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씨춘추(呂氏春秋) 목차
여불위(呂不韋)
1권 십이기(十二紀)
봄(春)
맹춘기 제1(孟春紀 第一)
맹춘(孟春)
| | |
본생(本生)
| | | | |
중기(重己)
| | | | | | |
귀공(貴公)
| | | | | |
거사(去私)
| | | |
중춘기 제2(仲春紀 第二)
중춘(仲春)
| |
귀생(貴生)
| | |
정욕(情欲)
| | | | | |
당염(當染)
| | | | | |
공명(功名)
| | | | |
계춘기 제3(季春紀 第三)
계춘(季春)
|
진수(盡數)
| | | |
선기(先己)
| | | |
논인(論人)
| | | | | | |
환도(圜道)
| | | | | | |
여름(夏)
맹하기 제1(孟夏紀 第一)
맹하(孟夏)
| |
권학(勸學)
| | | | | | |
존사(尊師)
| | |
무도(誣徒)
| | | | | | |
용중(用衆)
| | | |
중하기 제2(仲夏紀 第二)
중하(仲夏)
| | | |
대악(大樂)
| | | | | |
치악(侈樂)
| | | | | | |
적음(適音)
| | | | | | |
고악(古樂)
| | | | |
계하기 제3(季夏紀 第三)
계하(季夏)
| |
음률(音律)
| | | | | | |
음초(音初)
| | | | |
제악(制樂)
| | | | | | |
명리(明理)
| | | | | |
가을(秋)
맹추기 제1(孟秋紀 第一)
맹추(孟秋)
| | | |
탕병(蕩兵)
| | | | |
진란(振亂)
| | | | | | |
금새(禁塞)
| | | | | |
회총(懷寵)
| | | | | |
중추기 제2(仲秋紀 第二)
중추(中秋)
| | |
논위(論威)
| | | |
간선(簡選)
| | |
결승(決勝)
| | | | | | |
애사(愛士)
| | | | | |
계추기 제3(季秋紀 第三)
계추(季秋)
| | |
순민(順民)
| | | | |
지사(知士)
| | | | | | |
심기(審己)
| | | | |
정통(精通)
| | | | |
겨울(冬)
맹동기 제1(孟冬紀 第一)
맹동(孟冬)
| |
절상(節喪)
| | | | |
안사(安死)
| | | | |
이보(異寶)
| | | | | |
이용(異用)
| | | | |
중동기 제2(仲冬紀 第二)
중동(仲冬)
| | | |
지충(至忠)
| | | | | | |
충렴(忠廉)
| | | | | | |
당무(當務)
| | | | |
장견(長見)
| | | |
계동기 제3(季冬紀 第三)
계동(季冬)
| | | | | |
사절(士節)
| | | | | | | |
개립(介立)
| | | | | | | |
성렴(誠廉)
| | | | | | | |
불침(不侵)
| | | | | |
2권 팔람(八覽)
유시람(有始覽)
서의(序意)
| | | | | | | |
유시(有始)
| | | | | |
응동(應同)
| | | | | |
거우(去尤)
| | | | | |
청언(聽言)
| | | | | | |
근청(謹聽)
| | | | | | |
무본(務本)
| | | | | | |
논대(論大)
| | | | | | |
효행람(孝行覽)
효행(孝行)
|
본미(本味)
| | | | | |
수시(首時)
| | | | |
의상(義賞)
| | | | | | |
장공(長功)
| | | | |
신인(愼人)
| | | | | |
우합(遇合)
| | | | | |
필기(必己)
| | | | |
신대람(愼大覽)
신대(愼大)
| | | | | |
권훈(權勳)
| | | | |
하현(下賢)
| | | |
보경(報更)
| | | | | |
순설(順說)
| | | | | |
불광(不廣)
| | | |
귀인(貴因)
| | | | |
찰금(察今)
| | | | | | |
선식람(先識覽)
선식(先識)
| | | | |
관세(觀世)
| | | | | |
지접(知接)
| | | | | | |
회과(悔過)
| | | | | |
악성(樂成)
| | | | |
찰미(察微)
| | | | |
거유(去宥)
| | | | | | |
정명(正名)
| | | | | | |
심분람(審分覽)
심분(審分)
| | | | | |
군수(君守)
| | | | |
임수(任數)
| | | | | |
물궁(勿躬)
| | | | |
지도(知度)
| | | |
신세(愼世)
| | |
불이(不二)
| | | | | | | | |
집일(執一)
| | | | | |
심응람(審應覽)
심응(審應)
| | |
중언(重言)
| | | | | |
정유(精諭)
| | | |
리위(離謂)
| | | |
음사(淫辭)
| |
불굴(不屈)
| | | | | |
응언(應言)
| | | |
구비(具備)
| | | | | | |
이속람(離俗覽)
리속(離俗)
| | | | | |
고의(高義)
| | | | |
상덕(上德)
| | | | | |
용민(用民)
| | |
적위(適威)
| | | | |
위욕(爲欲)
| | | | |
귀신(貴信)
| | | | | | |
거난(擧難)
| | | | |
시군람(恃君覽)
시군(恃君)
| | | | |
장리(長利)
| | | | | |
지분(知分)
| | | | |
소류(召類)
| | | | |
달울(達鬱)
| | | | |
행론(行論)
| | | | |
교자(驕恣)
| | | | |
관표(觀表)
| | | | | |
3권 육론(六論)
개춘론(開春論)
개춘(開春)
| | | | | |
찰현(察賢)
| | | | | | | |
기현(期賢)
| | | | | | |
심위(審爲)
| | | | | |
애류(愛類)
| | | | | |
귀졸(貴卒)
| | | | |
신행론(愼行論)
신행(愼行)
| | | | | | |
무의(無義)
| | | | |
의사(疑似)
| | | | | | |
일행(壹行)
| | | |
구인(求人)
| | | | |
찰전(察傳)
| | | | | |
귀직론(貴直論)
귀직(貴直)
| | | | | |
직간(直諫)
| | | | | | |
지화(知化)
| | | | | | | |
과리(過理)
| | | | | |
옹색(壅塞)
| | | | |
원란(原亂)
| | | | | | | |
불구론(不苟論)
불구(不苟)
| | | | |
찬능(贊能)
| | | | | | |
자지(自知)
| | | | |
당상(當賞)
| | | | | | |
박지(博志)
| | | | |
귀당(貴當)
| | | | | | |
사순론(似順論)
사순(似順)
| | | | | |
별류(別類)
| | | |
유도(有度)
| | | | |
분직(分職)
| | | |
처방(處方)
| | | | |
신소(愼小)
| | | | |
사용론(士容論)
사용(士容)
| | | | | |
무대(務大)
| | | | |
상농(上農)
| | |
임지(任地)
| | | | | |
변토(辯土)
| | | | | |
심시(審時)
| |
인용
'고전 > 여씨춘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씨춘추, 맹하기 - 존사 1. 10명의 성인과 6명의 현인이 스승을 높이다 (0) | 2023.03.05 |
---|---|
여씨춘추, 불구론, 박지 - 5. 잘 배웠던 양유기와 윤유 (0) | 2023.03.05 |
여씨춘추 사순론 사순 - 4. 보루를 증축한 윤탁을 처벌하려다 상을 준 조간자 (0) | 2020.09.23 |
여씨춘추 사용론 심시 - 전문 (0) | 2020.08.15 |
여씨춘추 사용론 심시 - 8. (0) | 2020.08.15 |