1. 곤궁할 때 드러나는 군자와 소인의 차이 凡四十一章. 衛靈公問陳於孔子. 孔子對曰: “俎豆之事, 則嘗聞之矣; 軍旅之事, 未之學也.” 明日遂行. 陳, 去聲. ○ 陳, 謂軍師行伍之列. 俎豆, 禮器. 尹氏曰: “衛靈公, 無道之君也, 復有志於戰伐之事, 故答以未學而去之.” 在陳絶糧, 從者病, 莫能興. 從, 去聲. ○ 孔子去衛適陳. 興, 起也. 子路慍見曰: “君子亦有窮乎?” 見, 賢遍反. 子曰: “君子固窮, 小人窮斯濫矣.” 何氏曰: “濫, 溢也. 言君子固有窮時, 不若小人窮則放溢爲非.” 程子曰: “固窮者, 固守其窮.” 亦通. ○ 愚謂聖人當行而行, 無所顧慮. 處困而亨, 無所怨悔. 於此可見, 學者宜深味之. ⇒해석보기 2. 공자는 하나로 모든 이치를 꿰뚫었다 子曰: “賜也,..

41. 봉사인 악사와 함께 말하는 공자의 방법 師冕見, 及階, 子曰: “階也.” 及席, 子曰: “席也.” 皆坐, 子告之曰: “某在斯, 某在斯.” 見, 賢遍反. ○ 師, 樂師, 瞽者. 冕, 名. 再言某在斯, 歷擧在坐之人以詔之. 師冕出. 子張問曰: “與師言之道與?” 與, 平聲. ○ 聖門學者, 於夫子之一言一動, 無不存心省察如此. 子曰: “然. 固相師之道也.” 相, 去聲. ○ 相, 助也. 古者瞽必有相, 其道如此. 蓋聖人於此, 非作意而爲之, 但盡其道而已. ○ 尹氏曰: “聖人處己爲人, 其心一致, 無不盡其誠故也. 有志於學者, 求聖人之心, 於斯亦可見矣.” 范氏曰: “聖人不侮鰥寡, 不虐無告, 可見於此. 推之天下, 無一物不得其所矣.” 해석 師冕見, 及階, 子曰: “階也.” 及席, 子曰: “席也.” 皆坐, 子告之曰: “某在..

40. 말의 본질 子曰: “辭達而已矣.” 辭, 取達意而止, 不以富麗爲工. 해석 子曰: “辭達而已矣.” 공자께서 “말이란 전달되면 그뿐이다.”라고 말씀하셨다. 辭, 取達意而止, 말이란 취하여 뜻을 통하게 되면 그치는 것이지, 不以富麗爲工. 풍부하고 화려하게 기교 부려선 안 된다. ○ 말과 글은 뜻이 통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지, 풍부하고 화려하다고 훌륭한 것은 아니다. 곧 말하거나 글 쓰는 이는 자신의 뜻을 표현하여 상대가 이해하도록 만드는 데 중점을 둬야지 본심이 드러나지 않거나 이해되지 않을 정도로 과장(誇張)과 분식(粉飾)을 일삼아서는 안 된다. 공자는 ‘논어’ ‘위령공(衛靈公)’의 이 장(章)에서 그점을 말했다. 사(辭)에 대해 일본의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와 조선의 정약용은 대부(大夫)가 사명을 띠..

39. 같은 이상을 품어야만 같이 도모할 수 있다 子曰: “道不同, 不相爲謀.” 爲, 去聲. ○ 不同, 如善惡邪正之異. 해석 子曰: “道不同, 不相爲謀.” 공자께서 “도가 같지 않으면 서로 도모하지 못한다.”라고 말씀하셨다. 爲, 去聲. ○ 不同, 如善惡邪正之異. 부동(不同)은 선과 악, 사악함과 바름의 다름과 같은 것이다. ○ 근대 이전의 유학자들은 이단(異端)을 배척(排斥)한다는 이유로 불교를 비판하고 같은 유학 내에서도 양명학(陽明學)을 비난하는 한편, 주자의 경전 해석과는 다른 설을 주장하면 사문난적(斯文亂賊)이라고 공격했다. 그때 권위적 논거로 사용한 고전어 가운데 하나가 ‘논어’ ‘위령공(衛靈公)’의 이 장(章)이다. 도부동(道不同)은 지향하는 이념이 같지 않거나 말미암아 나아가는 길이 같지 ..

