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仲尼 (485)
건빵이랑 놀자
20. 인재 얻기의 어려움 舜有臣五人而天下治. 治, 去聲. ○ 五人, 禹ㆍ稷ㆍ契,ㆍ皐陶ㆍ伯益. 武王曰: “予有亂臣十人.” 書『泰誓』之辭. 馬氏曰: “亂, 治也.” 十人, 謂周公旦ㆍ召公奭ㆍ太公望ㆍ畢公ㆍ榮公ㆍ太顚ㆍ閎夭ㆍ散宜生ㆍ南宮适, 其一人謂文母. 劉侍讀以爲子無臣母之義, 蓋邑姜也. 九人治外, 邑姜治內. 或曰: “亂本作乿, 古治字也.” 孔子曰: “才難, 不其然乎? 唐ㆍ虞之際, 於斯爲盛. 有婦人焉, 九人而已. 稱孔子者, 上係武王君臣之際, 記者謹之. 才難, 蓋古語, 而孔子然之也. 才者, 德之用也. 唐虞, 堯舜有天下之號. 際, 交會之間. 言周室人才之多, 惟唐虞之際, 乃盛於此. 降自夏商, 皆不能及, 然猶但有此數人爾, 是才之難得也. 三分天下有其二, 以服事殷. 周之德, 其可謂至德也已矣.” 『春秋傳』曰: “文王率商之畔國以..
19. 크구나! 요의 임금되심이여! 子曰: “大哉堯之爲君也! 巍巍乎! 唯天爲大, 唯堯則之. 蕩蕩乎! 民無能名焉. 唯, 猶獨也. 則, 猶準也. 蕩蕩, 廣遠之稱也. 言物之高大, 莫有過於天者, 而獨堯之德能與之準. 故其德之廣遠, 亦如天之不可以言語形容也. 巍巍乎! 其有成功也; 煥乎! 其有文章.” 成功, 事業也. 煥, 光明之貌. 文章, 禮樂法度也. 堯之德不可名, 其可見者此爾. ○ 尹氏曰: “天道之大, 無爲而成. 唯堯則之以治天下, 故民無得而名焉. 所可名者, 其功業文章巍然煥然而已.” 해석 子曰: “大哉堯之爲君也! 巍巍乎! 唯天爲大, 唯堯則之. 蕩蕩乎! 民無能名焉. 공자께서 다음과 같이 말씀하셨다. “위대하구나 요의 임금되심이여! 오직 하늘이 큼이 되니 오직 요임금께서 그것을 본받으셔서 광활하여 백성들이 이름 지을 수가..
17. 배우는 자의 자세, 배운 걸 잃을까 두려워하라 子曰: “學如不及, 猶恐失之.” 言人之爲學, 旣如有所不及矣, 而其心猶竦然, 惟恐其或失之, 警學者當如是也. ○ 程子曰: “學如不及, 猶恐失之, 不得放過. 纔說姑待明日, 便不可也.” 해석 子曰: “學如不及, 猶恐失之.” 공자께서 “배워서 미치지 못한 듯이 하고 오히려 그것을 잃을까 두려워하라.”라고 말씀하셨다. 言人之爲學, 旣如有所不及矣, ‘사람이 배움에 이미 미치지 못할 듯이 여기면서 而其心猶竦然, 그 마음에 오히려 두려워하고 惟恐其或失之, 오직 그것을 혹 잃을까 두려워하는 것이니, 警學者當如是也. 배우는 자는 마땅히 이와 같이 해야 함을 경계하신 것이다.’라는 말이다. ○ 程子曰: “學如不及, 정이천이 말했다. “배워서 미치지 못한 듯이 하고 猶恐失之..
16. 한쪽으로 치되 균형을 맞추려 노력하라 子曰: “狂而不直, 侗而不愿, 悾悾而不信, 吾不知之矣.” 侗, 音通. 悾, 音空. ○ 侗, 無知貌. 愿, 謹厚也. 悾悾, 無能貌. 吾不知之者, 甚絶之之辭, 亦不屑之敎誨也. ○ 蘇氏曰: “天之生物, 氣質不齊. 其中材以下, 有是德則有是病, 有是病必有是德. 故馬之蹄齧者必善走, 其不善者必馴. 有是病而無是德, 則天下之棄才也.” 해석 子曰: “狂而不直, 侗而不愿, 悾悾而不信, 吾不知之矣.” 공자께서 “정열적이면서 정직하지 못하고 순진하면서 삼가지 않으며 가식이 없으면서 믿을 구석조차 없는 사람을 나는 알지 못한다.”라고 말씀하셨다. 侗, 音通. 悾, 音空. ○ 侗, 無知貌. 통(侗)은 무지한 모양이다. 愿, 謹厚也. 悾悾, 無能貌. 원(愿)은 삼가고 후덕한 것이다. 공공..
15. 황홀한 관저의 노랫가락 子曰: “師摯之始, 關雎之亂, 洋洋乎! 盈耳哉.” 摯, 音至. 雎, 七余反. ○ 師摯, 魯樂師名摯也. 亂, 樂之卒章也. 『史記』曰: “關雎之亂以爲風始.” 洋洋, 美盛意. 孔子自衛反魯而正樂, 適師摯在官之初, 故樂之美盛如此. 해석 子曰: “師摯之始, 關雎之亂, 洋洋乎! 盈耳哉.” 공자께서 “악사 지가 처음 벼슬할 때 연주한 『관저』의 마지막 악장이 넘실넘실 귀에 가득하더구나.”라고 말씀하셨다. 摯, 音至. 雎, 七余反. ○ 師摯, 魯樂師名摯也. 사지(師摯)는 노나라 악사로 이름이 지다. 亂, 樂之卒章也. 난(亂)은 악장의 마지막 장이다. 『史記』曰: “關雎之亂以爲風始.” 『사기』에서 “관저의 마지막은 「국풍」의 시작이다.”라고 했다. 洋洋, 美盛意. 양양(洋洋)은 아름답고 성대..

14. 그 지위에 있어야 정치를 도모할 수 있다 子曰: “不在其位, 不謀其政.” 程子曰: “不在其位, 則不任其事也, 若君大夫問而告者則有矣.” 해석 子曰: “不在其位, 不謀其政.” 공자께서 “그 지위에 있지 않고선 정치를 도모하지 않는다.” 程子曰: “不在其位, 則不任其事也, 정이천이 말했다. “그 지위에 있지 않다면 그 일을 맡질 못한다. 若君大夫問而告者則有矣.” 그러나 임금과 대부가 물은 것을 말해주는 경우는 있을 수 있다.” ○ 조정에서의 지위가 없는 사람이 국가 정책을 논하는 것을 횡의(橫議)라고 한다. ‘논어’ 태백(泰伯)의 이 장(章)은 횡의(橫議)를 올바르지 못한 정치행위로 규정했다. 국민 모두가 직간접으로 정치에 관여하는 현대 상황과는 부합하지 않는다. 하지만 월권(越權)을 방지하고 조직체계..
13. 나라에 도가 있을 땐 가난한 게, 도가 없을 땐 부귀한 게 부끄럽다 子曰: “篤信好學, 守死善道. 好, 去聲. ○ 篤, 厚而力也. 不篤信, 則不能好學; 然篤信而不好學, 則所信或非其正. 不守死, 則不能以善其道; 然守死而不足以善其道, 則亦徒死而已. 蓋守死者篤信之效, 善道者好學之功. 危邦不入, 亂邦不居. 天下有道則見, 無道則隱. 見, 賢遍反. ○ 君子見危授命, 則仕危邦者無可去之義, 在外則不入可也. 亂邦未危, 而刑政紀綱紊矣, 故潔其身而去之. 天下, 擧一世而言. 無道, 則隱其身而不見也. 此惟篤信好學, 守死善道者能之. 邦有道, 貧且賤焉, 恥也; 邦無道, 富且貴焉, 恥也.” 世治而無可行之道, 世亂而無能守之節, 碌碌庸人, 不足以爲士矣, 可恥之甚也. ○ 晁氏曰: “有學有守, 而去就之義潔, 出處之分明, 然後爲君子之..
12. 배움에 뜻을 둔다는 것 子曰: “三年學, 不至於穀, 不易得也.” 易, 去聲. ○ 穀, 祿也. 至, 疑當作志. 爲學之久, 而不求祿, 如此之人, 不易得也. ○ 楊氏曰: “雖子張之賢, 猶以干祿爲問, 況其下者乎? 然則三年學而不至於穀, 宜不易得也.” ○ 穀, 善. 言人三歲學不至於善, 不可得. 言必無及也, 所以勸人於學也. 해석 子曰: “三年學, 不至於穀, 不易得也.” 공자께서 “3년 동안 배우고서 녹봉에 뜻을 두지 않는 사람을 얻기가 쉽지 않다.”라고 말씀하셨다. 易, 去聲. ○ 穀, 祿也. 곡(穀)은 녹봉이다. 至, 疑當作志. 지(至)는 마땅히 지(志)로 지어야 할 듯하다. 爲學之久, 而不求祿, 배운 지 오래되었는데 녹봉을 구하지 않는다면 如此之人, 不易得也. 이러한 사람이라면 얻기가 쉽지 않다. ○ 楊氏..
11. 후천적 노력이 정말 중요하다 子曰: “如有周公之才之美, 使驕且吝, 其餘不足觀也已.” 才美, 謂智能技藝之美. 驕, 矜夸. 吝, 鄙嗇也. ○ 程子曰: “此甚言驕吝之不可也. 蓋有周公之德, 則自無驕吝; 若但有周公之才而驕吝焉, 亦不足觀矣.” 又曰: “驕, 氣盈. 吝, 氣歉.” 愚謂驕吝雖有盈歉之殊, 然其勢常相因. 蓋驕者吝之枝葉, 吝者驕之本根. 故嘗驗之天下之人, 未有驕而不吝, 吝而不驕者也. 해석 子曰: “如有周公之才之美, 使驕且吝, 其餘不足觀也已.” 공자께서 “주공 재질의 아름다움을 소유하고서도 교만하고 인색하면 나머지는 볼 만한 게 없다.”라고 말씀하셨다. 才美, 謂智能技藝之美. 재미(才美)는 지능과 기예가 아름답다는 말이다. 驕, 矜夸. 吝, 鄙嗇也. 교(驕)는 자랑하고 과장하는 것이다. 린(吝)은 비루하..
10. 난리를 일으키는 두 부류의 사람 子曰: “好勇疾貧, 亂也. 人而不仁, 疾之已甚, 亂也.” 好, 去聲. ○ 好勇而不安分, 則必作亂. 惡不仁之人而使之無所容, 則必致亂. 二者之心, 善惡雖殊, 然其生亂則一也. 해석 子曰: “好勇疾貧, 亂也. 人而不仁, 疾之已甚, 亂也.” 공자께서 “용맹을 좋아하면서 가난을 싫어하면 난리를 일으키고 사람이면서 불인한 것은 싫어함이 너무 심하면 난리를 일으킨다.”라고 말씀하셨다. 好, 去聲. ○ 好勇而不安分, 則必作亂. 용맹을 좋아하지만 분수를 편안히 여기지 않으면 반드시 난리를 일으킨다. 惡不仁之人而使之無所容, 불인한 사람을 미워하되 그로 하여금 용납할 것이 없으면 則必致亂. 반드시 난리에 이른다. 二者之心, 善惡雖殊, 두 사람의 마음은 선악이 비록 다르지만 然其生亂則一也..
9. 유교의 우민화정책인가 합리적 방법인가 子曰: “民可使由之, 不可使知之.” 民可使之由於是理之當然, 而不能使之知其所以然也. ○ 程子曰: “聖人設敎, 非不欲人家喩而戶曉也, 然不能使之知, 但能使之由之爾. 若曰聖人不使民知, 則是後世朝四暮三之術也, 豈聖人之心乎?” 해석 子曰: “民可使由之, 不可使知之.” 공자께서 “백성은 도에 따르도록 할 수는 있지만 도를 알게 할 수는 없다.”라고 말씀하셨다. 民可使之由於是理之當然, 백성은 이치의 당연한 것에 말미암도록 할 순 있지만 而不能使之知其所以然也. 그들로 그 까닭을 알게 할 순 없다. ○ 程子曰: “聖人設敎, 정이천이 말했다. “성인이 가르침을 베풂에 非不欲人家喩而戶曉也, 사람마다 깨우치고 집마다 깨우치려 하지 않는 게 없지만, 然不能使之知, 그러나 그들로 하여금 ..
8. 시와 예와 악으로 보는 배움의 과정 子曰: “興於詩, 興, 起也. 詩本性情, 有邪有正, 其爲言旣易知, 而吟詠之間, 抑揚反覆, 其感人又易入. 故學者之初, 所以興起其好善惡惡之心, 而不能自已者, 必於此而得之. 立於禮. 禮以恭敬辭遜爲本, 而有節文度數之詳, 可以固人肌膚之會, 筋骸之束. 故學者之中, 所以能卓然自立, 而不爲事物之所搖奪者, 必於此而得之. 成於樂.” 樂有五聲十二律, 更唱迭和, 以爲歌舞ㆍ八音之節. 可以養人之性情, 而蕩滌其邪穢, 消融其査滓. 故學者之終, 所以至於義精仁熟, 而自和順於道德者, 必於此而得之, 是學之成也. ○ 按「內則」, 十年學幼儀, 十三學樂誦詩, 二十而後學禮. 則此三者, 非小學傳授之次, 乃大學終身所得之難易, 先後, 淺深也. 程子曰: “天下之英才不爲少矣, 特以道學不明, 故不得有所成就. 夫古人之..
