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한문놀이터/한문소설 (343)
건빵이랑 놀자
6화: 광문의 생김새와 장난기, 그리고 호기로움 박지원(朴趾源) 文爲人貌極醜, 言語不能動人, 口大幷容兩拳. 善曼碩戱, 爲鐵拐舞. 三韓兒相訾傲, 稱爾兄達文, 達文又其名也. 文行遇鬪者, 文亦解衣與鬪啞啞, 俯劃地若辨曲直狀. 一市皆笑, 鬪者亦笑, 皆解去. 해석文爲人貌極醜, 言語不能動人, 광문의 인물을 보면 생김새가 매우 추하고 그 말투는 사람을 감동시키지 못하며, 口大幷容兩拳. 그 입은 특히 넓어서 두 주먹이 들어갈 정도였다. 善曼碩戱, 爲鐵拐舞. 그는 또 만석(曼碩)놀이를 좋아하고 철괴(鐵拐) 춤을 잘 추었다. 三韓兒相訾傲, 稱爾兄達文, 당시 나라 안의 아이들이 서로 욕할 때 ‘네 형은 달문(達文)이다’라고 했는데 達文又其名也. 달문【연암은 ‘광문은 스스로 제 성을 몰랐다.’라고 했지만, 추재秋齋 조수삼趙秀三..
5화: 우직한 정직함에 감동한 사람들 박지원(朴趾源) 於是遍譽所知諸君及他富人大商賈, 廣文義人. 而又過贊廣文諸宗室賓客及公卿門下左右, 公卿門下左右及宗室賓客, 皆作話套. 以供寢數月間, 士大夫盡聞廣文如古人. 當是時, 漢陽中皆稱‘廣文, 前所厚遇舍主之賢能知人.’ 而益多藥肆富人長者也 時殖錢者, 大較典當首飾璣翠衣件器什宮室田僮奴之簿書, 參伍本幣以得當. 然文爲人保債不問, 當一諾千金. 해석於是遍譽所知諸君及他富人大商賈, 그러고는 그가 알고 있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다른 부자와 큰 상인들에게도 두루두루 廣文義人. ‘광문은 의로운 사람이다.’라고 칭찬했다. 而又過贊廣文諸宗室賓客及公卿門下左右, 그리고 여러 종실(宗室)【종실(宗室): 종친(宗親). 임금의 친척.】의 손님들과 공경(公卿)【공경(公卿): 삼공(三公)과 구경(九卿). 고관..
4화: 약방 주인의 의심과 정직함의 미덕 박지원(朴趾源) 保久之, 富人出門, 數數顧, 還復入室, 視其扃, 出門而去, 意殊怏怏. 旣還大驚熟視文, 欲有所言, 色變而止. 文實不知, 日默默亦不敢辭去. 旣數日, 富人妻兄子持錢還富人曰: “向者吾要貸於叔, 會叔不在, 自入室取去. 恐叔不知也.” 於是富人大慚廣文, 謝文曰: “吾小人也, 以傷長者之意, 吾將無以見若矣?” 해석保久之, 富人出門, 한참이 지난 어느 날 약방 부자가 문 밖으로 나가다가 數數顧, 還復入室, 자꾸만 돌아보며 다시 방에 들어와서 視其扃, 出門而去, 意殊怏怏. 자물쇠를 살피고 문을 나서는데 기색이 심상치 않았다. 旣還大驚熟視文, 그리고 돌아와서 매우 놀란 표정으로 광문을 노려보더니 欲有所言, 色變而止. 무언가 말하려다가 안색이 변해서 그만두는 것이었다. ..
3화: 죽은 거지를 거적때기로 챙겨주다 박지원(朴趾源) 舍主終已恠之, 踵其後. 望見群丐兒曳一尸, 至水標橋, 投尸橋下. 文匿橋中, 裹以弊席, 潛負去, 埋之西郊之墦間, 且哭且語. 於是舍主執詰文, 文於是盡告其前所爲及昨所以狀. 舍主心義文, 與文歸家, 予文衣, 厚遇文. 竟薦文藥肆富人作傭. 해석舍主終已恠之, 踵其後. 하지만 집주인은 끝내 이상히 여겨 그 뒤를 따라갔다. 望見群丐兒曳一尸, 그는 여러 거지들이 시체 하나를 끌고 가 至水標橋, 投尸橋下. 수표교(水標橋)【수표교(水標橋): 조선 세종 때에 청계천에 놓은 다리. 원래 서울 종로 수표동에 있었다가 장충단 공원으로 옮겨졌고, 이후 세종대왕 기념관으로 옮겨져 보관 중이다.】 다리 아래로 버리는 것을 볼 수 있었다. 文匿橋中, 裹以弊席, 潛負去, 광문은 다리 아래 ..
2화: 억울하게 도망 온 광문을 도둑으로 오해하다 박지원(朴趾源) 文夜匍匐入里中舍, 驚舍中犬, 舍主得文縛之. 文呼曰: “吾避仇, 非敢爲盜, 如翁不信. 朝日辨於市.”辭甚樸, 舍主心知廣文非盜賊, 曉縱之. 文辭謝請弊席而去. 해석文夜匍匐入里中舍, 광문은 밤에 엉금엉금 기어서 마을 안의 어떤 집으로 들어갔다. 驚舍中犬, 舍主得文縛之. 그 집의 개가 놀라서 짖는 바람에 집주인이 광문을 잡아서 묶었다. 文呼曰: “吾避仇, 광문이 큰 소리로 말했다. “나는 나를 해치려는 자들을 피해서 온 것이지, 非敢爲盜, 감히 도둑질을 하기 위해 온 것이 아닙니다. 如翁不信. 朝日辨於市.”만약 영감님께서 믿지 않으신다면 내일 아침에 시전에 나가 밝혀 드리겠습니다.” 辭甚樸, 舍主心知廣文非盜賊, 그 말이 매우 순박해서 집주인은 마음속..
1화: 광문, 아프던 거지를 죽였다는 누명을 쓰다 박지원(朴趾源) 廣文者, 丐者也. 甞行乞鍾樓市道中, 群丐兒, 推文作牌頭, 使守窠. 一日天寒雨雪, 群兒相與出丐, 一兒病不從. 旣而兒寒專纍, 欷聲甚悲. 文甚憐之, 身行丐得食, 將食病兒, 兒業已死. 群兒返乃疑文殺之, 相與搏逐文. 해석廣文者, 丐者也.광문(廣文)이란 사람은 거지였다. 甞行乞鍾樓市道中, 일찍이 종루(鐘樓)【종루(鐘樓): 종로의 옛 이름.】 거리 시전(市廛)을 돌아다니며 밥을 빌어먹었는데, 群丐兒, 推文作牌頭, 使守窠. 나중에 여러 거지아이들이 그를 패두(牌頭)【패두(牌頭): 우두머리.】로 추대하여 그들의 소굴을 지키게 했다. 一日天寒雨雪, 群兒相與出丐, 하루는 날씨가 춥고 진눈깨비가 내리는데 모든 거지들이 구걸을 나가고 一兒病不從. 한 아이만이 병..
누구보다 깨끗하면서도 성실한 나의 똥퍼 친구 엄항수예덕선생전(穢德先生傳) 박지원(朴趾源) 1화: 벗이 중요하다고 해놓고선 천하디 천한 엄항수와 벗이 되었다뇨, 이게 뭔 말인가요 蟬橘子有友曰‘穢德先生.’ 在宗本塔東. 日負里中糞, 以爲業. 里中皆稱嚴行首, 行首者, 役夫老者之稱也, 嚴其姓也. 子牧問乎蟬橘子曰: “昔者, 吾聞友於夫子曰: ‘不室而妻, 匪氣之弟.’ 友如此其重也? 世之名士大夫, 願從足下, 遊於下風者多矣, 夫子無所取焉. 夫嚴行首者, 里中之賤人役夫, 下流之處而恥辱之行也, 夫子亟稱其德曰‘先生’, 若將納交而請友焉, 弟子甚羞之, 請辭於門.” 2화: 이덕무의 친구 사귐에 대한 변론 蟬橘子笑曰: “居. 吾語若友. 里諺有之曰: ‘醫無自藥, 巫不己舞.’ 人皆有己所自善而人不知愍然. 若求聞過, 徒譽則近諂而無味, 專短則近..
줄거리와 인용 박지원(朴趾源) 1화: 벗이 중요하다고 해놓고선 천하디 천한 엄항수와 벗이 되었다뇨, 이게 뭔 말인가요선귤자(이덕무)의 제자인 자목이 사대부와는 친구가 되려 하지 않으면서, 똥을 치우는 엄행수와는 친구가 되려 하니 부끄러워 떠나겠다고 함 2화: 이덕무의 친구 사귐에 대한 변론자신의 장점을 듣고 싶을 땐 짐짓 그 말을 바로 할 수 없으니, “나의 단점을 얘기해주시오”라는 말을 한다고 함. ⇒ 그럴 때 칭찬만 늘어놓으면 아첨이나 다름없지만 단점만 늘어놓으면 흉보는 것이 된다고 함. ⇒ 보통 사람은 그런 경우 얼버무리기에 자신이 생각했던 단점을 듣지 못했으니 크게 화나지도 않고, 듣고 싶던 장점을 말해주면 간지러운 곳을 긁어준 것처럼 감격함. 3화: 제자의 반론과 이덕무의 설명이에 제자는 그건 ..
8화: 겉은 더러워도 속은 더 깨끗한 엄항수 박지원(朴趾源) 故苟非其義, 雖萬鍾之祿, 有不潔者耳; 不力而致財, 雖埒富素對, 有臭其名矣. 故人之大往飮珠飯玉, 明其潔也. 夫嚴行首負糞擔溷以自食, 可謂至不潔矣. 然而其所以取食者至馨香, 其處身也至鄙汚, 而其守義也至抗高, 推其志也, 雖萬鍾可知也. 繇是觀之, 潔者有不潔, 而穢者不穢耳. 故吾於口體之養, 有至不堪者, 未甞不思其不如我者, 至於嚴行首無不堪矣. 苟其心無穿窬之志, 未甞不思嚴行首, 推以大之, 可以至聖人矣. 故夫士也窮居, 達於面目恥也, 旣得志也, 施於四體恥也, 其視嚴行首, 有不忸怩者幾希矣. 故吾於嚴行首師之云乎, 豈敢友之云乎. 故吾於嚴行首, 不敢名之, 而號曰: ‘穢德先生.’ 『放璚閣外傳』 해석故苟非其義, 雖萬鍾之祿, 의롭지 않은 방법으로 비록 온갖 봉록을 얻을지라도 ..
7화: 자신의 상황에 만족하기는 쉽지 않다 박지원(朴趾源) 食蝦醢, 思鷄子, 衣葛羨衣紵. 天下從此大亂, 黔首地奮, 田畝荒矣. 陳勝ㆍ吳廣ㆍ項籍之徒, 其志豈安於鋤耰者耶. 『易』曰: ‘負且乘, 致寇至’ 至其此之謂也. 해석食蝦醢, 思鷄子, 새우젓을 먹을 때는 계란이 생각나고 衣葛羨衣紵. 칡옷을 입을 때는 모시옷이 부러운 법이지. 天下從此大亂, 세상일이 이렇게 돌아가면 큰 난리가 일어나는 법이니, 黔首地奮, 田畝荒矣. 검수(黔首)가 토지를 빼앗기면 밭이랑이 황폐해지는 것과 같은 이치란다. 陳勝ㆍ吳廣ㆍ項籍之徒, 진승(陳勝)ㆍ오광(吳廣)ㆍ항적(項籍)의 무리가 其志豈安於鋤耰者耶. 그 뜻을 어찌 호미나 곰방메에 두고 편안함을 구하겠느냐. 『易』曰: ‘負且乘, 致寇至’『주역(周易)』에 이르기를 ‘짊어진 자가 수레를 탄다면..
6화: 정해진 분수에 만족하며 사는 엄항수 박지원(朴趾源) 傳曰: ‘素富貴行乎富貴, 素貧賤行乎貧賤.’ 夫素也者定也. 詩云‘夙夜在公, 寔命不同,’ 命也者分也. 夫天生萬民, 各有定分, 命之素矣, 何怨之有. 해석傳曰: ‘素富貴行乎富貴, 素貧賤行乎貧賤.’ 옛 글에 써있지. ‘바탕이 부귀한 사람은 부귀를 행하고, 바탕이 빈천(貧賤)한 사람은 빈천(貧賤)을 행한다.’ 夫素也者定也. 무릇 바탕이라는 것은 정해져 있기 때문이란다. 『詩』云: ‘夙夜在公, 寔命不同,’ 또 『시경(詩經)』에 말했단다. ‘일찍부터 밤늦게까지 일하니, 진실로 타고난 운명이 다르구나.’ 命也者分也. 운명이란 곧 분수를 말함이야. 夫天生萬民, 各有定分, 무릇 조물주가 만백성을 창조할 때 각기 그 분수를 정해 놓았고 命之素矣, 何怨之有. 바탕을 정..
5화: 엄항수의 자족하는 마음 박지원(朴趾源) 枉十里蘿蔔, 箭串菁, 石郊茄ㆍ蓏水瓠ㆍ胡瓠, 延禧宮ㆍ苦椒ㆍ蒜韭ㆍ葱薤, 靑坡水芹, 利泰仁土卵, 田用上上, 皆取嚴氏糞, 膏沃衍饒, 歲致錢六千. 朝而一盂飯, 意氣充充然, 及日之夕, 又一盂矣. 人勸之肉則辭曰: ‘下咽則蔬肉同飽矣, 奚以味爲,’ 勸之衣則辭曰: ‘衣廣袖不閑於體, 衣新不能負塗矣.’ 歲元日朝, 始笠帶衣屨, 遍拜其隣里, 還乃衣故衣, 復荷畚入里中. 如嚴行首者, 豈非所謂穢其德而大隱於世者耶. 해석枉十里蘿蔔, 箭串菁, 왕십리의 배추, 살꽂이다리【전관(箭串): 현재 서울 성동구에 있는 뚝섬의 옛 이름 중의 하나.】의 무, 石郊茄ㆍ蓏水瓠ㆍ胡瓠, 석교(石郊)의 가지ㆍ오이ㆍ수박ㆍ호박과 延禧宮ㆍ苦椒ㆍ蒜韭ㆍ葱薤, 靑坡水芹, 연희궁(延禧宮)의 고추ㆍ마늘ㆍ부추ㆍ파ㆍ염교와 청파동의 물..
4화: 똥을 탐내지만 욕심이 되지 않는 이유 박지원(朴趾源) 彼嚴行首者, 未甞求知於吾, 吾常欲譽之而不厭也. 其飯也頓頓, 其行也伈伈; 其睡也昏昏, 其笑也訶訶; 其居也若愚, 築土覆藁而圭其竇, 入則蝦脊, 眠則狗喙. 朝日煕煕然起, 荷畚入里中除溷. 歲九月天雨霜, 十月薄氷, 圊人餘乾, 皁馬通, 閑牛下, 塒落鷄, 狗鵝矢ㆍ笠豨苓ㆍ左盤龍ㆍ翫月砂ㆍ白丁香, 取之如珠玉. 不傷於廉, 獨專其利, 而不害於義, 貪多而務得, 人不謂其不讓. 唾掌揮鍬, 磬腰傴傴, 若禽鳥之啄也. 雖文章之觀, 非其志也, 雖鍾皷之樂, 不顧也. 夫富貴者, 人之所同願也, 非慕而可得, 故不羡也. 譽之而不加榮, 毁之而不加辱. 해석彼嚴行首者, 未甞求知於吾, 저 엄항수라는 사람은 일찍이 나와 알고 지내기를 애써 구하지 않았지만, 吾常欲譽之而不厭也. 나는 언제나 그를 칭..
