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論語詳說 (464)
건빵이랑 놀자

2. 중궁이 공자에게 정치에 대해 묻다 仲弓爲季氏宰, 問政. 子曰: “先有司, 赦小過, 擧賢才.” 有司, 衆職也. 宰兼衆職, 然事必先之於彼, 而後考其成功, 則己不勞而事畢擧矣. 過, 失誤也. 大者於事或有所害, 不得不懲; 小者赦之, 則刑不濫而人心悅矣. 賢, 有德者. 才, 有能者. 擧而用之, 則有司皆得其人而政益修矣. 曰: “焉知賢才而擧之?” 焉, 於虔反. 曰: “擧爾所知. 爾所不知, 人其舍諸?” 舍, 上聲. ○ 仲弓慮無以盡知一時之賢才, 故孔子告之以此. 程子曰: “人各親其親, 然後不獨親其親. 仲弓曰 ‘焉知賢才而擧之?’, 子曰 ‘擧爾所知, 爾所不知, 人其舍諸’ 便見仲弓與聖人用心之大小. 推此義, 則一心可以興邦, 一心可以喪邦, 只在公私之間爾.” ○ 范氏曰: “不先有司, 則君行臣職矣; 不赦小過, 則下無全人矣; 不擧賢才..

1. 자로가 공자에게 정치에 대해 묻다 凡三十章. 子路問政. 子曰: “先之, 勞之.” 勞, 如字. ○ 蘇氏曰: “凡民之行, 以身先之, 則不令而行. 凡民之事, 以身勞之, 則雖勤不怨.” 請益. 曰: “無倦.” 無, 古本作毋. ○ 吳氏曰: “勇者喜於有爲而不能持久, 故以此告之.” ○ 程子曰: “子路問政, 孔子旣告之矣. 及請益, 則曰 ‘無倦’而已. 未嘗復有所告, 姑使之深思也.” 해석 凡三十章. 모두 30장이다. 子路問政. 子曰: “先之, 勞之.” 자로가 정치에 대해 여쭈니, 공자께서 “솔선수범하고 힘써서 하라.”라고 말씀하셨다. 勞, 如字. ○ 蘇氏曰: “凡民之行, 以身先之, 소철이 말했다. “백성이 행해야 할 것을 몸소 앞서 하면 則不令而行. 명령하지 않아도 행하게 된다. 凡民之事, 以身勞之, 백성의 일을 몸으..
안연(顔淵) 제십이(第十二) 凡二十四章. 1. 사적 욕망을 극복하여 예를 회복하라 顔淵問仁. 仁者, 本心之全德. 子曰: “克己復禮爲仁. 克, 勝也. 己, 謂身之私欲也. 復, 反也. 禮者, 天理之節文也. 爲仁者, 所以全其心之德也. 蓋心之全德, 莫非天理, 而亦不能不壞於人欲. 故爲仁者必有以勝私欲而復於禮, 則事皆天理, 而本心之德復全於我矣. 一日克己復禮, 天下歸仁焉. 爲仁由己, 而由人乎哉?” 歸, 猶與也. 又言一日克己復禮, 則天下之人皆與其仁, 極言其效之甚速而至大也. 又言爲仁由己而非他人所能預, 又見其機之在我而無難也. 日日克之, 不以爲難, 則私欲淨盡, 天理流行, 而仁不可勝用矣. 程子曰: “非禮處便是私意. 旣是私意, 如何得仁? 須是克盡己私, 皆歸於禮, 方始是仁.” 又曰: “克己復禮, 則事事皆仁, 故曰天下歸仁.” ..

24. 학문으로 함께 하는 친구 曾子曰: “君子以文會友, 以友輔仁.” 講學以會友, 則道益明; 取善以輔仁, 則德日進. 해석 曾子曰: “君子以文會友, 以友輔仁.” 증자가 “군자는 학문으로 벗을 모으고 인(仁)을 돕는다.”라고 말했다. 講學以會友, 則道益明; 학문을 강의하여 벗을 모으면 도는 더욱 밝아지고 取善以輔仁, 則德日進. 선을 취하여 인을 도우면 덕은 날로 진보한다. ○ 논어 ‘안연(顔淵)’편의 마지막에 놓인 이 장(章)은, 증자(曾子)의 말을 통해서 평소 공문(孔門)에서 교우(交友)의 도리에 대해 가르친 내용을 명료하게 전해준다. 증자의 말은, 벗은 나의 타자가 아니라 나와 대등한 인격체로서 나와 교통하는 존재이며, 벗과 사귀는 일은 내 인격을 완성해 나가기 위한 필수 요건이라고 강조한다. 군자(君子..

23. 친구와 오래 사귀는 방법 子貢問友. 子曰: “忠告而善道之, 不可則止, 無自辱焉.” 告, 工毒反. 道, 去聲. ○ 友所以輔仁, 故盡其心以告之, 善其說以道之. 然以義合者也, 故不可則止. 若以數而見疏, 則自辱矣. 해석 子貢問友. 子曰: “忠告而善道之, 不可則止, 無自辱焉.” 자공이 벗을 사귐에 대해 여쭈니 공자께서 “충성으로 말해주고 잘 이끌어주어야 하지만 불가능하다면 그만둬서 스스로 욕되게 하진 마라.”라고 말씀하셨다. 告, 工毒反. 道, 去聲. ○ 友所以輔仁, 故盡其心以告之, 벗은 인을 돕는 사람이기 때문에 마음을 다하여 말하고, 善其說以道之. 그 말을 잘하여 인도해줘야 한다. 然以義合者也, 故不可則止. 그러나 의로써 합한 사람이기 때문에 불가하다면 그만둬야 한다. 若以數而見疏, 則自辱矣. 만약 자..

22. 공자가 번지에게 인함과 지혜에 대해 말해주다 樊遲問仁. 子曰: “愛人.” 問知. 子曰: “知人.” 上知, 去聲, 下如字. ○ 愛人, 仁之施. 知人, 知之務. 樊遲未達. 曾氏曰: “遲之意, 蓋以愛欲其周, 而知有所擇, 故疑二者之相悖爾.” 子曰: “擧直錯諸枉, 能使枉者直.” 擧直錯枉者, 知也. 使枉者直, 則仁矣. 如此, 則二者不惟不相悖而反相爲用矣. 樊遲退, 見子夏. 曰: “鄕也吾見於夫子而問知, 子曰, 擧直錯諸枉, 能使枉者直, 何謂也?” 鄕, 去聲. 見, 賢遍反. ○ 遲以夫子之言, 專爲知者之事. 又未達所以能使枉者直之理. 子夏曰: “富哉言乎! 歎其所包者廣, 不止言知. 舜有天下, 選於衆, 擧皐陶, 不仁者遠矣. 選, 息戀反. 陶, 音遙. 遠, 如字. 湯有天下, 選於衆, 擧伊尹, 不仁者遠矣.” 伊尹, 湯之相也...

21. 덕을 숭상하는 방법, 사특함 다스리는 방법, 미혹됨 분별하는 방법 樊遲從遊於舞雩之下, 曰: “敢問崇德, 脩慝, 辨惑.” 慝, 吐得反. ○ 胡氏曰: “慝之字從心從匿, 蓋惡之匿於心者. 脩者, 治而去之.” 子曰: “善哉問! 善其切於爲己. 先事後得, 非崇德與? 攻其惡, 無攻人之惡, 非脩慝與? 一朝之忿, 忘其身, 以及其親, 非惑與?” 與, 平聲. ○ 先事後得, 猶言先難後獲也. 爲所當爲而不計其功, 則德日積而不自知矣. 專於治己而不責人, 則己之惡無所匿矣. 知一朝之忿爲甚微, 而禍及其親爲甚大, 則有以辨惑而懲其忿矣. 樊遲麤鄙近利, 故告之以此, 三者皆所以救其失也. ○ 范氏曰: “先事後得, 上義而下利也. 人惟有利欲之心, 故德不崇. 惟不自省己過而知人之過, 故慝不脩. 感物而易動者莫如忿, 忘其身以及其親, 惑之甚者也. 惑之甚者..

20. 소문과 달함의 차이를 자장에게 알려주다 子張問: “士何如斯可謂之達矣?” 達者, 德孚於人而行無不得之謂. 子曰: “何哉, 爾所謂達者?” 子張務外, 夫子蓋已知其發問之意. 故反詰之, 將以發其病而藥之也. 子張對曰: “在邦必聞, 在家必聞.” 言名譽著聞也. 子曰: “是聞也, 非達也. 聞與達相似而不同, 乃誠僞之所以分, 學者不可不審也. 故夫子旣明辨之, 下文又詳言之. 夫達也者, 質直而好義, 察言而觀色, 慮以下人. 在邦必達, 在家必達. 夫, 音扶, 下同. 好, 下, 皆去聲. ○ 內主忠信. 而所行合宜, 審於接物而卑以自牧, 皆自修於內, 不求人知之事. 然德修於己而人信之, 則所行自無窒礙矣. 夫聞也者, 色取仁而行違, 居之不疑. 在邦必聞, 在家必聞.” 行, 去聲. ○ 善其顔色以取於仁, 而行實背之, 又自以爲是而無所忌憚. 此不務實..

19. 풀 위에 바람이 불듯 정치하라 季康子問政於孔子曰: “如殺無道, 以就有道, 何如?” 孔子對曰: “子爲政, 焉用殺? 子欲善, 而民善矣. 焉, 於虔反. ○ 爲政者, 民所視效, 何以殺爲? 欲善則民善矣. 君子之德風, 小人之德草. 草上之風, 必偃.” 上, 一作尙, 加也. 偃, 仆也. ○ 尹氏曰: “殺之爲言, 豈爲人上之語哉? 以身敎者從, 以言敎者訟, 而況於殺乎?” 해석 季康子問政於孔子曰: “如殺無道, 以就有道, 何如?” 계강자가 정치를 공자에게 물으며 “만약에 무도(無道)한 이를 죽여 도가 있는 곳으로 나가게 하면 어떻겠습니까?”라고 말하니, 孔子對曰: “子爲政, 焉用殺? 子欲善, 而民善矣.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그대는 정치를 함에 어찌하여 죽이는 방법을 쓰려 하십니까? 그대가 선(善)을 하려 하면 백성들이..

18. 무언가를 고치고 싶거든 나부터 하지 않으면 된다 季康子患盜, 問於孔子. 孔子對曰: “苟子之不欲, 雖賞之不竊.” 言子不貪欲, 則雖賞民使之爲盜, 民亦知恥而不竊. ○ 胡氏曰: “季氏竊柄, 康子奪嫡, 民之爲盜, 固其所也. 盍亦反其本耶? 孔子以不欲啓之, 其旨深矣.” 奪嫡事見『春秋傳』. 해석 季康子患盜, 問於孔子. 孔子對曰: “苟子之不欲, 雖賞之不竊.” 계강자가 도둑을 근심하여 공자에게 물었다. 공자께서 “진실로 당신께서 하고자 하지 않으신다면, 비록 상을 주더라도 훔치려 하지 않을 것입니다.”라고 말씀하셨다. 言子不貪欲, 자네가 탐욕을 부리지 않으면 則雖賞民使之爲盜, 비록 백성에게 상을 주며 그를 시켜 도둑질하게 하더라도 民亦知恥而不竊. 백성들이 또한 부끄러움을 알아 훔치려하지 않을 것이다. ○ 胡氏曰: ..

17. 정치란 바로잡는 것이다 季康子問政於孔子. 孔子對曰: “政者, 正也. 子帥以正, 孰敢不正?” 范氏曰: “未有己不正而能正人者.” ○ 胡氏曰: “魯自中葉, 政由大夫, 家臣效尤, 據邑背叛, 不正甚矣. 故孔子以是告之, 欲康子以正自克, 而改三家之故. 惜乎康子之溺於利欲而不能也.” 해석 季康子問政於孔子. 孔子對曰: “政者, 正也. 子帥以正, 孰敢不正?” 계강자가 공자에게 정치를 물었다. 공자께서 “정치라는 것은 바로잡는다는 것입니다. 당신께서 바르게 하여 이끄신다면, 누가 감히 바르게 되지 않겠습니까?”라고 말씀하셨다. 范氏曰: “未有己不正而能正人者.” 범조유(范祖禹)가 말했다. “자기가 바르지 않으면서 남을 바르게 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 胡氏曰: “魯自中葉, 호인(胡寅)이 말했다. “노나라는 중엽부터..
15. 문(文)으로 확장하고 예(禮)로 집약하라 子曰: “博學於文, 約之以禮, 亦可以弗畔矣夫!” 重出. 해석 子曰: “博學於文, 約之以禮, 亦可以弗畔矣夫!” 공자께서 “군자가 널리 배웠지만 예로 요약한다면 또한 도를 어기지 않으리라.”라고 말씀하셨다. 重出. 「옹야」25에서 나오고 또 나왔다. 博之 Broadening Process 文(인문학 일반) 學(폭넓은 배움) 約之 Focusing Process 禮(핵심적 질서) 思(찰학적 집약) 인용목차 / 전문 / 편해 / 역주생애 / 공자 / 유랑도 / 제자들