7. 유학자의 삶의 무게 曾子曰: “士不可以不弘毅, 任重而道遠. 弘, 寬廣也. 毅, 强忍也. 非弘不能勝其重, 非毅無以致其遠. 仁以爲己任, 不亦重乎? 死而後已, 不亦遠乎?” 仁者, 人心之全德, 而必欲以身體而力行之, 可謂重矣. 一息尙存, 此志不容少懈, 可謂遠矣. ○ 程子曰: “弘而不毅, 則無規矩而難立; 毅而不弘, 則隘陋而無以居之.” 又曰: “弘大剛毅, 然後能勝重任而遠到.” 해석 曾子曰: “士不可以不弘毅, 任重而道遠. 증자가 말했다. “선비가 뜻을 넓히고 굳세게 아니할 수 없으니 임무가 중하고 길은 멀기 때문이다. 弘, 寬廣也. 毅, 强忍也. 홍(弘)은 너그럽고 광대한 것이다. 의(毅)는 강하고 인내하는 것이다. 非弘不能勝其重, 넓지 않으면 중한 것을 감당할 수 없고 非毅無以致其遠. 굳세지 않으면 먼 곳에 이..
6. 증자가 생각하는 군자다운 사람 曾子曰: “可以託六尺之孤, 可以寄百里之命, 臨大節而不可奪也. 君子人與? 君子人也.” 與, 平聲. ○ 其才可以輔幼君, 攝國政, 其節至於死生之際而不可奪, 可謂君子矣. 與, 疑辭. 也, 決辭. 設爲問答, 所以深著其必然也. ○ 程子曰: “節操如是, 可謂君子矣.” 해석 曾子曰: “可以託六尺之孤, 可以寄百里之命, 臨大節而不可奪也. 君子人與? 君子人也.” 증자가 “6척의 어린 군주를 맡길 만하고 100리의 제후의 명을 기탁할 만하며 생사가 달린 대절(大節)의 상황에 임하여 빼앗을 수 없다면 군자다운 사람인가? 군자다운 사람이다.”라고 말했다. 與, 平聲. ○ 其才可以輔幼君, 攝國政, 재주가 어린 임금을 보좌할 만하고 국정을 섭정할 만하고 其節至於死生之際而不可奪, 可謂君子矣. 그 절..
5. 증삼이 묘사한 안연의 모습 曾子曰: “以能問於不能, 以多問於寡; 有若無, 實若虛, 犯而不校, 校, 計校也. 昔者吾友嘗從事於斯矣.” 友, 馬氏以爲顔淵是也. 顔子之心, 惟知義理之無窮, 不見物我之有間, 故能如此. ○ 謝氏曰: “不知有餘在己, 不足在人; 不必得爲在己, 失爲在人, 非幾於無我者不能也.” 해석 曾子曰: “以能問於不能, 以多問於寡; 증자가 말했다. “잘하면서 잘하지 못한 이에게 묻고, 많으면서도 적은 이에게 물으며, 有若無, 實若虛, 犯而不校, 있으면서도 없는 듯, 꽉 차 있으면서도 빈 듯, 누군가 무례한 짓을 해도 따지지 않으니, 校, 計校也. 교(校)는 헤아려보는 것이다. 昔者吾友嘗從事於斯矣.” 옛적 나의 벗인 안회가 일찍이 여기에 종사했었지.” 友, 馬氏以爲顔淵是也. 벗이란, 마씨가 안연이라..
4. 증자가 죽기 전에 위정자에게 해주고 싶던 말 曾子有疾, 孟敬子問之. 孟敬子, 魯大夫仲孫氏, 名捷. 問之者, 問其疾也. 曾子言曰: “鳥之將死, 其鳴也哀; 人之將死, 其言也善. 言, 自言也. 鳥畏死, 故鳴哀. 人窮反本, 故言善. 此曾子之謙辭, 欲敬子知其所言之善而識之也. 君子所貴乎道者三: 動容貌, 斯遠暴慢矣; 正顔色, 斯近信矣; 出辭氣, 斯遠鄙倍矣. 籩豆之事, 則有司存.” 遠, 近, 並去聲. ○ 貴, 猶重也. 容貌, 擧一身而言. 暴, 粗厲也. 慢, 放肆也. 信, 實也. 正顔色而近信, 則非色莊也. 辭, 言語. 氣, 聲氣也. 鄙, 凡陋也. 倍, 與背同, 謂背理也. 籩, 竹豆. 豆, 木豆. 言道雖無所不在, 然君子所重者, 在此三事而已. 是皆脩身之要, 爲政之本, 學者所當操存省察, 而不可有造次顚沛之違者也. 若夫籩豆..
2. 무례한 인간의 특징 子曰: “恭而無禮則勞, 愼而無禮則葸, 勇而無禮則亂, 直而無禮則絞. 葸, 絲里反. 絞, 古卯反. ○ 葸, 畏懼貌. 絞, 急切也. 無禮則無節文, 故有四者之弊. 君子篤於親, 則民興於仁; 故舊不遺, 則民不偸.” 君子, 謂在上之人也. 興, 起也. 偸, 薄也. ○ 張子曰: “人道知所先後, 則恭不勞, 愼不葸, 勇不亂, 直不絞, 民化而德厚矣.” ○ 吳氏曰: “君子以下, 當自爲一章, 乃曾子之言也.” 愚按: 此一節與上文不相蒙, 而與首篇愼終追遠之意相類, 吳說近是. 해석 子曰: “恭而無禮則勞, 愼而無禮則葸, 勇而無禮則亂, 直而無禮則絞.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공손하되 무례하면 수고롭기만 하고, 신중하되 무례하면 두려우며, 용맹하되 무례하면 난리를 피우고, 강직하되 무례하면 급해진다. 葸, 絲里反. 絞..

1. 고공단보의 맏아들 태백에 대해 凡二十一章. 子曰: “泰伯, 其可謂至德也已矣! 三以天下讓, 民無得而稱焉.” 泰伯, 周大王之長子. 至德, 謂德之至極, 無以復加者也. 三讓, 謂固遜也. 無得而稱, 其遜隱微, 無迹可見也. 蓋大王三子: 長泰伯, 次仲雍, 次季歷. 大王之時, 商道寖衰, 而周日强大. 季歷又生子昌, 有聖德. 大王因有翦商之志, 而泰伯不從, 大王遂欲傳位季歷以及昌. 泰伯知之, 卽與仲雍逃之荊蠻. 於是大王乃立季歷, 傳國至昌, 而三分天下有其二, 是爲文王. 文王崩, 子發立, 遂克商而有天下, 是爲武王. 夫以泰伯之德, 當商ㆍ周之際, 固足以朝諸侯有天下矣, 乃棄不取而又泯其迹焉, 則其德之至極爲何如哉! 蓋其心卽夷齊扣馬之心, 而事之難處有甚焉者, 宜夫子之歎息而贊美之也. 泰伯不從, 事見『春秋傳』. 해석 凡二十一章. 모두 21장..
술이(述而) 제칠(第七) 此篇多記聖人謙己誨人之辭及其容貌行事之實. 凡三十七章. 1. 전술하되 창작하지 않는다 子曰: “述而不作, 述, 傳舊而已. 作, 則創始也. 故作非聖人不能, 而述則賢者可及. 信而好古, 好, 去聲. 竊比於我老彭.” 竊比, 尊之之辭. 我, 親之之辭. 老彭, 商賢大夫, 見「大戴禮」, 蓋信古而傳述者也. 孔子刪『詩』『書』, 定『禮』『樂』, 贊『周易』, 脩『春秋』, 皆傳先王之舊, 而未嘗有所作也. 故其自言如此. 蓋不惟不敢當作者之聖, 而亦不敢顯然自附於古之賢人; 蓋其德愈盛而心愈下, 不自知其辭之謙也. 然當是時, 作者略備, 夫子蓋集群聖之大成而折衷之. 其事雖述, 而功則倍於作矣, 此又不可不知也. ⇒해석보기 2. 이해하고, 배우길 좋아하며, 가르치길 부지런히 한다 子曰: “黙而識之, 學而不厭, 識, ..
37. 공자란 사람에 대해 子溫而厲, 威而不猛, 恭而安. 厲, 嚴肅也. 人之德性本無不備, 而氣質所賦, 鮮有不偏, 惟聖人全體渾然, 陰陽合德, 故其中和之氣見於容貌之間者如此. 門人熟察而詳記之, 亦可見其用心之密矣. 抑非知足以知聖人而善言ㆍ德行者不能也. 故程子以爲曾子之言. 學者所宜反復而玩心也. 해석 子溫而厲, 威而不猛, 恭而安. 공자께서는 온화하되 엄숙하고 위엄 있되 사납지 않으며 공손하되 편안하셨다. 厲, 嚴肅也. 려(厲)는 엄숙함이다. 人之德性本無不備, 사람의 덕성이 본래 갖춰지지 않음이 없지만 而氣質所賦, 鮮有不偏, 기질이 부여한 것은 치우치지 않기가 드무니, 惟聖人全體渾然, 陰陽合德, 오직 성인은 전체가 혼연하여 음양이 덕에 합치된다. 故其中和之氣見於容貌之間者如此. 그러므로 중화(中和)의 기가 용모의 사이에..
36. 늘 걱정투성이인 사람에게 子曰: “君子坦蕩蕩, 小人長戚戚.” 坦, 平也. 蕩蕩, 寬廣貌. 程子曰: “君子循理, 故常舒泰; 小人役於物, 故多憂戚.” ○ 程子曰: “君子坦蕩蕩, 心廣體胖.” ○ 伊藤仁曰: “君子每要檢束, 故其心反寬廣, 小人自好放縱, 故不免長戚戚. 是學者之所當自省也.” 해석 子曰: “君子坦蕩蕩, 小人長戚戚.” 공자께서 “군자는 평탄하고 여유로우며 소인은 늘 근심한다.”라고 말씀하셨다. 坦, 平也. 蕩蕩, 寬廣貌. 탄(坦)은 평탄한 것이다. 탕탕(蕩蕩)은 너그럽고 광대한 모양이다. 程子曰: “君子循理, 故常舒泰; 정이천이 말했다. “군자는 이치를 따르기 때문에 늘 너그럽고 태연하며, 小人役於物, 故多憂戚.” 소인은 외물에 부림을 당하기 때문에 많이 근심하고 걱정한다.” ○ 程子曰: “君子..
35. 사치스럽기보단 검소하라 子曰: “奢則不孫, 儉則固. 與其不孫也, 寧固.” 孫, 去聲. ○ 孫, 順也. 固, 陋也. 奢儉俱失中, 而奢之害大. ○ 晁氏曰: “不得已而救時之弊也.” 해석 子曰: “奢則不孫, 儉則固. 與其不孫也, 寧固.” 공자께서 “사치스러우면 겸손하지 않고 검소하면 고루해지니, 겸손하지 않기보다 차라리 고루하리라.”라고 말씀하셨다. 孫, 去聲. ○ 孫, 順也. 固, 陋也. 손(孫)은 순종한다는 것이다. 고(固)는 고루하다는 것이다. 奢儉俱失中, 而奢之害大. 사치스럽고 검소한 것은 모두 가운데를 잃었지만 사치스러움의 피해는 크다. ○ 晁氏曰: “不得已而救時之弊也.” 조열지(晁說之)가 말했다. “부득이하게 당시의 폐단을 구제하였다.” 인용목차 / 전문 / 한글역주생애 / 공자 / 유랑도 /..
34. 중병을 앓는 공자에게 기도하길 청한 자로 子疾病, 子路請禱. 子曰: “有諸?” 禱, 謂禱於鬼神. 有諸, 問有此理否. 子路對曰: “有之. 誄曰: 禱爾于上下神祇.” 誄, 力軌反. ○ 誄者, 哀死而述其行之辭也. 上下, 謂天地. 天曰神, 地曰祇. 禱者, 悔過遷善, 以祈神之佑也. 子曰: “丘之禱久矣.” 無其理則不必禱, 旣曰有之, 則聖人未嘗有過, 無善可遷. 其素行固已合於神明, 故曰: “丘之禱久矣.” 又「士喪禮」, 疾病行禱五祀, 蓋臣子迫切之至情, 有不能自已者, 初不請於病者而後禱也. 故孔子之於子路, 不直拒之, 而但告以無所事禱之意. 해석 子疾病, 子路請禱. 子曰: “有諸?” 공자께서 중병이 들어 자로가 기도할 것을 청하였다. 공자께서 “이런 일이 있는가?”라고 말씀하셨다. 禱, 謂禱於鬼神. 도(禱)는 귀신에게 기..

33. 실천하길 싫어하지 않았으며, 가르치길 게을리 하지 않았다 子曰: “若聖與仁, 則吾豈敢? 抑爲之不厭, 誨人不倦, 則可謂云爾已矣.” 此亦夫子之謙辭也. 聖者, 大而化之. 仁, 則心德之全而人道之備也. 爲之, 謂爲仁聖之道. 誨人, 亦謂以此敎人也. 公西華曰: “正唯弟子不能學也.” 然不厭不倦, 非己有之則不能, 所以弟子不能學也. ○ 晁氏曰: “當時有稱夫子聖且仁者, 以故夫子辭之. 苟辭之而已焉, 則無以進天下之材, 率天下之善, 將使聖與仁爲虛器, 而人終莫能至矣. 故夫子雖不居仁聖, 而必以爲之不厭, 誨人不倦自處也.” 可謂云爾已矣者, 無他之辭也. 公西華仰而歎之, 其亦深知夫子之意矣. 해석 子曰: “若聖與仁, 則吾豈敢? 抑爲之不厭, 誨人不倦, 則可謂云爾已矣.” 공자께서 “성과 인 같은 것을 내가 어찌 감당할 수 있겠느냐? 그러..
32. 군자의 도(道)는 행하기 어려워 子曰: “文, 莫吾猶人也. 莫, 疑辭. 猶人, 言不能過人, 而尙可以及人. 躬行君子, 則吾未之有得.” 未之有得, 則全未有得, 皆自謙之辭. 而足以見言行之難易緩急, 欲人之勉其實也. ○ 謝氏曰: “文雖聖人無不與人同, 故不遜; 能躬行君子, 斯可以入聖, 故不居; 猶言君子道者三我無能焉.” ○ 『論語正義』曰: “文莫, 行仁義也. 躬行君子, 由仁義也. 夫子謙不敢居安行, 而以勉強而行自承, 猶之言學不敢居生知, 而以學知自承也.” 해석 子曰: “文, 莫吾猶人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문(文)은 내가 남과 같지 않겠는가? 莫, 疑辭. 막(莫)은 의문사다. 猶人, 言不能過人, 而尙可以及人. 유인(猶人)은 사람을 넘어서진 못하나 오히려 남에게 미칠 수 있다는 말이다. 躬行君子, 則吾未之有得...