3화: 제자의 반론과 이덕무의 설명 박지원(朴趾源) 子牧掩耳卻走曰: “此夫子敎我以市井之事, 傔僕之役耳.” 蟬橘子曰: “然則子之所羞者, 果在此而不在彼也. 夫市交以利, 面交以諂. 故雖有至懽, 三求則無不踈, 雖有宿怨, 三與則無不親. 故以利則難繼, 以諂則不久. 夫大交不面, 盛友不親. 但交之以心, 而友之以德, 是爲道義之交. 上友千古而不爲遙, 相居萬里而不爲疎. 해석子牧掩耳卻走曰: 자목이 귀를 막고 달아나며 말했다. “此夫子敎我以市井之事, 傔僕之役耳.” “이것은 선생님께서 시정배(市井輩)나 머슴들의 행세를 가르치는 것뿐입니다.” 蟬橘子曰: 선귤자가 타이르며 말했다. “然則子之所羞者, “그렇다면 네가 부끄러워하는 것은 果在此而不在彼也. 과연 이것에 있지 다른 것에 있는 것이 아니로구나. 夫市交以利, 面交以諂. 무릇 시..
2화: 이덕무의 친구 사귐에 대한 변론 박지원(朴趾源) 蟬橘子笑曰: “居. 吾語若友. 里諺有之曰: ‘醫無自藥, 巫不己舞.’ 人皆有己所自善而人不知愍然. 若求聞過, 徒譽則近諂而無味, 專短則近訐而非情. 於是泛濫乎其所未善, 逍遙而不中, 雖大責不怒. 不當其所忌也. 偶然及其所自善, 比物而射其覆, 中心感之, 若爬癢焉. 爬癢有道. 拊背無近腋, 摩膺毋侵項. 成說於空而美自歸, 躍然曰: ‘知如是而友’可乎.” 해석蟬橘子笑曰: 선귤자는 웃으며 말하였다. “居. 吾語若友. “가만 있거라. 내가 벗에 대하여 말해 주마. 里諺有之曰: 마을의 속담에 있단다. ‘醫無自藥, 巫不己舞.’ ‘의원이 제 병 못 고치고, 무당이 제 춤 못 춘다.’ 人皆有己所自善而人不知愍然. 사람은 누구나 그 잘하는 바가 있지만 다른 사람은 그것을 모르고 어리석..
1화: 벗이 중요하다고 해놓고선 천하디 천한 엄항수와 벗이 되었다뇨, 이게 뭔 말인가요 박지원(朴趾源) 蟬橘子有友曰‘穢德先生.’ 在宗本塔東. 日負里中糞, 以爲業. 里中皆稱嚴行首, 行首者, 役夫老者之稱也, 嚴其姓也. 子牧問乎蟬橘子曰: “昔者, 吾聞友於夫子曰: ‘不室而妻, 匪氣之弟.’ 友如此其重也? 世之名士大夫, 願從足下, 遊於下風者多矣, 夫子無所取焉. 夫嚴行首者, 里中之賤人役夫, 下流之處而恥辱之行也, 夫子亟稱其德曰‘先生’, 若將納交而請友焉, 弟子甚羞之, 請辭於門.” 해석蟬橘子有友曰‘穢德先生.’ 선귤자(蟬橘子)에게 벗이 있으니, 예덕선생(穢德先生)이라 불리고 在宗本塔東. 종본탑(宗本塔) 동쪽에 살았다【예덕선생(穢德先生): 미상(未詳)이다. 현재 서울 종로의 탑골공원 안에 있는 원각사지(圓覺寺址)의 석탑[白塔..
함양에 살던 열녀 박씨에 대한 이야기열녀함양박씨전(烈女咸陽朴氏傳) 박지원(朴趾源) 1화: ‘열녀’라는 문화가 사람 잡네 齊人有言曰: “烈女不更二夫” 如『詩』之「柏舟」是也. 然而『國典』, “改嫁子孫, 勿叙正職” 此豈爲庶姓黎甿而設哉. 乃國朝四百年來, 百姓旣沐久道之化. 則女無貴賤, 族無微顯, 莫不守寡, 遂以成俗. 古之所稱烈女, 今之所在寡婦也. 至若田舍少婦, 委衖靑孀, 非有父母不諒之逼, 非有子孫勿叙之恥. 而守寡不足以爲節, 則往往自滅晝燭, 祈殉夜臺. 水火鴆繯, 如蹈樂地. 烈則烈矣, 豈非過歟. 2화: 과부의 자식인 사람의 벼슬길을 막기 위해 어머니와 상의하다 昔有昆弟名宦. 將枳人淸路, 議于母前. 母問“奚累而枳?” 對曰: “其先有寡婦, 外議頗喧.” 母愕然曰: “事在閨房, 安從而知之?” 對曰: “風聞也.” 母曰: “風..
6화: 열녀함양박씨전을 짓는 이유 박지원(朴趾源) 旣而咸陽郡守尹矦光碩, 夜得異夢, 感而作『烈婦傳』, 而山淸縣監李矦勉齋, 亦爲之立傳, 居昌愼敦恒, 立言士也, 爲朴氏撰次其節.義始終, 其心豈不曰: ‘弱齡嫠婦之久留於世, 長爲親戚之所嗟憐, 未免隣里之所妄忖, 不如速無此身也.’ 噫! 成服而忍死者, 爲有窀穸也; 旣葬而恐死者, 爲有小祥也; 小祥而忍死者, 爲有大祥也. 旣大祥則喪期盡, 而同日同時之殉, 竟遂其初志, 豈非烈也. 『燕巖集』 해석旣而咸陽郡守尹矦光碩, 夜得異夢, 그후 함양군수 윤광석이 어느 날 밤 이상한 꿈을 꾸고 感而作『烈婦傳』, 느낀 바가 있어 『열부전』을 지었고, 而山淸縣監李矦勉齋, 亦爲之立傳, 산청현감 이면재【후(侯)는 고대 중국의 제후에 해당한다는 뜻으로 사또에 붙이는 경칭이다. 원문에는 이면제의 ‘제(齊)..
5화: 자살한 과부의 미담 박지원(朴趾源) 群吏歔欷而進曰: “朴女家世縣吏也, 其父名相一早歿, 獨有此女而母亦早歿. 則幼養於其大父母, 盡子道. 及年十九, 嫁爲咸陽林述曾妻, 亦家世郡吏也. 述曾素羸弱, 一與之醮, 歸未半歲而歿. 朴女執夫喪, 盡其禮; 事舅姑, 盡婦道, 兩邑之親戚鄰里, 莫不稱其賢. 今而後果驗之矣.” 有老吏感慨曰: “女未嫁時隔數月. 有言‘述曾病入髓, 萬無人道之望, 盍退期?’ 其大父母密諷其女, 女默不應. 迫期, 女家使人覸述曾, 述曾雖美姿貌, 病勞且咳, 菌立而影行也. 家大懼, 擬招他媒, 女斂容曰: ‘曩所裁縫, 爲誰稱體, 又號誰衣也? 女願守初製.’ 家知其志, 遂如期迎婿, ‘雖名合巹, 其實竟守空衣’云.” 해석群吏歔欷而進曰: “朴女家世縣吏也, 여러 아전들이 탄식하고 나아가 말했다. “박씨 집안은 대대로 현(縣..
4화: 함양댁이 남편 3년 상을 마치고 자살하다 박지원(朴趾源) 余視事安義之越明年癸丑月日夜將曉. 余睡微醒, 聞廳事前有數人隱喉密語, 復有慘怛歎息之聲. 蓋有警急而恐擾余寢也. 余遂高聲問“鷄鳴未?” 左右對曰: “已三四號矣.” “外有何事?” 對曰: “通引朴相孝之兄之子之嫁咸陽而早寡者. 畢其三年之喪, 飮藥將殊. 急報來救, 而相孝方守番, 惶恐不敢私去.” 余命之疾去. 及晩爲問“咸陽寡婦得甦否?” 左右言“聞已死矣.” 余喟然長歎曰: “烈哉斯人!” 乃招群吏而詢之曰: “咸陽有烈女, 其本安義出也. 女年方幾何, 嫁咸陽誰家, 自幼志行如何, 若曺有知者乎?” 해석余視事安義之越明年癸丑月日夜將曉. 내가 안의(安義) 고을의 일을 살피던 이듬해인 계축(癸丑) 모월 모일 새벽이었다. 余睡微醒, 聞廳事前有數人隱喉密語, 나는 어슴푸레 잠을 깨었는데,..
3화: 과부 어머니와 엽전 박지원(朴趾源) 且若乃寡婦之子, 寡婦子尙能論寡婦耶. 居. 吾有以示若.” 出懷中銅錢一枚. 曰: “此有輪郭乎?” 曰: “無矣.” “此有文字乎?” 曰: “無矣.” 母垂淚曰: “此汝母忍死符也. 十年手摸, 磨之盡矣. 大抵人之血氣, 根於陰陽, 情欲鍾於血氣. 思想生於幽獨, 傷悲因於思想, 寡婦者, 幽獨之處而傷悲之至也. 血氣有時而旺, 則寧或寡婦而無情哉. 殘燈吊影, 獨夜難曉. 若復簷雨淋鈴, 窓月流素, 一葉飄庭, 隻鴈叫天, 遠鷄無響, 穉婢牢鼾, 耿耿不寐, 訴誰苦衷. 吾出此錢而轉之. 遍模室中, 圓者善走, 遇域則止. 吾索而復轉. 夜常五六轉, 天亦曙矣. 十年之間, 歲减其數, 十年以後, 則或五夜一轉, 或十夜一轉. 血氣旣衰而吾不復轉此錢矣. 血氣旣衰而吾不復轉此錢矣. 所以不忘其功, 而時有所自警也.” 遂子母相持..
2화: 과부의 자식인 사람의 벼슬길을 막기 위해 어머니와 상의하다 박지원(朴趾源) 昔有昆弟名宦. 將枳人淸路, 議于母前. 母問“奚累而枳?” 對曰: “其先有寡婦, 外議頗喧.” 母愕然曰: “事在閨房, 安從而知之?” 對曰: “風聞也.” 母曰: “風者, 有聲而無形也. 目視之而無覩也, 手執之而無獲也. 從空而起, 能使萬物浮動, 奈何以無形之事? 論人於浮動之中乎? 해석昔有昆弟名宦. 옛날 어떤 형제가 높은 벼슬에 있었다【봉록은 많지 않으나 명예롭게 여겨졌던 홍문관, 예문관, 규장각 등의 하위 관직을 가리킨다. 학식과 문벌을 갖춘 인물에 한하여 허용되었다.】. 將枳人淸路, 議于母前. 장차 어떤 사람의 벼슬길을 막으려 해서 어머니 앞에서 의논했다. 母問“奚累而枳?” 어머니가 물었다. “무엇에 연루되었기에 벼슬길을 막으려고 하..
1화: ‘열녀’라는 문화가 사람 잡네 박지원(朴趾源) 齊人有言曰: “烈女不更二夫” 如『詩』之「柏舟」是也. 然而『國典』, “改嫁子孫, 勿叙正職” 此豈爲庶姓黎甿而設哉. 乃國朝四百年來, 百姓旣沐久道之化. 則女無貴賤, 族無微顯, 莫不守寡, 遂以成俗. 古之所稱烈女, 今之所在寡婦也. 至若田舍少婦, 委衖靑孀, 非有父母不諒之逼, 非有子孫勿叙之恥. 而守寡不足以爲節, 則往往自滅晝燭, 祈殉夜臺. 水火鴆繯, 如蹈樂地. 烈則烈矣, 豈非過歟. 해석齊人有言曰: “烈女不更二夫” 제(齊) 나라 사람의 말에 “열녀(烈女)는 두 지아비를 섬기지 않는다【제 나라의 현자 왕촉(王蠋)이 제 나라를 침략한 연(燕) 나라가 자신을 장수로 기용하겠다는 제안을 거부하면서 한 말이다. 그는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고 정숙한 여자는 지아비를 두 번..
방경각외전에 여러 한문소설을 지은 이유방경각외전 자서(放璚閣外傳 自序) 박지원(朴趾源) 友居倫季 匪厥疎卑 如土於行 寄王四時親義別叙 非信奚爲常若不常 友廼正之 所以居後 廼殿統斯 三狂相友 遯世流離論厥讒諂 若見鬚眉於是述『馬駔』 士累口腹 百行餒缺鼎食鼎烹 不誡饕餮嚴自食糞 迹穢口潔於是述『穢德先生』 閔翁蝗人 學道猶龍託諷滑稽 翫世不恭書壁自憤 可警惰慵於是述『閔翁』 士廼天爵 士心爲志其志如何 弗謀勢利 達不離士 窮不失士不飭名節 徒貨門地 酤鬻世德 商賈何異 於是述『兩班』 弘基大隱 迺隱於遊淸濁無失 不忮不求於是述『金神仙』 廣文窮丐 聲聞過情非好名者 猶不免刑矧復盜竊 要假以爭於是述『廣文』 孌彼虞裳 力古文章禮失求野 亨短流長於是述『虞裳』 世降衰季 崇飾虗僞詩發含珠 愿ㆍ賊ㆍ亂紫.逕捷終南 從古以醜於是述『易學大盜』 入孝出悌 未學謂學斯言雖過 可警僞德明..
용궁에 초대 받아 상량문을 지은 한생의 이야기용궁부연록(龍宮赴宴錄) 김시습(金時習) 1화: 용궁에 초대된 한생 松都有天磨山. 其山高揷而峭秀, 故曰天磨山. 中有龍湫, 名曰瓢淵. 窄而深, 不知其幾丈. 溢而爲瀑, 可百餘丈. 景槪淸麗, 遊僧過客, 必於此而觀覽焉. 夙著異靈, 載諸傳記, 國家歲時, 以牲牢祀之. 前朝有韓生者, 少而能文, 著於朝廷, 以文士稱之. 嘗於所居室, 日晩宴坐, 忽有靑衫㡤頭郞官二人, 從空而下. 俯伏於庭曰: “瓢淵神龍奉邀.” 生愕然變色曰: “神人路隔, 安能相及? 且水府汗漫, 波浪相囓, 安可利往?” 二人曰: “有駿足在門, 願勿辭也.” 遂鞠躬挽袂出門, 果有驄馬. 金鞍玉勒, 蓋黃羅帕, 而有翼者也. 從者皆紅巾抹額, 而錦袴者十餘人. 扶生上馬, 幢蓋前導, 妓樂後隨, 二人執笏從之. 其馬緣空而飛, 但見足下煙雲苒惹..