14. 게으르지 말고 충심으로 하라 子張問政. 子曰: “居之無倦, 行之以忠.” 居, 謂存諸心. 無倦, 則始終如一. 行, 謂發於事. 以忠, 則表裏如一. ○ 程子曰: “子張少仁. 無誠心愛民, 則必倦而不盡心, 故告之以此.” 해석 子張問政. 子曰: “居之無倦, 行之以忠.” 자장이 정치에 대해 여쭈니 공자께서 “머물러 있을 때는 게으르지 말고, 행동할 때는 충심으로 하라.”라고 말씀하셨다. 居, 謂存諸心. 無倦, 則始終如一. 거(居)는 마음에 보존한 것이니 게으르지 않으면 처음과 끝이 같다. 行, 謂發於事. 以忠, 則表裏如一. 행(行)은 일에 드러나는 것이니 충심으로 하면 겉과 속이 같다. ○ 程子曰: “子張少仁. 無誠心愛民, 정이천이 말했다. “자장은 인이 부족하여 성심으로 백성을 사랑하지 않았으니, 則必倦而不..
13. 아예 재판조차도 없는 세상에 대한 꿈 子曰: “聽訟, 吾猶人也, 必也使無訟乎!(대학4장)” 范氏曰: “聽訟者, 治其末, 塞其流也. 正其本, 淸其源, 則無訟矣.” ○ 楊氏曰: “子路片言可以折獄, 而不知以禮遜爲國, 則未能使民無訟者也. 故又記孔子之言, 以見聖人不以聽訟爲難, 而以使民無訟爲貴.” 해석 子曰: “聽訟, 吾猶人也, 必也使無訟乎!(대학4장)” 공자께서 “재판을 하는 것에서 내가 남과 같지만, 반드시 재판 자체가 아예 없도록 하겠다.”라고 말씀하셨다. 范氏曰: “聽訟者, 범조우(范祖禹)가 말했다. “청송(聽訟)이란 治其末, 塞其流也. 말단을 다스리는 것이고, 흐름을 막는 것이다. 正其本, 淸其源, 則無訟矣.” 근본을 바로잡고 근원을 맑게 하면 송사가 없을 것이다.” ○ 楊氏曰: “子路片言可以折獄,..
12. 자로의 결단력과 실천력 子曰: “片言可以折獄者, 其由也與?” 折, 之舌反. 與, 平聲. ○ 片言, 半言. 折, 斷也. 子路忠信明決, 故言出而人信服之, 不待其辭之畢也. 子路無宿諾. 宿, 留也, 猶宿怨之宿. 急於踐言, 不留其諾也. 記者因夫子之言而記此, 以見子路之所以取信於人者, 由其養之有素也. ○ 尹氏曰: “小邾射, 以句繹奔魯, 曰: ‘使季路要我, 吾無盟矣.’ 千乘之國, 不信其盟, 而信子路之一言, 其見信於人可知矣. 一言而折獄者, 信在言前, 人自信之故也. 不留諾, 所以全其信也.” 해석 子曰: “片言可以折獄者, 其由也與?” 공자께서 “반 마디의 말로 송사를 결단할 수 있는 사람은 자로일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折, 之舌反. 與, 平聲. ○ 片言, 半言. 折, 斷也. 편언(片言)은 반 마디의 말이다. 절..
11. 주어진 신분답게 齊景公問政於孔子. 齊景公, 名杵臼. 魯昭公末年, 孔子適齊. 孔子對曰: “君君, 臣臣, 父父, 子子.” 此人道之大經, 政事之根本也. 是時景公失政, 而大夫陳氏厚施於國. 景公又多內嬖, 而不立太子. 其君臣父子之間, 皆失其道, 故夫子告之以此. 公曰: “善哉! 信如君不君, 臣不臣, 父不父, 子不子, 雖有粟, 吾得而食諸?” 景公善孔子之言而不能用, 其後果以繼嗣不定, 啓陳氏弑君簒國之禍. ○ 楊氏曰: “君之所以君, 臣之所以臣, 父之所以父, 子之所以子, 是必有道矣. 景公知善夫子之言, 而不知反求其所以然, 蓋悅而不繹者. 齊之所以卒於亂也.” 해석 齊景公問政於孔子. 제경공이 공자께 정치에 대하여 물었다. 齊景公, 名杵臼. 제경공의 이름은 저구다. 魯昭公末年, 孔子適齊. 노나라 소공 말년에 공자는 제나라에 갔..

10. 덕을 숭상하는 법과 미혹됨을 분별하는 법을 말하다 子張問崇德, 辨惑. 子曰: “主忠信, 徙義, 崇德也. 主忠信, 則本立, 徙義, 則日新. 愛之欲其生, 惡之欲其死. 旣欲其生, 又欲其死, 是惑也. 惡, 去聲. ○ 愛惡, 人之常情也. 然人之生死有命, 非可得而欲也. 以愛惡而欲其生死, 則惑矣. 旣欲其生, 又欲其死, 則惑之甚也. 誠不以富, 亦祗以異.” 此『詩』小雅「我行其野」之辭也. 舊說: “夫子引之, 以明欲其生死者不能使之生死. 如此詩所言, 不足以致富而適足以取異也. 程子曰: “此錯簡, 當在第十六‘篇齊景公有馬千駟’之上. 因此下文亦有齊景公字而誤也.” ○ 楊氏曰: “堂堂乎張也, 難與並爲仁矣. 則非誠善補過不蔽於私者, 故告之如此.” 해석 子張問崇德, 辨惑. 子曰: “主忠信, 徙義, 崇德也. 자장이 덕을 숭상하고 미혹됨..

9. 증세하기보다 감세해야 한다 哀公問於有若曰: “年饑, 用不足, 如之何?” 稱有若者, 君臣之辭. 用, 謂國用. 公意蓋欲加賦以足用也. 有若對曰: “盍徹乎?” 徹, 通也, 均也. 周制: 一夫受田百畝, 而與同溝共井之人通力合作, 計畝均收. 大率民得其九, 公取其一, 故謂之徹. 魯自宣公稅畝, 又逐畝什取其一, 則爲什而取二矣. 故有若請但專行徹法, 欲公節用以厚民也. 曰: “二, 吾猶不足, 如之何其徹也?” 二, 卽所謂什二也. 公以有若不喩其旨, 故言此以示加賦之意. 對曰: “百姓足, 君孰與不足? 百姓不足, 君孰與足?” 民富, 則君不至獨貧; 民貧, 則君不能獨富. 有若深言君民一體之意, 以止公之厚斂, 爲人上者所宜深念也. ○ 楊氏曰: “仁政必自經界始. 經界正, 而後井地均, 穀祿平, 而軍國之需皆量是以爲出焉. 故一徹而百度擧矣, 上下寧..

8. 문(文)과 질(質)은 같은 것으로 조화시키려 해야 한다 棘子成曰: “君子質而已矣, 何以文爲?” 棘子成, 衛大夫. 疾時人文勝, 故爲此言. 子貢曰: “惜乎! 夫子之說, 君子也. 駟不及舌. 言子成之言, 乃君子之意. 然言出於舌, 則駟馬不能追之, 又惜其失言也. 文猶質也, 質猶文也. 虎豹之鞟猶犬羊之鞟.” 鞟, 其郭反. ○ 鞟, 皮去毛者也. 言文質等耳, 不可相無. 若必盡去其文而獨存其質, 則君子小人無以辨矣. 夫棘子成矯當時之弊, 固失之過; 而子貢矯子成之弊, 又無本末輕重之差, 胥失之矣. 해석 棘子成曰: “君子質而已矣, 何以文爲?” 극자성이 “군자는 질박(質朴)할 뿐이니, 어찌 문채남[文]을 쓰리오?”라고 말했다. 棘子成, 衛大夫. 극자성은 위나라 대부이니, 疾時人文勝, 故爲此言. 당시 사람들의 문(文)이 질(質)을 ..

7. 정치의 삼요소: 먹을거리, 군사력, 믿음 子貢問政. 子曰: “足食. 足兵. 民信之矣.” 言倉廩實而武備修, 然後敎化行, 而民信於我, 不離叛也. 子貢曰: “必不得已而去, 於斯三者何先?” 曰: “去兵.” 去, 上聲, 下同. ○ 言食足而信孚, 則無兵而守固矣. 子貢曰: “必不得已而去, 於斯二者何先?” 曰: “去食. 自古皆有死, 民無信不立.” 民無食必死, 然死者人之所必不免. 無信則雖生而無以自立, 不若死之爲安. 故寧死而不失信於民, 使民亦寧死而不失信於我也. ○ 程子曰: “孔門弟子善問, 直窮到底, 如此章者, 非子貢不能問, 非聖人不能答也.” 愚謂以人情而言, 則兵食足而後吾之信可以孚於民. 以民德而言, 則信本人之所固有, 非兵食所得而先也. 是以爲政者, 當身率其民而以死守之, 不以危急而可棄也. 해석 子貢問政. 子曰: “足食. ..

6. 참소와 하소연을 통해 보는 현명함이란 子張問明. 子曰: “浸潤之譖, 膚受之愬, 不行焉. 可謂明也已矣. 浸潤之譖膚受之愬不行焉, 可謂遠也已矣.” 譖, 莊蔭反. 愬, 蘇路反. ○ 浸潤, 如水之浸灌滋潤, 漸漬而不驟也. 譖, 毁人之行也. 膚受, 謂肌膚所受, 利害切身. 如『易』所謂“剝床以膚, 切近災”者也. 愬, 愬己之冤也. 毁人者漸漬而不驟, 則聽者不覺其入, 而信之深矣. 愬冤者急迫而切身, 則聽者不及致詳, 而發之暴矣. 二者難察而能察之, 則可見其心之明, 而不蔽於近矣. 此亦必因子張之失而告之, 故其辭繁而不殺, 以致丁寧之意云. ○ 楊氏曰: “驟而語之, 與利害不切於身者, 不行焉, 有不待明者能之也. 故浸潤之譖, 膚受之愬不行, 然後謂之明, 而又謂之遠. 遠則明之至也. 『書』曰: ‘視遠惟明.’” 해석 子張問明. 자장이 밝음에 대..
5. 공경하면 모든 사람들이 다 형제 司馬牛憂曰: “人皆有兄弟, 我獨亡.” 牛有兄弟而云然者, 憂其爲亂而將死也. 子夏曰: “商聞之矣: 蓋聞之夫子. 死生有命, 富貴在天. 命稟於有生之初, 非今所能移; 天莫之爲而爲, 非我所能必, 但當順受而已. 君子敬而無失, 與人恭而有禮. 四海之內, 皆兄弟也. 君子何患乎無兄弟也?” 旣安於命, 又當修其在己者. 故又言‘苟能持己以敬而不間斷, 接人以恭而有節文, 則天下之人皆愛敬之, 如兄弟矣.’ 蓋子夏欲以寬牛之憂, 故爲是不得已之辭, 讀者不以辭害意可也. ○ 胡氏曰: “子夏四海皆兄弟之言, 特以廣司馬牛之意, 意圓而語滯者也, 惟聖人則無此病矣. 且子夏知此而以哭子喪明, 則以蔽於愛而昧於理, 是以不能踐其言爾.” 해석 司馬牛憂曰: “人皆有兄弟, 我獨亡.” 사마우가 근심하며 “사람들이 모두 형제가 있는데 나..
4. 군자란 근심하지 않고 두려워하지 않는다 司馬牛問君子. 子曰: “君子不憂不懼.” 向魋作亂, 牛常憂懼. 故夫子告之以此. 曰: “不憂不懼, 斯謂之君子已乎?” 子曰: “內省不疚, 夫何憂何懼?” 夫, 音扶. ○ 牛之再問, 猶前章之意, 故復告之以此. 疚, 病也. 言由其平日所爲無愧於心, 故能內省不疚, 而自無憂懼, 未可遽以爲易而忽之也. ○ 晁氏曰: “不憂不懼, 由乎德全而無疵. 故無入而不自得, 非實有憂懼而强排遣之也.” 해석 司馬牛問君子. 子曰: “君子不憂不懼.” 사마우가 군자에 대해 물었다. 공자께서 “군자란 근심하지 않으며 두려워하지 않습니다.”라고 말씀하셨다. 向魋作亂, 牛常憂懼. 사마향퇴가 난을 일으켰기에, 그는 항상 두려워하고 근심하였던 것이다. 故夫子告之以此. 그렇기 때문에 부자께서 이러한 이야기로 알려준..