31. 함께 노래 부르는 모습에서 보는 공자의 호학정신 子與人歌而善, 必使反之, 而後和之. 和, 去聲. ○ 反, 復也. 必使復歌者, 欲得其詳而取其善也. 而後和之者, 喜得其詳而與其善也. 此見聖人氣象從容, 誠意懇至, 而其謙遜審密, 不掩人善又如此. 蓋一事之微, 而衆善之集, 有不可勝旣者焉, 讀者宜詳味之. 해석 子與人歌而善, 必使反之, 而後和之. 공자께서는 사람과 함께 노래 부를 때에 잘 부르면 반드시 다시 부르도록 하셨고 그 후에야 따라 부르셨다. 和, 去聲. ○ 反, 復也. 반(反)은 반복하는 것이다. 必使復歌者, 欲得其詳而取其善也. 반드시 다시 부르게 한다는 것은 상세함을 얻고 선을 취하도록 하려 한 것이다. 而後和之者, 喜得其詳而與其善也. 이후에 따라 불렀다는 것은 기쁘게 상세함을 얻고 선을 함께 한 것이..
30. 자신의 잘못을 바로 인정한 공자 陳司敗問昭公知禮乎? 孔子曰: “知禮.” 陳, 國名. 司敗, 官名, 卽司寇也. 昭公, 魯君, 名裯. 習於威儀之節, 當時以爲知禮. 故司敗以爲問, 而孔子答之如此. 孔子退, 揖巫馬期而進之, 曰: “吾聞君子不黨, 君子亦黨乎? 君取於吳爲同姓, 謂之吳孟子. 君而知禮, 孰不知禮?” 取, 七住反. ○ 巫馬姓, 期字, 孔子弟子, 名施. 司敗揖而進之也. 相助匿非曰黨. 禮不娶同姓, 而魯與吳皆姬姓. 謂之吳孟子者, 諱之使若宋女子姓者然. 巫馬期以告. 子曰: “丘也幸, 苟有過, 人必知之.” 孔子不可自謂諱君之惡, 又不可以娶同姓爲知禮, 故受以爲過而不辭. ○ 吳氏曰: “魯蓋夫子父母之國, 昭公, 魯之先君也. 司敗又未嘗顯言其事, 而遽以知禮爲問, 其對之宜如此也. 及司敗以爲有黨, 而夫子受以爲過, 蓋夫子之盛..
28. 자기의 울타리를 깨고 나아가는 공자 互鄕難與言, 童子見, 門人惑. 見, 賢遍反. ○ 互鄕, 鄕名. 其人習於不善, 惑者, 疑夫子不當見之也. 子曰: “與其進也, 不與其退也, 唯何甚! (人潔己以進, 與其潔也, 不保其往也.)” 疑此章有錯簡. “人潔” 至“往也”十四字, 當在“與其進也”之前. 潔, 脩治也. 與, 許也. 往, 前日也. 言人潔己而來, 但許其能自潔耳, 固不能保其前日所爲之善惡也; 但許其進而來見耳, 非許其旣退而爲不善也. 蓋不追其旣往, 不逆其將來, 以是心至, 斯受之耳. 唯字上下, 疑又有闕文, 大抵亦不爲已甚之意. ○ 程子曰: “聖人待物之洪如此.” 해석 互鄕難與言, 童子見, 門人惑. 호향의 사람들과는 함께 말하기 어려운데 호향의 어린아이가 공자님을 뵈오니 문인들이 의혹스러워 했다. 見, 賢遍反. ○ 互鄕,..
27. 많이 듣고 많이 보는 것이 지식을 쌓는 길 子曰: “蓋有不知而作之者, 我無是也. 不知而作, 不知其理而妄作也. 孔子自言未嘗妄作, 蓋亦謙辭, 然亦可見其無所不知也. 多聞擇其善者而從之, 多見而識之, 知之次也.” 識, 音志. ○ 識, 記也. 所從不可不擇, 記則善惡皆當存之, 以備參考. 如此者雖未能實知其理, 亦可以次於知之者也. 해석 子曰: “蓋有不知而作之者, 我無是也.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대저 알지 못하는데 지어내는 사람이 있는가? 나는 이것이 없다. 不知而作, 不知其理而妄作也. 부지이작(不知而作)은 이치를 알지 못하고서 망령되이 움직이는 것이다. 孔子自言未嘗妄作, 공자는 스스로 ‘일찍이 망령되이 행동하지 않는다’고 말했으니, 蓋亦謙辭, 대개 또한 겸사이지만 然亦可見其無所不知也. 또한 알지 못하는 게 없다..

26. 많이 잡기보다 적당히 子釣而不綱, 弋不射宿. 射, 食亦反. ○ 綱, 以大繩屬網, 絶流而漁者也. 弋, 以生絲繫矢而射也. 宿, 宿鳥. ○ 洪氏曰: “孔子少貧賤, 爲養與祭, 或不得已而釣弋, 如獵較是也. 然盡物取之, 出其不意, 亦不爲也. 此可見仁人之本心矣. 待物如此, 待人可知; 小者如此, 大者可知.” 해석 子釣而不綱, 弋不射宿. 공자께서는 낚시질을 하되 그물낚시는 하지 않았고 주살을 쏘되 잠자는 새는 쏘지 않았다. 射, 食亦反. ○ 綱, 以大繩屬網, 絶流而漁者也. 망(綱)은 굵은 끈으로 그물을 연결하여 물 흐름을 끊고서 잡는 것이다. 弋, 以生絲繫矢而射也. 익(弋)은 생실로 화살에 매어서 쏘는 것이다. 宿, 宿鳥. 숙(宿)은 자고 있는 새다. ○ 洪氏曰: “孔子少貧賤, 爲養與祭, 홍흥조(洪興祖)가 말했다..
25. 떳떳한 마음을 지닌 사람이 되어라 子曰: “聖人, 吾不得而見之矣; 得見君子者, 斯可矣.” 聖人, 神明不測之號. 君子, 才德出衆之名. 子曰: “善人, 吾不得而見之矣; 得見有恆者, 斯可矣. 恆, 胡登反. ○ “子曰” 字疑衍文. 恆, 常久之意. 張子曰: “有恆者, 不貳其心. 善人者, 志於仁而無惡.” 亡而爲有, 虛而爲盈, 約而爲泰, 難乎有恆矣.” 亡, 讀爲無. ○ 三者皆虛夸之事, 凡若此者, 必不能守其常也. ○ 張敬夫曰: “聖人, 君子以學言, 善人, 有恆者以質言.” 愚謂有恆者之與聖人, 高下固懸絶矣, 然未有不自有恆而能至於聖者也. 故章末申言有恆之義, 其示人入德之門, 可謂深切而著明矣. 해석 子曰: “聖人, 吾不得而見之矣; 得見君子者, 斯可矣.”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성인을 내가 얻어볼 수 없다면 군자를 얻어 ..
24. 공자의 네 가지 가르침 子以四敎: 文ㆍ行ㆍ忠ㆍ信. 行, 去聲. ○ 程子曰: “敎人以學文脩行而存忠信也. 忠信, 本也.” 해석 子以四敎: 文ㆍ行ㆍ忠ㆍ信. 공자께서 네 가지로 가르치셨으니 글과 행실과 충성과 믿음이다. 行, 去聲. ○ 程子曰: “敎人以學文脩行而存忠信也. 정이천이 말했다. “사람을 가르치기를 글을 배우고 행실을 닦으며 충성과 믿음을 보존하는 것으로 했다. 忠信, 本也.” 충신(忠信)은 근본이다.” 공문사교(孔門四敎) 문(文) 문자학․어학(philology), 문학(literature) 행(行) 사회과학(social science), 사회적 실천(social practice) 충(忠) 내면적 덕성의 함양(cultivation of inner virtues), 진지함(earnestness) ..
23. ‘그게 바로 나야 나’라 말한 공자 子曰: “二三子以我爲隱乎? 吾無隱乎爾. 諸弟子以夫子之道高深不可幾及, 故疑其有隱, 而不知聖人作, 止, 語, 黙無非敎也, 故夫子以此言曉之. 吾無行而不與二三子者, 是丘也.” 與, 猶示也. ○ 程子曰: “聖人之道猶天然, 門弟子親炙而冀及之, 然後知其高且遠也. 使誠以爲不可及, 則趨向之心不幾於怠乎? 故聖人之敎, 常俯而就之如此, 非獨使資質庸下者勉思企及, 而才氣高邁者亦不敢躐易而進也.” 呂氏曰: “聖人體道無隱, 與天象昭然, 莫非至敎. 常以示人, 而人自不察.” 해석 子曰: “二三子以我爲隱乎? 吾無隱乎爾.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제자들아 내가 숨긴다고 생각하는가? 나는 너희들에게 숨기지 않노라. 諸弟子以夫子之道高深不可幾及, 제자들이 부자의 도가 높고 깊어 거의 미치지 못할 것으로 여..
22. 사마상퇴가 공자를 죽이려 하다 子曰: “天生德於予, 桓魋其如予何?” 魋, 徒雷反. ○ 桓魋, 宋司馬向魋也. 出於桓公, 故又稱桓氏. 魋欲害孔子, 孔子言天旣賦我以如是之德, 則桓魋其奈我何? 言必不能違天害己. 해석 子曰: “天生德於予, 桓魋其如予何?” 공자께서 “하늘이 나에게 덕을 주셨으니 환퇴가 나를 어찌하리오?”라고 말씀하셨다. 魋, 徒雷反. ○ 桓魋, 宋司馬向魋也. 환퇴는 송나라 사마상퇴다. 出於桓公, 故又稱桓氏. 환공을 내쫓았기 때문에 또한 환씨라고 일컬어졌다. 魋欲害孔子, 환퇴가 공자를 해하려 하니 孔子言天旣賦我以如是之德, 공자는 하늘이 이미 나에게 이와 같은 덕을 부여했으니, 則桓魋其奈我何? 환퇴가 나를 어떻게 하겠는가라고 말했다. 言必不能違天害己. 이것은 반드시 하늘을 거스르고 나를 해할 수..

21. 사람의 장단점, 모든 게 나의 본보기 子曰: “三人行, 必有我師焉. 擇其善者而從之, 其不善者而改之.” 三人同行, 其一我也. 彼二人者, 一善一惡, 則我從其善而改其惡焉, 是二人者皆我師也. ○ 尹氏曰: “見賢思齊, 見不賢而內自省, 則善惡皆我之師, 進善其有窮乎?” 해석 子曰: “三人行, 必有我師焉. 擇其善者而從之, 其不善者而改之.” 공자께서 “세 사람이 다님에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 좋은 점을 선택하여 그것을 따르고 나쁜 점은 고쳐서 교훈으로 삼는다.”고 말씀하셨다. 三人同行, 其一我也. 세 사람이 함께 다닌다는 것은 그 중 한 사람은 나이다. 彼二人者, 一善一惡, 두 사람은 하나는 좋은 점을 지닌 사람이고 하나는 나쁜 점을 지닌 사람이라고 한다면, 則我從其善而改其惡焉, 나는 그 좋은 것을 따르고 나..
20. 공자가 말하지 않았던 네 가지 子不語怪, 力, 亂, 神. 怪異, 勇力, 悖亂之事, 非理之正, 固聖人所不語. 鬼神, 造化之迹, 雖非不正, 然非窮理之至, 有未易明者, 故亦不輕以語人也. ○ 謝氏曰: “聖人語常而不語怪, 語德而不語力, 語治而不語亂, 語人而不語神.” 해석 子不語怪, 力, 亂, 神. 공자께서는 괴이함과 용맹스러움과 혼란스러움과 귀신에 대해선 말씀하시지 않으셨다. 怪異, 勇力, 悖亂之事, 괴이하고 용맹스러우며 호기로운 것, 어그러지고 혼란스러운 일, 非理之正, 固聖人所不語. 이치의 바름이 아닌 것은 진실로 성인이 말하지 않는 것이다. 鬼神, 造化之迹, 雖非不正, 귀신은 조화의 자취이기에 비록 부정한 것은 아니지만, 然非窮理之至, 有未易明者, 궁리의 지극함이 아니면 쉽게 설명할 수가 없기 때문에..
19. 공자, 옛 것을 좋아하여 민첩히 구하는 자라고 천명하다 子曰: “我非生而知之者, 好古, 敏以求之者也.” 好, 去聲. ○ 生而知之者, 氣質淸明, 義理昭著, 不待學而知也. 敏, 速也, 謂汲汲也. ○ 尹氏曰: “孔子以生知之聖, 每云好學者, 非惟勉人也, 蓋生而可知者義理爾, 若夫禮樂名物, 古今事變, 亦必待學而後有以驗其實也. 해석 子曰: “我非生而知之者, 好古, 敏以求之者也.” 공자께서 “나는 나면서부터 아는 사람은 아니다. 옛것을 좋아하여 민첩하게 구하는 사람이다.”라고 말씀하셨다. 好, 去聲. ○ 生而知之者, 氣質淸明, ‘생이지지(生而知之)’라는 것은 기질이 청명하고 義理昭著, 不待學而知也. 의리가 밝게 드러나 배움을 기다리지 않아도 아는 것이다. 敏, 速也, 謂汲汲也. 민(敏)은 신속함으로, 급급하다는..

18. 공자의 호학, 발분망식(發憤忘食) 葉公問孔子於子路, 子路不對. 葉, 舒涉反. ○ 葉公, 楚葉縣尹沈諸梁, 字子高, 僭稱公也. 葉公不知孔子, 必有非所問而問者, 故子路不對. 抑亦以聖人之德, 實有未易名言者與? 子曰: “女奚不曰, 其爲人也, 發憤忘食, 樂以忘憂, 不知老之將至云爾.” 未得, 則發憤而忘食; 已得, 則樂之而忘憂. 以是二者俛焉日有孶孶, 而不知年數之不足, 但自言其好學之篤耳. 然深味之, 則見其全體至極, 純亦不已之妙, 有非聖人不能及者. 蓋凡夫子之自言類如此, 學者宜致思焉. 해석 葉公問孔子於子路, 子路不對. 섭공이 공자에 대해 자로에게 물었는데 자로는 대답하지 않았다. 葉, 舒涉反. ○ 葉公, 楚葉縣尹沈諸梁, 섭공은 초나라 섭현의 수령인 심제양으로 字子高, 僭稱公也. 자는 자고로 참칭하여 공(公)이라 했다..