줄거리와 인용 김시습(金時習) 1화: 용궁에 초대된 한생 천마산에 박연폭포가 있었는데 경치가 매우 아름다웠음 ⇒ 어느날 글 잘 짓는 한생이 해 저무는 모습을 바라보는데 푸른 옷 입은 두 사내가 하늘에서 내려와 엎드림 ⇒ 박연 용왕님이 데려오라고 했다며 가자고 함 ⇒ 밖에 나오니 말이 있었고 말을 타자 하늘로 날아오름 ⇒ 잠시 후 용궁에 도착함 2화: 한생, 글로 용왕의 맘에 들다 바다생물 병사들이 인사를 했고 푸른 옷을 입은 사내아이 둘이 안내해줌 ⇒ 용궁에 들어가자 용왕이 맞이했고 옥으로 만든 의자에 앉으라고 권함 ⇒ 사양하다가 결국 의자에 앉음 ⇒ 이때 손님 세 명이 들어왔고 그들도 용왕님이 사람 보는 눈이 있으니 한생이 대가일거라 추켜세워줌 3화: 한생에게 상량문을 부탁하다 용왕은 시집갈 딸이 머물..
12화: 집으로 김시습(金時習) 生曰: “欲還.” 使者曰: “唯.” 生將還, 其門戶重重, 迷不知其所之, 命使者而先導焉. 生到本座, 致謝於王曰: “厚蒙恩榮, 周覽佳境.” 再拜而別. 於是, 神王以珊瑚盤, 盛明珠二顆, 氷綃二匹, 爲贐行之資, 拜別門外. 三神同時拜辭, 三神乘輦直返. 復命二使者, 持穿山簸水之角, 揮以送之. 一人謂生曰: “可登吾背, 閉目半餉.” 生如其言. 一人揮角先導, 恰似登空. 唯聞風水聲, 移時不絶. 聲止開目, 但偃臥居室而已. 生出戶視之, 大星初稀. 東方向明, 鷄三鳴而更五點矣. 急探其懷而視之, 則珠綃在焉. 生藏之巾箱, 以爲至寶, 不肯示人. 其後, 生不以名爲懷, 入名山, 不知所終. 『金鰲新話』 해석生曰: “欲還.” 한생이 말했다. “그만 돌아가겠습니다.” 使者曰: “唯.” 사자가 말했다. “그러시지..
11화: 용궁의 기물들 김시습(金時習) 又到一閣, 名曰凌虛之閣. 生問曰: “此閣何用?” 曰: “此神王朝天之時, 整其儀仗, 飾其衣冠之處.” 生請曰: “願觀儀仗.” 使者, 引至一處, 有一物, 如圓鏡. 燁燁有光, 眩目不可諦視. 生曰: “此何物也?” 曰: “電母之鏡.” 又有鼓, 大小相稱. 生欲擊之. 使者止之曰: “若一擊, 則百物皆震, 卽雷公之鼓也.” 又有一物, 如橐籥. 生欲搖之. 使者復止之曰: “若一搖, 則山石盡崩, 大木斯拔. 卽哨風之橐也.” 又有一物, 如拂箒, 而水甕在邊. 生欲灑之. 使者又止之曰: “若一灑, 洪水滂沱, 懷山襄陵.” 生曰: “然則何乃不置噓雲之器?” 曰: “雲則神王, 神力所化, 非機括可做.” 生又曰: “雷公電母, 風伯雨師, 何在?” 曰: “天帝囚於幽處, 使不得遊, 王出則斯集矣.” 其餘器具, 不能盡..
10화: 한생의 용궁구경 김시습(金時習) 生拜謝, 進而告曰: “龍宮勝事, 已盡見之矣. 且宮室之廣, 疆域之壯, 可周覽不?” 神王曰: “可”. 生受命, 出戶盱衡, 但見綵雲繚繞, 不辨東西. 神王命吹雲者掃之. 有一人, 於殿庭, 蹙口一吹, 天宇晃朗, 無山石巖崖, 但見世界平闊, 如碁局, 可數十里. 瓊花琪樹, 列植其中, 布以金沙, 繚以金墉, 其廊廡庭除, 皆鋪碧琉璃塼, 光影相涵. 神王命二人, 指揮觀覽. 行到一樓, 名曰朝元之樓. 純是玻瓈所成, 飾以珠玉, 錯以金碧. 登之若凌虛焉. 其層十級. 生欲盡登, 使者曰: “神王以神力自登, 僕等亦不能盡覽矣.” 蓋上級, 與雲霄幷, 非塵凡可及, 生登七層而下. 해석生拜謝, 進而告曰: 한생이 절하고 감사드린 뒤에 앞으로 나아가 용왕에게 아뢰었다. “龍宮勝事, 已盡見之矣. “용궁의 좋은 일들은..
9화: 연회자리의 한시 한 마당② 김시습(金時習) 第三座曰: “神王酩酊倚金牀 山靄霏霏已夕陽 妙舞傞傞廻錦袖 淸歌細細遶彫梁 幾年孤憤翻銀島 今日同歡擧玉觴 流盡光陰人不識 古今世事太忽忙”題畢進呈, 神王笑閱, 使人授生. 生受之跪讀, 三復賞玩, 卽於座前, 題二十韻, 以陳盛事, 詞曰: “天磨高出漢 巖溜遠飛空 直下穿林壑 奔流作巨淙 波心涵月窟 潭底悶龍宮 變化留神迹 騰拏建大功 煙熅生細霧 駘蕩起祥風 碧落分符重 靑丘列爵崇 乘雲朝紫極 行雨駕靑驄 金闕開佳燕 瑤階奏別鴻 流霞浮茗椀 湛露滴荷紅 揖讓威儀重 周旋禮度豊 衣冠文璨爛 環珮響玲瓏 魚鼈來朝賀 江河亦會同 靈機何恍惚 玄德更淵沖 苑擊催花鼓 樽垂吸酒虹 天姝吹玉笛 王母理絲桐 百拜傳醪醴 三呼祝華嵩 煙沈霜雪果 盤映水晶葱 珍味充喉潤 恩波浹骨融 還如湌沆瀣 宛似到瀛蓬 歡罷應相別 風流一夢中”詩進, 滿..
8화: 연회자리의 한시 한 마당① 김시습(金時習) 於是, 木石魍魎, 山林精怪, 起而各呈所能. 或嘯或歌, 或舞或吹, 或忭或踊, 異狀同音, 乃作歌曰: “神龍在淵 或躍于天 於千萬年 厥祚延綿 卑禮招賢 儼若神仙 玩彼新篇 珠玉相聯 琬琰以鑴 千載永傳 君子言旋 開此瓊筵 歌以採蓮 妙舞躚翩 伐鼓淵淵 和彼繁絃 一棹航船 鯨吸百川 揖讓周旋 樂且無愆”歌竟, 於是. 江河君長, 跪而陳詩. 其第一座曰: “碧海朝宗勢未休 奔波汨汨負輕舟 雲初散後月沈浦 潮欲起時風滿洲 日煖龜魚閑出沒 波明鳧鴨任沈浮 年年觸石多鳴咽 此夕歡娛蕩百憂”第二座曰: “五花樹影蔭重茵 籩豆笙簧次第陳 雲母帳中歌宛轉 水晶簾裏舞逡巡 神龍豈是池中物 文士由來席上珍 安得長繩繫白日 留連泥醉艶陽春” 해석於是, 木石魍魎, 현선생의 놀음이 끝나자 숲속의 도깨비와 山林精怪, 起而各呈所能. 산 속..
7화: 현 선생의 연회잔치 김시습(金時習) 又有一人, 自稱玄先生. 曳尾延頸, 吐氣凝眸, 進而告曰: “僕蓍叢隱者, 蓮葉遊人. 洛水負文, 已旌夏禹之功, 淸江被網, 曾著元君之策. 縱刳腸以利人, 恐脫殼之難堪. 山節藻梲, 殼爲臧公之珍. 石腸玄甲, 胸吐壯士之氣. 盧敖踞我於海上, 毛寶放我於江中. 生爲嘉世之珍, 死作靈道之寶. 宜張口而呵呻, 聊以舒千年藏六之胸懷.” 卽於席前,吐氣裊裊如縷, 長百餘尺, 吸之則無迹. 或縮頸藏肢, 或引頸搖項. 俄而, 進蹈安徐, 作九功之舞, 獨進獨退, 乃作歌曰: “依山澤以介處兮 愛呼吸而長生 生千歲而五聚 搖十尾而最靈 寧曳尾於泥途兮 不願藏乎廟堂 匪鍊丹而久視 非學道而靈長 遭聖明於千載 呈瑞應之昭彰 我爲水族之長兮 助連山與歸藏 負文字而有數兮 告吉凶而成策 然而多智有所危困 多能有所不及 未免剖心而灼背兮 侶魚蝦而屛..
6화: 곽개사의 연회 잔치 김시습(金時習) 有一人, 自稱郭介士. 擧足橫行. 進而告曰: “僕巖中隱士, 沙穴幽人, 八月風淸, 輸芒東海之濱, 九天雲散,含光南井之傍. 中黃外圓, 被堅執銳. 常支解以入鼎, 縱摩頂而利人. 滋味風流, 可解壯士之顔, 形摸郭索, 終貽婦人之笑. 趙倫雖惡於水中, 錢昆常思於外郡. 死入畢吏部之手, 神依韓晉公之筆. 且逢場而作戱, 宜弄脚以周旋.” 卽於席前, 負甲執戈, 噴沫瞪視, 回瞳搖肢, 蹣跚趨蹌, 進前退後, 作八風之舞. 其類數十, 折旋俯伏, 一時中節, 乃作歌曰: “依江海以穴處兮 吐氣宇與虎爭 身九尺而入貢 類十種而多名 喜神王之嘉會 羌頓足而橫行 愛淵潛以獨處 驚江浦之燈光 匪酬恩而泣珠 非報仇而橫槍 嗟濠梁之巨族 笑我謂我無腸 然可比於君子 德充腹而內黃 美在中而暢四肢兮 螯流玉而凝香 羌今夕兮何夕 赴瑤池之霞觴 神矯首..
5화: 신나는 연회자리 김시습(金時習) 於是, 神王開潤筆宴. 生跪曰: “尊神畢集, 不敢問諱.” 神王曰: “秀才陽人, 固不知矣. 一祖江神, 二洛河神, 三碧瀾神也. 余欲與秀才光伴, 故相邀爾.” 酒盡樂作, 有蛾眉十餘輩, 搖翠袖, 戴瓊花, 相進相退, 舞而歌碧潭之曲曰: “碧潭兮汪汪 飛澗兮泱泱 接天上之銀潢 若有人兮波中央 振環珮兮琳琅 威炎赫兮煌煌 羌氣宇兮軒昻 擇吉日兮辰良 占鳳鳴之鏘鏘 有翼兮華堂 有祥兮靈長 招文士兮製短章 歌盛化兮擧脩梁 酌桂酒兮飛羽觴 輕燕回兮踏春陽 獸口噴兮瑞香 豕服沸兮瓊漿 擊魚鼓兮郞當 吹龍笛兮趨蹌 神儼然而在牀 仰至德兮不可忘”舞竟, 復有總角十餘輩, 左執籥, 右執翿, 相旋相顧, 而歌回風之曲曰: “若有人兮山之阿 披薛荔兮帶女蘿 日將暮兮淸波 生細紋兮如羅 風瓢瓢兮鬢鬖䯯 雲冉冉兮衣婆娑 周旋兮委蛇 巧笑兮相過 損余褋兮鳴..
4화: 한생, 용왕에게 지어올린 상량문 김시습(金時習) 其詞曰: “切以堪輿之內, 龍神最靈, 人物之間, 配匹至重, 旣有潤物之功, 可無衍福之基? 是以關雎好逑, 所以著萬化之始, 飛龍利見, 亦以象靈變之迹. 是用新構阿房, 昭揭盛號, 集蜃鼉而作力, 聚寶貝以爲材, 竪水晶珊瑚之柱. 掛龍骨琅玗之梁, 珠簾捲而山靄靑葱, 玉戶開而洞雲繚繞. 宜室宜家, 享胡福於萬年, 鼓瑟鼓琴, 毓金枝於億世. 用資風雲之變, 永補造化之功, 在天在淵, 蘇下民之渴望, 或潛或躍, 祐上帝之仁心, 騰翥快於乾坤, 威德洽于遐邇, 玄龜赤鯉, 踊躍而助唱, 木怪山魈, 次第而來賀, 宜作短歌, 用揭雕梁.‘抛梁東, 紫翠岧繞撑碧空. 一夜雷聲喧繞澗, 蒼崖萬仞珠玲瓏. 抛梁西, 征轉巖廻山鳥啼. 湛湛深湫知幾丈, 一泓春水似玻瓈. 抛梁南, 十里松杉橫翠嵐. 誰識神宮宏且壯, 碧琉璃底影相..
3화: 한생에게 상량문을 부탁하다 김시습(金時習) 座定, 行茶一巡. 神王告曰: “寡人止有一女, 已加冠笄. 將欲適人, 而弊居僻陋, 無迎待之館, 花燭之房. 今欲別構一閣, 命名佳會. 工匠已集, 木石咸具. 而所乏者, 上梁文耳. 側聞秀才, 名著三韓, 才冠百家, 故特遠招, 幸爲寡人製之.” 言未旣, 有二丫童. 一捧碧玉之硯, 湘竹之管; 一捧氷綃一丈, 跪進於前. 生俛伏而起, 染翰立成, 雲煙相糺. 해석座定, 行茶一巡. 다들 자리에 앉아 찻잔을 한차례 돌린 뒤에 神王告曰: 용왕이 한생에게 말했다. “寡人止有一女, 已加冠笄. “과인은 오직 딸 하나를 두었을 뿐인데, 이미 시집보낼 나이가 되었습니다. 將欲適人, 而弊居僻陋, 장차 알맞은 사람과 혼례를 치르려고 하지만, 우리가 사는 집이 누추하여 無迎待之館, 花燭之房. 사위를 맞..
2화: 한생, 글로 용왕의 맘에 들다 김시습(金時習) 頃刻間, 已至於宮門之外. 下馬而立. 守門者, 皆著彭蜞鰲鱉之甲, 矛戟森然, 眼眶可寸許. 見生皆低頭交拜, 鋪牀請憩, 似有預待. 二人趨入報之, 俄而靑童二人, 拱手引入. 生舒步而進, 仰視宮門, 榜曰含仁之門. 生纔入門, 神王戴切雲冠, 佩劍秉簡而下. 延之上階, 升殿請坐, 卽水晶宮白玉牀也. 生屈伏固辭曰: “下土愚人, 甘與草木同腐, 安得干冒神威, 濫承寵接?” 神王曰. “久望令聞, 仰屈尊儀, 幸毋見訝.” 遂揮手揖坐, 生三讓而登. 神王南向, 踞七寶華牀, 生西向而坐. 坐未定, 閽者傳言曰: “賓至.” 王又出門迎接. 見有三人, 著紅袍, 承綵輦, 威儀侍從, 儼若王者. 王又延之殿上. 生隱於牖下, 欲竢其定而請謁. 王勸三人, 東向揖坐而告曰: “適有文士在陽界, 奉邀, 諸君勿相疑也.”..
1화: 용궁에 초대된 한생 김시습(金時習) 松都有天磨山. 其山高揷而峭秀, 故曰天磨山. 中有龍湫, 名曰瓢淵. 窄而深, 不知其幾丈. 溢而爲瀑, 可百餘丈. 景槪淸麗, 遊僧過客, 必於此而觀覽焉. 夙著異靈, 載諸傳記, 國家歲時, 以牲牢祀之. 前朝有韓生者, 少而能文, 著於朝廷, 以文士稱之. 嘗於所居室, 日晩宴坐, 忽有靑衫㡤頭郞官二人, 從空而下. 俯伏於庭曰: “瓢淵神龍奉邀.” 生愕然變色曰: “神人路隔, 安能相及? 且水府汗漫, 波浪相囓, 安可利往?” 二人曰: “有駿足在門, 願勿辭也.” 遂鞠躬挽袂出門, 果有驄馬. 金鞍玉勒, 蓋黃羅帕, 而有翼者也. 從者皆紅巾抹額, 而錦袴者十餘人. 扶生上馬, 幢蓋前導, 妓樂後隨, 二人執笏從之. 其馬緣空而飛, 但見足下煙雲苒惹, 不見地之在下也. 해석松都有天磨山. 其山高揷而峭秀, 개성에 천마산이..