3. 말을 참는 게 인(仁)이라고 사마우에게 알려주다 司馬牛問仁. 司馬牛, 孔子弟子, 名冢, 向魋之弟. 子曰: “仁者其言也訒.” 訒, 音刃. ○ 訒, 忍也, 難也. 仁者心存而不放, 故其言若有所忍而不易發, 蓋其德之一端也. 夫子以牛多言而躁, 故告之以此. 使其於此而謹之, 則所以爲仁之方, 不外是矣. 曰: “其言也訒, 斯謂之仁已乎?” 子曰: “爲之難, 言之得無訒乎?” 牛意仁道至大, 不但如夫子之所言, 故夫子又告之以此. 蓋心常存, 故事不苟, 事不苟, 故其言自有不得而易者, 非强閉之而不出也. 楊氏曰: “觀此及下章再問之語, 牛之易其言可知.” ○ 程子曰: “雖爲司馬牛多言故及此, 然聖人之言, 亦止此爲是.” 愚謂牛之爲人如此, 若不告之以其病之所切, 而泛以爲仁之大匵語之, 則以彼之躁, 必不能深思以去其病, 而終無自以入德矣. 故其告之如..
2. 중궁에게 경(敬)과 서(恕)를 가르치다 仲弓問仁. 子曰: “出門如見大賓, 使民如承大祭. 己所不欲, 勿施於人. 在邦無怨, 在家無怨.” 仲弓曰: “雍雖不敏, 請事斯語矣.” 敬以持己, 恕以及物, 則私意無所容而心德全矣. 內外無怨, 亦以其效言之, 使以自考也. ○ 程子曰: “孔子言仁, 只說出門如見大賓, 使民如承大祭. 看其氣象, 便須心廣體胖, 動容周旋中禮. 惟謹獨, 便是守之之法.” 或問: “出門使民之時, 如此可也; 未出門使民之時, 如之何?” 曰: “此儼若思時也, 有諸中而後見於外. 觀其出門使民之時, 其敬如此, 則前乎此者敬可知矣. 非因出門使民, 然後有此敬也.” 愚按: 克己復禮, 乾道也; 主敬行恕, 坤道也. 顔ㆍ冉之學, 其高下淺深, 於此可見. 然學者誠能從事於敬恕之間而有得焉, 亦將無己之可克矣. 해석 仲弓問仁. 중궁이 ..
1. 사적 욕망을 극복하여 예를 회복하라 凡二十四章. 顔淵問仁. 仁者, 本心之全德. 子曰: “克己復禮爲仁. 克, 勝也. 己, 謂身之私欲也. 復, 反也. 禮者, 天理之節文也. 爲仁者, 所以全其心之德也. 蓋心之全德, 莫非天理, 而亦不能不壞於人欲. 故爲仁者必有以勝私欲而復於禮, 則事皆天理, 而本心之德復全於我矣. 一日克己復禮, 天下歸仁焉. 爲仁由己, 而由人乎哉?” 歸, 猶與也. 又言一日克己復禮, 則天下之人皆與其仁, 極言其效之甚速而至大也. 又言爲仁由己而非他人所能預, 又見其機之在我而無難也. 日日克之, 不以爲難, 則私欲淨盡, 天理流行, 而仁不可勝用矣. 程子曰: “非禮處便是私意. 旣是私意, 如何得仁? 須是克盡己私, 皆歸於禮, 方始是仁.” 又曰: “克己復禮, 則事事皆仁, 故曰天下歸仁.” 謝氏曰: “克己, 須從性偏難克處, ..
선진(先進) 제십일(第十一) 此篇多評弟子賢否. 凡二十五章. 胡氏曰: “此篇記閔子騫言行者四, 而其一直稱‘閔子’, 疑閔氏門人所記也.” 1. 질박한 선배들과 잘 갖춰진 후배들 子曰: “先進於禮樂, 野人也; 後進於禮樂, 君子也. 先進後進, 猶言前輩後輩. 野人, 謂郊外之民. 君子, 謂賢士大夫也. 程子曰: “先進於禮樂, 文質得宜, 今反謂之質朴, 而以爲野人. 後進之於禮樂, 文過其質, 今反謂之彬彬, 而以爲君子. 蓋周末文勝, 故時人之言如此, 不自知其過於文也.” 如用之, 則吾從先進.” 用之, 謂用禮樂. 孔子旣述時人之言, 又自言其如此, 蓋欲損過以就中也. ⇒해석보기 2. 네 분야의 열 명의 뛰어난 이들 子曰: “從我於陳ㆍ蔡者, 皆不及門也.” 從, 去聲. ○ 孔子嘗厄於陳ㆍ蔡之間, 弟子多從之者, 此時皆不在門. 故孔子思之..
24. 공자가 말 잘하는 사람을 미워한 이유 子路使子羔爲費宰. 子路爲季氏宰而擧之也. 子曰: “賊夫人之子.” 夫, 音扶, 下同. ○ 賊, 害也. 言子羔質美而未學, 遽使治民, 適以害之. 子路曰: “有民人焉, 有社稷焉. 何必讀書, 然後爲學?” 言治民事神皆所以爲學. 子曰: “是故惡夫佞者.” 惡, 去聲. ○ 治民事神, 固學者事, 然必學之已成, 然後可仕以行其學. 若初未嘗學, 而使之卽仕以爲學, 其不至於慢神而虐民者幾希矣. 子路之言, 非其本意, 但理屈辭窮, 而取辨於口以禦人耳. 故夫子不斥其非, 而特惡其佞也. ○ 范氏曰: “古者學而後入政. 未聞以政學者也. 蓋道之本在於修身, 而後及於治人, 其說具於方冊. 讀而知之, 然後能行. 何可以不讀書也? 子路乃欲使子羔以政爲學, 失先後本末之序矣. 不知其過而以口給禦人, 故夫子惡其佞也.” 해석 ..
23. 대신(大臣)과 구신(具臣) 季子然問: “仲由ㆍ冉求可謂大臣與?” 與, 平聲. ○ 子然, 季氏子弟. 自多其家得臣二子, 故問之. 子曰: “吾以子爲異之問, 曾由與求之問. 異, 非常也. 曾, 猶乃也. 輕二子以抑季然也. 所謂大臣者: 以道事君, 不可則止. 以道事君者, 不從君之欲. 不可則止者, 必行己之志. 今由與求也, 可謂具臣矣.” 具臣, 謂備臣數而已. 曰: “然則從之者與?” 與, 平聲. ○ 意二子旣非大臣, 則從季氏之所爲而已. 子曰: “弑父與君, 亦不從也.” 言二子雖不足於大臣之道, 然君臣之義則聞之熟矣, 弑逆大故必不從之. 蓋深許二子以死難不可奪之節, 而又以陰折季氏不臣之心也. ○ 尹氏曰: “季氏專權僭竊, 二子仕其家而不能正也, 知其不可而不能止也, 可謂具臣矣. 是時季氏已有無君之心, 故自多其得人. 意其可使從己也, 故曰‘弑..
22. 광 땅에서 시련을 당할 때 안연이 한참 늦게 오다 子畏於匡, 顔淵後. 後, 謂相失在後. 子曰: “吾以女爲死矣.” 女, 音汝. 曰: “子在, 回何敢死?” 何敢死, 謂不赴鬪而必死也. 胡氏曰: “先王之制, 民生於三, 事之如一. 惟其所在, 則致死焉. 況顔淵之於孔子, 恩義兼盡, 又非他人之爲師弟子者而已. 卽夫子不幸而遇難, 回必捐生以赴之矣. 捐生以赴之, 幸而不死, 則必上告天子, 下告方伯, 請討以復讐, 不但已也. 夫子而在, 則回何爲而不愛其死, 以犯匡人之鋒乎?” 해석 子畏於匡, 顔淵後. 공자께서 광땅에서 경계하는 마음이 있었는데 안회가 뒤처져 있었다. 後, 謂相失在後. 후(後)는 서로를 잃어 뒤처져 있다는 말이다. 子曰: “吾以女爲死矣.” 공자께서 “나는 니가 죽었다고 생각했다.”라고 말씀하시니, 女, 音汝. 曰..
21. 공자, 사람에 따라 다르게 가르치다 子路問: “聞斯行諸?” 子曰: “有父兄在, 如之何其聞斯行之?” 冉有問: “聞斯行諸?” 子曰: “聞斯行之.” 公西華曰: “由也問聞斯行諸, 子曰 ‘有父兄在; 求也問聞斯行諸,’ 子曰 ‘聞斯行之.’ 赤也惑, 敢問.” 子曰: “求也退, 故進之; 由也兼人, 故退之.” 兼人, 謂勝人也. 張敬夫曰: “聞義固當勇爲, 然有父兄在, 則有不可得而專者. 若不稟命而行, 則反傷於義矣. 子路有聞, 未之能行, 唯恐有聞. 則於所當爲, 不患其不能爲矣; 特患爲之之意或過, 而於所當稟命者有闕耳. 若冉求之資稟失之弱, 不患其不稟命也; 患其於所當爲者逡巡畏縮, 而爲之不勇耳. 聖人一進之, 一退之, 所以約之於義理之中, 而使之無過不及之患也.” 해석 子路問: “聞斯行諸?” 子曰: “有父兄在, 如之何其聞斯行之?” 자..

20. 군자와 겉모습만 장엄한 사람 子曰: “論篤是與, 君子者乎? 色莊者乎?” 與, 如字. ○ 言但以其言論篤實而與之, 則未知其爲君子者乎? 爲色莊者乎? 言不可以言貌取人也. ○ 皇侃『論語集解義疏』曰: “論篤者謂口無擇言, 君子者謂身無鄙行也, 色莊者不惡而嚴以逺小人者也. 言此三者皆可以爲善人也.” 해석 子曰: “論篤是與, 君子者乎? 色莊者乎?” 공자께서 “언론이 그를 독실하다고 허여한다면, 군자인 것인가, 겉모습만 장엄한 것인가?”라고 말씀하셨다. 與, 如字. ○ 言但以其言論篤實而與之, 다만 언론이 독실하다고 허여한다면 則未知其爲君子者乎? 爲色莊者乎? 군자가 되는지, 안색만 장엄한 것인지 알지 못하겠다는 말이다. 言不可以言貌取人也. 말과 겉모습으로 사람을 취할 수 없다는 말이다. ○ 皇侃『論語集解義疏』曰: 황간이 ..
19. 선인(善人)이란 子張問善人之道. 善人, 質美而未學者也. 子曰: “不踐迹, 亦不入於室.” 程子曰: “踐迹, 如言循途守轍. 善人雖不必踐舊迹而自不爲惡, 然亦不能入聖人之室也.” ○ 張子曰: “善人欲仁而未志於學者也. 欲仁, 故雖不踐成法, 亦不蹈於惡, 有諸己也. 由不學, 故無自而入聖人之室也.” 해석 子張問善人之道. 자장이 선인의 도를 여쭈니, 善人, 質美而未學者也. 선인(善人)은 자질은 아름다운데 배우지 않은 사람이다. 子曰: “不踐迹, 亦不入於室.” 공자께서 “성인의 자취를 밟지 않아도 악을 행하진 않으나 또한 성인의 경지에 들어가진 못했다.”라고 말씀하셨다. 程子曰: “踐迹, 如言循途守轍. 정이천이 말했다. “천적(踐迹)은 길을 따르고 궤적을 지킨다는 말과 같다. 善人雖不必踐舊迹而自不爲惡, 선인은 비록 ..
18. 안회와 자공에 대한 평가 子曰: “回也其庶乎, 屢空. 庶, 近也, 言近道也. 屢空, 數至空匱也. 不以貧窶動心而求富, 故屢至於空匱也. 言其近道, 又能安貧也. 賜不受命, 而貨殖焉, 億則屢中.” 中, 去聲. ○ 命, 謂天命. 貨殖, 貨財生殖也. 億, 意度也. 言子貢不如顔子之安貧樂道, 然其才識之明, 亦能料事而多中也. 程子曰: “子貢之貨殖, 非若後人之豐財, 但此心未忘耳. 然此亦子貢少時事, 至聞性與天道, 則不爲此矣.” ○ 范氏曰: “屢空者, 簞食瓢飮屢絶而不改其樂也. 天下之物, 豈有可動其中者哉? 貧富在天, 而子貢以貨殖爲心, 則是不能安受天命矣. 其言而多中者億而已, 非窮理樂天者也. 夫子嘗曰: ‘賜不幸言而中, 是使賜多言也’, 聖人之不貴言也如是.” 해석 子曰: “回也其庶乎, 屢空.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안회는 도(..
16. 소자들아 염구는 우리의 무리가 아니니 성토하라 季氏富於周公, 而求也爲之聚斂而附益之. 爲, 去聲. ○ 周公以王室至親, 有大功, 位冢宰, 其富宜矣. 季氏以諸侯之卿, 而富過之, 非攘奪其君, 刻剝其民, 何以得此? 冉有爲季氏宰, 又爲之急賦稅以益其富. 子曰: “非吾徒也. 小子鳴鼓而攻之, 可也.” 非吾徒, 絶之也. 小子鳴鼓而攻之, 使門人聲其罪以責之也. 聖人之惡黨惡而害民也如此. 然師嚴而友親, 故己絶之, 而猶使門人正之, 又見其愛人之無已也. ○ 范氏曰: “冉有以政事之才, 施於季氏. 故爲不善至於如此. 由其心術不明, 不能反求諸身, 而以仕爲急故也.” 해석 季氏富於周公, 而求也爲之聚斂而附益之. 계씨가 주공보다 부자가 되었지만 염구는 그를 위해 세금을 왕창 거둬 더해주었다. 爲, 去聲. ○ 周公以王室至親, 有大功, 位冢宰,..
15. 과유불급(過猶不及) 子貢問: “師與商也孰賢?” 子曰: “師也過, 商也不及.” 子張才高意廣, 而好爲苟難, 故常過中. 子夏篤信謹守, 而規模狹隘, 故常不及. 曰: “然則師愈與?” 與, 平聲. ○ 愈, 猶勝也. 子曰: “過猶不及.” 道以中庸爲至. 賢知之過, 雖若勝於愚不肖之不及, 然其失中則一也. ○ 尹氏曰: “中庸之爲德也, 其至矣乎! 夫過與不及, 均也. 差之毫釐, 繆以千里. 故聖人之敎, 抑其過, 引其不及, 歸於中道而已.” 해석 子貢問: “師與商也孰賢?” 子曰: “師也過, 商也不及.” 자공이 “자장과 자하 중 누가 낫습니까?”라고 여쭈니, 공자께서 “자장은 지나치고 자하는 미치질 못한다.”라고 말씀하셨다. 子張才高意廣, 而好爲苟難, 자장은 재질이 뛰어나고 뜻이 광활하여 구차하고 어려운 것 하기를 좋아하기 때..

14. 당에 오르는 경지와 실에 들어오는 경지 子曰: “由之瑟奚爲於丘之門?” 程子曰: “言其聲之不和, 與己不同也.” 『家語』云: “子路鼓瑟, 有北鄙殺伐之聲.” 蓋其氣質剛勇, 而不足於中和, 故其發於聲者如此. 門人不敬子路. 子曰: “由也升堂矣, 未入於室也.” 門人以夫子之言, 遂不敬子路, 故夫子釋之. 升堂ㆍ入室, 喩入道之次第. 言子路之學, 已造乎正大高明之域, 特未深入精微之奧耳, 未可以一事之失而遽忽之也. 해석 子曰: “由之瑟奚爲於丘之門?” 공자께서 “유의 비파소리가 어찌하여 나의 문에서 나오는가?”라고 말씀하셨다. 程子曰: “言其聲之不和, 정이천이 말했다. “그 소리가 화하지 못하여 與己不同也.” 자기와 달랐기에 말씀하신 것이다.” 『家語』云: “子路鼓瑟, 『가어』에 쓰여 있다. ‘자로가 비파를 타니 有北鄙殺伐..

13. 창고를 새로 만드는 너 아웃! 魯人爲長府. 長府, 藏名. 藏貨財曰府. 爲, 蓋改作之. 閔子騫曰: “仍舊貫, 如之何? 何必改作?” 仍, 因也. 貫, 事也. 王氏曰: “改作, 勞民傷財. 在於得已, 則不如仍舊貫之善.” 子曰: “夫人不言, 言必有中.” 夫, 音扶. 中, 去聲. ○ 言不妄發, 發必當理, 惟有德者能之. 해석 魯人爲長府. 노나라 사람들이 장부(長府)라는 재물창고를 새롭게 짖자, 長府, 藏名. 장부(長府)는 창고의 명칭이다. 藏貨財曰府. 재물을 저장하는 곳을 부(府)라 한다. 爲, 蓋改作之. 위(爲)는 대개 고쳐 짓는 것이다. 閔子騫曰: “仍舊貫, 如之何? 何必改作?” 민자건이 “옛 것대로 하는 게 어떻습니까? 하필 새로 짓습니까?”라고 말했다. 仍, 因也. 貫, 事也. 잉(仍)는 인한다는 뜻이..