17. 공자가 표준어를 쓸 때 子所雅言, 詩, 書, 執禮, 皆雅言也. 雅, 常也. 執, 守也. 詩以理情性, 書以道政事, 禮以謹節文, 皆切於日用之實, 故常言之. 禮獨言執者, 以人所執守而言, 非徒誦說而已也. ○ 程子曰: “孔子雅素之言, 止於如此. 若性與天道, 則有不可得而聞者, 要在黙而識之也.” 謝氏曰: “此因學『易』之語而類記之.” ○ 孔安國曰: “雅言, 正言也.” ○ 鄭玄曰: “讀先王典法, 必正言其音然後義全. 故不可有所諱. 禮不誦, 故言執.” 해석 子所雅言, 詩, 書, 執禮, 皆雅言也. 공자께서 표준어로 말할 때는 시를 읽을 때와, 서를 읽을 때, 예를 집행할 때, 이 모든 상황에선 표준어로 말씀하셨다. 雅, 常也. 執, 守也. 아(雅)는 일상이란 뜻이다. 집(執)은 지킨다는 것이다. 詩以理情性, 書以道政事..
16. 70살의 공자가 주역에 발분하다 子曰: “加我數年, 五十以學易, 可以無大過矣.” 劉聘君見元城劉忠定公自言‘嘗讀他『論』, 加作假, 五十作卒. 蓋加, 假聲相近而誤讀, 卒與五十字相似而誤分也. 愚按: 此章之言, 『史記』作“假我數年, 若是我於易則彬彬矣”. 加正作假, 而無五十字. 蓋是時, 孔子年已幾七十矣, 五十字誤無疑也. 學『易』, 則明乎吉凶消長之理, 進退存亡之道, 故可以無大過. 蓋聖人深見『易』道之無窮, 而言此以敎人, 使知其不可不學, 而又不可以易而學也. 해석 子曰: “加我數年, 五十以學易, 可以無大過矣.” 공자께서 “나에게 몇 년의 수명을 늘려주어 마침내 주역을 배우게 해준다면 크게 잘못 보는 게 없을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劉聘君見元城劉忠定公自言‘嘗讀他『論』, 유빙군이 원성의 원충정공을 뵈러 갔는데, 그..
15. 뜬구름 같은 옳지 않은 부귀(富貴) 子曰: “飯疏食飮水, 曲肱而枕之, 樂亦在其中矣. 飯, 符晩反. 食, 音嗣. 枕, 去聲. 樂, 音洛. ○ 飯, 食之也. 疏食, 麤飯也. 聖人之心, 渾然天理, 雖處困極, 而樂亦無不在焉. 不義而富且貴, 於我如浮雲.” 其視不義之富貴, 如浮雲之無有, 漠然無所動於其中也. ○ 程子曰: “非樂疏食飮水也, 雖疏食飮水, 不能改其樂也. 不義之富貴, 視之輕如浮雲然.” 又曰: “須知所樂者何事.” ○ 鄭玄曰: “富貴而不以義者, 於我如浮雲, 非己之有.” ○ 又浮雲儵聚欻散, 不可爲常. 如不義富貴, 聚散俄頃如浮雲也. ○ 鄭玄曰: “人之所欲富貴道行以爲名譽, 不以其道得之, 於我身有損, 故不居. 『禮記』曰: ‘德潤身, 富潤室也.’” 해석 子曰: “飯疏食飮水, 曲肱而枕之, 樂亦在其中矣. 공자께서 말..
14. 백이숙제의 예시로 공자의 의중을 떠보다 冉有曰: “夫子爲衛君乎?” 子貢曰: “諾. 吾將問之.” 爲, 去聲. ○ 爲, 猶助也. 衛君, 出公輒也. 靈公逐其世子蒯聵. 公薨, 而國人立蒯聵之子輒. 於是晉納蒯聵而輒拒之. 時孔子居衛, 衛人以蒯聵得罪於父, 而輒嫡孫當立, 故冉有疑而問之. 諾, 應辭也. 入, 曰: “伯夷, 叔齊何人也?” 曰: “古之賢人也.” 伯夷ㆍ叔齊, 孤竹君之二子. 其父將死, 遺命立叔齊. 父卒, 叔齊遜伯夷. 伯夷曰: “父命也”, 遂逃去. 叔齊亦不立而逃之, 國人立其中子. 其後武王伐紂, 夷ㆍ齊扣馬而諫. 武王滅商, 夷ㆍ齊恥食周粟, 去隱于首陽山, 遂餓而死. 曰: “怨乎?” 曰: “求仁而得仁, 又何怨.” 出, 曰: “夫子不爲也.” 怨, 猶悔也. 君子居是邦, 不非其大夫, 況其君乎? 故子貢不斥衛君, 而以夷ㆍ齊..
13. 소악(韶樂)을 배우니 고기 맛마저 잊다 子在齊聞韶, 三月不知肉味. 『史記』三月上有“學之”二字. 不知肉味, 蓋心一於是而不及乎他也. 曰: “不圖爲樂之至於斯也!” 曰: ‘不意舜之作樂至於如此之美’, 則有以極其情文之備, 而不覺其歎息之深也, 蓋非聖人不足以及此. ○ 范氏曰: “韶盡美又盡善, 樂之無以加此也. 故學之三月, 不知肉味, 而歎美之如此. 誠之至, 感之深也.” ○ 侃曰: “孔子至齊, 聞齊君奏韶樂之盛, 而心爲痛傷, 故口忘肉味, 至於一時, 乃止也. 三月, 一時也. 何以然也? 齊是無道之君, 而濫奏聖王之樂, 器存人乖, 所以傷慨也.” 해석 子在齊聞韶, 三月不知肉味. 공자께서 제나라에 있을 적에 소악(韶樂)을 들으시고 3개월 간 고기맛도 잊으시고선 『史記』三月上有“學之”二字. 『사기』엔 ‘삼월(三月)’ 위에 ‘학지(..
12. 공자가 조심했던 세 가지 子之所愼: 齊, 戰, 疾. 齊, 側皆反. ○ 齊之爲言齊也, 將祭而齊其思慮之不齊者, 以交於神明也. 誠之至與不至, 神之饗與不饗, 皆決於此. 戰則衆之死生, 國之存亡繫焉. 疾又吾身之所以死生存亡者, 皆不可以不謹也. ○ 尹氏曰: “夫子無所不謹, 弟子記其大者耳.” ○ 鄭玄曰: “愼齋, 尊祖考; 愼戰, 重民命; 愼疾, 愛性命.” 해석 子之所愼: 齊, 戰, 疾. 공자께서 조심하신 것은 재계함과 전쟁과 질병이었다. 齊, 側皆反. ○ 齊之爲言齊也, 제(齊)라는 것은 재계라는 것이니 將祭而齊其思慮之不齊者, 장차 제사 지냄에 생각이 정돈되지 못함을 가지런히 하여 以交於神明也. 신명과 교접하는 것이다. 誠之至與不至, 성실함이 지극하거나 지극하지 않음, 神之饗與不饗, 皆決於此. 그리고 귀신이 흠향하..
11. 부귀는 맘대로 할 수 없으니, 맘대로 할 수 있는 좋아하는 걸 하리라 子曰: “富而可求也, 雖執鞭之士, 吾亦爲之. 執鞭, 賤者之事. 設言富若可求, 則雖身爲賤役以求之, 亦所不辭. 如不可求, 從吾所好.” 好, 去聲. ○ 然有命焉, 非求之可得也, 則安於義理而已矣, 何必徒取辱哉? ○ 蘇氏曰: “聖人未嘗有意於求富也, 豈問其可不可哉? 爲此語者, 特以明其決不可求爾.” 楊氏曰: “君子非惡富貴而不求, 以其在天, 無可求之道也.” 해석 子曰: “富而可求也, 雖執鞭之士, 吾亦爲之.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부자가 되는 것을 구할 수 있다면 비록 채찍잡이의 일이라도 나는 또한 하겠지만, 執鞭, 賤者之事. 집편(執鞭)은 천한 사람의 일이다. 設言富若可求, 가설하여 ‘부자가 되는 것을 구할 수 있다면 則雖身爲賤役以求之, 亦所..
10. 안연을 칭찬한 공자, 그런 안연을 질투한 자로 子謂顔淵曰: “用之則行, 舍之則藏, 唯我與爾有是夫!” 舍, 上聲. 夫, 音扶. ○ 尹氏曰: “用舍無與於己, 行藏安於所遇, 命不足道也. 顔子幾於聖人, 故亦能之.” 子路曰: “子行三軍, 則誰與?” 萬二千五百人爲軍, 大國三軍. 子路見孔子獨美顔淵, 自負其勇, 意夫子若行三軍, 必與己同. 子曰: “暴虎馮河, 死而無悔者, 吾不與也. 必也臨事而懼, 好謀而成者也.” 馮, 皮冰反. 好, 去聲. ○ 暴虎, 徒搏. 馮河, 徒涉. 懼, 謂敬其事. 成, 謂成其謀. 言此皆以抑其勇而敎之, 然行師之要實不外此, 子路蓋不知也. ○ 謝氏曰: “聖人於行藏之間, 無意無必. 其行非貪位, 其藏非獨善也. 若有欲心, 則不用而求行, 舍之而不藏矣, 是以惟顔子爲可以與於此. 子路雖非有欲心者, 然未能無固必..
9. 초상집에서의 공자 모습 子食於有喪者之側, 未嘗飽也. 臨喪哀, 不能甘也. 子於是日哭, 則不歌. 哭, 謂弔哭. 日之內, 餘哀未忘, 自不能歌也. ○ 謝氏曰: “學者於此二者, 可見聖人情性之正也. 能識聖人之情性, 然後可以學道.” 해석 子食於有喪者之側, 未嘗飽也. 공자께서 상을 당한 사람의 곁에서 밥 드실 적엔 일찍이 배불리 드시지 않으셨다. 臨喪哀, 不能甘也. 초상에 임하여선 슬픈 것이니, 맛있게 느껴질 수가 없다. 子於是日哭, 則不歌. 공자께서는 이 날에 곡을 하시면서 노래하진 않으셨다. 哭, 謂弔哭. 곡(哭)은 조문하면서 곡함을 말한다. 日之內, 餘哀未忘, 自不能歌也. 하루 동안에 남은 슬픔이 잊혀지질 않아 스스로 노래할 순 없었던 것이다. ○ 謝氏曰: “學者於此二者, 사량좌(謝良佐)가 말했다. “배우는..
8. 배움의 자세 子曰: “不憤不啓, 憤, 房粉反. ○ 憤者, 心求通而未得之意. 啓, 謂開其意. 不悱不發, 悱, 芳匪反. ○ 悱者, 口欲言而未能之貌. 發, 謂達其辭. 擧一隅不以三隅反, 則不復也.” 復, 扶又反. ○ 物之有四隅者, 擧一可知其三. 反者, 還以相證之義. 復, 再告也. 上章已言聖人誨人不倦之意, 因幷記此, 欲學者勉於用力, 以爲受敎之地也. ○ 程子曰: “憤悱, 誠意之見於色辭者也. 待其誠至而後告之. 旣告之, 又必待其自得, 乃復告爾.” 又曰: “不待憤悱而發, 則知之不能堅固; 待其憤悱而後發, 則沛然矣.” 해석 子曰: “不憤不啓,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마음으로 발분하지 않으면 열어주지 않고, 憤, 房粉反. ○ 憤者, 心求通而未得之意. 분(憤)은 마음으로 통하길 구하나 터득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啓, 謂開..
7. 최소한의 성의만 있다면 누구나 가르친다 子曰: “自行束脩以上, 吾未嘗無誨焉.” 脩, 脯也. 十脡爲束. 古者相見, 必執贄以爲禮, 束脩其至薄者. 蓋人之有生, 同具此理, 故聖人之於人, 無不欲其入於善. 但不知來學, 則無往敎之禮, 故苟以禮來, 則無不有以敎之也. 해석 子曰: “自行束脩以上, 吾未嘗無誨焉.” 공자께서 “한 묶음의 포를 가지고 스스로 나아와 예를 표시한 이상, 나는 일찍이 가르치지 않은 적이 없었다.”라고 말씀하셨다. 脩, 脯也. 十脡爲束. 수(脩)는 육포다. 10개의 육포가 한 묶음이 된다. 古者相見, 必執贄以爲禮, 옛날에 서로 보려면 반드시 폐백을 가지고 예를 표시했으니 束脩其至薄者. 포를 묶었다는 것은 지극히 작은 것이다. 蓋人之有生, 同具此理, 대개 사람에겐 본성이 있어 함께 이러한 이치를..
6. 공자가 지향하는 삶의 모습 子曰: “志於道, 志者, 心之所之之謂. 道, 則人倫日用之間所當行者是也. 如此而心必之焉, 則所適者正, 而無他歧之惑矣. 據於德, 據者, 執守之意. 德者, 得也, 得其道於心而不失之謂也. 得之於心而守之不失, 則終始惟一, 而有日新之功矣. 依於仁, 依者, 不違之謂. 仁, 則私欲盡去而心德之全也. 功夫至此而無終食之違, 則存養之熟, 無適而非天理之流行矣. 游於藝.” 游者, 玩物適情之謂. 藝, 則禮樂之文, 射, 御, 書, 數之法, 皆至理所寓, 而日用之不可闕者也. 朝夕游焉, 以博其義理之趣, 則應務有餘, 而心亦無所放矣. ○ 此章言人之爲學當如是也. 蓋學莫先於立志, 志道, 則心存於正而不他; 據德, 則道得於心而不失; 依仁, 則德性常用而物欲不行; 游藝, 則小物不遺而動息有養. 學者於此, 有以不失其先後之序..