38. 배우고 싶은 사람은 누구든 가르치다 子曰: “有敎無類.” 人性皆善, 而其類有善惡之殊者, 氣習之染也. 故君子有敎, 則人皆可以復於善, 而不當復論其類之惡矣. 해석 子曰: “有敎無類.” 공자께서 “가르침만 있지 부류에 따른 차별은 없다.”라고 말씀하셨다. 人性皆善, 而其類有善惡之殊者, 사람의 본성은 모두 선하지만 부류에 따라 선악이 다른 것은 氣習之染也. 기질과 습관이 오염되었기 때문이다. 故君子有敎, 則人皆可以復於善, 그러므로 군자는 가르칠 때에 사람은 모두 선으로 되돌아올 수 있도록 하여 而不當復論其類之惡矣. 마땅히 다시는 그 부류의 악을 논하지 않게 해야 한다. ○ 우리는 공자를 위대한 교육자라고 일컫는다. 공자의 교육 사상을 가장 선명하게 드러내주는 말이 ‘논어’ ‘위령공(衛靈公)’편의 이 장(章..

37. 프로페셔널한 직업윤리에 대해 子曰: “事君, 敬其事而後其食.” 後, 與後獲之後同. 食, 祿也. 君子之仕也, 有官守者修其職, 有言責者盡其忠. 皆以敬吾之事而已, 不可先有求祿之心也. 해석 子曰: “事君, 敬其事而後其食.” 공자께서 “임금을 섬길 때에 일을 공경히 한 후에 봉록을 얻어야 한다.”라고 말씀하셨다. 後, 與後獲之後同. 食, 祿也. 후(後)는 ‘뒤에 얻는다’의 후(後)와 같다. 식(食)은 봉록이다. 君子之仕也, 有官守者修其職, 군자의 벼슬은 관직을 맡은 사람은 직분을 수행하고 有言責者盡其忠. 말의 책임이 있는 사람은 충성을 다한다. 皆以敬吾之事而已, 모두 자기의 일을 공경할 뿐이니, 不可先有求祿之心也. 녹을 구하는 마음을 앞세워선 안 된다. 인용목차 / 전문 / 편해 / 역주생애 / 공자 / ..
36. 군자의 원칙주의 子曰: “君子貞而不諒.” 貞, 正而固也. 諒, 則不擇是非而必於信. 해석 子曰: “君子貞而不諒.” 공자께서 “군자는 정직하되 작은 신의에 얽매이지 않는다.”라고 말씀하셨다. 貞, 正而固也. 정(貞)은 바르고 견고한 것이다. 諒, 則不擇是非而必於信. 량(諒)은 시비를 선택하지 않고 신의에만 기필하는 것이다. ○ 사람은 누구나 신의(信義)를 지켜야 한다고 말한다. 그렇거늘 공자는 ‘논어’ ‘위령공(衛靈公)’의 이 장(章)에서 군자는 작은 신의에 얽매이지 않는 법이라고 했다. 어째서인가? 군자는 올바른 도리에 대해서는 굳게 지켜 흔들림이 없어야 하지만 시비곡직(是非曲直)을 따지지 않고 그저 처음 뜻을 관철하려고 고집해서는 안 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정(貞)은 바르고도 굳다는 말로, 절조(..

35. 스승에게도 인은 양보하지 않는다 子曰: “當仁不讓於師.” 當仁, 以仁爲己任也. 雖師亦無所遜, 言當勇往而必爲也. 蓋仁者, 人所自有而自爲之, 非有爭也, 何遜之有? ○ 程子曰: “爲仁在己, 無所與遜. 若善名爲外, 則不可不遜.” 해석 子曰: “當仁不讓於師.” 공자께서 “인에 당해서는 스승에게도 사양하지 않는다”라고 말씀하셨다. 當仁, 以仁爲己任也. 당인(當仁)은 인으로 자기의 임무를 삼았다는 것이다. 雖師亦無所遜, 비록 스승이라도 사양하는 것이 없다는 것은 言當勇往而必爲也. 마땅히 용맹하게 가서 반드시 한다는 말이다. 蓋仁者, 人所自有而自爲之, 대체로 인이란 사람이 스스로 소유한 것이고 스스로 하는 것으로 非有爭也, 何遜之有? 다툴 게 있지 않은 데 어째서 사양함이 있겠는가? ○ 程子曰: “爲仁在己, 無..