11. 자로, 귀신을 섬기는 것과 죽음에 대해 묻다 季路問事鬼神. 子曰: “未能事人, 焉能事鬼?” 焉, 於虔反. ○ 問事鬼神, 蓋求所以奉祭祀之意. 敢問死. 曰: “未知生, 焉知死?” 而死者人之所必有, 不可不知, 皆切問也. 然非誠敬足以事人, 則必不能事神; 非原始而知所以生, 則必不能反終而知所以死. 蓋幽明始終, 初無二理, 但學之有序, 不可躐等, 故夫子告之如此. ○ 程子曰: “晝夜者, 死生之道也. 知生之道, 則知死之道; 盡事人之道, 則盡事鬼之道. 死生人鬼, 一而二, 二而一者也. 或言夫子不告子路, 不知此乃所以深告之也.” 해석 季路問事鬼神. 子曰: “未能事人, 焉能事鬼?” 계로가 귀신을 섬기는 것에 대해 여쭈니, 공자께서 “사람을 잘 섬기지 못하는데 어찌 귀신을 섬기겠는가?”라고 말씀하셨다. 焉, 於虔反. ○ 問事..
10. 문인들이 공자의 말을 어기고 안연을 후장지내다 顔淵死, 門人欲厚葬之, 子曰: “不可.” 喪具稱家之有無, 貧而厚葬, 不循理也. 故夫子止之. 門人厚葬之. 蓋顔路聽之. 子曰: “回也視予猶父也, 予不得視猶子也. 非我也, 夫二三子也.” 歎不得如葬鯉之得宜, 以責門人也. 해석 顔淵死, 門人欲厚葬之, 子曰: “不可.” 안연이 죽자 문인들이 후장을 지내려 하니, 공자께서 “안 된다.”라고 말씀하셨다. 喪具稱家之有無, 장사 지내는 도구는 집의 재산이 있고 없음에 알맞아야 하니, 貧而厚葬, 不循理也. 가난한 데 후장을 지내는 것은 이치를 맞지 않는 것이다. 故夫子止之. 그렇기 때문에 부자께서 그것을 금지하셨다. 門人厚葬之. 결국 문인들이 후장을 했다. 蓋顔路聽之. 아마도 안회의 아버지인 안로가 그것을 들어줬을 것이다..
9. 안연이 죽자 공자가 과하게 애통하다 顔淵死, 子哭之慟. 從者曰: “子慟矣.” 從, 去聲. ○ 慟, 哀過也. 曰: “有慟乎? 哀傷之至, 不自知也. 非夫人之爲慟而誰爲!” 夫, 音扶. 爲, 去聲. ○ 夫人, 謂顔淵. 言其死可惜, 哭之宜慟, 非他人之比也. ○ 胡氏曰: “痛惜之至, 施當其可, 皆情性之正也.” 해석 顔淵死, 子哭之慟. 從者曰: “子慟矣.” 안연이 죽었다. 공자께서 애통히 통곡하시니, 따르던 제자가 “선생님, 과하게 애통해하십니다.”라고 말씀드렸다. 從, 去聲. ○ 慟, 哀過也. 통(慟)은 슬퍼함이 지나친 것이다. 曰: “有慟乎?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애통함이 과했느냐? 哀傷之至, 不自知也. 슬픔과 속상함이 지극하면 스스로 알지 못한다. 非夫人之爲慟而誰爲!” 저 사람(안회)을 위해 애통해하지 ..
8. 하늘이 나를 버리셨구나! 顔淵死. 子曰: “噫! 天喪予! 天喪予!” 喪, 去聲. ○ 噫, 傷痛聲. 悼道無傳, 若天喪己也. 해석 顔淵死. 子曰: “噫! 天喪予! 天喪予!” 안연이 죽었다. 공자께서 “아! 하늘이 나를 버리셨구나! 하늘이 나를 버리셨구나!” 喪, 去聲. ○ 噫, 傷痛聲. 희(噫)는 속상해하며 애통한 소리다. 悼道無傳, 도가 전해지지 않음을 애도하였으니, 若天喪己也. 마치 하늘이 나를 버린 것과 같다고 하신 것이다. ○ 제자 안연(顔淵)의 죽음을 비통해하는 공자의 마음을 논어 ‘선진(先進)’편의 이 장(章)에서 생생하게 느낄 수 있다. 평소 안연은 종일 마주해 있어도 스승의 뜻을 거스르지 않아 마치 어리석은 자와 같았다. 질문을 통해 스승을 계발(啓發)시켜 주지는 않았다. 하지만 배운 점..
7. 안연이 죽자 그의 아버지가 외곽을 사주길 공자에게 청하다 顔淵死, 顔路請子之車以爲之槨. 顔路, 淵之父, 名無繇. 少孔子六歲, 孔子始敎而受學焉. 槨, 外棺也. 請爲槨, 欲賣車以買槨也. 子曰: “才不才, 亦各言其子也. 鯉也死, 有棺而無槨. 吾不徒行以爲之槨. 以吾從大夫之後, 不可徒行也.” 鯉, 孔子之子伯魚也, 先孔子卒. 言鯉之才雖不及顔淵, 然己與顔路以父視之, 則皆子也. 孔子時已致仕, 尙從大夫之列, 言後, 謙辭. ○ 胡氏曰: “孔子遇舊館人之喪, 嘗脫驂以賻之矣. 今乃不許顔路之請, 何邪? 葬可以無槨, 驂可以脫而復求, 大夫不可以徒行, 命車不可以與人而鬻諸市也. 且爲所識窮乏者得我, 而勉强以副其意, 豈誠心與直道哉? 或者以爲‘君子行禮, 視吾之有無而已.’ 夫君子之用財, 視義之可否, 豈獨視有無而已哉?” 해석 顔淵死, 顔路..
6. 안연의 호학 季康子問: “弟子孰爲好學?” 好, 去聲. 孔子對曰: “有顔回者好學, 不幸短命死矣! 今也則亡.” ○ 范氏曰: “哀公ㆍ康子問同而對有詳略者, 臣之告君, 不可不盡. 若康子者, 必待其能問乃告之, 此敎誨之道也.” 해석 季康子問: “弟子孰爲好學?” 계강자가 “제자 중에 누가 호학합니까?”라고 물으니, 好, 去聲. 孔子對曰: “有顔回者好學, 不幸短命死矣! 今也則亡.” 공자께서 “안회라는 사람이 배우길 좋아하는데 불행히 단명하여 죽었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없습니다.”라고 대답하셨다. ○ 范氏曰: “哀公ㆍ康子問同而對有詳略者, 범조우(范祖禹)가 말했다. “애공과 강자가 물은 것은 같았지만 대답은 자세하거나 생략함이 있는 것은 臣之告君, 不可不盡. 신하가 임금에게 고함에 다하지 않음이 없었다. 若康子者, 강..
5. 남용이 백규의 시를 여러 번 읊다 南容三復白圭, 孔子以其兄之子妻之. 三, 妻, 並去聲. ○ 詩大雅「抑」之篇曰: “白圭之玷, 尙可磨也; 斯言之玷, 不可爲也.” 南容一日三復此言, 事見『家語』. 蓋深有意於謹言也. 此邦有道所以不廢, 邦無道所以免禍, 故孔子以兄子妻之. ○ 范氏曰: “言者行之表, 行者言之實, 未有易其言而能謹於行者. 南容欲謹其言如此, 則必能謹其行矣.” 해석 南容三復白圭, 孔子以其兄之子妻之. 남용이 세 번 “흰 규의 티는 갈아 없앨 수 있지만, 이 말의 티는 없앨 수 없네.”라는 시를 세 번 외우자, 공자께서 형의 딸로 그에게 시집보내셨다. 三, 妻, 並去聲. ○ 詩大雅「抑」之篇曰: “白圭之玷, 尙可磨也; 시는 대아 「억」의 편으로 “흰 규의 티는 갈아 없앨 수 있지만, 斯言之玷, 不可爲也.” 이..

4. 민자건을 칭찬하는 말에 고을 사람들도 비판을 못하다 子曰: “孝哉閔子騫! 人不間於其父母昆弟之言.” 閒, 去聲. ○ 胡氏曰: “父母兄弟稱其孝友, 人皆信之無異辭者, 蓋其孝友之實, 有以積於中而著於外, 故夫子歎而美之.” 해석 子曰: “孝哉閔子騫! 人不間於其父母昆弟之言.” 공자께서 “효성스럽구나! 민자건이여. 사람들이 부모님과 형제들의 칭찬하는 말을 헐뜯질 못하는 구나.”라고 말씀하셨다. 閒, 去聲. ○ 胡氏曰: “父母兄弟稱其孝友, 호인(胡寅)이 말했다. “부모와 형제가 모두 그 효도와 우의를 칭찬했는데 人皆信之無異辭者, 사람들이 모두 참으로 다른 말이 없었다. 蓋其孝友之實, 有以積於中而著於外, 대개 효도와 우의의 실체가 내면에 충만하여 외면에 드러났기 때문에 故夫子歎而美之.” 부자가 그것을 탄식하며 찬미한..
3. 공자의 말에 의문 나는 게 없던 안회 子曰: “回也非助我者也, 於吾言無所不說.” 說, 音悅. ○ 助我, 若子夏之起予, 因疑問而有以相長也. 顔子於聖人之言, 黙識心通, 無所疑問, 故夫子云然, 其辭若有憾焉, 其實乃深喜之. ○ 胡氏曰: “夫子之於回, 豈眞以助我望之. 蓋聖人之謙德, 又以深贊顔氏云爾.” 해석 子曰: “回也非助我者也, 於吾言無所不說.” 공자께서 “안회는 나를 도와주는 자가 아니다, 나의 말에 있어서 기뻐하지 않음이 없으니.”라고 말씀하셨다. 說, 音悅. ○ 助我, 若子夏之起予, 조아(助我)는 ‘자하가 나를 흥기시킨다’와 같으니, 因疑問而有以相長也. 의문으로 인해 서로 묻고 대답함으로 서로 성장시키는 것이다. 顔子於聖人之言, 黙識心通, 안자는 성인의 말씀에 묵묵히 알고 마음으로 통하여 無所疑問, ..
2. 네 분야의 열 명의 뛰어난 이들 子曰: “從我於陳ㆍ蔡者, 皆不及門也.” 從, 去聲. ○ 孔子嘗厄於陳ㆍ蔡之間, 弟子多從之者, 此時皆不在門. 故孔子思之, 蓋不忘其相從於患難之中也. 德行: 顔淵ㆍ閔子騫ㆍ冉伯牛ㆍ仲弓. 言語: 宰我ㆍ子貢. 政事: 冉有ㆍ季路. 文學: 子游ㆍ子夏 行, 去聲. ○ 弟子因孔子之言, 記此十人, 而幷目其所長, 分爲四科. 孔子敎人各因其材, 於此可見. ○ 程子曰: “四科乃從夫子於陳ㆍ蔡者爾, 門人之賢者固不止此. 曾子傳道而不與焉, 故知十哲世俗論也.” 해석 子曰: “從我於陳ㆍ蔡者, 皆不及門也.” 공자께서 “진나라와 채나라에서부터 나를 따르던 이들 중에 지금 다 문하에 있진 않구나.”라고 말씀하셨다. 從, 去聲. ○ 孔子嘗厄於陳ㆍ蔡之間, 공자는 일찍이 진나라와 채나라 사이에서 곤액을 당했는데 弟子..