5. 꿈에서라도 주공을 뵙고 싶던 공자 子曰: “甚矣吾衰也! 久矣吾不復夢見周公.” 復, 扶又反. ○ 孔子盛時, 志欲行周公之道, 故夢寐之間, 如或見之. 至其老而不能行也, 則無復是心, 而亦無復是夢矣, 故因此而自歎其衰之甚也. ○ 程子曰: “孔子盛時, 寤寐常存行周公之道; 及其老也, 則志慮衰而不可以有爲矣. 蓋存道者心, 無老少之異; 而行道者身, 老則衰也.” 해석 子曰: “甚矣吾衰也! 久矣吾不復夢見周公.” 공자께서 “심하구나, 나의 노쇠함이여. 오래되었구나, 다시는 꿈에서 주공을 뵈질 못하니.”라고 말씀하셨다. 復, 扶又反. ○ 孔子盛時, 志欲行周公之道, 공자가 왕성할 때엔 뜻으로 주공의 도를 행하고자 했기 때문에 故夢寐之間, 如或見之. 자면서 간혹 그를 뵈었다. 至其老而不能行也, 노쇠함에 이르러 실천할 수 없게 되..
4. 한가롭게 거처할 때의 공자 모습 子之燕居, 燕居, 閒暇無事之時. 申申如也, 夭夭如也. 楊氏曰: “申申, 其容舒也. 夭夭, 其色愉也.” ○ 程子曰: “此弟子善形容聖人處也, 爲申申字說不盡, 故更著夭夭字. 今人燕居之時, 不怠惰放肆, 必太嚴厲. 嚴厲時著此四字不得, 怠惰放肆時亦著此四字不得, 惟聖人便自有中和之氣.” 해석 子之燕居, 공자께서 별일 없이 있으실 땐 燕居, 閒暇無事之時. 연거(燕居)란 한가하고 아무 일도 없는 때다. 申申如也, 夭夭如也. 온몸이 펴진 듯 편안하셨고 온화한 듯 머무셨다. 楊氏曰: “申申, 其容舒也. 양시(楊時)가 말했다. “신신(申申)은 그 용모가 펴진 것이다. 夭夭, 其色愉也.” 요요(夭夭)는 얼굴색이 온화한 것이다.” ○ 程子曰: “此弟子善形容聖人處也, 정이천이 말했다. “여기서는..
3. 날마다 새로운 사람이 되려면 子曰: “德之不脩, 學之不講, 聞義不能徙, 不善不能改, 是吾憂也.” 尹氏曰: “德必脩而後成, 學必講而後明, 見善能徙, 改過不吝, 此四者日新之要也. 苟未能之, 聖人猶憂, 況學者乎?” 해석 子曰: “德之不脩, 學之不講, 聞義不能徙, 不善不能改, 是吾憂也.” 공자께서 “덕이 닦여지지 않음과 학문이 강습되지 않음과 의를 듣고 실천하지 못함과 불선이 고쳐질 수 없는 것이 이것이 나의 근심이다.”라고 말씀하셨다. 尹氏曰: “德必脩而後成, 윤순(尹淳)이 말했다. “덕은 반드시 닦인 이후에 이루어지고 學必講而後明, 학문은 반드시 강습한 이후에 분명해지며 見善能徙, 改過不吝, 선을 보고 실천할 수 있고 허물을 고침에 인색하지 않는 것 此四者日新之要也. 이 네 가지가 날마다 새로워지는 요..
2. 이해하고, 배우길 좋아하며, 가르치길 부지런히 한다 子曰: “黙而識之, 學而不厭, 識, 音志, 又如字. ○ 識, 記也. 黙識, 謂不言而存諸心也. 一說: 識, 知也, 不言而心解也. 前說近是. 誨人不倦, 何有於我哉?” 何有於我, 言何者能有於我也. 三者已非聖人之極至, 而猶不敢當, 則謙而又謙之辭也. 해석 子曰: “黙而識之, 學而不厭,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묵묵히 그것을 이해하고, 배우는 것을 싫어하지 않으며, 識, 音志, 又如字. ○ 識, 記也. 지(識)는 기억하다라는 뜻이다. 黙識, 謂不言而存諸心也. 묵지(黙識)는 말하지 않으며 마음으로 보존한다는 말이다. 一說: 識, 知也, 일설에 식(識)은 안다는 뜻으로, 不言而心解也. 말하지 않으며 마음으로 이해한다는 뜻으로 풀기도 한다. 前說近是. 전자가 옳음에..
1. 전술하되 창작하지 않는다 此篇多記聖人謙己誨人之辭及其容貌行事之實. 凡三十七章. 子曰: “述而不作, 述, 傳舊而已. 作, 則創始也. 故作非聖人不能, 而述則賢者可及. 信而好古, 好, 去聲. 竊比於我老彭.” 竊比, 尊之之辭. 我, 親之之辭. 老彭, 商賢大夫, 見「大戴禮」, 蓋信古而傳述者也. 孔子刪『詩』『書』, 定『禮』『樂』, 贊『周易』, 脩『春秋』, 皆傳先王之舊, 而未嘗有所作也. 故其自言如此. 蓋不惟不敢當作者之聖, 而亦不敢顯然自附於古之賢人; 蓋其德愈盛而心愈下, 不自知其辭之謙也. 然當是時, 作者略備, 夫子蓋集群聖之大成而折衷之. 其事雖述, 而功則倍於作矣, 此又不可不知也. 해석 此篇多記聖人謙己誨人之辭及其容貌行事之實. 이편에서는 많이 성인이 자기에겐 겸손히 하고 남을 가르치는 말과 용모ㆍ행사의 실체를 기록했다. ..
옹야(雍也) 제육(第六) 凡二十八章. 篇內第十四章以前, 大意與前篇同. 1. 중궁은 남면할 수 있겠구나 子曰: “雍也可使南面.” 南面者, 人君聽治之位. 言仲弓寬洪簡重, 有人君之度也. 仲弓問子桑伯子, 子曰: “可也簡.” 子桑伯子, 魯人, 胡氏以爲疑卽莊周所稱子桑戶者是也. 仲弓以夫子許己南面, 故問伯子如何. 可者, 僅可而有所未盡之辭. 簡者, 不煩之謂. 仲弓曰: “居敬而行簡, 以臨其民, 不亦可乎? 居簡而行簡, 無乃大簡乎?” 大, 音泰. ○ 言自處以敬, 則中有主而自治嚴, 如是而行簡以臨民, 則事不煩而民不擾, 所以爲可. 若先自處以簡, 則中無主而自治疏矣, 而所行又簡, 豈不失之太簡, 而無法度之可守乎? 『家語』記‘伯子不衣冠而處, 夫子譏其欲同人道於牛馬.’ 然則伯子蓋太簡者, 而仲弓疑夫子之過許與? ○ 孔子見伯子, 伯子不衣冠..
28. 인을 실천하는 방법 子貢曰: “如有博施於民而能濟衆, 何如? 可謂仁乎?” 施, 去聲. ○ 博, 廣也. 仁以理言, 通乎上下. 聖以地言, 則造其極之名也. 乎者, 疑而未定之辭. 子曰: “何事於仁, 必也聖乎! 堯舜其猶病諸! 病, 心有所不足也. 言‘此何止於仁, 必也聖人能之乎! 則雖堯舜之聖, 其心猶有所不足於此也.’ 以是求仁, 愈難而愈遠矣. 夫仁者, 己欲立而立人, 己欲達而達人. 夫, 音扶. ○ 以己及人, 仁者之心也. 於此觀之, 可以見天理之周流而無閒矣. 狀仁之體, 莫切於此. 能近取譬, 可謂仁之方也已.” 譬, 喩也. 方, 術也. 近取諸身, 以己所欲譬之他人, 知其所欲亦猶是也. 然後推其所欲以及於人, 則恕之事而仁之術也. 於此勉焉, 則有以勝其人欲之私, 而全其天理之公矣. ○ 程子曰: “醫書‘以手足痿痹爲不仁’, 此言最善名狀...
27. 중용의 덕이 지극하다 子曰: “中庸之爲德也, 其至矣乎! 民鮮久矣.” 鮮, 上聲. ○ 中者, 無過ㆍ無不及之名也. 庸, 平常也. 至, 極也. 鮮, 少也. 言民少此德, 今已久矣. ○ 程子曰: “不偏之謂中, 不易之謂庸. 中者天下之正道, 庸者天下之定理. 自世敎衰, 民不興於行, 少有此德久矣.” ○ 鄭玄曰: “鮮, 罕也. 言中庸爲道至美, 顧人罕能久.” 해석 子曰: “中庸之爲德也, 其至矣乎! 民鮮久矣.” 공자께서 “중용의 덕됨이 지극하구나! 백성이 이 덕이 드물게 된 지 오래되었다.”라고 말씀하셨다. 鮮, 上聲. ○ 中者, 無過ㆍ無不及之名也. 중(中)은 과함도 없고 미치지 못함도 없음의 이름이다. 庸, 平常也. 용(庸)은 평상이다. 至, 極也. 鮮, 少也. 지(至)는 극진함이다. 선(鮮)은 드물다는 뜻이다. 言..
25. 문(文)으로 확장하고 예(禮)로 집약하라 子曰: “君子博學於文, 約之以禮, 亦可以弗畔矣夫!” 夫, 音扶. ○ 約, 要也. 畔, 背也. 君子學欲其博, 故於文無不考; 守欲其要, 故其動必以禮. 如此, 則可以不背於道矣. ○ 程子曰: “博學於文而不約之以禮, 必至於汗漫. 博學矣, 又能守禮而由於規矩, 則亦可以不畔道矣.” ○ 子産曰: “夫禮, 天之經也. 地之義也, 民之行也. 天地之經, 而民實則之. 則天之明, 因地之性, 生其六氣, 用其五行. 氣爲五味, 發爲五色, 章爲五聲, 淫則昏亂, 民失其性, 是故爲禮以奉之. 爲六畜, 五牲, 三犧, 以奉五味, 爲九文, 六采, 五章, 以奉五色, 爲九歌, 八風, 七音, 六律, 以奉五聲.爲君臣上下, 以則地義, 爲夫婦外内, 以經二物, 爲父子, 兄弟, 姑姊, 甥舅, 昏媾, 姻亞, 以象天明..
24. 인한 사람을 속일 수는 있지만 판단을 흐리게 할 순 없다 宰我問曰: “仁者, 雖告之曰: ‘井有仁(人)焉.’ 其從之也?” 劉聘君曰,“有仁之仁當作人”, 今從之. 從, 謂隨之於井而救之也. 宰我信道不篤, 而憂爲仁之陷害, 故有此問. 子曰: “何爲其然也? 君子可逝也, 不可陷也; 可欺也, 不可罔也.” 逝, 謂使之往救. 陷, 謂陷之於井. 欺, 謂誑之以理之所有. 罔, 謂昧之以理之所無. 蓋身在井上, 乃可以救井中之人; 若從之於井, 則不復能救之矣. 此理甚明, 人所易曉, 仁者雖切於救人而不私其身, 然不應如此之愚也. 해석 宰我問曰: “仁者, 雖告之曰: ‘井有仁(人)焉.’ 其從之也?” 재아가 “인자에게 누군가 ‘우물 안에 사람이 빠졌습니다’라고 말한다면, 그가 우물에 빠져 구하겠지요?”라고 물었다. 劉聘君曰,“有仁之仁當作人”..
23. 변해가는 세태를 개탄하다 子曰: “觚不觚, 觚哉! 觚哉!” 觚, 音孤. ○ 觚, 棱也, 或曰酒器, 或曰木簡, 皆器之有棱者也. 不觚者, 蓋當時失其制而不爲棱也. 觚哉觚哉, 言不得爲觚也. ○ 程子曰: “觚而失其形制, 則非觚也. 擧一器, 而天下之物莫不皆然. 故君而失其君之道, 則爲不君; 臣而失其臣之職, 則爲虛位.” 范氏曰: “人而不仁則非人, 國而不治則不國矣.” 해석 子曰: “觚不觚, 觚哉! 觚哉!” 공자께서 “모난 술잔인 고(觚)가 모나지 않다면 고(觚)라 할 수 있는가. 고(觚)라 할 수 있는가?”라고 말씀하셨다. 觚, 音孤. ○ 觚, 棱也, 고(觚)는 모난 것이니, 或曰酒器, 或曰木簡, 혹자는 술그릇이라 하고 혹자는 목간이라 하니, 皆器之有棱者也. 모두 다 그릇으로 모난 것이다. 不觚者, 蓋當時失其制而..
22. 공자의 이상국가론 子曰: “齊一變, 至於魯; 魯一變, 至於道.” 孔子之時, 齊俗急功利, 喜夸詐, 乃霸政之餘習. 魯則重禮敎, 崇信義, 猶有先王之遺風焉, 但人亡政息, 不能無廢墜爾. 道, 則先王之道也. 言二國之政俗有美惡, 故其變而之道有難易. ○ 程子曰: “夫子之時, 齊强魯弱, 孰不以爲齊勝魯也. 然魯猶存周公之法制. 齊由桓公之霸, 爲從簡尙功之治, 太公之遺法變易盡矣, 故一變乃能至魯. 魯則修擧廢墜而已, 一變則至於先王之道也.” 愚謂二國之俗, 惟夫子爲能變之而不得試. 然因其言以考之, 則其施爲緩急之序, 亦略可見矣. 해석 子曰: “齊一變, 至於魯; 魯一變, 至於道.” 공자께서 “제나라가 한 번 변하면 노나라에 이르고 노나라가 한 번 변하면 올바른 도에 이른다.”라고 말씀하셨다. 孔子之時, 齊俗急功利, 공자의 시대에 제..