34. 인도 물과 불만큼이나 절실하고 중요하다 子曰: “民之於仁也, 甚於水火. 水火, 吾見蹈而死者矣, 未見蹈仁而死者也.” 民之於水火, 所賴以生, 不可一日無. 其於仁也亦然. 但水火外物, 而仁在己. 無水火, 不過害人之身, 而不仁則失其心. 是仁有甚於水火, 而尤不可以一日無也. 況水火或有時而殺人, 仁則未嘗殺人, 亦何憚而不爲哉? 李氏曰: “此夫子勉人爲仁之語.” 下章放此. 해석 子曰: “民之於仁也, 甚於水火. 水火, 吾見蹈而死者矣, 未見蹈仁而死者也.” 공자께서 “백성이 인에 대하여 물과 불보다 심한 게 있다. 물과 불은 밟고 죽는 경우를 봤지만 인은 밟고 죽는 경우는 보지 못했다.”라고 말씀하셨다. 民之於水火, 所賴以生, 不可一日無. 백성이 물과 불에 있어서 삶을 의자니 하루도 없어선 안 된다. 其於仁也亦然. 인에 ..

33. 군자와 소인, 각각의 장점 子曰: “君子不可小知, 而可大受也; 小人不可大受, 而可小知也.” 此言觀人之法. 知, 我知之也. 受, 彼所受也. 蓋君子於細事未必可觀, 而材德足以任重; 小人雖器量淺狹, 而未必無一長可取. 해석 子曰: “君子不可小知, 而可大受也; 小人不可大受, 而可小知也.” 공자께서 “군자는 작은 것으로 알 수는 없지만 큰 임무를 받을 만하고, 소인은 큰 임무를 받진 못하나 자잘한 것으로 알 만하다.”라고 말씀하셨다. 此言觀人之法. 여기서는 사람 보는 법을 말했다. 知, 我知之也. 지(知)는 내가 그것을 아는 것이다. 受, 彼所受也. 수(受)는 저 사람이 받은 것이다. 蓋君子於細事未必可觀, 대체로 군자는 작은 일에 대하여 반드시 알 수는 없으나 而材德足以任重; 재질의 덕이 충분히 중임을 맡을 ..

32. 백성들이 선해지고 공경하게 되는 방법 子曰: “知及之, 仁不能守之; 雖得之, 必失之. 知, 去聲. ○ 知足以知此理, 而私欲間之, 則無以有之於身矣. 知及之, 仁能守之. 不莊以涖之, 則民不敬. 涖, 臨也. 謂臨民也. 知此理而無私欲以間之, 則所知者在我而不失矣. 然猶有不莊者, 蓋氣習之偏, 或有厚於內而不嚴於外者, 是以民不見其可畏而慢易之. 下句放此. 知及之, 仁能守之, 莊以涖之. 動之不以禮, 未善也.” 動之, 動民也. 猶曰鼓舞而作興之云爾. 禮, 謂義理之節文. ○ 愚謂學至於仁, 則善有諸己而大本立矣. 涖之不莊, 動之不以禮, 乃其氣稟學問之小疵, 然亦非盡善之道也. 故夫子歷言之, 使知德愈全則責愈備, 不可以爲小節而忽之也. 해석 子曰: “知及之, 仁不能守之; 雖得之, 必失之.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지혜가 그것에 미치고..

31. 밭 갊에 굶주림이 그 가운데 있다 子曰: “君子謀道不謀食. 耕也, 餒在其中矣; 學也, 祿在其中矣. 君子憂道不憂貧.” 餒, 奴罪反. ○ 耕所以謀食, 而未必得食. 學所以謀道, 而祿在其中. 然其學也, 憂不得乎道而已; 非爲憂貧之故, 而欲爲是以得祿也. ○ 尹氏曰: “君子治其本而不卹其末, 豈以在外者爲憂樂哉?” 해석 子曰: “君子謀道不謀食. 耕也, 餒在其中矣; 學也, 祿在其中矣. 君子憂道不憂貧.” 공자께서 “군자는 도를 생각하되 먹을 것은 생각하지 않으니, 밭 갊에 굶주림은 그 가운데 있고 배움에 녹봉이 그 가운데 있다. 그러니 군자는 도를 근심해야지 가난함을 근심하지 않는다.”라고 말씀하셨다. 餒, 奴罪反. ○ 耕所以謀食, 而未必得食. 밭 가는 것은 먹는 것을 도모하는 것이지만 반드시 먹을 것을 얻게 되는 ..