삶과 철학에 대한 염라와 박생의 한바탕 토론대회남염부주지(南炎浮洲志) 김시습(金時習) 1화: 잘 풀리지 않는 현실에서 다양한 의문을 품다 成化初, 慶州有朴生者. 以儒業自勉. 常補大學館, 不得登一試. 常怏怏有憾. 而意氣高邁, 見勢不屈, 人以爲驕俠. 然對人接話, 淳愿慤厚, 一鄕稱之. 生嘗疑浮屠巫覡鬼神之說, 猶豫未決. 旣而質之『中庸』, 參之『易辭』, 自負不疑. 而以淳厚, 故與浮屠交, 如韓之顚, 柳之巽者, 不過二三人. 浮屠亦以文士交, 如遠之宗ㆍ雷, 遁之王ㆍ謝, 爲莫逆友. 一日, 因浮屠, 問天堂地獄之說, 復疑云: “天地一陰陽耳. 那有天地之外, 更有天地? 必詖辭也.” 問之浮屠, 浮屠亦不能決答, 而以罪福響應之說答之. 生亦不能心服也. 2화: 박생이 지은 ‘일리론(一理論)’이란 논문 常著『一理論』, 以自警, 蓋不爲他岐所..
줄거리와 인용 김시습(金時習) 1화: 잘 풀리지 않는 현실에서 다양한 의문을 품다 박생은 학문실력은 월등했지만 과거엔 붙지 못함 ⇒ 불교ㆍ무격ㆍ귀신 이야기에 의문을 품음 ⇒ 그는 여러 사람과 기탄없이 사귀었음 ⇒ 스님에게 천둥과 지옥, 응보에 관한 물었지만 명쾌한 답을 얻지 못함. 2화: 박생이 지은 ‘一理論’이란 논문 천하의 이치는 한 가지로, 그 한 가지란 곧 천리다 ⇒ 천리대로 살면 모든 이치를 절로 터득하게 됨. 3화: 꿈속에서 지옥에 간 박생 하루는 주역을 읽다가 잠깐 잠이 듦 ⇒ 바다 속 섬에 있는 자신을 알게 됨 ⇒ 모래나 풀은 없이 쇠와 불만 있는 곳임 ⇒ 수문장에게 가서 한껏 낮은 자세로 말함 4화: 명부를 지닌 동자, 왕성까지 가는 길 두 동자가 문서를 가지고 나옴 ⇒ 거긴 죄가 없기에..
15화: 박생의 최후 김시습(金時習) 旣出門, 挽車者, 蹉跌覆轍, 生仆地驚起而覺, 乃一夢也. 開目視之, 書冊抛床, 燈花明滅. 生感訝良久, 自念將死, 日以處置家事爲懷. 數月有疾, 料必不起, 却毉巫而逝. 其將化之夕, 夢神人告於四鄰曰: “汝鄰家某公, 將爲閻羅王者”云. 『金鰲新話』 해석旣出門, 挽車者, 박생이 문을 나서자, 수레를 끄는 자가 蹉跌覆轍, 발을 헛디뎌 수레바퀴가 넘어졌다. 生仆地驚起而覺, 乃一夢也. 그 바람에 박생도 땅에 쓰러졌고 깜짝 놀라서 일어나 깨어 보니 한바탕 꿈이었다. 開目視之, 書冊抛床, 눈을 떠보니 책은 책상 위에 내던져 있었고, 燈花明滅. 등잔불은 가물거리고 있었다. 生感訝良久, 自念將死, 박생은 한참 의아하게 여기다가, 장차 죽을 것을 알게 되어 日以處置家事爲懷. 날마다 집안일을 정..
14화: 왕위 선위를 승낙한 박생 김시습(金時習) 宴畢, 王欲禪位于生, 乃手制曰: “炎洲之域, 實是瘴厲之鄕, 禹跡之所不至, 穆駿之所未窮. 彤雲蔽日, 毒霧障天, 渴飮赫赫之洋銅, 飢餐烘烘之融鐵, 非夜叉羅刹, 無以措其足, 魑魅魍魎, 莫能肆其氣. 火城千里, 鐵嶽萬重, 民俗强悍, 非正直無以辨其姦, 地勢凹隆, 非神威不可施其化. 咨! 爾東國某, 正直無私, 剛毅有斷, 著含章之質, 有發蒙之才, 顯榮雖蔑於身前, 綱紀實在於身後, 兆民永賴, 非子而誰? 宜導德齊禮, 冀納民於至善, 躬行心得, 庶躋世於雍熙. 體天立極, 法堯禪舜, 予其作賓, 嗚呼欽哉!” 生奉詔, 周旋再拜而出. 王復勑臣民致賀, 以儲君禮送之. 又勑生曰: “不久當還, 勞此一行, 所陳之語, 傳播人間, 一掃荒唐!” 生又再拜致謝曰: “敢不對揚休命之萬一?” 해석 宴畢, 王欲禪位..
13화: 임금의 도리와 역할에 대한 논의 김시습(金時習) 問生以三韓興亡之跡. 生一一陳之. 至高麗創業之由, 王歎傷再三曰: “有國者, 不可以暴劫民, 民雖若瞿瞿以從, 內懷悖逆, 積日至月, 則堅冰之禍起矣. 有德者, 不可以力進位, 天雖不諄諄以語, 示以行事, 自始至終, 而上帝之命嚴矣. 蓋國者民之國, 命者天之命也. 天命已去, 民心已離, 則雖欲保身, 將何爲哉?”又復敍歷代帝王崇異道致妖祥之事. 王便蹙額曰: “民謳謌而水旱至者, 是天使人主重以戒謹也. 民怨咨而祥瑞現者, 是妖媚人主益以驕縱也. 且歷代帝王致瑞之日, 民其按堵乎? 呼寃乎?” 曰: “姦臣蜂起, 大亂屢作, 而上之人, 脅威爲善以釣名, 其能安乎?” 王良久, 歎曰: “子之言, 是也.” 해석問生以三韓興亡之跡. 임금이 박생에게 삼한(三韓)이 흥하고 망한 자취를 물었더니, 生一一陳之..
12화: 윤회와 저승, 그리고 염라직 제안 김시습(金時習) 生又問曰: “輪回不已, 死此生彼之義, 可問否?” 曰: “精靈未散, 則似有輪回, 然久則散而消耗矣.” 生曰: “王何故居此異域而爲王者乎?” 曰: “我在世, 盡忠於王, 發憤討賊. 乃誓曰: ‘死當爲厲鬼, 以殺賊!’ 餘願未殄而忠誠不滅, 故托此惡鄕爲君長. 今居此地而仰我者, 皆前世弑逆姦兇之徒. 托生於此, 而爲我所制, 將格其非心者也. 然非正直無私, 不能一日爲君長於此地也. 寡人聞子正直抗志, 在世不屈, 眞達人也. 而不得一奮其志於當世, 使荊璞棄於塵野, 明月沉于重淵, 不遇良匠, 誰知至寶? 豈不惜哉? 余亦時運已盡, 將捐弓劒, 子亦命數已窮, 當瘞蓬蒿, 司牧此邦, 非子而誰?” 乃開宴極歡, 해석生又問曰: “輪回不已, 박생이 또 물었다. “사람이 윤회(輪廻)를 그치지 않고, 死..
11화: 49제와 절의 폐단에 대한 염라의 대답 김시습(金時習) 王曰: “噫哉! 至於此極也? 且人之生也, 天命之以性, 地養之以生. 君治之以法, 師敎之以道, 親育之以恩. 由是, 五典有序, 三綱不紊, 順之則祥, 逆之則殃, 祥與殃在人生受之耳. 至於死, 則精氣已散, 升降還源, 那有復留於幽冥之內哉? 且寃懟之魂, 橫夭之鬼, 不得其死, 莫宣其氣, 嗸嗸於戰場黃沙之域, 啾啾於負命啣寃之家者. 間或有之, 或托巫以致款, 或依人以辨懟, 雖精神未散於當時, 畢竟當歸於無朕. 豈有假形於冥地, 以受犴獄乎? 此格物君子, 所當斟酌也. 至於齋佛祀王之事, 則尤誕矣. 且齋者, 潔淨之義, 所以齋不齋而致其齋也. 佛者, 淸淨之稱, 王者, 尊嚴之號. 求車求金, 貶於『春秋』, 用金用綃, 始於漢ㆍ魏. 那有以淸淨之神而享世人供養, 以王者之尊而受罪人賄賂, 以幽..
10화: 49제와 절의 폐단을 물은 박생 김시습(金時習) 生退席敷袵而陳曰: “世俗當父母死亡七七之日, 若尊若卑, 不顧喪葬之禮, 專以追薦爲務. 富者, 糜費過度, 炫燿人聽; 貧者, 至於賣田貿宅, 貸錢賖穀, 鏤紙爲旛, 剪綵爲花, 招衆𩫼爲福田, 立壞像爲導師, 唱唄諷誦, 鳥鳴鼠喞, 曾無意謂. 爲喪者, 携妻率兒, 援類呼朋, 男女混雜, 矢溺狼籍, 男女混雜, 矢溺狼籍, 而又招所謂十王者, 備饌以祭之, 燒錢以贖之. 爲十王者, 當不顧禮義, 縱貪而濫受之乎? 當考其法度, 循憲而重罰之乎? 此不肖所以憤悱, 而不敢忍言也. 請爲不肖辨之!” 해석生退席敷袵而陳曰: 박생이 자리에서 물러나 옷자락을 여미고 말하였다. “世俗當父母死亡七七之日, “세상에서는 어버이가 돌아가신 지 사십구 일이 되면 若尊若卑, 지위가 높든지 낮든지 가리지 않고 不顧喪..
9화: 제사에서 지천을 사르는 것과 간악한 사람도 용서해주냐는 물음에 대한 염라의 대답 김시습(金時習) 生又問曰: “僕嘗聞於爲佛者之徒, 有曰: ‘天上有天堂快樂處, 地下有地獄苦楚處, 列冥府十王, 鞠十八獄囚.’ 有諸? 且人死七日之後, 供佛設齋以薦其魂, 祀王燒錢以贖其罪. 姦暴之人, 王可寬宥否?”王驚愕曰: “是非吾所聞. 古人曰: ‘一陰一陽之謂道, 一闢一闔之謂變. 生生之謂易, 無妄之謂誠.’ 夫如是, 則豈有乾坤之外, 復有乾坤, 天地之外, 更有天地乎? 如王者, 萬民所歸之名也. 三代以上, 億兆之主, 皆曰王, 而無稱異名. 如夫子修『春秋』, 立百王不易之大法, 尊周室曰天王. 則王者之名, 不可加也. 至秦滅六國一四海, 自以爲‘德兼三皇, 功高五帝,’ 乃改王號曰皇帝. 當是時, 僭竊稱之者頗多, 如魏ㆍ梁荊楚之君, 是已. 自是以後, 王..
8화: 여기와 요매도 귀신이라 할 수 있나? 김시습(金時習) 生曰: “世有厲氣妖魅, 害人惑物, 此亦當言鬼神乎?” 王曰: “鬼者, 屈也. 神者, 伸也. 屈而伸者, 造化之神也; 屈而不伸者, 乃鬱結之妖也. 合造化, 故與陰陽終始而無跡, 滯鬱結, 故混人物寃懟而有形. 山之妖曰魈, 水之怪曰魊, 水石之怪曰龍罔象, 木石之怪曰夔魍魎. 害物曰厲, 惱物曰魔, 依物曰妖, 惑物曰魅, 皆鬼也. 陰陽不測之謂神, 卽神也. 神者, 妙用之謂也, 鬼者, 歸根之謂也. 天人一理, 顯微無間, 歸根曰靜, 復命曰常. 終始造化, 而有不可知其造化之跡, 是卽所謂道也. 故曰: ‘鬼神之德, 其盛矣乎!’” 해석生曰: “世有厲氣妖魅, 박생이 말하였다. “세상에 여기(厲氣)와 요매(妖魅)【요매(妖魅): 요사스러워 사람을 홀림.】들이 나타나서 害人惑物, 사람을 해..
7화: 귀신에 대한 염라의 대답 김시습(金時習) 生又問曰: “鬼神之說, 乃何?” 王曰: “鬼者, 陰之靈, 神者, 陽之靈, 蓋造化之迹, 而二氣之良能也. 生則曰人物, 死則曰鬼神, 而其理則未嘗異也.” 生曰: “世有祭祀鬼神之禮, 且祭祀之鬼神, 與造化之鬼神, 異乎?” 曰: “不異也. 士豈不見乎? 先儒云: ‘鬼神無形無聲,’ 然物之終始, 無非陰陽合散之所爲. 且祭天地, 所以謹陰陽之造化也. 祀山川, 所以報氣化之升降也. 享祖考, 所以報本; 祀六神, 所以免禍. 皆使人致其敬也, 非有形質以妄加禍福於人間. 特人焄蒿悽愴, 洋洋如在耳. 孔子所謂, 敬鬼神而遠之, 正謂此也.” 해석生又問曰: “鬼神之說, 乃何?” 박생이 또 물었다. “귀신이란 어떤 것입니까?” 王曰: “鬼者, 陰之靈, 神者, 陽之靈, 임금이 말하였다. “‘귀(鬼)’는 음..
6화: 주공과 공자, 석가에 대한 염라의 대답 김시습(金時習) 生問曰: “周ㆍ孔ㆍ瞿曇, 何如人也?” 王曰: “周ㆍ孔, 中華文物中之聖也; 瞿曇, 西域姦兇中之聖也. 文物雖明, 人性駁粹, 周ㆍ孔率之. 姦兇雖昧, 氣有利鈍, 瞿曇警之. 周ㆍ孔之敎, 以正去邪; 瞿曇之法, 設邪去邪. 以正去邪. 故其言正直; 以邪去邪, 故其言荒誕. 正直故君子易從, 荒誕故小人易信, 其極致, 則皆使君子小人, 終歸於正理. 未嘗惑世誣民, 以異道誤之也.” 해석生問曰: “周ㆍ孔ㆍ瞿曇, 何如人也?” 박생이 물었다. “주공과 공자와 석가는 어떤 사람들입니까?” 王曰: “周ㆍ孔, 中華文物中之聖也; 임금이 말하였다. “주공과 공자는 중화(中華) 문물(文物) 가운데서 탄생한 성인이요, 瞿曇, 西域姦兇中之聖也. 석가는 서역(西域)의 간흉한 민족 가운데서 탄..