1. 질박한 선배들과 잘 갖춰진 후배들 此篇多評弟子賢否. 凡二十五章. 胡氏曰: “此篇記閔子騫言行者四, 而其一直稱‘閔子’, 疑閔氏門人所記也.” 子曰: “先進於禮樂, 野人也; 後進於禮樂, 君子也. 先進後進, 猶言前輩後輩. 野人, 謂郊外之民. 君子, 謂賢士大夫也. 程子曰: “先進於禮樂, 文質得宜, 今反謂之質朴, 而以爲野人. 後進之於禮樂, 文過其質, 今反謂之彬彬, 而以爲君子. 蓋周末文勝, 故時人之言如此, 不自知其過於文也.” 如用之, 則吾從先進.” 用之, 謂用禮樂. 孔子旣述時人之言, 又自言其如此, 蓋欲損過以就中也. 해석 此篇多評弟子賢否. 凡二十五章. 이번 편은 제자들이 어진 것인가 그렇지 않은가를 평론한 게 많으니 모두 25장이다. 胡氏曰: “此篇記閔子騫言行者四, 호인(胡寅)이 말했다. “이번 편은 민자건의 언행..
향당(鄕黨) 제십(第十) 편해(篇解). 향당편의 내용에 대해 楊氏曰: “聖人之所謂道者, 不離乎日用之間也. 故夫子之平日, 一動一靜, 門人皆審視而詳記之.” 尹氏曰: “甚矣孔門諸子之嗜學也! 於聖人之容色言動, 無不謹書而備錄之, 以貽後世. 今讀其書, 卽其事, 宛然如聖人之在目也. 雖然, 聖人豈拘拘而爲之者哉? 蓋盛德之至, 動容周旋, 自中乎禮耳. 學者欲潛心於聖人, 宜於此求焉.” 舊說凡一章, 今分爲十七節.⇒해석보기 1. 있는 곳에 따라 행동을 달리하다(향당, 종묘, 조정) 孔子於鄕黨, 恂恂如也, 似不能言者. 恂, 相倫反. ○恂恂, 信實之貌. 似不能言者, 謙卑遜順. 不以賢知先人也. 鄕黨, 父兄宗族之所在, 故孔子居之, 其容貌辭氣如此. 其在宗廟朝廷, 便便言, 唯謹爾. 朝, 直遙反, 下同. 便, 旁連反. ○ 便便, 辯也..
18. 까투리에 감정 이입한 공자 色斯擧矣, 翔而後集. 言鳥見人之顔色不善, 則飛去, 回翔審視而後下止. 人之見幾而作, 審擇所處, 亦當如此. 然此上下, 必有闕文矣. 曰: “山梁雌雉, 時哉! 時哉!” 子路共之, 三嗅而作. 共, 九用反, 又居勇反. 嗅, 許又反. ○ 邢氏曰: “梁, 橋也. 時哉, 言雉之飮啄得其時. 子路不達, 以爲時物而共具之. 孔子不食, 三嗅其氣而起.” 晁氏曰: “石經 ‘嗅’ 作戛, 謂雉鳴也.” 劉聘君曰: “嗅, 當作狊, 古闃反. 張兩翅也. 見『爾雅』.” 愚按: 如後兩說, 則共字當爲拱執之義. 然此必有闕文, 不可强爲之說. 姑記所聞, 以俟知者. 해석 色斯擧矣, 翔而後集. 새가 사람의 얼굴색이 나쁨을 보고 날아가 모여 앉았다. 言鳥見人之顔色不善, 則飛去, 새가 사람 안색이 좋지 않다는 걸 보고 날아가 ..
17. 수레에 탈 때의 공자 모습 升車, 必正立執綏. 綏, 挽以上車之索也. 范氏曰: “正立執綏, 則心體無不正, 而誠意肅恭矣. 蓋君子莊敬無所不在, 升車則見於此也.” 車中, 不內顧, 不疾言, 不親指. 內顧, 回視也. 『禮』曰: “顧不過轂.” 三者皆失容, 且惑人. ○ 此一節, 記孔子升車之容. 해석 升車, 必正立執綏. 수레에 오를 적엔 반드시 바르게 서서 끈을 잡으셨다. 綏, 挽以上車之索也. 수(綏)는 붙잡고서 수레에 오르도록 하는 끈이다. 范氏曰: “正立執綏, 則心體無不正, 범조우(范祖禹)가 말했다. “바르게 서서 끈을 잡으면 마음과 몸이 바르지 않음이 없어 而誠意肅恭矣. 뜻이 성실해지며 몸이 엄숙하고도 공손해진다. 蓋君子莊敬無所不在, 대개 군자는 장엄하고 공경함이 있지 않은 게 없으니 升車則見於此也.” 수레..
16. 공자가 안색이 변하는 상황에 대한 기록 寢不尸, 居不容. 尸, 謂偃臥似死人也. 居, 居家. 容, 容儀. 范氏曰: “寢不尸, 非惡其類於死也. 惰慢之氣不設於身體, 雖舒布其四體, 而亦未嘗肆耳. 居不容, 非惰也. 但不若奉祭祀, 見賓客而已, 申申夭夭是也.” 見齊衰者, 雖狎, 必變. 見冕者與瞽者, 雖褻, 必以貌. 狎, 謂素親狎. 褻, 謂燕見. 貌, 謂禮貌. 餘見前篇. 凶服者式之. 式負版者. 式, 車前橫木. 有所敬, 則俯而憑之. 負版, 持邦國圖籍者. 式此二者, 哀有喪, 重民數也. 人惟萬物之靈, 而王者之所天也. 故『周禮』“獻民數於王, 王拜受之”. 況其下者, 敢不敬乎? 有盛饌, 必變色而作. 敬主人之禮, 非以其饌也. 迅雷風烈, 必變. 迅, 疾也. 烈, 猛也. 必變者, 所以敬天之怒. 『記』曰: “若有疾風, 迅雷, 甚..
15. 벗을 사귀는 공자의 모습 朋友死, 無所歸. 曰: “於我殯.” 朋友以義合, 死無所歸, 不得不殯. 朋友之饋, 雖車馬, 非祭肉, 不拜. 朋友有通財之義, 故雖車馬之重不拜. 祭肉則拜者, 敬其祖考, 同於己親也. ○ 此一節, 記孔子交朋友之義. 해석 朋友死, 無所歸. 曰: “於我殯.” 벗이 죽어 돌아갈 곳이 없을 때엔 “우리집에서 빈소【빈(殯): 옛날 초분의 습관이 발전된 것이며, ‘장(葬)’ 이전의 단계인데, 요즈음의 3일장, 9일장과는 달리, 신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최소한 한 달 이상이 걸리는 과정이라 그리 쉬운 일이 아니었다. -『논어한글역주』3권, 223쪽】를 차리라.”라고 말씀하셨다. 朋友以義合, 死無所歸, 벗은 의로 합한 것이니 죽어 돌아갈 곳이 없으면 不得不殯. 빈소를 차리지 않을 수 없는 것이..
14. 공자, 태묘에 들어가 모든 절차를 묻다 入太廟, 每事問. 重出. 해석 入太廟, 每事問. 공자께서 태묘에 들어가셔서 제사의 절차에 대해 모든 것을 물었다. 重出. 「팔일(八佾)」15에 나오고 또 나왔다. ○ 「팔일」과 「향당」의 이 두 기사가 단순히 같은 파편이 두 번 중출(重出)한 것이 아니라는 황간의 주장은 매우 흥미롭다. 「팔일」은 ‘혹자’의 비난에 대하여 공자께서 말씀하신 특정한 사례를 기술한 특칭의 단편이고, 이것은 평소 공자의 주공 태묘에서의 일반적인 행태를 기술한 전칭의 단편이라는 것이다[此是錄平生常行之事]. 인용목차 / 전문 / 한글역주생애 / 공자 / 유랑도 / 제자들
13. 임금을 섬길 때의 공자 모습 君賜食, 必正席先嘗之; 君賜腥, 必熟而薦之; 君賜生, 必畜之. 食恐或餕餘, 故不以薦. 正席先嘗, 如對君也. 言先嘗, 則餘當以頒賜矣. 腥, 生肉. 熟而薦之祖考, 榮君賜也. 畜之者, 仁君之惠, 無故不敢殺也. 侍食於君, 君祭, 先飯. 飯, 扶晩反. ○ 『周禮』,“王日一擧, 膳夫授祭, 品嘗食, 王乃食”. 故侍食者, 君祭, 則己不祭而先飯. 若爲君嘗食然, 不敢當客禮也. 疾, 君視之, 東首, 加朝服, 拖紳. 首, 去聲. 拖, 徒我反. ○ 東首, 以受生氣也. 病臥不能著衣束帶, 又不可以褻服見君, 故加朝服於身, 又引大帶於上也. 君命召, 不俟駕行矣. 急趨君命, 行出而駕車隨之. ○ 此一節, 記孔子事君之禮. 해석 君賜食, 必正席先嘗之; 君賜腥, 必熟而薦之; 君賜生, 必畜之. 임금이 음식을 하..
12. 사람의 생명을 중시했던 공자의 모습 廐焚. 子退朝, 曰: “傷人乎?” 不問馬. 非不愛馬, 然恐傷人之意多, 故未暇問. 蓋貴人賤畜, 理當如此. ○ 先儒皆以爲恐傷人之意多故未暇問馬, 是得貴人賤畜之理. 或人又謂: “傷人乎, 不當爲一句.” 蓋先問人而後問馬也. 今以理求之, 恐或說爲得, 蓋廏焚而問馬, 人情之常而理亦當然. 聖人先問人而後問馬, 此可見恐傷人之意多而人畜貴賤各當其理矣. 若曰遂不問馬則殆非人之常情, 其於理亦未爲盡. 馬雖賤畜, 君子固不忘弊帷之施, 況於廏焚而不問其死生, 可乎. -朴世堂, 『思辨錄』 해석 廐焚. 子退朝, 曰: “傷人乎?” 不問馬. 마구간이 불탔다. 공자께서 퇴청(退廳)하고 “사람이 다쳤느냐?”라고 말씀하시곤 말에 대해선 묻지 않으셨다. 非不愛馬, 然恐傷人之意多, 故未暇問. 말을 아끼지 않은 건 아..
11. 다른 사람과 친교를 맺을 때의 공자 모습 問人於他邦, 再拜而送之. 拜送使者, 如親見之, 敬也. 康子饋藥, 拜而受之. 曰: “丘未達, 不敢嘗.” 范氏曰: “凡賜食, 必嘗以拜. 藥未達則不敢嘗. 受而不飮, 則虛人之賜, 故告之如此. 然則可飮而飮, 不可飮而不飮, 皆在其中矣.” 楊氏曰: “大夫有賜, 拜而受之, 禮也. 未達不敢嘗, 謹疾也. 必告之, 直也.” ○此一節, 記孔子與人交之誠意. 해석 問人於他邦, 再拜而送之. 사람을 다른 나라에 보내 안부를 물을 때는 두 번 절하시고 그를 보내시었다. 拜送使者, 배(拜)는 심부름꾼을 보내는 예식으로 如親見之, 敬也. 마치 친히 보는 듯이 한 것은 공경하기 때문이다. 康子饋藥, 拜而受之. 曰: “丘未達, 不敢嘗.” 계강자가 약을 보내오면 절하고서 받으시고 “나는 약에 대..
10. 마을에 있을 때의 공자의 모습 鄕人飮酒, 杖者出, 斯出矣. 杖者, 老人也. 六十杖於鄕, 未出不敢先, 旣出不敢後. ○ 『禮記』 「王制」曰: “五十杖於家, 六十杖於鄕, 七十杖於國, 八十杖於朝, 九十者, 天子欲有問焉, 則就其室, 以珍從.” 鄕人儺, 朝服而立於阼階. 儺, 乃多反. ○ 儺, 所以逐疫, 『周禮』方相氏掌之. 阼階, 東階也. 儺雖古禮而近於戱, 亦必朝服而臨之者, 無所不用其誠敬也. 或曰: “恐其驚先祖五祀之神, 欲其依己而安也.” ○ 此一節, 記孔子居鄕之事. 해석 鄕人飮酒, 杖者出, 斯出矣. 향당에서 향음주례가 끝날 때에 지팡이 짚은 분이 나가시면 따라 나가셨다. 杖者, 老人也. 장자(杖者)란 노인을 말한다. 六十杖於鄕, “60세엔 향당에서 지팡이를 짚는다.”고 되어 있으니 未出不敢先, 나가지 않거든 ..
9. 자리를 반듯하게 한 후에야 앉던 공자 席不正, 不坐. 謝氏曰: “聖人心安於正, 故於位之不正者, 雖小不處.” ○ 夫子於席之不正者, 必正之而後坐也. 해석 席不正, 不坐. 자리가 반듯하지 않으면 앉지 않으셨다. 謝氏曰: “聖人心安於正, 사량좌(謝良佐)가 말했다. “성인은 내심 바른 것에 편안해하기 때문에 故於位之不正者, 雖小不處.” 자리에 바르지 않은 것이 비록 조금이더라도 거처하지 않는다.” ○ 夫子於席之不正者, 유보남이 말했다. “부자께서는 자리가 바르지 않으면 必正之而後坐也. 반드시 정돈한 이후에야 앉으셨다.” ○ 이것은 ‘자리가 바르지 않으면 앉지 않았다.’라고 단순히 해석될 문제가 아니다. 고전을 모르는 속유들이 당대의 자기습관을 가지고 항상 고문(古文)에 자기류의 의미를 덮어씌우는 데 큰 문제..
8. 음식을 대하는 공자의 모습 食不厭精, 膾不厭細. 食, 音嗣. ○食, 飯也. 精, 鑿也. 牛羊與魚之腥, 聶而切之爲膾. 食精則能養人, 膾麤則能害人. 不厭, 言以是爲善, 非謂必欲如是也. 食饐而餲, 魚餒而肉敗, 不食. 色惡, 不食. 臭惡, 不食. 失飪, 不食. 不時, 不食. 食饐之食, 音嗣. 饐, 於冀反. 餲, 烏邁反. 飪, 而甚反. ○饐, 飯傷熱濕也. 餲, 味變也. 魚爛曰餒. 肉腐曰敗. 色惡臭惡, 未敗而色臭變也. 飪, 烹調生熟之節也. 不時, 五穀不成, 果實未熟之類. 此數者皆足以傷人, 故不食. 割不正, 不食. 不得其醬, 不食. 割肉不方正者不食, 造次不離於正也. 漢陸續之母, 切肉未嘗不方, 斷葱以寸爲度, 蓋其質美, 與此暗合也. 食肉用醬, 各有所宜, 不得則不食, 惡其不備也. 此二者, 無害於人, 但不以嗜味而苟食耳..
7. 재계할 때의 공자 모습 齊, 必有明衣, 布. 齊, 側皆反. ○齊, 必沐浴, 浴竟, 卽著明衣, 所以明潔其體也, 以布爲之. 此下脫前章寢衣一簡. 齊, 必變食, 居必遷坐. 變食, 謂不飮酒, 不茹葷. 遷坐, 易常處也. ○此一節, 記孔子謹齊之事. 楊氏曰: “齊所以交神, 故致潔變常以盡敬.” 해석 齊, 必有明衣, 布. 재계할 땐 반드시 명의【선조에게 제사를 지내거나 그 외로 다양한 신에게 제사를 지내기에 앞서 목욕재계라는 것을 한다. 이 기간 동안에는 음식이나 성관계 등 모든 것이 통제된다. 산재(散齋)가 7일, 좀 느슨한 재계이다. 치재(致齋)가 3일, 치열하고 엄격한 재계이다. 모두 10일이 걸린다. 이 기간 동안에 여러 번 목욕을 하는데, 목욕하고 나서 입는 옷을 명의(明衣)라 한다. 명의는 신명과 소통하는..
6. 공자의 복식에 대해 君子不以紺緅飾. 紺, 古暗反. 緅, 側由反. ○ 君子, 謂孔子. 紺, 深靑揚赤色, 齊服也. 緅, 絳色. 三年之喪, 以飾練服也. 飾, 領緣也. 紅紫不以爲褻服. 紅紫, 間色不正, 且近於婦人女子之服也. 褻服, 私居服也. 言此則不以爲朝祭之服可知. 當暑, 袗絺綌, 必表而出之. 袗, 單也. 葛之精者曰絺, 麤者曰綌. 表而出之, 謂先著裏衣, 表絺綌而出之於外, 欲其不見體也. 『詩』所謂“蒙彼縐絺” 是也. 緇衣羔裘, 素衣麑裘, 黃衣狐裘. 麑, 硏奚反. ○ 緇, 黑色. 羔裘, 用黑羊皮. 麑, 鹿子, 色白. 狐, 色黃. 衣以裼裘, 欲其相稱. 褻裘長. 短右袂. 長, 欲其溫. 短右袂, 所以便作事. 必有寢衣, 長一身有半. 長, 去聲. ○ 齊主於敬, 不可解衣而寢, 又不可著明衣而寢, 故別有寢衣, 其半蓋以覆足. ..
5. 이웃나라를 빙문할 때의 공자모습 執圭, 鞠躬如也, 如不勝. 勝, 平聲. 縮, 色六反. ○圭, 諸侯命圭. 聘問鄰國, 則使大夫執以通信. 如不勝, 執主器, 執輕如不克, 敬謹之至也. 上如揖, 下如授. 上如揖, 下如授, 謂執圭平衡, 手與心齊, 高不過揖, 卑不過授也. 勃如戰色, 足縮縮, 如有循. 戰色, 戰而色懼也. 蹜蹜, 擧足促狹也. 如有循, 『記』所謂擧前曳踵. 言行不離地, 如緣物也. 享禮, 有容色. 享, 獻也. 旣聘而享, 用圭璧, 有庭實. 有容色, 和也. 『儀禮』曰: “發氣滿容.” 私覿, 愉愉如也. 私覿, 以私禮見也. 愉愉, 則又和矣. ○ 此一節, 記孔子爲君聘於鄰國之禮也. 晁氏曰: “孔子, 定公九年仕魯, 至十三年適齊, 其間絶無朝聘往來之事. 疑使擯ㆍ執圭兩條, 但孔子嘗言其禮當如此爾.” 해석 執圭, 鞠躬如也, 如..
4. 조정에 있을 때의 공자 모습 入公門, 鞠躬如也, 如不容. 鞠躬, 曲身也. 公門高大而若不容, 敬之至也. 立不中門, 行不履閾. 閾, 于逼反. ○中門, 中於門也. 謂當棖闑之間, 君出入處也. 閾, 門限也. 『禮』: 士大夫出入君門, 由闑右, 不踐閾. 謝氏曰: “立中門則當尊, 行履閾則不恪.” 過位, 色勃如也, 足躩如也, 其言似不足者. 位, 君之虛位. 謂門屛之間, 人君宁立之處, 所謂宁也. 君雖不在, 過之必敬, 不敢以虛位而慢之也. 言似不足, 不敢肆也. 攝齊升堂, 鞠躬如也, 屛氣似不息者. 齊, 音咨. ○攝, 摳也. 齊, 衣下縫也. 『禮』: 將升堂, 兩手摳衣, 使去地尺. 恐躡之而傾跌失容也. 屛, 藏也. 息, 鼻息出入者也. 近至尊, 氣容肅也. 出, 降一等, 逞顔色, 怡怡如也. 等, 階之級也. 逞, 放也. 漸遠所尊, 舒..
3. 외국 사절단을 접대하는 공자의 모습 君召使擯, 色勃如也, 足躩如也. 擯, 必刃反. 躩, 驅若反. ○ 擯, 主國之君所使出接賓者. 勃, 變色貌. 躩, 盤辟貌. 皆敬君命故也. 揖所與立, 左右手. 衣前後, 襜如也. 襜, 亦占反. ○ 所與立, 謂同爲擯者也. 擯用命數之半, 如上公九命, 則用五人, 以次傳命. 揖左人, 則左其手; 揖右人, 則右其手. 襜, 整貌. 趨進, 翼如也. 疾趨而進, 張拱端好, 如鳥舒翼. 賓退, 必復命曰: “賓不顧矣.” 紓君敬也. ○此一節, 記孔子爲君擯相之容. ○ 退溪曰: “凡人有未慊事, 則多顧.” 해석 君召使擯, 色勃如也, 足躩如也. 임금이 사신으로 손님을 접대하러 부르면 얼굴빛이 변했으며 발은 예의에 맞게 행동하셨다. 擯, 必刃反. 躩, 驅若反. ○ 擯, 主國之君所使出接賓者. 빈(擯)은 주..
2. 조정에서 조회 볼 때에 공자의 자세 朝, 與下大夫言, 侃侃如也; 與上大夫言, 誾誾如也. 侃, 苦旦反. 誾, 魚巾反. ○ 此君未視朝時也. 「王制」, 諸侯上大夫卿, 下大夫五人. 許氏『說文』: “侃侃, 剛直也. 誾誾, 和悅而諍也.” 君在, 踧踖如也. 與與如也. 踧, 子六反. 踖, 子亦反. 與, 平聲, 或如字. ○ 君在, 視朝也. 踧踖, 恭敬不寧之貌. 與與, 威儀中適之貌. 張子曰: “與與, 不忘向君也.” 亦通. ○ 此一節, 記孔子在朝廷事上接下之不同也. 해석 朝, 與下大夫言, 侃侃如也; 與上大夫言, 誾誾如也. 조정【원래 중국고래의 조정의 습관에 의하면 해뜨기 전에 신하들이 다 궁중에 출근해서 군주가 출어(出御)하는 것을 기다려야 한다. 해가 뜨면 군주가 나타나 임석(臨席)한다. 조정의 조(朝)라는 말이 이렇..
1. 있는 곳에 따라 행동을 달리하다 (향당, 종묘, 조정) 孔子於鄕黨, 恂恂如也, 似不能言者. 恂, 相倫反. ○恂恂, 信實之貌. 似不能言者, 謙卑遜順. 不以賢知先人也. 鄕黨, 父兄宗族之所在, 故孔子居之, 其容貌辭氣如此. 其在宗廟朝廷, 便便言, 唯謹爾. 朝, 直遙反, 下同. 便, 旁連反. ○ 便便, 辯也. 宗廟, 禮法之所在. 朝廷, 政事之所出, 言不可以不明辨. 故必詳問而極言之, 但謹而不放爾. ○ 此一節, 記孔子在鄕黨宗廟朝廷言貌之不同. 해석 孔子於鄕黨, 恂恂如也, 似不能言者. 공자께서 향당에 계실 적엔 신실한 듯하셨고 말을 못하는 듯하셨다. 恂, 相倫反. ○恂恂, 信實之貌. 순순(恂恂)은 신실한 모습이다. 似不能言者, 謙卑遜順. ‘사불능언(似不能言)’이라는 것은 겸손하고 낮추고 순종한 것이니 不以賢知先人也..
편해(篇解). 향당편의 내용에 대해 楊氏曰: “聖人之所謂道者, 不離乎日用之間也. 故夫子之平日, 一動一靜, 門人皆審視而詳記之.” 尹氏曰: “甚矣孔門諸子之嗜學也! 於聖人之容色言動, 無不謹書而備錄之, 以貽後世. 今讀其書, 卽其事, 宛然如聖人之在目也. 雖然, 聖人豈拘拘而爲之者哉? 蓋盛德之至, 動容周旋, 自中乎禮耳. 學者欲潛心於聖人, 宜於此求焉.” 舊說凡一章, 今分爲十七節. 해석 楊氏曰: “聖人之所謂道者, 양시(楊時)가 말했다. “성인이 말했던 도라는 것은 不離乎日用之間也. 일상생활의 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성경을 아무리 읽어도,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을 아무리 읽어도, 일상생활의 세목적 지혜는 우리에게 전달되지 않는다. 물론 서철(西哲)의 문제영역이 다르고 그러한 일용의 문제는 부수적인 결과라고 생각할지 모르지..
자한(子罕) 제구(第九) 凡三十章. 1. 공자가 드물게 말한 것 子罕言利與命與仁. 罕, 少也. 程子曰: “計利則害義, 命之理微, 仁之道大, 皆夫子所罕言也.” ○ 沈大允曰: “利, 天命之性也. 命, 所遇之時, 所處之位, 所稟之材也. 仁, 忠ㆍ恕ㆍ中庸也. 若私慾之利而加之命ㆍ仁之上, 則悖矣. 性與天道, 可知也, 不可爲也. 故夫子不恒言也. 仁, 則集善而成者也. 但能行善, 則自可至也, 故不恒言也. 非有隱而吝於告人也. 集衆善而成仁, 如集材以爲室. 若舍善而言仁, 則無可言也.”⇒해석보기 2. 공자는 널리 배워 위대하나, 한 분야에 이름을 날리질 못했다 達巷黨人曰: “大哉孔子! 博學而無所成名.” 達巷, 黨名. 其人姓名不傳. 博學無所成名, 蓋美其學之博而惜其不成一藝之名也. 子聞之, 謂門弟子曰: “吾何執? 執御乎? ..
30. 집이 멀어 애인을 보러 갈 수 없다는 비겁한 핑계 “唐棣之華, 偏其反而. 豈不爾思? 室是遠而.” 棣, 大計反. ○ 唐棣, 郁李也. 偏, 「晉書」作翩. 然則反亦當與翻同, 言華之搖動也. 而, 語助也. 此逸詩也, 於六義屬興. 上兩句無意義, 但以起下兩句之辭耳. 其所謂爾, 亦不知其何所指也. 子曰: “未之思也, 夫何遠之有?” 夫, 音扶. ○ 夫子借其言而反之, 蓋前篇“仁遠乎哉”之意. ○ 程子曰: “聖人未嘗言易以驕人之志, 亦未嘗言難以阻人之進. 但曰未之思也, 夫何遠之有? 此言極有涵蓄, 意思深遠.” 해석 “唐棣之華, 偏其反而. 豈不爾思? 室是遠而.” “당체의 꽃이 바람에 흔들리네. 어찌 너를 생각하지 않겠는가. 집이 멀기 때문이지.” 棣, 大計反. ○ 唐棣, 郁李也. 당체(唐棣)는 산앵두나무다. 偏, 「晉書」作翩...
29. 권도(權道)의 경지 子曰: “可與共學, 未可與適道; 可與者, 言其可與共爲此事也. 程子曰: “可與共學, 知所以求之也. 可與適道, 未可與立; 可與適道, 知所往也. 可與立者, 篤志固執而不變也. 可與立, 未可與權.” 權, 稱錘也, 所以稱物而知輕重者也. 可與權, 謂能權輕重, 使合義也.” ○ 楊氏曰: “知爲己, 則可與共學矣. 學足以明善, 然後可與適道. 信道篤, 然後可與立. 知時措之宜, 然後可與權.” 洪氏曰: “『易』九卦, 終於巽以行權. 權者, 聖人之大用. 未能立而言權, 猶人未能立而欲行, 鮮不仆矣.” 程子曰: “漢儒以反經合道爲權, 故有權變權術之論, 皆非也. 權只是經也. 自漢以下, 無人識權字.” 愚按: 先儒誤以此章連下文偏其反而爲一章. 故有反經合道之說. 程子非之, 是矣. 然以孟子嫂溺援之以手之義推之, 則權與經亦當有..
28. 지혜로운 자와 인한 자와 용맹한 자의 특징 子曰: “知者不惑, 仁者不憂, 勇者不懼.” 明足以燭理, 故不惑; 理足以勝私, 故不憂; 氣足以配道義, 故不懼. 此學之序也. 해석 子曰: “知者不惑, 仁者不憂, 勇者不懼.” 공자께서 “지혜로운 자는 미혹되지 않고, 인한 사람은 근심하지 않으며, 용맹한 자는 두려워하지 않는다.”라고 말씀하셨다. 明足以燭理, 故不惑; 명백함이 넉넉히 이치를 밝히기에 미혹되지 않고, 理足以勝私, 故不憂; 천리가 넉넉히 사욕을 이기기에 근심하지 않으며, 氣足以配道義, 故不懼. 기가 넉넉히 도와 의에 짝하기에 두려워하지 않는다. 此學之序也. 이것이 학문의 차례다. ○ ‘중용’은 지(知), 인(仁), 용(勇)을 삼달덕(三達德)이라고 했다. 인간에게 보편적인 세 가지 덕이라는 말이다. ..
26. 공자의 칭찬에 자로는 그 말씀만 외우려 하다 子曰: “衣敝縕袍, 與衣狐貉者立, 而不恥者, 其由也與. 衣, 去聲. 縕, 紆粉反. 貉, 胡各反. 與, 平聲. ○ 敝, 壞也. 縕, 枲著也. 袍, 衣有著者也, 蓋衣之賤者. 狐貉, 以狐貉之皮爲裘, 衣之貴者. 子路之志如此, 則能不以貧富動其心, 而可以進於道矣, 故夫子稱之. 不忮不求, 何用不臧?” 忮, 之豉反. ○ 忮, 害也. 求, 貪也. 臧, 善也. 言能不忮不求, 則何爲不善乎? 此衛風「雄雉」之詩, 孔子引之, 以美子路也. 呂氏曰: “貧與富交, 彊者必忮, 弱者必求.” 子路終身誦之. 子曰: “是道也, 何足以臧?” 終身誦之, 則自喜其能, 而不復求進於道矣, 故夫子復言此以警之. ○ 謝氏曰: “恥惡衣惡食, 學者之大病. 善心不存, 蓋由於此. 子路之志如此, 其過人遠矣. 然以衆..