30. 생각의 늪에 빠지지 마라 子曰: “吾嘗終日不食, 終夜不寢, 以思, 無益, 不如學也.” 此爲思而不學者言之. 蓋勞心以必求, 不如遜志而自得也. 李氏曰: “夫子非思而不學者, 特垂語以敎人爾.” ○ 『荀子』 「勸學文」曰: “吾嘗終日而思矣, 不如須臾之所學也.” 해석 子曰: “吾嘗終日不食, 終夜不寢, 以思, 無益, 不如學也.” 공자께서 “내가 일찍이 하루가 마치도록 먹지 않고 밤이 마치도록 자지 않고 생각해보았지만 무익했다. 배우는 것만 못하다.”라고 말씀하셨다. 此爲思而不學者言之. 여기선 생각만 하고 배우지 않는 사람을 위하여 말한 것이다. 蓋勞心以必求, 不如遜志而自得也. 대체로 마음을 수고롭게 하며 반드시 구하려 하는 것이 뜻을 공손히 하며 자득하는 것만 못하다. 李氏曰: “夫子非思而不學者, 이욱(李郁)이 ..

29. 허물이 있는데도 고치지 않다 子曰: “過而不改, 是謂過矣.” 過而能改, 則復於無過. 惟不改則其過遂成, 而將不及改矣. 해석 子曰: “過而不改, 是謂過矣.” 공자께서 “허물이 있는데도 고치지 않는 것이 허물이다.”라고 말씀하셨다. 過而能改, 則復於無過. 허물이 있어 고칠 수 있다면, 허물이 없었던 때로 돌아가게 된다. 惟不改則其過遂成, 그럼에도 오직 고치지 않는다면 그 허물이 마침내 습관이 되어 而將不及改矣. 장차 고치려 해도 고쳐지는 것엔 이르지 못한다. ○ ‘논어’에서는 거듭 자성(自省)을 강조한다. 자성(自省)은 내성(內省) 혹은 반성(反省)이라고도 한다. ‘위령공(衛靈公)’의 이 장(章)에서는 우리에게, 삶의 매 순간에 자성을 통해서 스스로의 잘못을 고쳐 나가라고 촉구한다. 이 글에는 과(過)..

28. 사람이 도를 크게 할 수 있다 子曰: “人能弘道, 非道弘人.” 弘, 廓而大之也. 人外無道, 道外無人. 然人心有覺, 而道體無爲; 故人能大其道, 道不能大其人也. ○ 張子曰: “心能盡性, 人能弘道也; 性不知檢其心, 非道弘人也.” 해석 子曰: “人能弘道, 非道弘人.” 공자께서 “사람이 도(道)를 크게 할 순 있지만 도(道)가 사람을 크게 할 순 없다.”라고 말씀하셨다. 弘, 廓而大之也. 홍(弘)은 넓혀 크게 하는 것이다. 人外無道, 道外無人. 사람 밖에 도(道)가 없고 도(道) 밖에 사람이 없다. 然人心有覺, 而道體無爲; 그러나 사람 마음은 지각(知覺)이 있고 도체(道體)엔 함이 없기 때문에 故人能大其道, 道不能大其人也. 사람이 도(道)를 크게 할 수 있지만 도(道)가 사람을 크게 할 수는 없다. ○ 張..