21. 물을 좋아하는 인자와 산을 좋아하는 지자 子曰: “知者樂水, 仁者樂山; 知者動, 仁者靜; 知者樂, 仁者壽.” 知, 去聲. 樂, 上二字並五敎反, 下一字音洛. ○ 樂, 喜好也. 知者達於事理而周流無滯, 有似於水, 故樂水; 仁者安於義理而厚重不遷, 有似於山, 故樂山. 動ㆍ靜以體言, 樂ㆍ壽以效言也. 動而不括故樂, 靜而有常故壽. ○ 程子曰: “非體仁知之深者, 不能如此形容之.” 해석 子曰: “知者樂水, 仁者樂山; 知者動, 仁者靜; 知者樂, 仁者壽.” 공자께서 “지혜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하고 인한 사람은 산을 좋아하니, 지혜로운 사람은 동적이고 인한 사람은 정적이며, 지혜로운 사람은 낙천적이고 인한 사람은 장수한다.”라고 말했다. 知, 去聲. 樂, 上二字並五敎反, 下一字音洛. ○ 樂, 喜好也. 요(樂)은 기뻐하고..
19. 들을 수 있는 귀가 있는 사람에게 말하라 子曰: “中人以上, 可以語上也; 中人以下, 不可以語上也.” 以上之上, 上聲. 語, 去聲. ○ 語, 告也. 言敎人者, 當隨其高下而告語之, 則其言易入而無躐等之弊也. ○ 張敬夫曰: “聖人之道, 精粗雖無二致, 但其施敎, 則必因其材而篤焉. 蓋中人以下之質, 驟而語之太高, 非惟不能以入, 且將妄意躐等, 而有不切於身之弊, 亦終於下而已矣. 故就其所及而語之, 是乃所以使之切問近思, 而漸進於高遠也.” 王曰: “上, 謂上知之所知也. 兩擧中人, 以其可上可下.” 上士聞道, 勤而行之, 中士聞道, 若存若亡, 下士聞道, 大笑之, 不笑不足以爲道, 해석 子曰: “中人以上, 可以語上也; 中人以下, 不可以語上也.” 공자께서 “지식이 중급 이상인 사람에겐 이상적인 것을 말해줄 수 있지만 중급 이하의..

18. 아는 자와 좋아하는 자와 즐기는 자 子曰: “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 好, 去聲. 樂, 音洛. ○ 尹氏曰: “知之者, 知有此道也. 好之者, 好而未得也. 樂之者, 有所得而樂之也.” ○ 張敬夫曰: “譬之五穀, 知者知其可食者也, 好者食而嗜之者也, 樂者嗜之而飽者也. 知而不能好, 則是知之未至也; 好之而未及於樂, 則是好之未至也. 此古之學者, 所以自强而不息者歟?” ○ 茶山曰: “知者聞而識其善也, 好者行而悅其味也, 樂者得而享其充也.” 해석 子曰: “知之者不如好之者, 好之者不如樂之者.” 공자께서 “그것을 아는 사람은 그것을 좋아하는 사람만 못하고, 그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그것을 즐기는 사람만 못하다.”라고 말씀하셨다. 好, 去聲. 樂, 音洛. ○ 尹氏曰: “知之者, 知有此道也. 윤순(尹淳)이 말했다...
17. 타고난 대로 살리 子曰: “人之生也直, 罔之生也幸而免.” 程子曰: “生理本直. 罔, 不直也, 而亦生者, 幸而免爾.” 해석 子曰: “人之生也直, 罔之生也幸而免.” 공자께서 “사람이 사는 이치는 정직함이다. 그런데 정직하지 않으면서도 살아가는 것은 요행히 면한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程子曰: “生理本直. 정명도가 말했다. “선천적으로 태어난 이치는 본래 곧다. 罔, 不直也, 而亦生者, 망(罔)은 곧지 못한 것인데 또한 살아가는 것은 幸而免爾.” 요행히 면할 뿐인 것이다.” 인용목차 / 전문 / 한글역주생애 / 공자 / 유랑도 / 제자들
16. 사(史)하기보다 야(野)하리라 子曰: “質勝文則野, 文勝質則史. 文質彬彬, 然後君子.” 野, 野人, 言鄙略也. 史, 掌文書, 多聞習事, 而誠或不足也. 彬彬, 猶班班, 物相雜而適均之貌. 言學者當損有餘, 補不足, 至於成德, 則不期然而然矣. ○ 楊氏曰: “文質不可以相勝. 然質之勝文, 猶之甘可以受和, 白可以受采也. 文勝而至於滅質, 則其本亡矣. 雖有文, 將安施乎? 然則與其史也, 寧野.” 해석 子曰: “質勝文則野, 文勝質則史. 文質彬彬, 然後君子.” 공자께서 “질(質)이 문(文)을 이기면 촌스러워 보이고, 문(文)이 질(質)을 이기면 그럴듯해 보이니, 문(文)과 질(質)이 조화를 이룬 후에야 군자라 한다.”고 말씀하셨다. 野, 野人, 言鄙略也. 야(野)는 촌사람이니, 비루하고 소략함을 말한다. 史, 掌文書,..
15. 문(門)과 도(道) 子曰: “誰能出不由戶? 何莫由斯道也?” 言人不能出不由戶, 何故乃不由此道邪? 怪而歎之之辭. ○ 洪氏曰: “人知出必由戶, 而不知行必由道. 非道遠人, 人自遠爾.” 해석 子曰: “誰能出不由戶? 何莫由斯道也?” 공자께서 “누가 밖으로 나가는데 문으로 가지 않겠는가. 그런데 어찌하여 이 도를 따르진 않는가?”라고 말씀하셨다. 言人不能出不由戶, 사람이 문을 통하지 않으면 나갈 수 없는데 何故乃不由此道邪? 어째서 이 도를 따르진 않는가라는 말이다. 怪而歎之之辭. 괴이하여 탄식한 말이다. ○ 洪氏曰: “人知出必由戶, 홍흥조(洪興祖)가 말했다. “사람이 나갈 때는 반드시 문으로 나갈 줄을 아는데, 而不知行必由道. 다닐 때는 반드시 이 도를 따르는 건 알지 못한다. 非道遠人, 人自遠爾.” 도가 사..
14. 말 잘하는 것과 아리따움을 칭송하는 세상을 미워하다 子曰: “不有祝鮀之佞而有宋朝之美, 難乎免於今之世矣!” 鮀, 徒河反. ○ 祝, 宗廟之官. 鮀, 衛大夫, 字子魚, 有口才. 朝, 宋公子, 有美色. 言衰世好諛悅色, 非此難免, 蓋傷之也. 해석 子曰: “不有祝鮀之佞而有宋朝之美, 難乎免於今之世矣!” 공자께서 “종묘의 축관(祝官)인 타의 말잘함과 송(宋) 나라의 조(朝)와 같은 아리따움이 있지 않으면 지금 세상에서 환란을 면하기 어렵겠구나!”라고 말했다. 鮀, 徒河反. ○ 祝, 宗廟之官. 축(祝)은 종묘에서 일을 맡은 관직이다. 鮀, 衛大夫, 字子魚, 有口才. 타(鮀)는 위나라 대부고 자(字)는 자어로 말하는 데 재주가 있었다. 朝, 宋公子, 有美色. 조(朝)는 송나라 공자로 아리따웠다. 言衰世好諛悅色, 쇠..
13. 패주할 땐 후미에서 굳은 일을 마다하지 않은 맹지반 子曰: “孟之反不伐, 孟之反, 魯大夫, 名側. 胡氏曰: “反卽莊周所稱孟子反者是也.” 伐, 誇功也. 奔而殿. 將入門, 殿, 去聲. ○ 奔, 敗走也. 軍後曰殿. 策其馬, 曰: ‘非敢後也, 馬不進也.’” 策, 鞭也. 戰敗而還, 以後爲功. 反奔而殿, 故以此言自揜其功也. 事在哀公十一年. ○ 謝氏曰: “人能操無欲上人之心, 則人欲日消, 天理日明, 而凡可以矜己誇人者, 皆無足道矣. 然不知學者欲上人之心無時而忘也, 若孟之反, 可以爲法矣.” 해석 子曰: “孟之反不伐, 공자께서 “맹지반은 공을 자랑하지 않았다. 孟之反, 魯大夫, 名側. 맹지반은 노나라 대부로 이름은 측이다. 胡氏曰: “反卽莊周所稱孟子反者是也.” 호씨가 “맹지반은 곧 장주가 말한 맹자반이 이 사람이다.”..
12. 정치엔 인재를 구하는 게 먼저다 子游爲武城宰. 子曰: “女得人焉爾乎?” 女, 音汝. ○ 武城, 魯下邑. 曰: “有澹臺滅明者, 行不由徑. 非公事, 未嘗至於偃之室也.” 澹, 徒甘反. 澹臺姓, 滅明名, 字子羽. 徑, 路之小而捷者. 公事, 如飮射讀法之類. 不由徑, 則動必以正, 而無見小欲速之意可知. 非公事不見邑宰, 則其有以自守, 而無枉己殉人之私可見矣. ○ 楊氏曰: “爲政以人才爲先, 故孔子以得人爲問. 如滅明者, 觀其二事之小, 而其正大之情可見矣. 後世有不由徑者, 人必以爲迂; 不至其室, 人必以爲簡. 非孔氏之徒, 其孰能知而取之?” 愚謂持身以滅明爲法, 則無苟賤之羞; 取人以子游爲法, 則無邪媚之惑. 해석 子游爲武城宰. 子曰: “女得人焉爾乎?” 자유가 무성의 읍재가 되었다. 공자께서 “자네는 사람을 얻었는가?”라고 물으..
11. 자하야 너는 군자유가 되어라 子謂子夏曰: “女爲君子儒, 無爲小人儒.” 儒, 學者之稱. 程子曰: “君子儒爲己, 小人儒爲人.” ○ 謝氏曰: “君子小人之分, 義與利之閒而已. 然所謂利者, 豈必殖貨財之謂? 以私滅公, 適己自便, 凡可以害天理者皆利也. 子夏文學雖有餘, 然意其遠者大者或昧焉, 故夫子語之以此.” 해석 子謂子夏曰: “女爲君子儒, 無爲小人儒.” 공자께서 자하에게 “너는 군자유가 되어야지 소인유가 되진 마라.”라고 말씀하셨다. 儒, 學者之稱. 유(儒)는 학자를 말한다. 程子曰: “君子儒爲己, 小人儒爲人.” 정자가 “군자유는 자신을 위하고 소인유는 남의 눈치를 본다.”라고 말했다. ○ 謝氏曰: “君子小人之分, 義與利之閒而已. 사량좌(謝良佐)가 말했다. “군자와 소인의 분별은 의(義)와 리(利)의 사이일 뿐..
10. 하려는 의지도 없이 아예 선을 그어버리다 冉求曰: “非不說子之道, 力不足也.” 子曰: “力不足者, 中道而廢. 今女畫.” 說, 音悅. 女, 音汝. ○ 力不足者, 欲進而不能. 畫者, 能進而不欲. 謂之畫者, 如畫地以自限也. ○ 胡氏曰: “夫子稱顔回不改其樂, 冉求聞之, 故有是言. 然使求說夫子之道, 誠如口之說芻豢, 則必將盡力以求之, 何患力之不足哉? 畫而不進, 則日退而已矣, 此冉求之所以局於藝也.” 해석 冉求曰: “非不說子之道, 力不足也.” 子曰: “力不足者, 中道而廢. 今女畫.” 염구가 “선생님의 도를 즐거워하지 않는 건 아니지만 힘이 부족하여 실천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라고 말씀드리자, 공자께서 “힘이 부족한 사람은 도중에 그만 둔다. 지금 너는 아예 금을 긋고 있는 것이야.”라고 말씀하셨다. 說, 音悅..
9. 한 대나무의 밥과 한 표주박의 물의 즐거움 子曰: “賢哉, 回也! 一簞食, 一瓢飮, 在陋巷. 人不堪其憂, 回也不改其樂. 賢哉, 回也!” 食, 音嗣. 樂, 音洛. ○ 簞, 竹器. 食, 飯也. 瓢, 瓠也. 顔子之貧如此, 而處之泰然, 不以害其樂, 故夫子再言“賢哉回也” 以深歎美之. ○ 程子曰: “顔子之樂, 非樂簞瓢陋巷也, 不以貧窶累其心而改其所樂也, 故夫子稱其賢.” 又曰: “簞瓢陋巷非可樂, 蓋自有其樂爾. 其字當玩味, 自有深意.” 又曰: “昔受學於周茂叔, 每令尋仲尼ㆍ顔子樂處, 所樂何事?” 愚按: 程子之言, 引而不發, 蓋欲學者深思而自得之, 今亦不敢妄爲之說. 學者但當從事於博文約禮之誨, 以至於欲罷不能而竭其才, 則庶乎有以得之矣. 해석 子曰: “賢哉, 回也! 一簞食, 一瓢飮, 在陋巷. 人不堪其憂, 回也不改其樂. 賢哉,..
8. 백우에게 이런 병이 들 줄이야 伯牛有疾, 子問之, 伯牛, 孔子弟子, 姓冉, 名耕. 有疾, 先儒以爲癩也. 自牖執其手, 曰: “亡之, 命矣夫! 斯人也而有斯疾也! 斯人也而有斯疾也!” 夫, 音扶. ○ 牖, 南牖也. 禮: 病者居北牖下. 君視之, 則遷於南牖下, 使君得以南面視己. 時伯牛家以此禮尊孔子, 孔子不敢當, 故不入其室. 而自牖執其手, 蓋與之永訣也. 命, 謂天命. 言此人不應有此疾, 而今乃有之, 是乃天之所命也. 然則非其不能謹疾而有以致之, 亦可見矣. ○ 侯氏曰: “伯牛以德行稱, 亞於顔ㆍ閔. 故其將死也, 孔子尤痛惜之.” ○ 包氏曰: “牛有惡疾, 不欲見人, 孔子從牖執其手.” 해석 伯牛有疾, 子問之, 백우가 병에 걸리자 공자께서 문병하셨다. 伯牛, 孔子弟子, 姓冉, 名耕. 백우는 공자 제자로 성은 염이고 이름은 경이..