5화: 염라의 극진한 대우와 자기소개 김시습(金時習) 至王城, 四門豁開, 池臺樓觀, 一如人間. 有二美姝, 出拜扶携而入. 王戴通天之冠, 束文玉之帶, 秉珪下階而迎. 生俯伏在地, 不能仰視. 王曰: “土地殊異, 不相統攝, 而識理君子, 豈可以威勢屈其躬也?” 挽袖而登殿上, 別施一床, 卽玉欄金床也. 坐定, 王呼侍者進茶. 生側目視之, 茶則融銅, 果則鐵丸也. 生且驚且懼, 而不能避, 以觀其所爲. 進於前, 則香茗佳果, 馨香芬郁, 薰于一殿. 茶罷, 王語生曰: “士不識此地乎? 所謂炎浮洲也. 宮之北山, 卽沃焦山也. 此洲在天之南, 故曰南炎浮洲. 炎浮者, 炎火赫赫, 常浮大虛, 故稱之云耳. 我名燄摩, 言爲燄所摩也. 爲此土君師, 已萬餘載矣. 壽久而靈, 心之所之, 無不神通, 志之所欲, 無不適意. 蒼頡作字, 送吾民以哭之, 瞿曇成佛, 遣吾徒..
4화: 명부를 지닌 동자, 왕성까지 가는 길 김시습(金時習) 有黑衣白衣二童, 手把文卷而出. 一黑質靑字, 一白質朱字. 張于生之左右以示之. 生見朱字, 有名姓. 曰: “現住某國朴某, 今生無罪, 當不爲此國民.” 生問曰: “示不肖以文卷, 何也?” 童曰: “黑質者, 惡簿也. 白質者, 善簿也. 在善簿者, 王當以聘士禮迎之; 在惡簿者, 雖不加罪, 以民隸例勑之. 王若見生, 禮當詳悉.” 言訖, 持簿而入. 須臾飆輪寶車, 上施蓮座. 嬌童彩女, 執拂擎盖, 武隸邏卒, 揮戈喝道. 生擧首望之, 前有鐵城三重, 宮闕嶔峩, 在金山之下, 火炎漲天, 融融勃勃. 顧視道傍人物於火燄中, 履洋銅融鐵, 如蹋濘泥, 生之前路可數十步許, 如砥而無流金烈火, 蓋神力所變爾. 해석有黑衣白衣二童, 手把文卷而出. 말이 끝나자 검은 옷과 흰옷을 입은 두 동자가 손에 문..
3화: 꿈속에서 지옥에 간 박생 김시습(金時習) 一日, 於所居室中, 夜挑燈讀『易』, 支枕假寐, 忽到一國, 乃洋海中一島嶼也. 其地無草木沙礫, 所履非銅則鐵也. 晝則烈焰亘天, 大地融冶, 夜則凄風自西, 砭人肌骨, 吒波不勝. 又有鐵崖如城, 緣于海濱, 只有一鐵門, 宏壯, 關鍵甚固. 守門者, 喙牙獰惡, 執戈鎚以防外物. 其中居民, 以鐵爲室, 晝則焦爛, 夜則凍烈. 唯朝暮蠢蠢, 似有笑語之狀, 而亦不甚苦也. 生驚愕逡巡, 守門者喚之. 生遑遽不能違命, 踧踖而進. 守門者, 竪戈而問曰: “子何如人也?” 生慄且答曰: “某國某土某, 一介迂儒, 干冒靈官, 罪當寬宥, 法當矜恕!” 拜伏再三, 且謝搪揬, 守門者曰: “爲儒者, 當逢威不屈, 何磬折之如是? 吾儕欲見識理君子久矣. 我王亦欲見如君者, 以一語傳白于東方. 少坐! 吾將告子于王.” 言訖, 趨..
2화: 박생이 지은 ‘일리론(一理論)’이란 논문 김시습(金時習) 常著『一理論』, 以自警, 蓋不爲他岐所惑. 其略曰: “常聞天下之理, 一而已矣. 一者何? 無二致也. 理者何? 性而已矣. 性者何? 天之所命也. 天以陰陽五行, 化生萬物, 氣以成形, 理亦賦焉. 所謂理者, 於日用事物上, 各有條理. 語父子則極其親, 語君臣則極其義, 以至夫婦長幼, 莫不各有當行之路. 是則所謂道而理之具於吾心者也. 循其理, 則無適而不安; 逆其理而拂性, 則菑逮. 窮理盡性, 究此者也; 格物致知, 格此者也. 蓋人之生, 莫不有是心, 亦莫不具是性. 而天下之物, 亦莫不有是理. 以心之虛靈, 循性之固然, 卽物而窮理, 因事而推源, 以求至乎其極, 則天下之理, 無不著現明顯, 而理之至極者, 莫不森於方寸之內矣. 以是而推之, 天下國家, 無不包括, 無不該合, 參諸天地而不..
1화: 잘 풀리지 않는 현실에서 다양한 의문을 품다 김시습(金時習) 成化初, 慶州有朴生者. 以儒業自勉. 常補大學館, 不得登一試. 常怏怏有憾. 而意氣高邁, 見勢不屈, 人以爲驕俠. 然對人接話, 淳愿慤厚, 一鄕稱之. 生嘗疑浮屠巫覡鬼神之說, 猶豫未決. 旣而質之『中庸』, 參之『易辭』, 自負不疑. 而以淳厚, 故與浮屠交, 如韓之顚, 柳之巽者, 不過二三人. 浮屠亦以文士交, 如遠之宗ㆍ雷, 遁之王ㆍ謝, 爲莫逆友. 一日, 因浮屠, 問天堂地獄之說, 復疑云: “天地一陰陽耳. 那有天地之外, 更有天地? 必詖辭也.” 問之浮屠, 浮屠亦不能決答, 而以罪福響應之說答之. 生亦不能心服也. 해석成化初, 慶州有朴生者. 성화(成化) 초년에 경주에 박생이란 사람이 살고 있었다. 以儒業自勉. 그는 유학에 뜻을 두고 언제나 자신을 격려하였다. 常補大學..
부벽정에서 기자의 딸과 만나 시를 지으며 회포를 푼 홍생의 이야기취유부벽정기(醉遊浮碧亭記) 김시습(金時習) 1화: 평양을 묘사하다 平壤, 古朝鮮國也. 周武王克商, 訪箕子, 陣『洪範九疇』之法, 武王封于此地, 而不臣也. 其勝地, 則錦繡山ㆍ鳳凰臺ㆍ綾羅島ㆍ麒麟窟ㆍ朝天石ㆍ楸南墟, 皆古跡. 而永明寺浮碧亭, 其一也. 永明寺, 卽東明王九梯宮也. 在郭外東北卄里, 俯瞰長江, 遠矚平原, 一望無際, 眞勝境也. 畵舸商舶, 晩泊于大同門外之柳磯, 留則必泝流而上, 縱觀于此, 極歡而旋. 亭之南, 有鍊石層梯. 左曰靑雲梯, 右曰白雲梯, 刻之于石, 立華柱, 以爲好事者玩. 2화: 한 바탕 친구들과 놀고 부벽정에서 운치를 즐기기 天順初, 松京有富室洪生. 年少美姿容, 有風度, 又善屬文. 値中秋望, 與同伴, 抱布貿絲于箕城, 泊舟艤岸. 城中名娼, ..
10화: 줄거리와 인용 김시습(金時習) 1화: 평양을 묘사하다영명사와 구제궁터, 그리고 부벽정에 대한 묘사 2화: 한 바탕 친구들과 놀고 부벽정에서 운치를 즐기기홍생이란 부잣집 청년은 한가위날 친구들과 강가에서 잔치를 벌임 ⇒ 잔치가 끝나고 한숨 자려 눈을 붙였지만 잠은 오지 않음 ⇒ 부벽루까지 배를 저어서 감 ⇒ 그곳에서 시를 읊으니 옥황상제가 계신 곳에라도 오를 듯 기상이 서늘해짐. 3화: 맥수은허를 달밤 부벽루를 보며 읊다‘맥수은허’ 6수를 읊음 ⇒ 읊을 때 혼자 춤을 추기도, 흐느끼기도 함. 4화: 뜻밖의 인연과 합석하다그만 돌아가려 할 때 발소리가 들림 ⇒ 절의 스님인 줄 알았는데 두 시녀를 거느린 처녀였음 ⇒ 홍생은 숨어 여인을 지켜보다가 여인이 자신을 찾는다는 걸 알게 됨 ⇒ 그 말을 듣고 ..
9화: 홍생 하늘나라의 신선이 되다 김시습(金時習) 悄然而悲, 肅然而恐. 愴乎其不可留也. 返而登舟, 怏怏鬱鬱. 抵于故岸, 同伴競問曰: “昨宵, 托宿甚處?” 生紿曰: “昨夜, 把竿乘月, 至長慶門外朝天石畔, 欲釣錦鱗. 會夜凉水寒, 不得一鮒, 何恨如之?” 同伴亦不之疑也. 其後, 生念娥, 得勞瘵尫羸之疾, 先抵于家, 精神恍惚, 言語無常. 展輾在床, 久而不愈. 生一日, 夢見淡妝美人, 來告曰: “主母奏于上皇, 上皇惜其才, 使隸河鼓幕下爲從事. 上帝勅汝, 其可避乎?” 生驚覺.命家人, 沐浴更衣. 焚香掃地, 鋪席于庭. 支頤暫臥, 奄然而逝, 卽九月望日也. 殯之數日, 顔色不變. 人以爲遇仙屍解云. 『金鰲新話』 해석悄然而悲, 肅然而恐. 홍생은 쓸쓸하고도 슬펐으며 숙연하고도 두려워졌다. 愴乎其不可留也. 마음이 서글퍼져서 더 이상 머..
8화: 순식간에 연회가 끝나다 김시습(金時習) 寫訖, 擲筆凌空而逝, 莫測所之. 將歸, 使侍兒傳命曰: “帝命有嚴, 將驂白鸞. 淸話未盡, 愴我中情.” 俄而, 回飇捲地, 吹倒生座, 掠詩而去, 亦不知所之. 蓋不使異話, 傳播人間也. 蓋不使異話, 傳播人間也. 似夢非夢, 似眞非眞. 倚闌注想, 盡記其語, 因念奇遇, 而未盡情款. 乃追懷以吟曰: “雲雨陽臺一夢間 何年重見玉簫還 江波縱是無情物 嗚咽哀鳴下別灣”吟訖四盻, 山寺鐘鳴, 水村鷄唱, 月隱城西, 明星暳暳. 但聽鼠啾于庭, 蟲鳴于座. 해석寫訖, 擲筆凌空而逝, 여인은 쓰기를 마친 뒤에 공중에 높이 솟아 가버렸는데, 莫測所之. 어디로 갔는지 알 수가 없었다. 將歸, 使侍兒傳命曰: 여인이 돌아가면서 시녀를 시켜 홍생에게 말을 전하였다. “帝命有嚴, 將驂白鸞. “옥황상제의 명이 엄하..
7화: 여인이 일필휘지로 적은 40韻의 시 김시습(金時習) 適逢文士, 一喜一赧. 輒依瓊琚之章, 敢展駑鈍之筆, 非敢能言, 聊以敍情耳.”生再拜稽首曰: “下土愚昧, 甘與草木同腐, 豈意與王孫天女, 敢望唱和乎?” 生卽於席前, 一覽而記. 又俯伏曰: “愚昧宿障深厚, 不能大嚼仙羞, 何幸粗知字畵. 稍解雲謠, 眞一奇也. 四美難具, 請復以「江亭秋夜玩月」爲題, 押四十韻, 敎我.” 佳人頷之, 濡筆一揮. 雲煙相軋, 走書卽賦曰: “月白江亭夜 長空玉露流 淸光蘸河漢 灝氣被梧楸 皎潔三千界 嬋娟十二樓 纖雲無半點 輕颯拭雙眸 瀲灩隨流水 依稀送去舟 能窺蓬戶隙 偏映荻花洲 似聽霓裳奏 如看玉斧修 蚌珠胚貝闕 犀暈倒閻浮 願與知微翫 常從公遠遊 芒寒驚魏鵲 影射喘吳牛 隱隱靑山郭 團團碧海陬 共君開鑰匙 乘興上簾鉤 李子停盃日 吳生斫桂秋 素屛光粲爛 紈幄細雕鎪 寶鏡..
6화: 여인의 가계 김시습(金時習) 猶恐其返也, 欲以談話留之. 問曰: “不敢聞姓氏族譜.” 娥噫而答曰: “弱質, 殷王之裔, 箕氏之女. 我先祖, 實封于此, 禮樂典刑, 悉遵湯訓, 以八條敎民, 文物鮮華, 千有餘年. 一旦天步艱難, 灾患奄至, 先考敗績匹夫之手, 遂失宗社. 衛滿乘時, 竊其寶位, 而朝鮮之業墜矣. 弱質顚蹶狼藉, 欲守貞節, 待死而已. 忽有神人撫我曰: ‘我亦此國之鼻祖也. 享國之後, 入于海島, 爲仙不死者, 已數千年. 汝能隨我紫府玄都, 逍遙娛樂乎?’ 余曰: ‘諾.’ 遂提携引我, 至于所居, 作別館以待之, 餌我以玄洲不死之藥. 服之累月, 忽覺身輕氣健, 磔磔然, 如有換骨焉. 自是以後, 逍遙九垓, 儻佯六合, 洞天福地, 十洲三島, 無不遊覽. 一日, 秋天晃朗, 玉宇澄明, 月色如水. 仰視蟾桂, 飄然有遐擧之志. 遂登月窟, 入廣..
5화: 여인이 화답한 시 김시습(金時習) 啗訖, 娥已依生詩, 以和其意. 寫於桂箋, 使侍兒, 投于生前. 其詩曰: “東亭今夜月明多 淸話其如感慨何 樹色依稀靑蓋展 江流瀲瀲練裙拖 光陰忽盡若飛鳥 世事屢驚如逝波 此夕情懷誰了得 數聲鐘磬出烟蘿故城南望浿江分 水碧沙明呌雁群 麟駕不來龍已去 鳳吹曾斷土爲墳 睛嵐欲雨詩圓就 野寺無人酒半醺 忍看銅駝沒荊棘 千年蹤跡化浮雲草根咽咽泣寒螿 一上高亭思渺茫 斷雨殘雲傷往事 落花流水感時光 波添秋氣潮聲壯 樓蘸江心月色凉 此是昔年文物地 荒城疎樹惱人腸錦繡山前錦繡堆 江楓掩映古城隈 丁東何處秋砧苦 欸乃一聲漁艇回 老樹倚巖緣薜荔 斷碑橫草惹莓苔 凭欄無語傷前事 月色波聲摠是哀幾介疎星點玉京 銀河淸淺月分明 方知好事皆虛事 難卜他生遇此生 醽醁一樽宜取醉 風塵三尺莫嬰情 英雄萬古成塵土 世上空餘身後名 夜何知其夜向闌 女墻殘月正團團 君今自..
4화: 뜻밖의 인연과 합석하다 김시습(金時習) 吟盡欲返, 夜已三更矣. 忽有跫音, 自西而至者. 生意謂寺僧聞聲, 驚訝而來. 坐以待之. 見則一美娥也. 丫鬟隨侍左右, 一執玉柄拂, 一執輕羅扇. 威儀整齊, 狀如貴家處子. 生下階, 而避之于墻隙, 以觀其所爲. 娥倚于南軒, 看月微吟, 風流態度, 儼然有序. 侍兒捧雲錦茵席以進, 改容就坐, 琅然言曰: “此間有哦詩者, 今在何處? 我非花月之妖, 步蓮之姝. 幸値今夕, 長空萬里, 天闊雲收. 冰輪飛而銀河淡, 桂子落而瓊樓寒, 一觴一脉, 暢敍幽情. 如此良夜何?” 生一恐一喜, 踟躕不已, 作小謦咳聲. 侍兒尋聲而來, 請曰: “主母奉邀.” 生踧踖而進, 且拜且跪. 娥亦不之甚敬. 但曰: “子亦登此.” 侍兒以短屛乍掩, 只半面相看, 從容言曰: “子之所吟者, 何語也? 爲我陳之.” 生一一以誦. 娥笑曰: “..