25. 사람의 의지는 빼앗지 못한다 子曰: “三軍可奪帥也, 匹夫不可奪志也.” 侯氏曰: “三軍之勇在人, 匹夫之志在己. 故帥可奪而志不可奪, 如可奪, 則亦不足謂之志矣.” 해석 子曰: “三軍可奪帥也, 匹夫不可奪志也.” 공자께서 “삼군의 장수를 빼앗을 순 있지만 보통 사람의 뜻은 빼앗을 수 없다.”라고 말씀하셨다. 侯氏曰: “三軍之勇在人, 후중량(侯仲良)이 말했다. “삼군의 용맹함은 남에게 있고 匹夫之志在己. 필부의 뜻은 자기에게 있다. 故帥可奪而志不可奪, 그러므로 장수는 빼앗을 수 있지만 뜻은 빼앗을 수 없으니, 如可奪, 則亦不足謂之志矣.” 만약 빼앗을 수 있다면 또한 뜻이라 말하기에 부족한 것이다.” ○ ‘논어’ ‘자한(子罕)’편의 이 장(章)은 인간의 지(志)를 강조했다. 지(志)는 흔히 뜻이라고 번역하는데..
24. 허물이 있다면 고치길 꺼려하지 말라 子曰: “主忠信, 毋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 重出而逸其半. 해석 子曰: “主忠信, 毋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 공자께서 “충신을 주장하고, 나와 같지 못한 이를 사귀지 말며, 허물이 있다면 고치길 꺼려하지 마라.”라고 말씀하셨다. 重出而逸其半. 「학이」8에 이어 거듭 나왔고 그 반절은 일실되었다. 인용목차 / 전문 / 한글역주생애 / 공자 / 유랑도 / 제자들