27. 평판에 휘둘리지 말고 직접 보고 판단하라 子曰: “衆惡之, 必察焉; 衆好之, 必察焉.” 好, 惡, 並去聲. ○ 楊氏曰: “惟仁者能好惡人. 衆好惡之而不察, 則或蔽於私矣.” 해석 子曰: “衆惡之, 必察焉; 衆好之, 必察焉.” 공자께서 “대중이 미워하더라도 반드시 관찰하고 대중이 좋아하더라도 반드시 관찰하라.”라고 말씀하셨다. 好, 惡, 並去聲. ○ 楊氏曰: “惟仁者能好惡人. 양시(楊時)가 말했다. “오직 어진 사람이어야 남을 좋아하고 미워할 수 있다. 衆好惡之而不察, 則或蔽於私矣.” 대중이 그를 좋아하고 미워하기에 관찰하지 않는다면 혹 사사로움에 가려진다.” ○ 우리는 일생 남을 평가하고 또 남에게 평가받으며 살아간다. 그런데 과연 우리는 남을 사심 없이 공정하게 평가하는가. ‘논어’ ‘위령공(衛靈公..

26. 말만 번지르르함과 작은 것도 참지 못하는 것의 폐해 子曰: “巧言亂德, 小不忍則亂大謀.” 巧言, 變亂是非, 聽之使人喪其所守. 小不忍, 如婦人之仁, 匹夫之勇皆是. 해석 子曰: “巧言亂德, 小不忍則亂大謀.” 공자께서 “말을 듣기 좋게 하는 것이 덕을 어지럽히고 작은 것도 참지 못하면 큰 계책을 어지럽힌다.”라고 말씀하셨다. 巧言, 變亂是非, 교언(巧言)은 시비를 바꾸어 혼란스럽게 하여 聽之使人喪其所守. 들은 사람으로 하여금 고수할 것을 잃게 한다. 小不忍, 如婦人之仁, 작은 것도 참지 못한다는 것은 아녀자의 인(仁)이나 匹夫之勇皆是. 보통사람의 용기 같은 것이 모두 이것이다. ○ 공자는 번드르르한 말인 교언(巧言)을 경계했다. ‘논어’ ‘학이(學而)’에서는 “교언영색(巧言令色)은 선의인(鮮矣仁)이니라..

25. 시대가 흐르며 좋은 풍속이 사라진 걸 개탄하다 子曰: “吾猶及史之闕文也, 有馬者借人乘之. 今亡矣夫!” 夫, 音扶. ○ 楊氏曰: “史闕文, 馬借人, 此二事孔子猶及見之. 今亡矣夫, 悼時之益偸也.” 愚謂此必有爲而言. 蓋雖細故, 而時變之大者可知矣. ○ 胡氏曰: “此章義疑, 不可强解.” 해석 子曰: “吾猶及史之闕文也, 有馬者借人乘之. 今亡矣夫!” 공자께서 “나는 오히려 사관이 이해할 수 없는 글을 빼놓거나 말을 소유한 사람이 남에게 빌려주어 타게 하는 걸 보았지만 지금은 그런 좋은 풍속이 사라졌다.”라고 말씀하셨다. 夫, 音扶. ○ 楊氏曰: “史闕文, 馬借人, 양시(楊時)가 말했다. “사관이 글을 빼놓거나 말을 남에게 빌려주는 此二事孔子猶及見之. 두 가지 일은 공자가 오히려 함께 보았다. 今亡矣夫, 悼時之..

24. 공자가 칭찬하는 경우 子曰: “吾之於人也, 誰毁誰譽? 如有所譽者, 其有所試矣. 譽, 平聲. ○ 毁者, 稱人之惡而損其眞. 譽者, 揚人之善而過其實. 夫子無是也. 然或有所譽者, 則必嘗有以試之, 而知其將然矣. 聖人善善之速, 而無所苟如此. 若其惡惡, 則已緩矣. 是以雖有以前知其惡, 而終無所毁也. 斯民也, 三代之所以直道而行也.” 斯民者, 今此之人也. 三代, 夏ㆍ商ㆍ周也. 直道, 無私曲也. 言吾之所以無所毁譽者, 蓋以此民, 卽三代之時所以善其善, 惡其惡而無所私曲之民. 故我今亦不得而枉其是非之實也. ○ 尹氏曰: “孔子之於人也, 豈有意於毁譽之哉? 其所以譽之者, 蓋試而知其美故也. 斯民也, 三代所以直道而行, 豈得容私於其閒哉?” 해석 子曰: “吾之於人也, 誰毁誰譽? 如有所譽者, 其有所試矣. 공자께서 “내가 남에 대해서 누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