3화: 맥수은허를 달밤 부벽루를 보며 읊다 김시습(金時習) 顧視故都, 烟籠粉堞, 浪打孤城, 有「麥秀殷墟」之歎, 乃作詩六首曰: “不堪吟上浿江亭 嗚咽江流腸斷聲 故國已銷龍虎氣 荒城猶帶鳳凰形 汀沙月白迷歸雁 庭草烟收點露螢 風景蕭條人事換 寒山寺裏聽鐘鳴 帝宮秋草冷凄凄 回磴雲遮徑轉迷 妓館故基荒薺合 女墻殘月夜烏啼 風流勝事成塵土 寂寞空城蔓蒺藜 唯有江波依舊咽 滔滔流向海門西 浿江之水碧於藍 千古興亡恨不堪 金井水枯垂薜荔 石壇苔蝕擁檉楠 異鄕風月詩千首 故國情懷酒半酣 月白依軒眠不得 夜深香桂落毿毿 中秋月色正嬋娟 一望孤城一悵然 箕子廟庭喬木老 檀君祠壁女蘿緣 英雄寂寞今何在 草樹依稀問幾年 唯有昔時端正月 淸光流彩照衣邊 月出東山烏鵲飛 夜深寒露襲人衣 千年文物衣冠盡 萬古山河城郭非 聖帝朝天今不返 閑談落世竟誰依 金轝麟馬無行迹 輦路草荒僧獨歸 庭草秋寒玉露凋..
2화: 한 바탕 친구들과 놀고 부벽정에서 운치를 즐기기 김시습(金時習) 天順初, 松京有富室洪生. 年少美姿容, 有風度, 又善屬文. 値中秋望, 與同伴, 抱布貿絲于箕城, 泊舟艤岸. 城中名娼, 皆出闉闍, 而目成焉. 城中有故友李生, 設宴以慰生. 酣醉回舟, 夜凉無寐, 忽憶張繼「楓橋夜泊」之詩. 不勝淸興, 乘小艇, 載月打槳而上. 期興盡而返, 至則浮碧亭下也. 繫纜蘆叢, 躡梯而登. 憑軒一望, 朗吟淸嘯. 時月色如海, 波光如練, 雁呌汀沙, 鶴驚松露, 凜然如登淸虛紫府也. 해석天順初, 松京有富室洪生. 천순(天順) 초년에 개성에 홍생이라는 부자가 있었다. 年少美姿容, 有風度, 又善屬文. 그는 나이도 젊고 얼굴도 잘생긴데다 풍도가 있었으며, 또한 글을 잘 지었다. 値中秋望, 與同伴, 그가 한가윗날을 맞아 친구들과 함께 抱布貿絲于箕城..
1화: 평양을 묘사하다 김시습(金時習) 平壤, 古朝鮮國也. 周武王克商, 訪箕子, 陣『洪範九疇』之法, 武王封于此地, 而不臣也. 其勝地, 則錦繡山ㆍ鳳凰臺ㆍ綾羅島ㆍ麒麟窟ㆍ朝天石ㆍ楸南墟, 皆古跡. 而永明寺浮碧亭, 其一也. 永明寺, 卽東明王九梯宮也. 在郭外東北卄里, 俯瞰長江, 遠矚平原, 一望無際, 眞勝境也. 畵舸商舶, 晩泊于大同門外之柳磯, 留則必泝流而上, 縱觀于此, 極歡而旋. 亭之南, 有鍊石層梯. 左曰靑雲梯, 右曰白雲梯, 刻之于石, 立華柱, 以爲好事者玩. 해석平壤, 古朝鮮國也. 평양은 옛 조선의 서울이었다. 周武王克商, 訪箕子, 주나라 무왕(武王)이 은(殷) 나라를 정벌하고 기자(箕子)를 방문하자, 陣『洪範九疇』之法, 기자가 「홍범구주(洪範九疇)」의 법을 진술하였다. 武王封于此地, 而不臣也. 무왕이 기자를 이 땅..
이생과 최규수, 사랑에 빠져 결혼까지 성공했지만 헤어져야만 했던 이야기이생규장전(李生窺牆傳) 김시습(金時習) 1화: 송도에 사는 이생과 최규수, 최규수를 보고 반한 이생 松都有李生者, 居駱駝橋之側. 年十八. 風韻淸邁, 天資英秀. 常詣國學, 讀詩路傍. 善竹里, 有巨室處崔氏, 年可十五六, 態度艶麗, 工於刺繡, 而長於詩賦. 世稱: “風流李氏子 窈窕崔家娘 才色若可餐 可以療飢腸”李生嘗挾冊詣學, 常過崔氏之家, 北牆外. 垂楊裊裊, 數十株環列, 李生憩於其下. 一日窺牆內, 名花盛開, 蜂鳥爭喧, 傍有小樓, 隱映於花叢之間, 株簾半掩, 羅幃低垂. 有一美人, 倦繡停針, 支頤而含曰: “獨倚紗窓刺繡遲 百花叢裏囀黃鸝 無端暗結東風怨 不語停針有所思 路上誰家白面郞 靑衿大帶映垂楊 何方可化堂中燕 低掠珠簾斜度牆”生聞之, 不勝技癢. 然其戶古峻,..
줄거리와 인용 김시습(金時習) 1화: 송도에 사는 이생과 최규수, 최규수를 보고 반한 이생이생은 18살로 용모도 빼어나고 학문 실력도 있어 동네에 소문남 ⇒ 빨래터아낙들도 이생을 칭찬하기에 바쁨 ⇒ 선죽리에 최규는 16살로 글재주와 수놓는 실력이 좋다고 소문이 남 ⇒ 최규수네 집은 이생이 글공부를 하러 가는 길목에 있는데 지나가다가 엿보니 자그마한 누각에 앉아 수를 놓고 있었음 ⇒ 첫눈에 반했고 시를 읊고 있는 최규수의 시에 화답하고 싶었지만 그냥 글공부를 하러 감. 2화: 최규수, 이생의 마음을 받아주다글공부를 마치고 오면서 깨진 기와에 시를 쓴 종이를 달아서 던짐 ⇒ 최규수는 하녀 향아에게 가져오도록 시켰고 읽고 나선 이생이었음을 알게 됨 ⇒ 최규수도 답장을 써서 담장 밖으로 던져 저녁에 만나자고 함..
16화: 너 떠난 그곳에 나 혼자 살 수 없네 김시습(金時習) 生亦悽惋不已曰: “寧與娘子, 同入九泉, 豈可無聊獨保殘生. 向者, 喪亂之後, 親戚僮僕, 各相亂離, 亡親骸 狼籍原野, 儻非娘子, 誰能尊埋. 古人云: 生事之以禮, 死葬之以禮. 盡在娘子. 天性之純孝, 人情之篤厚也. 感激無已, 自愧可勝. 願娘子, 淹留人世, 百年之後, 同作塵土.” 女曰: “李郞之壽, 剩有餘紀, 妾已載鬼籙, 不能久視. 若固眷戀人間, 違犯修令, 非唯罪我, 兼亦累及於君. 但妾之遺骸, 散於某處, 倘若垂恩, 勿暴風日.” 相視泣下數行云: “李郞珍重.” 言訖漸滅, 了無踪跡. 生拾骨, 附葬于親墓傍. 旣葬, 生亦以追念之故, 得病數月而卒. 聞者莫不傷歎, 而慕其義焉. 『金鰲新話』 해석生亦悽惋不已曰: 이생도 또한 슬픔을 걷잡지 못하며 말하였다. “寧與娘子,..
15화: 떠나가야만 하는 아내, 섭섭하기만 하는 남편 김시습(金時習) 一夕, 女謂生曰: “三遇佳期, 世事蹉跎, 歡娛不厭, 哀別遽至.” 遂嗚咽, 生驚問曰: “何故至此?” 女曰: “冥數不可躱也, 天帝以妾與生, 緣分未斷, 又無罪障, 假以幻體, 與生暫割愁腸, 非久留人世, 以惑陽人.” 命婢兒進酒, 歌玉樓春一闋, 以侑生, 歌曰: “干戈滿目交揮處, 玉碎花飛鴛失侶. 殘骸狼籍竟誰埋, 血汚遊魂無與語. 高唐一下巫山女, 破鏡重分心慘楚. 從玆一別兩茫茫, 天上人間音信阻.”每歌一聲, 飮泣數下, 殆不成腔. 해석一夕, 女謂生曰: 그럭저럭 몇 년이 지난 어느 날 저녁에 여인이 이생에게 말하였다. “三遇佳期, 世事蹉跎, “세 번이나 가약을 맺었지만 세상일이 뜻대로 되지 않아, 歡娛不厭, 哀別遽至.” 즐거움이 다하기도 전에 슬프게 헤어져야..
14화: 두 부모의 시신을 수습하고 세상과 단절한 채 아내와만 살다 김시습(金時習) 明日, 與生俱往尋瘞處, 果得金銀數錠及財物若干. 又得收拾兩家父母骸骨. 貿金賣財, 各合葬於五冠山麓. 封樹祭獻, 皆盡其禮. 其後, 生亦不求仕官, 與崔氏居焉. 幹僕之逃生者, 亦自來赴. 生自是以後, 懶於人事, 雖親戚賓客賀弔, 杜門不出, 常與崔氏, 或酬或和, 琴瑟偕樂, 荏苒數年. 해석明日, 與生俱往尋瘞處, 이튿날 여인이 이생과 함께 자기가 묻혀 있던 곳을 찾아갔는데, 果得金銀數錠及財物若干. 과연 금과 은 몇 덩어리가 있었고, 재물도 약간 있었다. 又得收拾兩家父母骸骨. 貿金賣財, 그들은 두 집 부모님의 해골을 거두고 금과 재물을 팔아 各合葬於五冠山麓. 각각 오관산 기슭에 합장하였다. 封樹祭獻, 皆盡其禮. 나무를 세우고 제사를 드려 예..
13화: 재회로 꿀 떨어지게 살다 김시습(金時習) 將及二更, 月色微吐, 光照屋梁. 漸聞廊下, 有跫然之音, 自遠而近, 至則崔氏也. 生雖知已死, 愛之甚篤, 不復疑訝, 遽問曰: “避於何處, 全其軀命?” 女執生手, 慟哭一聲, 乃敍情曰: “妾本良族, 幼承庭訓, 工刺繡裁縫之事, 學詩書仁義之方, 但識閨門之治, 豈解境外之修. 然而一窺紅杏之牆, 自獻碧海之珠. 花前一笑, 恩結平生, 帳裏重遘, 情逾百年. 言至於此, 悲慙曷勝. 將謂偕老而歸居, 豈意橫折而顚溝, 終不委身於豺虎, 自取磔肉於泥沙, 固天性之自然, 匪人情之可忍. 却恨一別於窮厓, 竟作分飛之匹鳥. 家亡親沒, 傷魄之無依, 義重命輕, 幸殘軀之免辱. 誰憐寸寸之灰心, 徒結斷斷之腐腸, 骨骸暴野, 肝膽塗地. 細料昔時之歡娛, 適爲當日之愁寃. 今則鄒律已吹於幽谷,倩女再返於陽間, 蓬萊一紀之..
12화: 홍건적, 이생의 아내를 죽이다 김시습(金時習) 辛丑年, 紅賊據京城, 王移福州. 賊焚蕩室廬, 臠炙人畜. 夫婦親戚, 不能相保, 東奔西竄, 各自逃生. 生挈家,隱匿窮崖, 有一賊, 拔劍而逐, 生奔走得脫, 女爲賊所虜, 欲逼之, 女大罵曰: “虎鬼殺啗我, 寧死葬於豺狼之腹中, 安能作狗彘之匹乎?” 賊怒, 殺而剮之. 生竄于荒凉, 僅保餘軀. 聞賊已滅, 遂尋父母舊居, 其家已爲兵火所焚. 又至女家, 廊廡荒凉, 鼠喞鳥喧. 悲不自勝, 登于小樓, 收淚長噓. 奄至日暮, 塊然獨坐, 竚思前遊, 宛如一夢. 해석辛丑年, 紅賊據京城, 신축년(1361)에 홍건적이 서울을 점거하자 王移福州. 임금은 복주(福州)로 피난 갔다. 賊焚蕩室廬, 臠炙人畜. 적들은 집을 불태워 없애버렸으며, 사람을 죽이고 가축을 잡아먹었다. 夫婦親戚, 不能相保, 부부..
11화: 우리 결혼합니다 김시습(金時習) 李家至是, 稍回其意, 卽遣人, 召生問之. 生喜不自勝, 乃作詩曰: “破鏡重圓會有時, 天津烏鵲助佳期. 從今月老纏繩去, 莫向東風怨子規.”女聞之, 病亦稍愈, 又作詩曰: “惡因緣是好因緣 盟語終須到底圓 共輓鹿車何日是 倩人扶起理花鈿”於是, 擇吉日, 遂定婚禮, 而續其絃焉. 自同牢之後, 夫婦愛而敬之, 相待如賓, 雖鴻ㆍ光ㆍ鮑ㆍ桓, 不足言其節義也. 生翌年, 捷高科, 登顯仕, 聲價聞于朝著. 해석李家至是, 稍回其意, 이씨 집안에서도 이렇게까지 되자 뜻을 돌려, 卽遣人, 召生問之. 곧 사람을 보내어 이생을 불러다 그의 생각을 물었다. 生喜不自勝, 乃作詩曰: “破鏡重圓會有時 天津烏鵲助佳期 從今月老纏繩去 莫向東風怨子規”이생을 스스로 기쁨을 이기지 못하여 곧 시 한 수를 지었다. 破鏡重圓會有時..
10화: 이씨네와 최씨네의 결혼대작전 김시습(金時習) 復修媒妁之禮, 問于李家. 李氏問崔家門戶優劣曰: “吾家豚犬, 雖年少風狂, 學問精通, 身彩似人. 所冀捷龍頭於異日, 占鳳鳴於他年, 不願速求婚媾也.” 媒者, 以言返告, 崔氏復遣曰: “一時朋伴, 皆稱令嗣才華邁人. 今雖蟠屈, 豈是池中之物. 宜速定嘉會之辰, 以合二姓之好.” 媒者, 又以其言, 返告李生之父, 父曰: “吾亦自少, 把冊窮經, 年老無成. 奴隷逋逃, 親淑寡助, 生涯疏闊, 家計伶. 而況巨家大族, 豈以一人寒儒, 留意爲贅郞乎. 是必好事者, 過譽吾家, 以誣高門也.” 媒者, 又告崔家, 崔家曰: “納辨之禮, 裝束之事, 吾盡辨矣. 宜差穀旦, 以定花燭之期.” 媒者, 又返告之. 해석復修媒妁之禮, 問于李家. 다시 중매쟁이의 예를 갖추어 이생의 집으로 보냈다. 李氏問崔家門戶優劣..