23. 권위 있는 말은 고쳐야 하고 칭찬의 말은 실마리를 찾아야 한다 子曰: “法語之言, 能無從乎? 改之爲貴. 法語者, 正言之也. 法言人所敬憚, 故必從; 然不改, 則面從而已. 巽與之言, 能無說乎? 繹之爲貴. 巽言者, 婉而導之也. 繹, 尋其緖也. 巽言無所乖忤, 故必說; 然不繹, 則又不足以知其微意之所在也. 說而不繹, 從而不改, 吾末如之何也已矣.” ○ 楊氏曰: “法言, 若孟子論行王政之類是也. 巽言, 若其論好貨ㆍ好色之類是也. 語之而未達, 拒之而不受, 猶之可也. 其或喩焉, 則尙庶幾其能改繹矣. 從且說矣, 而不改繹焉, 則是終不改繹也已, 雖聖人其如之何哉?” 해석 子曰: “法語之言, 能無從乎? 改之爲貴.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권위 있는 바른 말을 따르지 않겠는가? 그것을 고침을 귀함으로 여긴다. 法語者, 正言之也. 법..
22. 후배들의 실력 향상이 놀랍다 子曰: “後生可畏, 焉知來者之不如今也? 四十, 五十而無聞焉, 斯亦不足畏也已.” 焉知之焉, 於虔反. ○ 孔子言後生年富力彊, 足以積學而有待, 其勢可畏. 安知其將來不如我之今日乎? 然或不能自勉, 至於老而無聞, 則不足畏矣. 言此以警人, 使及時勉學也. 曾子曰: “五十而不以善聞, 則不聞矣”, 蓋述此意. ○ 尹氏曰: “少而不勉, 老而無聞, 則亦已矣. 自少而進者, 安知其不至於極乎? 是可畏也.” 해석 子曰: “後生可畏, 焉知來者之不如今也? 四十, 五十而無聞焉, 斯亦不足畏也已.” 공자께서 “뒤에 태어난 사람이 두려울 만하니, 그들의 미래가 나의 지금만 못할 것을 어찌 알겠는가? 마흔 살이나 쉰 살에 구체적 행적이 들리지 않으면 또한 두려워할 게 없다.”라고 말씀하셨다. 焉知之焉, 於虔反...
21. 요절했던 비운의 이들에게 子曰: “苗而不秀者有矣夫! 秀而不實者有矣夫!” 夫, 音扶. ○ 穀之始生曰苗, 吐華曰秀, 成穀曰實. 蓋學而不至於成, 有如此者. 是以君子貴自勉也. 해석 子曰: “苗而不秀者有矣夫! 秀而不實者有矣夫!” 공자께서 “싹 틔우고서 꽃 피우지 못하는 사람이 있고 꽃 피우고서 열매 맺지 못하는 사람이 있다.”라고 말씀하셨다. 夫, 音扶. ○ 穀之始生曰苗, 곡식이 싹 틔우는 것을 묘(苗)라 한다. 吐華曰秀, 成穀曰實. 열매를 뱉어내는 것을 수(秀)라 한다. 곡식을 만들어내는 것을 실(實)이라 한다. 蓋學而不至於成, 有如此者. 대체로 배우고서 성취하는 데에 이르지 않음이 이와 같은 사람이 있다. 是以君子貴自勉也. 그래서 군자는 스스로 힘씀을 귀하게 여긴 것이다. 인용목차 / 전문 / 한글역주..
20. 학문으로 진보하되 멈추지 않았던 안회 子謂顔淵, 曰: “惜乎! 吾見其進也, 未見其止也.” 進止二字, 說見上章. 顔子旣死而孔子惜之, 言其方進而未已也. 해석 子謂顔淵, 曰: “惜乎! 吾見其進也, 未見其止也.” 공자께서 안회를 평가하며 “안회가 죽었으니 애석하구나! 나는 안회가 나아감은 보았으나, 멈추는 건 보질 못했다.”라고 말씀하셨다. 進止二字, 說見上章. ‘진지(進止)’ 이 두 글자의 설명이 「자한」18에 보인다. 顔子旣死而孔子惜之, 안자가 이미 죽었기에 공자가 그걸 애석해 하며 言其方進而未已也. 그가 나아가고 그만두지 않았음을 말한 것이다. 인용목차 / 전문 / 한글역주생애 / 공자 / 유랑도 / 제자들14년 B형 2번
19. 공자의 말을 부지런히 실천한 안회 子曰: “語之而不惰者, 其回也與!” 語, 去聲. 與, 平聲. ○ 惰, 懈怠也. 范氏曰: “顔子聞夫子之言, 而心解力行, 造次顚沛未嘗違之. 如萬物得時雨之潤, 發榮滋長, 何有於惰, 此群弟子所不及也.” 해석 子曰: “語之而不惰者, 其回也與!” 공자께서 “말해주면 게을리 하지 않는 이는 안회일 것이다!”라고 말씀하셨다. 語, 去聲. 與, 平聲. ○ 惰, 懈怠也. 타(惰)는 나태함이다. 范氏曰: “顔子聞夫子之言, 범조우(范祖禹)가 말했다. “안자는 부자의 말씀을 듣고 而心解力行, 마음으로 이해하여 힘써 행했고, 造次顚沛未嘗違之. 잠깐이라도 위태로울지라도 일찍이 어기질 않았다. 如萬物得時雨之潤, 만물이 단비의 윤택함을 얻어 發榮滋長, 何有於惰, 꽃을 피우고 쑥쑥 자라는 것과 ..
17. 여자 밝히듯 덕을 좋아하길 子曰: “吾未見好德如好色者也.” 好, 去聲. ○ 謝氏曰: “好好色, 惡惡臭, 誠也. 好德如好色, 斯誠好德矣, 然民鮮能之.” ○ 『史記』: “孔子居衛, 靈公與夫人同車, 使孔子爲次乘, 招搖市過之.” 孔子醜之, 故有是言. 해석 子曰: “吾未見好德如好色者也.” 공자께서 “나는 덕 좋아하기를 여자 좋아하는 것 같이 하는 사람을 보지 못했다.”라고 말씀하셨다. 好, 去聲. ○ 謝氏曰: “好好色, 사량좌(謝良佐)가 말했다. “예쁜 여색을 좋아하고 惡惡臭, 誠也. 악취를 미워하는 것은 진실한 것이다. 好德如好色, 斯誠好德矣, 덕 좋아하길 여색 좋아하길 같이 하면 이것은 진실로 덕을 좋아하는 것이다. 然民鮮能之.” 그러나 백성이 잘하는 것이 드물다.” ○ 『史記』: “孔子居衛, 『사기』..
16. 공자, 물을 예찬하다 子在川上, 曰: “逝者如斯夫! 不舍晝夜.” 夫, 音扶. 舍, 上聲. ○ 天地之化, 往者過, 來者續, 無一息之停, 乃道體之本然也. 然其可指而易見者, 莫如川流. 故於此發以示人, 欲學者時時省察, 而無毫髮之間斷也. ○ 程子曰: “此道體也. 天運而不已, 日往則月來, 寒往則暑來, 水流而不息, 物生而不窮, 皆與道爲體, 運乎晝夜, 未嘗已也. 是以君子法之, 自强不息. 及其至也, 純亦不已焉.” 又曰: “自漢以來, 儒者皆不識此義. 此見聖人之心, 純亦不已也. 純亦不已, 乃天德也. 有天德, 便可語王道, 其要只在謹獨.” 愚按: 自此至篇終, 皆勉人進學不已之辭. ○ 鄭玄曰: “逝, 往也. 言人年往如水之流行, 傷有道而不見用也.” 해석 子在川上, 曰: “逝者如斯夫! 不舍晝夜.” 공자께서 시냇가에 서계시다가 ..

15. 공자에게 어렵지 않던 네 가지 일 子曰: “出則事公卿, 入則事父兄, 喪事不敢不勉, 不爲酒困, 何有於我哉?” 說見第七篇, 然此則其事愈卑而意愈切矣. 해석 子曰: “出則事公卿, 入則事父兄, 喪事不敢不勉, 不爲酒困, 何有於我哉?” 공자께서 “나가서는 공경(公卿)을 섬기고 들어와선 부형을 섬기며 초상의 일을 감히 힘쓰지 않음이 없고 만취하지 않는 것 어느 것이 나에게 있겠는가?”라고 말씀하셨다. 說見第七篇, 설명은 「술이」2편에 보인다. 然此則其事愈卑而意愈切矣. 그러나 이것은 일은 더욱 하찮지만 뜻은 더욱 절실한 것이다. ○ 공자는 일상생활의 지극히 쉽고 가까운 도리라 해도 방과(放過)하는 일이 없었다. 그러면서도 그것을 능하다고 자부하지 않고 비근(卑近)한 일에서조차 제대로 하는 것이 없다고 겸손해했다...
14. 각각 제자리를 얻다 子曰: “吾自衛反魯, 然後樂正, 雅頌各得其所.” 魯哀公十一年冬, 孔子自衛反魯. 是時周禮在魯, 然詩樂亦頗殘闕失次. 孔子周流四方, 參互考訂, 以知其說. 晩知道終不行, 故歸而正之. 해석 子曰: “吾自衛反魯, 然後樂正, 雅頌各得其所.” 공자께서 “내가 위나라에서 노나라로 돌아온 후에 음악이 바로잡혀 아(雅)와 송(頌)이 각각 제자리를 얻었다.”라고 말씀하셨다. 魯哀公十一年冬, 孔子自衛反魯. 노나라 애공 11년 겨울에 공자는 위나라에서 노나라로 돌아왔다. 是時周禮在魯, 이때엔 주나라의 예가 노나라에 있었지만 然詩樂亦頗殘闕失次. 시와 악은 또한 매우 쇠잔하고 어그러져 차례를 잃었다. 孔子周流四方, 參互考訂, 以知其說. 공자는 사방을 주유하여 참고하여 고찰하고 교정하여 그 말을 알았다. 晩..