7. 계씨의 신하되는 걸 거절한 민자건 季氏使閔子騫爲費宰. 費, 音秘. ○ 閔子騫, 孔子弟子, 名損. 費, 季氏邑. 閔子騫曰: “善爲我辭焉. 如有復我者, 則吾必在汶上矣.” 爲, 去聲. 汶, 音問. ○ 汶, 水名, 在齊南魯北竟上. 閔子不欲臣季氏, 令使者善爲己辭. 言若再來召我, 則當去之齊. ○ 程子曰: “仲尼之門, 能不仕大夫之家者, 閔子ㆍ曾子數人而已.” 謝氏曰: “學者能少知內外之分, 皆可以樂道而忘人之勢. 況閔子得聖人爲之依歸, 彼其視季氏不義之富貴, 不啻犬彘. 又從而臣之, 豈其心哉? 在聖人則有不然者, 蓋居亂邦, 見惡人, 在聖人則可; 自聖人以下, 剛則必取禍, 柔則必取辱. 閔子豈不能早見而豫待之乎? 如由也不得其死, 求也爲季氏附益, 夫豈其本心哉? 蓋旣無先見之知, 又無克亂之才故也. 然則閔子其賢乎?” 해석 季氏使閔子騫爲費..
6. 중유와 자공과 염구는 정치할 만한가 季康子問: “仲由可使從政也與?” 子曰: “由也果, 於從政乎何有?” 與, 平聲. ○ 從政, 謂爲大夫. 果, 有決斷. 曰: “賜也, 可使從政也與?” 曰: “賜也達, 於從政乎何有?” 達, 通事理. 曰: “求也, 可使從政也與?” 曰: “求也藝, 於從政乎何有?” 藝, 多才能. ○ 程子曰: “季康子問三子之才可以從政乎? 夫子答以各有所長. 非惟三子, 人各有所長. 能取其長, 皆可用也.” 해석 季康子問: “仲由可使從政也與?” 子曰: “由也果, 於從政乎何有?” 계강자가 “중유는 정치에 종사할 만합니까?”라고 물으니, 공자께서 “중유은 과단성이 있으니 정치에 종사함에 어떤 어려움이 있겠습니까”라고 대답하셨다. 與, 平聲. ○ 從政, 謂爲大夫. 종정(從政)은 대부가 된다는 것을 말한다...
5. 3개월 간 인을 떠나지 않았던 안회 子曰: “回也, 其心三月不違仁, 其餘則日月至焉而已矣.” 三月, 言其久. 仁者, 心之德. 心不違仁者, 無私欲而有其德也. 日月至焉者, 或日一至焉, 或月一至焉, 能造其域而不能久也. ○ 程子曰: “三月, 天道小變之節, 言其久也, 過此則聖人矣. 不違仁, 只是無纖毫私欲. 少有私欲, 便是不仁.” 尹氏曰: “此顔子於聖人, 未達一閒者也, 若聖人則渾然無閒斷矣.” 張子曰: “始學之要, 當知‘三月不違’與‘日月至焉’ 內外賓主之辨. 使心意勉勉循循而不能已, 過此幾非在我者.” 해석 子曰: “回也, 其心三月不違仁, 其餘則日月至焉而已矣.” 공자께서 “안회는 그 마음이 3개월 동안 인을 떠나지 않으나, 그 나머지 사람은 하루나 한 달에 인에 이를 뿐이다.”라고 말씀하셨다. 三月, 言其久. 삼월(三..
4. 중궁은 자질이 있기에 쓰일 것이다 子謂仲弓曰: “犂牛之子騂且角, 雖欲勿用, 山川其舍諸?” 犂, 利之反. 騂, 息營反. 舍, 上聲. ○ 犂, 雜文. 騂, 赤色. 周人尙赤, 牲用騂. 角, 角周正, 中犠牲也. 用, 用以祭也. 山川, 山川之神也. 言人雖不用, 神必不舍也. 仲弓父賤而行惡, 故夫子以此譬之. 言父之惡, 不能廢其子之善, 如仲弓之賢, 自當見用於世也. 然此論仲弓云爾, 非與仲弓言也. ○ 范氏曰: “以瞽瞍爲父而有舜, 以鯀爲父而有禹. 古之聖賢, 不係於世類, 尙矣. 子能改父之過, 變惡以爲美, 則可謂孝矣.” 해석 子謂仲弓曰: “犂牛之子騂且角, 雖欲勿用, 山川其舍諸?” 공자께서 중궁에게 “얼룩소의 새끼면서 붉은 빛이 돌고 뿔이 있다면 비록 사람들이 제사에 쓰려하지 않더라도 산천(山川)의 신이 버려두겠는가?”라고..
3. 공서적과 원헌의 행동방식 子華使於齊, 冉子爲其母請粟. 子曰: “與之釜.” 請益. 曰: “與之庾.” 冉子與之粟五秉. 使, 爲, 並去聲. ○ 子華, 公西赤也. 使, 爲孔子使也. 釜, 六斗四升. 庾, 十六斗. 秉, 十六斛. 子曰: “赤之適齊也, 乘肥馬, 衣輕裘. 吾聞之也, 君子周急不繼富.” 衣, 去聲. ○ 乘肥馬, 衣輕裘, 言其富也. 急, 窮迫也. 周者, 補不足. 繼者, 續有餘. 原思爲之宰, 與之粟九百, 辭. 原思, 孔子弟子, 名憲. 孔子爲魯司寇時, 以思爲宰. 粟, 宰之祿也. 九百不言其量, 不可考. 子曰: “毋! 以與爾鄰里鄕黨乎!” 毋, 禁止辭. 五家爲鄰, 二十五家爲里, 萬二千五百家爲鄕, 五百家爲黨. 言常祿不當辭, 有餘自可推之以周貧乏, 蓋鄰ㆍ里ㆍ鄕ㆍ黨有相周之義. ○ 程子曰: “夫子之使子華, 子華之爲夫子使..
2. 안연의 호학(好學) 哀公問: “弟子孰爲好學?” 孔子對曰: “有顔回者好學, 不遷怒, 不貳過. 不幸短命死矣! 今也則亡, 未聞好學者也.” 好, 去聲. 亡, 與無同. ○ 遷, 移也. 貳, 復也. 怒於甲者, 不移於乙; 過於前者, 不復於後. 顔子克己之功至於如此, 可謂眞好學矣. 短命者, 顔子三十二而卒也. 旣云今也則亡, 又言未聞好學者, 蓋深惜之, 又以見眞好學者之難得也. ○ 程子曰: “顔子之怒, 在物不在己, 故不遷. 有不善未嘗不知, 知之未嘗復行, 不貳過也.” 又曰: “喜怒在事, 則理之當喜怒者也, 不在血氣則不遷. 若舜之誅四凶也, 可怒在彼, 己何與焉. 如鑑之照物, 姸媸在彼, 隨物應之而已, 何遷之有?” 又曰: “如顔子地位, 豈有不善? 所謂不善, 只是微有差失. 纔差失便能知之, 纔知之便更不萌作.” 張子曰: “慊於己者, 不使..
1. 중궁은 남면할 수 있겠구나 凡二十八章. 篇內第十四章以前, 大意與前篇同. 子曰: “雍也可使南面.” 南面者, 人君聽治之位. 言仲弓寬洪簡重, 有人君之度也. 仲弓問子桑伯子, 子曰: “可也簡.” 子桑伯子, 魯人, 胡氏以爲疑卽莊周所稱子桑戶者是也. 仲弓以夫子許己南面, 故問伯子如何. 可者, 僅可而有所未盡之辭. 簡者, 不煩之謂. 仲弓曰: “居敬而行簡, 以臨其民, 不亦可乎? 居簡而行簡, 無乃大簡乎?” 大, 音泰. ○ 言自處以敬, 則中有主而自治嚴, 如是而行簡以臨民, 則事不煩而民不擾, 所以爲可. 若先自處以簡, 則中無主而自治疏矣, 而所行又簡, 豈不失之太簡, 而無法度之可守乎? 『家語』記‘伯子不衣冠而處, 夫子譏其欲同人道於牛馬.’ 然則伯子蓋太簡者, 而仲弓疑夫子之過許與? ○ 孔子見伯子, 伯子不衣冠而處. 弟子曰: “夫子何爲見此人乎..
공야장(公冶長) 제오(第五) 此篇皆論古今人物賢否得失, 蓋格物窮理之一端也. 凡二十七章. 胡氏以爲疑多子貢之徒所記云. 1. 공자 형의 딸과 자신의 딸을 시집보내다 子謂公冶長, “可妻也. 雖在縲絏之中, 非其罪也”. 以其子妻之. 妻, 去聲, 下同. 縲, 力追反. 絏, 息列反. ○ 公冶長, 孔子弟子. 妻, 爲之妻也. 縲, 黑索也. 絏, 攣也. 古者獄中以黑索拘攣罪人. 長之爲人無所考, 而夫子稱其可妻, 其必有以取之矣. 又言其人雖嘗陷於縲絏之中, 而非其罪, 則固無害於可妻也. 夫有罪無罪, 在我而已, 豈以自外至者爲榮辱哉? 子謂南容, “邦有道, 不廢; 邦無道, 免於刑戮”. 以其兄之子妻之. 南容, 孔子弟子, 居南宮. 名縚, 又名适. 字子容, 謚敬叔. 孟懿子之兄也. 不廢, 言必見用也. 以其謹於言行, 故能見用於治朝, 免禍於亂世也...
27. 호학(好學)해야만 한다 子曰: “十室之邑, 必有忠信如丘者焉, 不如丘之好學也.” 焉, 如字, 屬上句. 好, 去聲. ○ 十室, 小邑也. 忠信如聖人, 生質之美者也. 夫子生知而未嘗不好學, 故言此以勉人. 言美質易得, 至道難聞, 學之至則可以爲聖人, 不學則不免爲鄕人而已. 可不勉哉? 해석 子曰: “十室之邑, 必有忠信如丘者焉, 不如丘之好學也.” 공자께서 “10실의 작은 읍에도 반드시 충성스럽고 믿음직스러움이 나와 같은 사람은 있겠지만 나의 호학(好學)과 같지는 않다.”라고 말씀하셨다. 焉, 如字, 屬上句. 好, 去聲. ○ 十室, 小邑也. 십실(十室)은 작은 읍이다. 忠信如聖人, 生質之美者也. 충성스럽고 믿음직스럽다는 것은 타고난 자질이 아름다운 것이다. 夫子生知而未嘗不好學, 부자는 나면서 알기에 일찍이 호학하지 ..
26. 자신의 허물을 알고 자책하는 사람 子曰: “已矣乎! 吾未見能見其過而內自訟者也.” 已矣乎者, 恐其終不得見而歎之也. 內自訟者. 口不言而心自咎也. 人有過而能自知者鮮矣, 知過而能內自訟者爲尤鮮. 能內自訟, 則其悔悟深切而能改必矣. 夫子自恐終不得見而歎之, 其警學者深矣. 해석 子曰: “已矣乎! 吾未見能見其過而內自訟者也.” 공자께서 “그만두어라. 나는 자신의 허물을 보고 내적으로 스스로 판결하는 사람을 보지 못했다.”라고 말씀하셨다. 已矣乎者, 恐其終不得見而歎之也. ‘이의호자(已矣乎者)’는 마침내 보지 못할까 두려워하며 그것을 탄식한 것이다. 內自訟者. 口不言而心自咎也. ‘내자송자(內自訟者)’란 입으로 말하지 않고 마음으로 스스로 나무라는 것이다. 人有過而能自知者鮮矣, 사람이 허물이 있어 스스로 알 수 있는 사람..
25. 안연과 자로와 공자가 각자의 포부를 얘기하다 顔淵, 季路侍. 子曰: “盍各言爾志?” 盍, 音合. ○ 盍, 何不也. 子路曰: “願車馬, 衣輕裘, 與朋友共. 敝之而無憾.” 衣, 去聲. ○ 衣, 服之也. 裘, 皮服. 敝, 壞也. 憾, 恨也. 顔淵曰: “願無伐善, 無施勞.” 伐, 誇也. 善, 謂有能. 施, 亦張大之意. 勞, 謂有功, 『易』曰“勞而不伐” 是也. 或曰: “勞, 勞事也. 勞事非己所欲, 故亦不欲施之於人.” 亦通. 子路曰: “願聞子之志.” 子曰: “老者安之, 朋友信之, 少者懷之.” 老者養之以安, 朋友與之以信, 少者懷之以恩. 一說: 安之, 安我也; 信之, 信我也; 懷之, 懷我也. 亦通. ○ 程子曰: “夫子安仁, 顔淵不違仁, 子路求仁.” 又曰: “子路ㆍ顔淵ㆍ孔子之志, 皆與物共者也, 但有小大之差爾.” ..
24. 좌구명이 부끄럽다고 여긴 사람 子曰: “巧言, 令色, 足恭, 左丘明恥之, 丘亦恥之. 匿怨而友其人, 左丘明恥之, 丘亦恥之.” 足, 將樹反. ○ 足, 過也. 程子曰: “左丘明, 古之聞人也.” 謝氏曰: “二者之可恥, 有甚於穿窬也. 左丘明恥之, 其所養可知矣. 夫子自言 ‘丘亦恥之’, 蓋竊比老彭之意. 又以深戒學者, 使察乎此而立心以直也.” 해석 子曰: “巧言, 令色, 足恭, 左丘明恥之, 丘亦恥之. 匿怨而友其人, 左丘明恥之, 丘亦恥之.” 공자께서 “말을 듣기 좋게 하고 얼굴색을 좋게 하며 공손함을 지나치게 하는 것을 옛날에 좌구명이 부끄러워했었는데 나 또한 그것을 부끄러워한다. 원망하는 마음을 숨기고서 그 사람과 사귀는 것을 좌구명이 그것을 부끄러워했었는데 나 또한 그것을 부끄러워한다.”라고 말씀하셨다. 足, ..
23. 미생고는 자신에게 없는 것을 옆집에서 빌려서주다 子曰: “孰謂微生高直? 醯, 呼西反. ○ 微生姓, 高名, 魯人, 素有直名者. 或乞醯焉, 乞諸其鄰而與之.” 醯, 醋也. 人來乞時, 其家無有, 故乞諸鄰家以與之. 夫子言此, 譏其曲意殉物, 掠美市恩, 不得爲直也. ○ 程子曰: “微生高所枉雖小, 害直爲大.” 范氏曰: “是曰是, 非曰非, 有謂有, 無謂無, 曰直. 聖人觀人於其一介之取予, 而千駟萬鍾從可知焉. 故以微事斷之, 所以敎人不可不謹也.” 해석 子曰: “孰謂微生高直? 공자께서 “누가 미생고를 정직하다고 하는가? 醯, 呼西反. ○ 微生姓, 高名, 魯人, 素有直名者. 미생은 성이고 고는 이름이고 노나라 사람으로 평소에 정직하다고 이름났다. 或乞醯焉, 乞諸其鄰而與之.” 어떤 사람이 초를 빌리러 오자 이웃집에서 빌려와..