9화: 이생이 갑작스런 떠남으로 몸져누운 최규수 김시습(金時習) 女每夕, 於花園待之, 數月不還. 女意其得病, 命香兒, 密問於李生之隣, 隣人曰: “李郞, 得罪於家君, 去嶺南, 已數月矣.” 女聞之, 臥病在牀, 轉轉不起, 水獎不入於口. 言語支離, 肌膚焦悴. 父母怪之, 問其病狀, 喑喑不言. 搜其箱篋, 得李生前日唱和詩. 繫節驚訝曰: “幾乎失我女子矣.” 問曰: “李生誰耶?” 至是, 女不能復隱, 細語在咽中, 告父母曰: “父親母親, 鞠育恩深, 不能相匿. 竊念男女相感, 人情至重. 是以, 摽梅迨吉, 咏於「周南」, 咸腓之凶, 刑於羲易. 自將蒲柳之質, 不念桑落之詩, 行露沾衣, 竊被傍人之蚩. 絲蘿托木, 已作渭兒之行. 罪已貫盈, 累及門戶. 然而彼狡童兮, 一偸賈香, 千生喬怨. 以眇眇之弱軀, 忍悄悄之獨處, 情念日深, 沈痾日篤, 濱於..
8화: 밤마다 밀회를 나누다 걸렸고 강제로 울주로 내려가게 되다 김시습(金時習) 生謂女曰: “先聖有言, 父母在. 遊必有方, 而今我定省. 而過三日. 親必倚閭而望, 非人子之道也.” 女惻然而頷之, 踰垣而遺之. 生自是以後, 無夕以不往. 一夕, 李生之父, 問曰: “汝朝出而暮還者, 將以學先聖仁義之格言, 今昏出而嘵還, 當爲何事? 必作輕薄子, 踰垣牆, 折樹壇耳. 事如彰露, 人皆譴我敎子之不嚴, 而如其女, 定是高門右族, 則必以爾之狂狡, 穢彼門戶. 獲戾人家, 其事不小, 速去嶺南, 率奴隷監農, 勿得復還.” 卽於翌日, 謫送蔚州. 해석生謂女曰: 어느 날 이생이 최랑에게 말했다. “先聖有言, 父母在. 遊必有方, “공자의 말씀에, ‘어버이가 계시면 나가 놀더라도 반드시 일정한 곳에 있어야 한다.’고 하였는데, 而今我定省. 而過三日...
7화: 한쪽 벽에 놓인 송설(松雪) 시체의 병풍 3~4단의 시 김시습(金時習) 其三幅曰: “秋風策策秋露凝, 秋月娟娟秋水碧. 一聲二聲鴻雁歸, 更聽金井梧桐葉.牀下百蟲鳴喞喞, 牀上佳人珠淚滴. 良人萬里事征戰, 今夜玉門關月白.新衣欲裁剪刀冷, 低喚丫兒呼熨斗. 慰斗火銷全未省, 細撥秦箏又搔首.小池荷盡芭蕉黃, 鴛鴦瓦上粘新霜. 舊愁新恨不能禁, 況聞蟋蟀鳴洞房.”其四幅曰: “一枝梅影向窓橫, 風緊西廊月色明. 爐火未銷金筯撥, 旋呼丫髻換茶鐺.林葉頻驚半夜霜, 回風飄雪入長廊. 無端一夜相思夢, 都在氷河古戰場.滿窓紅日似春溫, 愁鎖眉峰著睡昕. 膽甁小梅腮半吐, 含差不語繡雙鴛.剪剪霜風掠北林, 寒烏啼月正關心. 燈前爲有思人淚, 滴在穿絲小挫針.”一傍, 別有小室一區, 帳褥衾枕, 亦甚整麗. 帳外爇麝臍, 燃蘭膏, 熒煌映徹, 恍如白晝. 生與女, 極其情歡,..
6화: 한쪽 벽에 놓인 송설(松雪) 서체의 병풍 1~2단의 시 김시습(金時習) 一壁貼四時景, 各四首, 亦不知爲何人所作. 其筆, 則摹松雪眞字, 體極精姸. 其一幅曰: “芙蓉帳暖香如縷, 窓外霏霏紅杏雨. 樓頭殘夢五更鐘, 百舌啼在辛夷塢.燕子日長閨閤深, 懶來無語停金針. 花底雙雙飛蝶蛺, 爭趁落花庭院陰.嫩寒輕透綠羅裳, 空對春風暗斷腸. 脈脈此情誰料得, 百花叢裏舞鴛鴦. 春色深藏黃四家, 深紅淺綠映窓紗. 一庭芳草春心苦, 輕揭珠簾看落花.”其二幅曰: “小麥初胎乳燕斜, 南園開遍石榴花. 綠窓工女幷刀響, 擬試紅裙剪紫霞.黃梅時節雨庚纖, 鶯轉槐陰燕入簾. 又是一年風景老, 楝花零落笋生尖.手拈靑杏打鶯兒, 風過南軒日影遲. 荷葉已香池水滿, 碧波深處浴鸕鶿.藤牀筠簟浪波紋, 畵屛瀟湘一抹雲. 懶慢不堪醒午夢, 半窓斜日欲西曛.” 해석一壁貼四時景, 各四首, ..
5화: 최규수의 방에 놓인 병풍의 시 김시습(金時習) 吟罷, 女謂生曰: “今日之事, 必非小綠, 郞須尾我, 以遂情款.” 言訖, 女從北窓入, 生遂之, 樓梯在房中. 綠梯而昇, 果其樓也. 文房几案, 極其淸楚. 一壁展『煙江疊嶂圖』, 『幽篁古木圖』, 皆名畵也. 題詩其上, 詩不知何人所作. 其一曰: “何人筆端有餘力, 寫此江心千疊山. 壯哉方壺三萬丈, 半出縹緲烟雲間. 遠勢微茫幾百里, 近見崒嵂靑螺鬟. 滄波淼淼浮遠空, 日暮遙望愁鄕關. 對此令人意蕭索, 疑泛湘江風雨灣.”其二曰: “幽篁蕭颯如有聲, 古木偃蹇如有情. 狂根盤屈惹苺苔, 老幹夭矯排風雷. 胸中自有造化窟, 妙處豈與傍人說. 韋偃與可已爲鬼, 漏洩天機知有幾. 晴窓嗒然淡相對, 愛看幻墨神三昧.” 해석吟罷, 女謂生曰: 술자리가 끝나자 최랑이 이생에게 말하였다. “今日之事, 必非小綠, “..
4화: 시로 통하였느냐 김시습(金時習) “香兒可於房中, 齎酒果以進.” 兒如命而往, 四座寂寥, 闃無人聲, 生問曰: “此是何處?" 女曰: “此是北園中小樓何也. 父母以我一女, 情鍾甚篤, 別構此樓于芙蓉池畔, 方春時, 名花盛開, 欲使從侍兒遨遊耳. 親闈之居, 閨閤深邃, 雖笑語啞咿, 亦不能卒爾相聞也.” 女酌綠蟻一巵, 口占古風一篇曰: “曲欄下壓芙蓉池, 池上花叢人共語. 香霧霏霏春融融, 製出新詞歌白紵. 月轉花陰入氍毹, 共挽長條落紅雨. 風攪淸香香襲衣, 賈女初踏春陽舞. 羅衫輕拂海棠枝, 驚起花間宿鸚鵡.”生卽和之曰: “誤入桃源花爛漫, 多少情懷不能語. 翠鬟雙綰金𨥁低, 楚楚春衫裁綠紵. 東風初拆竝帶花, 莫使繁枝戰風雨. 飄飄仙袂影婆娑, 叢桂陰中素娥舞. 勝事未了愁必隧, 莫製新詞敎鸚鵡.” 해석“香兒可於房中, 齎酒果以進.” “향아야. 방 안..
3화: 첫 만남, 그리고 강단 있는 최규수 김시습(金時習) 生如其言, 乘昏而往. 忽見桃花一枝, 過牆而有搖裊之影. 往視之則以秋千絨索, 繫竹兜下垂. 生攀緣而踰, 會月上東山, 花影在地, 淸香可愛. 生意謂已入仙境, 心雖竊喜, 而情密事秘, 毛髮盡竪, 回眄左右, 女已在花叢裏, 與香兒, 折花相戴, 鋪罽僻地, 見生微笑, 口占二句, 先唱曰: “桃李枝間花富貴, 鴛鴦枕上月嬋娟.” 生續含曰: “他時漏洩春消息, 風雨無情亦可憐.”女變色而言曰: “本欲與君, 終奉箕帚, 永結歡娛, 郞何言之若是遽也? 妾雖女類, 心意泰然, 丈夫意氣, 肯作此語乎? 他日閨中事洩, 親庭遣責, 妾以身當之.” 해석生如其言, 乘昏而往. 이생이 그 말대로 황혼이 되자 최랑의 집을 찾아갔다. 忽見桃花一枝, 過牆而有搖裊之影. 갑자기 복사꽃 한 가지가 담 위로 넘어오면서..
2화: 최규수, 이생의 마음을 받아주다 김시습(金時習) 還時以白紙一幅, 作詩三首, 繫瓦礫投之曰: “巫山六六霧重回 半露尖峰紫翠堆 惱却襄王孤枕夢 肯爲雲雨下陽臺 相如欲挑卓文君 多少情懷已十分 紅粉牆頭桃李艶 隧風何處落繽紛 好因緣耶惡因緣 空把愁腸日抵年 二十八字媒已就 藍橋何日遇神仙” 崔氏, 命侍婢香兒, 往取見之, 卽李生詩也. 披讀再三, 心自喜之. 以片簡, 又書八字, 投之曰: “將子無疑, 昏以爲期.” 해석 還時以白紙一幅, 作詩三首, 그는 학교에서 돌아오는 때에 흰 종이 한 폭에 시 세 수를 써서 繫瓦礫投之曰: “巫山六六霧重回 半露尖峰紫翠堆 惱却襄王孤枕夢 肯爲雲雨下陽臺 相如欲挑卓文君 多少情懷已十分 紅粉牆頭桃李艶 隧風何處落繽紛 好因緣耶惡因緣 空把愁腸日抵年 二十八字媒已就 藍橋何日遇神仙” 기와 조각에 매달아 던졌다. 巫山六六..
1화: 송도에 사는 이생과 최규수, 최규수를 보고 반한 이생 김시습(金時習) 松都有李生者, 居駱駝橋之側. 年十八. 風韻淸邁, 天資英秀. 常詣國學, 讀詩路傍. 善竹里, 有巨室處崔氏, 年可十五六, 態度艶麗, 工於刺繡, 而長於詩賦. 世稱: “風流李氏子 窈窕崔家娘 才色若可餐 可以療飢腸”李生嘗挾冊詣學, 常過崔氏之家, 北牆外. 垂楊裊裊, 數十株環列, 李生憩於其下. 一日窺牆內, 名花盛開, 蜂鳥爭喧, 傍有小樓, 隱映於花叢之間, 株簾半掩, 羅幃低垂. 有一美人, 倦繡停針, 支頤而含曰: “獨倚紗窓刺繡遲 百花叢裏囀黃鸝 無端暗結東風怨 不語停針有所思 路上誰家白面郞 靑衿大帶映垂楊 何方可化堂中燕 低掠珠簾斜度牆”生聞之, 不勝技癢. 然其戶古峻, 庭闈深邃, 但怏怏而去. 해석松都有李生者, 居駱駝橋之側. 송도에 이생이란 사람이 있으니 낙타교..
양생과 왜구에 목숨을 잃은 처녀의 안타까운 사랑이야기만복사저포기(萬福寺摴蒲記) 김시습(金時習) 1화: 양생, 불상과 저포놀이하다 南原有梁生者, 早喪父母, 未有妻室, 獨居萬福寺之東. 房外有梨花一株, 方春盛開, 如瓊樹銀堆. 生每月夜, 逡巡朗吟其下. 詩曰: “一樹梨花伴寂廖 可憐辜負月明宵 靑年獨臥孤窓畔 何處玉人吹鳳簫 翡翠孤飛不作雙 鴛鴦失侶浴晴江 誰家有約敲碁子 夜卜燈花愁倚窓” 吟罷, 忽空中有聲曰: “君欲得好逑, 何憂不遂.” 生心憙之. 明日卽三月二十四日也. 州俗燃燈於萬福寺祈福, 士女騈集, 各呈其志. 日晩梵罷人稀. 生袖摴蒲, 擲於佛前曰: “吾今日, 與佛欲鬪蒲戱. 若我負, 則設法筵以賽; 若不負, 則得美女, 以遂我願耳.” 祝訖, 遂擲之, 生果勝, 卽跪於佛前曰: “業已定矣, 不可誑矣.” 遂隱於几下, 以候其約. 2화: 양생..
11화: 줄거리와 인용 김시습(金時習) 1화: 양생, 불상과 저포놀이하다남원의 양생은 아버지를 일찍 여의고 만복사에서 외롭게 지냄 ⇒ 밤마다 짝이 나타나길 간절히 바라는 시를 읊음 ⇒ 어느 날은 하늘에서 ‘짝을 내려 주겠다’는 소리가 들림 ⇒ 이튿날은 3월 24일로 이 날엔 해마다 남원의 남녀들이 모임 ⇒ 법당에서 저포내기를 해서 자신이 지면 법회를 열고 이기면 배필을 내려달라고 함 ⇒ 저포에서 이겨 불상의 탁자 밑에 숨음. 2화: 양생의 소원을 부처님이 들어주다얼마 지나 16살 되어 보이는 여인이 들어오니 신세 한탄하며 울음 ⇒ 왜적이 쳐들어 외진 곳에 숨어산 지 3년째라는 한탄이었음 ⇒ 그때 양생이 뛰어나와 둘은 자연히 이야기를 나누게 되었고 법당의 구석진 방에 들어가 즐거운 시간을 보냄 3화: 차려..
10화: 양생의 후일담 김시습(金時習) 翌日, 設牲牢朋酒, 以尋前迹, 果一殯葬處也. 生設奠哀慟, 焚楮鏹于前, 遂葬焉. 作文以弔之曰: “惟靈, 生而溫麗, 長而淸渟. 儀容侔於西施, 詩賦高於淑眞, 不出香閨之內, 常聽鯉庭之箴. 逢亂離而璧完, 遇寇賊而珠沈. 托蓬蒿而獨處, 對花月而傷心. 腸斷春風, 哀杜鵑之啼血, 膽裂秋霜, 歎紈扇之無緣. 嚮者, 一夜邂逅, 心緖纏綿. 雖識幽明之相隔, 實盡魚水之同歡. 將謂百年以偕老, 豈期一夕而悲酸. 月窟驂鸞之姝, 巫山行雨之娘. 地黯黯而莫歸, 天漠漠而難望. 入不言兮恍惚, 出不逝兮蒼茫. 對靈幃而掩泣, 酌瓊漿而增傷. 感音容之窈窈, 想言語之琅琅. 嗚虖哀哉. 爾性聰慧, 爾氣精詳. 三魂縱散, 一靈何亡. 應降臨而陟庭, 或薰蒿而在傍. 雖死生之有異, 庶有感於些章.” 後極其情哀. 盡賣田舍, 連薦再三夕, ..