13. 공자가 외지인 구이(九夷)에 살려 하다 子欲居九夷. 東方之夷有九種. 欲居之者, 亦乘桴浮海之意. 或曰: “陋, 如之何!” 子曰: “君子居之, 何陋之有?” 君子所居則化, 何陋之有? 해석 子欲居九夷. 공자께서 구이에 거처하려 하셨다. 東方之夷有九種. 동방의 오랑캐는 아홉 종족【견이(畎夷), 어이(於夷), 방이(方夷), 황이(黃夷), 백이(白夷), 적이(赤夷), 현이(玄夷), 풍이(風夷), 양이(陽夷)】이 있다. 欲居之者, 亦乘桴浮海之意. 그곳에 살고자 하였다는 것은 ‘뗏목을 타고 바다에 뜨겠다’는 뜻과 같다. 或曰: “陋, 如之何!” 子曰: “君子居之, 何陋之有?” 어떤 이가 “누추한데 어쩌시렵니까?”라고 말하니, 공자께서 “군자가 거기에 살면 무엇이 누추하겠는가?”라고 말씀하셨다. 君子所居則化, 何陋..
12. 공자, 좋은 가격에 팔리기를 기다리다 子貢曰: “有美玉於斯, 韞匵而藏諸? 求善賈而沽諸?” 韞, 紆粉反. 匵, 徒木反. 賈, 音嫁. ○ 韞, 藏也. 匵, 匱也. 沽, 賣也. 子貢以孔子有道不仕, 故設此二端以問也. 子曰: “沽之哉! 沽之哉! 我待賈者也.” 孔子言固當賣之, 但當待賈, 而不當求之耳. ○ 范氏曰: “君子未嘗不欲仕也, 又惡不由其道. 士之待禮, 猶玉之待賈也. 若伊尹之耕於野, 伯夷ㆍ太公之居於海濱, 世無成湯文王, 則終焉而已, 必不枉道以從人, 衒玉而求售也.” ○ 『論語古今註』曰: “案善賈之爲價爲估, 『集註』ㆍ『集解』, 都無明釋. 然邢疏謂若人求之, 則似以爲商賈之賈. 惟陸氏『釋文』, 賈音嫁, 相傳善賈者高價, 豈不謬哉. 君子懷寶, 待明王而售其道, 如玉人藏玉, 待善估而售其貨. 若以善賈爲高價, 則是待高官厚祿售..
11. 자로 공자를 존경하는 마음에 거짓을 행하다 子疾病, 子路使門人爲臣. 夫子時已去位, 無家臣. 子路欲以家臣治其喪, 其意實尊聖人, 而未知所以尊也. 病閒, 曰: “久矣哉! 由之行詐也, 無臣而爲有臣. 吾誰欺? 欺天乎? 閒, 如字. ○ 病閒, 少差也. 病時不知, 旣差乃知其事, 故言我之不當有家臣, 人皆知之, 不可欺也. 而爲有臣, 則是欺天而已. 人而欺天, 莫大之罪. 引以自歸, 其責子路深矣. 且予與其死於臣之手也, 無寧死於二三子之手乎? 且予縱不得大葬, 予死於道路乎?” 無寧, 寧也. 大葬, 謂君臣禮葬. 死於道路, 謂棄而不葬. 又曉之以不必然之故. ○ 范氏曰: “曾子將死, 起而易簀. 曰: ‘吾得正而斃焉, 斯已矣.’ 子路欲尊夫子, 而不知無臣之不可爲有臣, 是以陷於行詐, 罪至欺天. 君子之於言動, 雖微不可不謹. 夫子深懲子路, ..
10. 안연이 밝힌 공자 도의 위대함 顔淵喟然歎曰: “仰之彌高, 鑽之彌堅; 瞻之在前, 忽焉在後. 喟, 苦位反. 鑽, 祖官反. ○ 喟, 歎聲. 仰彌高, 不可及. 鑽彌堅, 不可入. 在前在後, 恍惚不可爲象. 此顔淵深知夫子之道, 無窮盡, 無方體, 而歎之也. 夫子循循然善誘人, 博我以文, 約我以禮. 循循, 有次序貌. 誘, 引進也. 博文約禮, 敎之序也. 言夫子道雖高妙, 而敎人有序也. 侯氏曰: “博我以文, 致知格物也. 約我以禮, 克己復禮也.” 程子曰: “此顔子稱聖人最切當處, 聖人敎人, 惟此二事而已.” 欲罷不能, 旣竭吾才, 如有所立卓爾. 雖欲從之, 末由也已.” 卓, 立貌. 末, 無也. 此顔子自言其學之所至也. 蓋悅之深而力之盡, 所見益親, 而又無所用其力也. 吳氏曰: “所謂卓爾, 亦在乎日用行事之間, 非所謂窈冥昏黙者.” 程子曰..
9. 공자가 예의를 갖춘 사람들 子見齊衰者, 冕衣裳者與瞽者, 見之, 雖少必作; 過之, 必趨. 齊, 音咨. 衰, 七雷反. 少, 去聲. ○ 齊衰, 喪服. 冕, 冠也. 衣, 上服. 裳, 下服. 冕而衣裳, 貴者之盛服也. 瞽, 無目者. 作, 起也. 趨, 疾行也. 或曰: “少, 當作坐.” ○ 范氏曰: “聖人之心, 哀有喪, 尊有爵, 矜不成人. 其作與趨, 蓋有不期然而然者.” 尹氏曰: “此聖人之誠心, 內外一者也.” 해석 子見齊衰者, 冕衣裳者與瞽者, 見之, 雖少必作; 過之, 必趨. 공자께서는 자최복을 입은 사람이나 면관과 의상을 차려 입은 사람이나 눈 먼 사람을 보시면 이들을 만나볼 땐 비록 어리더라도 반드시 일어나셨다고 지나가면 반드시 종종걸음을 하셨다. 齊, 音咨. 衰, 七雷反. 少, 去聲. ○ 齊衰, 喪服. 자최(齊..
8. 봉황도 오지 않고 하도(河圖)도 나오지 않네 子曰: “鳳鳥不至, 河不出圖, 吾已矣夫!” 夫, 音扶. ○ 鳳, 靈鳥, 舜時來儀, 文王時鳴於岐山. 河圖, 河中龍馬負圖, 伏羲時出, 皆聖王之瑞也. 已, 止也. ○ 張子曰: “鳳至圖出, 文明之祥. 伏羲ㆍ舜ㆍ文之瑞不至, 則夫子之文章, 知其已矣.” 해석 子曰: “鳳鳥不至, 河不出圖, 吾已矣夫!” 공자께서 “봉황이 이르지 않고 황하에서 하도가 나오지 않으니 나는 끝이로구나.” 夫, 音扶. ○ 鳳, 靈鳥, 舜時來儀, 봉(鳳)은 영령한 새로 임금 때에 와서 춤을 췄고 文王時鳴於岐山. 문왕 때에 기산에서 울었었다. 河圖, 河中龍馬負圖, 하도(河圖)는 황하 속 용마의 등에 그려진 것으로 伏羲時出, 皆聖王之瑞也. 복희 때에 나왔으니 모두 성왕의 상서로움이다. 已, 止也. ..
7. 어리석은 질문이라도 양단의 논리로 세밀히 설명해주다 子曰: “吾有知乎哉? 無知也. 有鄙夫問於我, 空空如也, 我叩其兩端而竭焉.” 叩, 音口. ○ 孔子謙言己無知識, 但其告人, 雖於至愚, 不敢不盡耳. 叩, 發動也. 兩端, 猶言兩頭. 言終始, 本末, 上下, 精粗, 無所不盡. ○ 程子曰: “聖人之敎人, 俯就之若此, 猶恐衆人以爲高遠而不親也. 聖人之道, 必降而自卑, 不如此則人不親; 賢人之言, 則引而自高, 不如此則道不尊. 觀於孔子ㆍ孟子, 則可見矣.” 尹氏曰: “聖人之言, 上下兼盡. 卽其近, 衆人皆可與知; 極其至, 則雖聖人亦無以加焉, 是之謂兩端. 如答樊遲之問仁知, 兩端竭盡, 無餘蘊矣. 若夫語上而遺下, 語理而遺物, 則豈聖人之言哉?” 해석 子曰: “吾有知乎哉? 無知也. 有鄙夫問於我, 空空如也, 我叩其兩端而竭焉.” 공자..
6. 등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여러 재주를 익혀야 했던 공자 大宰問於子貢曰: “夫子聖者與? 何其多能也?” 大, 音泰. 與, 平聲. ○ 孔氏曰: “大宰, 官名. 或吳或宋, 未可知也.” 與者, 疑辭. 大宰蓋以多能爲聖也. 子貢曰: “固天縱之將聖, 又多能也.” 縱, 猶肆也, 言不爲限量也. 將, 殆也, 謙若不敢知之辭. 聖無不通, 多能乃其餘事, 故言又以兼之. 子聞之, 曰: “大宰知我乎! 吾少也賤, 故多能鄙事. 君子多乎哉? 不多也.” 言由少賤故多能, 而所能者鄙事爾, 非以聖而無不通也. 且多能非所以率人, 故又言君子不必多能以曉之. 牢曰: “子云, ‘吾不試, 故藝.’” 牢, 孔子弟子, 姓琴, 字子開, 一字子張. 試, 用也. 言由不爲世用, 故得以習於藝而通之. ○ 吳氏曰: “弟子記夫子此言之時, 子牢因言昔之所聞有如此者. 其意相近,..
4. 공자에게 없었던 네 가지 子絶四: 毋意, 毋必, 毋固, 毋我. 絶, 無之盡者. 毋, 『史記』作“無”是也. 意, 私意也. 必, 期必也. 固, 執滯也. 我, 私己也. 四者相爲終始, 起於意, 遂於必, 留於固, 而成於我也. 蓋意必常在事前, 固我常在事後, 至於我又生意, 則物欲牽引, 循環不窮矣. ○ 程子曰: “此毋字, 非禁止之辭. 聖人絶此四者, 何用禁止.” 張子曰: “四者有一焉, 則與天地不相似.” 楊氏曰: “非知足以知聖人, 詳視而黙識之, 不足以記此.” 해석 子絶四: 毋意, 毋必, 毋固, 毋我. 공자께서는 네 가지가 없으셨으니 사사로운 뜻이 없었고 기필함이 없었으며 고집이 없었고 자기중심주의가 없었다. 絶, 無之盡者. 毋, 『史記』作“無”是也. 절(絶)은 다 없는 것이다. 무(毋)는 『사기』에선 ‘무(無)’라 ..
3. 변해가는 세태를 따라야 하나, 말아야 하나 子曰: “麻冕, 禮也; 今也純, 儉. 吾從衆; 麻冕, 緇布冠也. 純, 絲也. 儉, 謂省約. 緇布冠, 以三十升布爲之, 升八十縷, 則其經二千四百縷矣. 細密難成, 不如用絲之省約. 拜下, 禮也; 今拜乎上, 泰也. 雖違衆, 吾從下.” 臣與君行禮, 當拜於堂下. 君辭之, 乃升成拜. 泰, 驕慢也. ○ 程子曰: “君子處世, 事之無害於義者, 從俗可也; 害於義, 則不可從也.” 해석 子曰: “麻冕, 禮也; 今也純, 儉. 吾從衆;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베로 만든 관이 예에 합당하지만 지금은 생실로 만든 관을 쓰니 검소하다. 나는 대중을 따르겠다. 麻冕, 緇布冠也. 純, 絲也. 마면(麻冕)은 치포관이다. 순(純)은 생실이다. 儉, 謂省約. 검(儉)은 생략하고 검소하다는 말이다. ..
2. 공자는 널리 배워 위대하나, 한 분야에 이름을 날리질 못했다 達巷黨人曰: “大哉孔子! 博學而無所成名.” 達巷, 黨名. 其人姓名不傳. 博學無所成名, 蓋美其學之博而惜其不成一藝之名也. 子聞之, 謂門弟子曰: “吾何執? 執御乎? 執射乎? 吾執御矣.” 執, 專執也. 射御皆一藝, 而御爲人僕, 所執尤卑. 言欲使我何所執以成名乎? 然則吾將執御矣. 聞人譽己, 承之以謙也. ○ 尹氏曰: “聖人道全而德備, 不可以偏長目之也. 達巷黨人見孔子之大, 意其所學者博, 而惜其不以一善得名於世, 蓋慕聖人而不知者也. 故孔子曰, ‘欲使我何所執而得爲名乎? 然則吾將執御矣.’” 해석 達巷黨人曰: “大哉孔子! 博學而無所成名.” 달항당의 사람이 “위대하구나 공자여! 널리 배웠지만 한 분야에서 이름을 이루진 못했구나!”라고 말했다. 達巷, 黨名. 달항(..
1. 공자가 드물게 말한 것 凡三十章. 子罕言利與命與仁. 罕, 少也. 程子曰: “計利則害義, 命之理微, 仁之道大, 皆夫子所罕言也.” ○ 沈大允曰: “利, 天命之性也. 命, 所遇之時, 所處之位, 所稟之材也. 仁, 忠ㆍ恕ㆍ中庸也. 若私慾之利而加之命ㆍ仁之上, 則悖矣. 性與天道, 可知也, 不可爲也. 故夫子不恒言也. 仁, 則集善而成者也. 但能行善, 則自可至也, 故不恒言也. 非有隱而吝於告人也. 集衆善而成仁, 如集材以爲室. 若舍善而言仁, 則無可言也.” 해석 凡三十章. 모두 30장이다. 子罕言利與命與仁. 공자께서는 이익과 운명과 인을 드물게 말씀하셨다. 罕, 少也. 한(罕)은 적다는 것이다. 程子曰: “計利則害義, 命之理微, 정이천이 말했다. “이익을 계산하면 의를 해치고 운명의 이치는 은미하며 仁之道大, 皆夫子所罕言..
태백(泰伯) 제팔(第八) 凡二十一章. 1. 고공단보의 맏아들 태백에 대해 子曰: “泰伯, 其可謂至德也已矣! 三以天下讓, 民無得而稱焉.” 泰伯, 周大王之長子. 至德, 謂德之至極, 無以復加者也. 三讓, 謂固遜也. 無得而稱, 其遜隱微, 無迹可見也. 蓋大王三子: 長泰伯, 次仲雍, 次季歷. 大王之時, 商道寖衰, 而周日强大. 季歷又生子昌, 有聖德. 大王因有翦商之志, 而泰伯不從, 大王遂欲傳位季歷以及昌. 泰伯知之, 卽與仲雍逃之荊蠻. 於是大王乃立季歷, 傳國至昌, 而三分天下有其二, 是爲文王. 文王崩, 子發立, 遂克商而有天下, 是爲武王. 夫以泰伯之德, 當商ㆍ周之際, 固足以朝諸侯有天下矣, 乃棄不取而又泯其迹焉, 則其德之至極爲何如哉! 蓋其心卽夷齊扣馬之心, 而事之難處有甚焉者, 宜夫子之歎息而贊美之也. 泰伯不從, 事見『春秋傳』. ..
21. 헐뜯길 만한 꺼리가 없는 우임금 子曰: “禹, 吾無間然矣. 閒, 去聲. ○ 閒, 罅隙也, 謂指其罅隙而非議之也. 菲飮食, 而致孝乎鬼神; 菲, 音匪. ○ 菲, 薄也. 致孝鬼神, 謂享祀豐潔. 惡衣服, 而致美乎黻冕; 黻, 音弗. ○ 衣服, 常服. 黻, 蔽膝也, 以韋爲之. 冕, 冠也, 皆祭服也. 卑宮室, 而盡力乎溝洫. 洫, 呼域反. ○ 溝洫, 田間水道, 以正疆界, 備旱潦者也. 禹, 吾無間然矣.” 或豐或儉, 各適其宜, 所以無罅隙之可議也, 故再言以深美之. ○ 楊氏曰: “薄於自奉, 而所勤者民之事, 所致飾者宗廟朝廷之禮, 所謂有天下而不與也, 夫何間然之有.” 해석 子曰: “禹, 吾無間然矣.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우임금은 내가 헐뜯을 수가 없다. 閒, 去聲. ○ 閒, 罅隙也, 간(閒)은 틈이니, 謂指其罅隙而非議之也...
20. 인재 얻기의 어려움 舜有臣五人而天下治. 治, 去聲. ○ 五人, 禹ㆍ稷ㆍ契,ㆍ皐陶ㆍ伯益. 武王曰: “予有亂臣十人.” 書『泰誓』之辭. 馬氏曰: “亂, 治也.” 十人, 謂周公旦ㆍ召公奭ㆍ太公望ㆍ畢公ㆍ榮公ㆍ太顚ㆍ閎夭ㆍ散宜生ㆍ南宮适, 其一人謂文母. 劉侍讀以爲子無臣母之義, 蓋邑姜也. 九人治外, 邑姜治內. 或曰: “亂本作乿, 古治字也.” 孔子曰: “才難, 不其然乎? 唐ㆍ虞之際, 於斯爲盛. 有婦人焉, 九人而已. 稱孔子者, 上係武王君臣之際, 記者謹之. 才難, 蓋古語, 而孔子然之也. 才者, 德之用也. 唐虞, 堯舜有天下之號. 際, 交會之間. 言周室人才之多, 惟唐虞之際, 乃盛於此. 降自夏商, 皆不能及, 然猶但有此數人爾, 是才之難得也. 三分天下有其二, 以服事殷. 周之德, 其可謂至德也已矣.” 『春秋傳』曰: “文王率商之畔國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