22. 백이와 숙제는 묵은 원한으로 괴롭히지 않았다 子曰: “伯夷ㆍ叔齊不念舊惡, 怨是用希.” 伯夷ㆍ叔齊, 孤竹君之二子. 孟子稱其“不立於惡人之朝, 不與惡人言. 與鄕人立, 其冠不正, 望望然去之, 若將浼焉.” 其介如此, 宜若無所容矣, 然其所惡之人, 能改卽止, 故人亦不甚怨之也. ○ 程子曰: “不念舊惡, 此淸者之量.” 又曰: “二子之心, 非夫子孰能知之?” 해석 子曰: “伯夷ㆍ叔齊不念舊惡, 怨是用希.” 공자께서 “백이와 숙제는 예전의 미움을 생각지 않았으니, 그래서 원망하는 사람들이 드물었다.”라고 말씀하셨다. 伯夷ㆍ叔齊, 孤竹君之二子. 백이와 숙제는 고죽군의 두 아들이다. 孟子稱其“不立於惡人之朝, 맹자는 「공손추」상9에서 말했다. “나쁜 사람의 조정에 입조하지 않았고, 不與惡人言. 나쁜 사람과 말을 섞지 않았다...
21. 우리 학단의 소자들이 광간하구나 子在陳曰: “歸與! 歸與! 吾黨之小子狂簡, 斐然成章, 不知所以裁之.” 與, 平聲. 斐, 音匪. ○ 此孔子周流四方, 道不行而思歸之歎也. 吾黨小子, 指門人之在魯者. 狂簡, 志大而略於事也. 斐, 文貌. 成章, 言其文理成就, 有可觀者. 裁, 割正也. 夫子初心, 欲行其道於天下, 至是而知其終不用也. 於是始欲成就後學, 以傳道於來世. 又不得中行之士而思其次, 以爲狂士志意高遠, 猶或可與進於道也. 但恐其過中失正, 而或陷於異端耳, 故欲歸而裁之也. 해석 子在陳曰: “歸與! 歸與! 吾黨之小子狂簡, 斐然成章, 不知所以裁之.” 공자께서 진나라에 계실 때 “돌아가자! 돌아가자! 나의 학당의 소자들이 광간하여 찬란히 문장을 이루었지만 다듬을 줄을 모르는구나.”라고 말씀하셨다【이 사건은 공자가 노나..
20. 영무자의 지혜로움은 따라할 수 있지만, 어리석음은 따라할 수 없다 子曰: “甯武子邦有道則知, 邦無道則愚. 其知可及也, 其愚不可及也.” 知, 去聲. ○ 甯武子, 衛大夫, 名兪. 按『春秋傳』, 武子仕衛, 當文公ㆍ成公之時. 文公有道, 而武子無事可見, 此其知之可及也. 成公無道, 至於失國, 而武子周旋其閒, 盡心竭力, 不避艱險. 凡其所處, 皆智巧之士所深避而不肯爲者. 而能卒保其身以濟其君, 此其愚之不可及也. ○ 程子曰: “邦無道能沈晦以免患, 故曰不可及也. 亦有不當愚者, 比干是也.” 해석 子曰: “甯武子邦有道則知, 邦無道則愚. 其知可及也, 其愚不可及也.” 공자께서 “영무자는 나라에 도가 있으면 지혜로웠고 나라에 도가 없으면 어리석었으니, 지혜로움에는 미칠 수 있지만 어리석음에는 미칠 수 없다.”라고 말씀하셨다. ..
19. 세 번 생각하지 말고 두 번이면 된다 季文子三思而後行. 三, 去聲. ○ 季文子, 魯大夫, 名行父. 每事必三思而後行, 若使晉而求遭喪之禮以行, 亦其一事也. 子聞之, 曰: “再, 斯可矣.” 斯, 語辭. 程子曰: “爲惡之人, 未嘗知有思, 有思則爲善矣. 然至於再則已審, 三則私意起而反惑矣, 故夫子譏之.” ○ 愚按: 季文子慮事如此, 可謂詳審, 而宜無過擧矣. 而宣公簒立, 文子乃不能討, 反爲之使齊而納賂焉, 豈非程子所謂私意起而反惑之驗歟? 是以君子務窮理而貴果斷, 不徒多思之爲尙. 해석 季文子三思而後行. 계문자가 세 번 생각한 후에 실행하니 三, 去聲. ○ 季文子, 魯大夫, 名行父. 계문자는 노나라 대부로 이름은 행보다. 每事必三思而後行, 매번 일할 적에 반드시 세 번 생각한 후에 행동하니, 若使晉而求遭喪之禮以行, 예를..
18. 영윤인 자윤은 충성스럽고 진자문은 청렴하다 子張問曰: “令尹子文三仕爲令尹, 無喜色; 三已之, 無慍色. 舊令尹之政, 必以告新令尹. 何如?” 子曰: “忠矣.” 知, 如字. ○ 令尹, 官名, 楚上卿執政者也. 子文, 姓鬪, 名穀於菟. 曰: “仁矣乎?” 曰: “未知, 焉得仁?” 焉, 於虔反. ○ 其爲人也, 喜怒不形, 物我無閒, 知有其國而不知有其身, 其忠盛矣, 故子張疑其仁. 然其所以三仕三已而告新令尹者, 未知其皆出於天理而無人欲之私也. 是以夫子但許其忠, 而未許其仁也. “崔子弑齊君, 陳文子有馬十乘, 棄而違之. 至於他邦, 則曰: 猶吾大夫崔子也. 違之. 之一邦, 則又曰: 猶吾大夫崔子也. 違之. 何如?” 子曰: “淸矣.” 乘, 去聲. ○ 崔子, 齊大夫, 名杼. 齊君, 莊公, 名光. 陳文子, 亦齊大夫, 名須無. 十乘, ..

17. 장문중은 지혜롭지 못하다 子曰: “臧文仲居蔡, 臧文仲, 魯大夫臧孫氏, 名辰. 居, 猶藏也. 蔡, 大龜也. 山節藻梲, 何如其知也?” 梲, 章悅反. 知, 去聲. ○ 節, 柱頭斗栱也. 藻, 水草名. 梲, 梁上短柱也. 蓋爲藏龜之室, 而刻山於節, 畫藻於梲也. 當時以文仲爲知, 孔子言其不務民義, 而諂瀆鬼神如此, 安得爲知? 『春秋傳』所謂作虛器, 卽此事也. ○ 張子曰: “山節藻梲爲藏龜之室, 祀爰居之義, 同歸於不知宜矣.” ○ 『春秋左氏傳』「文公」2年條曰: “仲尼曰 ‘臧文仲, 其不仁者三, 不知者三. 下展禽, 廢六關, 妾織蒲, 三不仁也; 作虛器, 縱逆祀, 祀爰居, 三不知也.’” ○ 『春秋左氏傳』「襄公」24年條曰: “穆叔曰 ‘以豹所聞, 此之謂世祿, 非不朽也. 魯有先大夫曰臧文仲, 既沒, 其言立, 其是之謂乎. 豹聞之, 大上..
16. 공자가 존경하던 선배님 안영 子曰: “晏平仲善與人交, 久而敬之.” 晏平仲, 齊大夫, 名嬰. 程子曰: “人交久則敬衰, 久而能敬, 所以爲善.” ○ 『史記』「管晏列傳」曰: “晏平仲嬰者, 萊之夷維人也. 事齊靈公ㆍ莊公ㆍ景公, 以節儉力行重於齊. 旣相齊, 食不重肉, 妾不衣帛. 其在朝, 君語及之, 卽危言; 語不及之, 卽危行. 國有道, 卽順命; 無道, 卽衡命. 以此三世顯名於諸侯.” 해석 子曰: “晏平仲善與人交, 久而敬之.” 공자께서 “안평중은 잘 사람과 사귀는 구나. 오래되어도 그를 공경하는 도다.”라고 말씀하셨다. 晏平仲, 齊大夫, 名嬰. 안평중은 제나라 대부로 이름은 영이다. 程子曰: “人交久則敬衰, 정이천이 말했다. “사람이 사귄 지가 오래되면 공경함이 쇠하니, 久而能敬, 所以爲善.” 오래되어도 공경하는 것..
15. 선배 정자산을 평가한 공자 子謂子産, “有君子之道四焉: 其行己也恭, 其事上也敬, 其養民也惠, 其使民也義.” 子産, 鄭大夫公孫僑. 恭, 謙遜也. 敬, 謹恪也. 惠, 愛利也. 使民義, 如都鄙有章, 上下有服, 田有封洫, 廬井有伍之類. ○ 吳氏曰: “數其事而責之者, 其所善者多也, 臧文仲不仁者三, 不知者三是也. 數其事而稱之者, 猶有所未至也, 子産有君子之道四焉是也. 今或以一言蓋一人, 一事蓋一時, 皆非也.” 해석 子謂子産, “有君子之道四焉: 其行己也恭, 其事上也敬, 其養民也惠, 其使民也義.” 공자께서 정자산【자산이 정치를 행한 정나라는 노나라와 같은 소국이었다. 그가 집정을 하고 있었던 정나라 간공(簡公)ㆍ정공(定公)ㆍ헌공(獻公)ㆍ성공(聲公)의 22년간의 시기는 진(晉)나라와 초(楚)나라 양대국이 강쟁(爭强)..
14. 공문자가 문(文)이란 시호를 받은 이유 子貢問曰: “孔文子何以謂之文也?” 子曰: “敏而好學, 不恥下問, 是以謂之文也.” 好, 去聲. ○ 孔文子, 衛大夫, 名圉. 凡人性敏者多不好學, 位高者多恥下問. 故謚法有以“勤學好問” 爲文者, 蓋亦人所難也. 孔圉得謚爲文, 以此而已. ○ 蘇氏曰: “孔文子使太叔疾出其妻而妻之. 疾通於初妻之娣, 文子怒, 將攻之. 訪於仲尼, 仲尼不對, 命駕而行. 疾奔宋, 文子使疾弟遺室孔姞. 其爲人如此而謚曰文, 此子貢之所以疑而問也. 孔子不沒其善, 言能如此, 亦足以爲文矣, 非經天緯地之文也.” 해석 子貢問曰: “孔文子何以謂之文也?” 子曰: “敏而好學, 不恥下問, 是以謂之文也.” 자공이 “공문자는 어째서 문(文)이라 일컬어지는 것입니까?”라고 여쭈니, 공자께서 “민첩하고 배우길 좋아하며, 아랫사..
13. 자로는 실천하지 못하고선 다시 듣는 걸 두려워하다 子路有聞, 未之能行, 唯恐有聞. 前所聞者旣未及行, 故恐復有所聞而行之不給也. ○ 范氏曰: “子路聞善, 勇於必行, 門人自以爲弗及也, 故著之. 若子路, 可謂能用其勇矣.” 해석 子路有聞, 未之能行, 唯恐有聞. 자로는 공자께 배워놓고 실천하지 못하고선 다른 것을 배우게 될까 두려워했다. 前所聞者旣未及行, 전에 들었던 것을 이미 실천함에 미치지 못하였기 때문에 故恐復有所聞而行之不給也. 다시 듣는 게 있어 실천함에 충분치 못할까 걱정한 것이다. ○ 范氏曰: “子路聞善, 勇於必行, 범조우(范祖禹)가 말했다. “자로는 선을 듣고 용감히 반드시 행하니, 門人自以爲弗及也, 문인이 스스로 자로에 미치지 못한다고 여겼다. 故著之. 그렇기 때문에 기록한 것이다. 若子路, ..
12. 성(性)과 천도(天道)를 거의 말하지 않던 공자 子貢曰: “夫子之文章, 可得而聞也; 夫子之言性與天道, 不可得而聞也.” 文章, 德之見乎外者, 威儀文辭皆是也. 性者, 人所受之天理; 天道者, 天理自然之本體, 其實一理也. 言夫子之文章, 日見乎外, 固學者所共聞; 至於性與天道, 則夫子罕言之, 而學者有不得聞者. 蓋聖門敎不躐等, 子貢至是始得聞之, 而歎其美也. ○ 程子曰: “此子貢聞夫子之至論而歎美之言也.” 해석 子貢曰: “夫子之文章, 可得而聞也; 夫子之言性與天道, 不可得而聞也.” 자공이 “부자의 문장은 얻어 들을 수 있지만, 부자께서 성(性)과 천도(天道)를 말하는 것은 얻어 들을 수 없었습니다.”라고 말하였다. 文章, 德之見乎外者, 威儀文辭皆是也. 문장(文章)은 덕이 외부로 표현된 것으로 위의(威儀)와 문사(文..
11. 남이 나에게 하지 않았으면 하는 일을 남에게 하지 않다 子貢曰: “我不欲人之加諸我也, 吾亦欲無加諸人.” 子貢言我所不欲人加於我之事, 我亦不欲以此加之於人. 子曰: “賜也, 非爾所及也.” 此仁者之事, 不待勉强, 故夫子以爲非子貢所及. ○ 程子曰: “我不欲人之加諸我, 吾亦欲無加諸人, 仁也; 施諸己而不願, 亦勿施於人, 恕也. 恕則子貢或能勉之, 仁則非所及矣.” 愚謂無者自然而然, 勿者禁止之謂, 此所以爲仁恕之別. 해석 子貢曰: “我不欲人之加諸我也, 吾亦欲無加諸人.” 자공이 “저는 남이 저에게 더하길 원하지 않는 것을 남에게 더하려 하지 않습니다.”라고 말하니, 子貢言我所不欲人加於我之事, 자공은 ‘내가 남이 나의 일에 더하길 원하지 않는 것을 我亦不欲以此加之於人. 나 또한 이것으로 남에게 더하지 않는다.’라고 말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