9화: 여인의 마지막 제삿날 김시습(金時習) 生佇立以待. 及期, 果一女子, 從侍婢, 腰裊而來, 卽其女也. 相喜携手而歸. 女入門禮佛, 投于素帳之內. 親戚寺僧, 皆不之信, 唯生獨見, 女謂生曰: “可同茶飯.” 生以其言, 告于父母. 父母試驗之, 遂命同飯. 唯聞匙筋聲, 一如人間. 父母於是驚歎, 遂勸生, 同宿帳側. 中夜言語琅琅, 人欲細聽, 驟止其言曰: “妾之犯律, 自知甚明. 少讀『詩』ㆍ『書』, 粗知禮義, 非不諳褰裳之可愧, 相鼠之可赧, 然而久處蓬蒿, 抛棄原野, 風情一發, 終不能戒. 曩者, 梵宮祈福, 佛殿燒香, 自嘆一生之薄命, 忽遇三世之因緣. 擬欲荊𨥁椎䯻, 奉高節於百年. 羃酒縫裳, 修婦道於一生, 自恨業不可避, 冥道當然. 歡娛未極, 哀別遽至. 今則步蓮入屛, 阿香輾車. 雲雨霽於陽臺, 烏鵲散於天津. 從此一別, 後會難期. 臨..
8화: 여인의 부모와 만나다 김시습(金時習) 酒盡相別, 女出銀椀一具, 以贈生曰: “明日, 父母飯我于寶蓮寺. 若不遺我, 請遲于路上, 同歸梵宇, 同覲我父母, 如何?”生曰: “諾.”生如其言, 執椀待于路上, 果見巨室右族, 薦女子之大祥, 車馬騈闐上于寶蓮. 見路傍, 有一書生, 執椀而立, 從者曰: “娘子殉葬之物, 已爲他人所偸矣.” 主曰: “如何?” 從者曰: “此生所執之椀.” 遂聚馬以問, 生如其前約以對. 父母感訝良久曰: “吾止有一女子, 當寇賊傷亂之時, 死於干戈. 不能窀窆, 殯于開寧寺之間, 因循不葬, 以至于今. 今日大祥已至, 暫設齌筵, 以追冥路. 君如其約, 請竢女子以來, 願勿愕也.” 言訖先歸. 해석酒盡相別, 女出銀椀一具, 술이 다하여 헤어지게 되자, 여인이 은그릇 하나를 내어 以贈生曰: 양생에게 주면서 말하였다. “明日..
7화: 류씨와 여인, 양생이 주고받다② 김시습(金時習) 柳氏, 淡粧素服, 不甚華麗, 而法度有常. 沈黙不言, 微笑而題曰: “確守幽貞經幾年 香魂玉骨掩重泉 春宵每與姮娥伴 叢桂花邊愛獨眠 却笑春風桃李花 飄飄萬點落人家 平生莫把靑蠅點 誤作崑山玉上瑕 脂粉慵拈首似蓬 塵埋香匣綠生銅 今朝幸預鄰家宴 羞看冠花別樣紅 娘娘今配白面郞 天定因緣契闊香 月老已傳琴瑟線 從今相待似鴻光”女乃感柳氏終篇之語, 出席而告曰: “余亦粗知字畵, 獨無語乎.”乃製近體七言四韻, 以賦曰: “開寧洞裏抱春愁 花落花開感百憂 楚峽雲中君不見 湘江竹下泣盈眸 晴江日暖鴛鴦竝 碧落雲銷翡翠遊 好是同心雙綰結 莫將紈扇怨淸秋”生亦能文者. 見其詩法淸高, 音韻鏗鏘, 唶唶不已. 卽於席前, 走書古風長短篇一章, 以答曰: “今夕何夕 見此仙姝 花顔何婥妁 絳脣似櫻珠 風騷尤巧妙 易安當含糊 織女投機下..
6회: 양생 친척 정씨, 오씨, 김씨와 화답한 시① 김시습(金時習) 其一曰鄭氏. 其二曰吳氏. 其三曰金氏. 其四曰柳氏. 皆貴家巨族. 而與女子, 同閭閈親戚, 而處子者也. 性俱溫和, 風韻不常, 而又聰明識字, 能爲詩賦. 皆作七言短篇四首以贐. 鄭氏態度風流, 雲鬟掩鬢, 乃噫而吟曰: “春宵花月兩嬋娟 長把春愁不記年 自恨不能如比翼 雙雙相戱舞靑天 漆燈無焰夜如何 星斗初橫月半斜 惆悵幽宮人不到 翠衫撩亂鬢鬖䯯摽梅情約竟蹉跎 辜負春風事已過 枕上淚痕幾圓點 滿庭山雨打梨花 一春心事已無聊 寂寞空山幾度宵 不見藍橋經過客 何年裴航遇雲翹”吳氏, 丫鬟妖弱, 不勝情態, 繼吟曰: “寺裏燒香歸去來 金錢暗擲竟誰媒 春花秋月無窮恨 銷却樽前酒一盃 漙漙曉露浥桃腮 幽谷春深蝶不來 却喜隣家銅鏡合 更歌新曲酌金疊 年年燕子舞東風 腸斷春心事已空 羨却芙蕖猶竝蔕 夜深同浴一池中 ..
5회: 여인의 집에서 3일 밤 김시습(金時習) 蓬蒿蔽野, 荊棘參天, 有一屋, 小而極麗. 邀生俱入, 裀褥帳幃極整, 如昨夜所陳. 留三日, 歡若平生然. 其侍兒, 美而不黠, 器皿潔而不文, 意非人世. 而繾綣意篤, 不復思廬, 已而女謂生曰: “此地三日, 不下三年. 君當還家以顧生業也.” 遂設離宴以別. 生悵然曰: “何遽別之速也?” 女曰: “當再會, 以盡平生之願爾. 今日到此弊居, 必有夙緣. 宜見鄰里族親, 如何?” 生曰: “諾.” 卽命侍兒, 報四鄰以會. 해석蓬蒿蔽野, 荊棘參天, 다북쑥이 들을 덮고 가시나무가 하늘에 치솟은 가운데 有一屋, 小而極麗. 한 집이 있었는데, 작으면서도 아주 아름다웠다. 邀生俱入, 裀褥帳幃極整, 생을 맞이해서 함께 들어가니 방안에는 이부자리와 휘장이 잘 정돈되어 있었으니, 如昨夜所陳. 어젯밤 만복사..
4회: 여인의 집을 찾아가는 길 김시습(金時習) 時月掛西峯, 鷄鳴荒村, 寺鐘初擊, 曙色將暝. 女曰:“兒可撤席而歸.” 隨應隨滅不知所之. 女曰: “因緣已定, 可同携手.” 生執女手, 經過閭閻, 犬吠於籬, 人行於路. 而行人不知與女同歸, 但曰: “生早歸何處?” 生答曰: “適醉臥萬福寺, 投故友之村墟也”至詰朝, 女引至草莽間, 零露瀼瀼, 無逕路可遵. 生曰: “何居處之若此也?” 女曰: “孀婦之居, 固如此耳.” 女又謔曰: “於邑行路 豈不夙夜 謂行多露” 生乃謔之曰: “有狐綏綏, 在彼淇梁. 魯道有蕩, 齊子翶翔.” 吟而笑傲. 遂同去開寧洞. 해석時月掛西峯, 鷄鳴荒村, 이때 달이 서쪽 봉우리에 걸리자 닭이 황량한 마을에서 울었고 寺鐘初擊, 曙色將暝. 절의 종이 처음으로 치며 어둠이 밝아지려 했다. 女曰:“兒可撤席而歸.” 여인이 말..
3화: 차려진 술상, 뭔가 이 세상 것이 아니네 김시습(金時習) 將及夜半, 月上東山, 影入窓柯. 忽有跫音, 女曰: “誰耶? 將非侍兒來耶?” 兒曰: “唯. 向日娘子, 行不過中門, 履不容數步, 昨暮偶然而出, 一何至於此極也?” 女曰: “今日之事, 蓋非偶然. 天之所助, 佛之所佑, 逢一粲者, 以爲偕老也. 不告而娶, 雖明敎之法典, 式燕以遨, 亦平生之奇遇也. 可於茅舍, 取裀席酒果來.”侍兒一如其命而往, 設筵於庭, 時將四更也. 鋪陳几案, 素淡無文, 而醪醴馨香, 定非人間滋味. 生雖疑怪, 談笑淸婉, 儀貌舒遲, 意必貴家處子, 踰墻而出, 亦不之疑也. 觴進, 命侍兒, 歌以侑之, 謂生曰: “兒定仍舊曲, 請自製一章以侑, 如何?” 生欣然應之曰: “諾.” 乃製「滿江紅」一闋, 命侍兒歌之曰: “惻惻春寒羅衫薄 幾回腸斷金鴨冷 晩山凝黛 暮雲張繖..
2화: 양생의 소원을 부처님이 들어주다 김시습(金時習) 俄而有一美姬, 年可十五六. 丫鬟淡飾, 儀容婥妁, 如仙姝天妃. 望之儼然. 手携油甁, 添燈揷香. 三拜而跪, 噫而歎曰: “人生薄命, 乃如此邪?” 遂出懷中狀詞, 獻於卓前. 其詞曰: “某州某地居住, 何氏某, 竊以曩者, 邊方失禦倭寇來侵, 干戈滿目, 烽燧連年. 焚蕩室廬, 盧掠生民, 東西奔竄, 左右逋逃. 親戚僮僕, 各相亂離. 妾以蒲柳弱質, 不能遠逝, 自入深閨, 終守幽貞. 不爲行露之沾, 以避橫逆之禍. 父母以女子守節不爽, 避地僻處, 僑居草野, 已三年矣. 然而秋月春花, 傷心虛度, 野雲流水, 無聊送日. 幽居在空谷, 歎平生之薄命, 獨宿度良宵, 傷彩鸞之獨舞. 日居月諸, 魂銷魄喪, 夏日冬宵, 膽裂腸摧. 惟願覺皇, 曲垂憐愍. 生涯前定, 業不可避, 賦命有緣, 早得歡娛, 無任懇禱之..
1화: 양생, 불상과 저포놀이하다 김시습(金時習) 南原有梁生者, 早喪父母, 未有妻室, 獨居萬福寺之東. 房外有梨花一株, 方春盛開, 如瓊樹銀堆. 生每月夜, 逡巡朗吟其下. 詩曰: “一樹梨花伴寂廖 可憐辜負月明宵 靑年獨臥孤窓畔 何處玉人吹鳳簫 翡翠孤飛不作雙 鴛鴦失侶浴晴江 誰家有約敲碁子 夜卜燈花愁倚窓”吟罷, 忽空中有聲曰: “君欲得好逑, 何憂不遂.” 生心憙之. 明日卽三月二十四日也. 州俗燃燈於萬福寺祈福, 士女騈集, 各呈其志. 日晩梵罷人稀. 生袖摴蒲, 擲於佛前曰: “吾今日, 與佛欲鬪蒲戱. 若我負, 則設法筵以賽; 若不負, 則得美女, 以遂我願耳.” 祝訖, 遂擲之, 生果勝, 卽跪於佛前曰: “業已定矣, 不可誑矣.” 遂隱於几下, 以候其約. 해석南原有梁生者, 早喪父母, 남원에 양생이 살고 있었는데, 일찍이 어버이를 여윈 데다가 未有..
서재야회록(書齋夜會錄) 신광한(申光漢) * 해설 : 기재기이의 두 번째 작품, 서재야회록 역시 사물을 의인화한 몽유록 형태의 작품이다. 네 벗이란 곧 문방사우로, 치의자는 벼루, 탈모자는 뚜껑 없는 붓, 백의자는 종이, 흑의자는 먹을 지칭한다. 매우 재미있는 발상의 작품이다. 선비가 한 사람 있었다. 이름은 밝혀 적지 않는다. 고풍(古風)스러운 것을 좋아하고 기개가 높아서 세상 사람들로부터 따돌림을 받았다. 집은 아주 가난하였으나 뜻은 활달하였다. 일찍이 달산촌(達山村)에다가 작은 오두막을 하나 지어놓고 문 밖 출입을 끊고 그 곳에서 지내며, 오직 책 읽는 데에만 재미를 붙이고 살았다. 이웃조차도 그의 얼굴을 못 본 지가 여러 해되었다. 해는 대황락(大荒落), 중추(仲秋) 보름 이틀 전, 산 속 서재(書..
7화: 화끈한 역전극과 전쟁보단 품어줌으로 임영(林泳) 浩然命將士超其海透其關, 摧其山塡其壑, 人莫有禦之者, 於是其賊悉平. 其後醜虜變詐百出, 又屈彊於一隅, 議更擧兵以勦之. 惺惺翁諫曰: “先王耀德不觀兵, 惟帝念哉. 誕敷文德, 不七旬, 可格虞廷之頑苗矣.” 君曰: “義人也.” 遂罷兵而敷敎. 舞干戚于兩階, 效虞帝故事, 餘賊皆來服. 『滄溪先生集』 卷之十六 해석 浩然命將士超其海透其關, 호연은 장수에게 명하여 바다를 건너고 관문을 뚫게 했으며 摧其山塡其壑, 산을 무너뜨리고 골짜기를 메우게 하니, 人莫有禦之者, 於是其賊悉平. 사람이 그들을 막을 자 없어 이때에 적들이 다 평정되었다. 其後醜虜變詐百出, 그 후로 도적들이【醜虜: 더럽고 보기 흉한 오랑캐라는 뜻.】 변덕스럽게【變詐: 변덕스럽고 요사스럽게 이랬다저랬다 하는 일..
6화: 적의 요충지에서 시련을 겪다 임영(林泳) 誓罷, 遂行軍, 浩然乘意馬. 披忠信甲, 擁仁義楯, 前豎勿字旗, 遵大路而行, 出師以律. 觀者嘆曰: “此眞將軍.” 遂深入其阻, 至賊界, 有大海經其南曰: ‘宦,’ 乃賊第一要害處. 波濤洶湧, 沃日滔天, 前船旣覆, 後來者不止, 崩檣敗楫, 曾不知幾千. 而討罪之師, 往往至此而回軍. 有關曰: ‘名利,’ 有山曰: ‘忿,’ 有壑曰: ‘慾,’ 皆賊之倚以爲險者也. 해석 誓罷, 遂行軍, 浩然乘意馬. 맹세가 끝나자 바로 군대를 출진했고 맹호연은 의마【의마: 맹호연이 도적을 소탕할 목적으로 타고 가는 사물로 등장하여, 적을 향해 돌진하는 맹호연의 용맹함을 보조하는 한편, 도적의 침입으로 근심하는 천군의 마음을 해소하고 대리 충족해주는 역할까지 한다. 『義勝記」의 주제 의식』】를 탔다..
5화: 장수 맹호연, 남은 도적에게 선전포고하다 임영(林泳) 然而餘寇未殄, 間或乘時而至. 常以此爲腹心之憂, 君於是募於國中曰: “有能恭行王罰 殄滅餘賊 吾將位以上將, 與之分閫.” 有孟浩然者, 其爲人也有至剛至大之氣, 嘗爲孟子所養, 故冒姓孟氏. 於是遂應募自言千萬人吾往. 君乃以爲元帥, 尊之至養之至, 與謀國事, 自是後有寇至則輒破走之. 越二年, 將大擧兵以討餘賊, 浩然承王命誓于衆曰: “嗟汝六師, 咸聽予言! 惟賊侮亂天常, 敗度敗禮. 自古亡其國敗其家戕其身, 未必不由此焉. 寧不痛心? 加以頃乘我國之新造, 敢肆其毒, 以至邦國傾覆, 主上播越, 凡有血氣者孰不憤惋? 今汝或作吾君之爪牙, 或作吾君之心膂, 或居喉舌之要, 或任股肱之輔, 汝尙一乃力, 勖哉. 唯口出好興戎, 予言不再.” 해석 然而餘寇未殄, 間或乘時而至. 그러나 남은 도적은 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